한국과 남미 경계 넘나들며 이질적 정서속 교차점 찾기
시어(詩語)의 거리가 멀다. 정서적 분리만큼, 아니 지구 반 바퀴라는 물리적 거리만큼 까마득히 떨어져 있다. 그러나 분열은, 분리는 또 다른 창조와 재회의 시간을 꼽아가고 있다. 지구 정반대인 남미 대륙과 한반도를 오가며 시를 쓰고 있는 시인이 흙 묻은 고구마를 손바닥으로 쭈욱 훑은 뒤 오도독 갉아먹던 농투성이 아버지의 모습에서, 스페인 침략자에게 땅을 내주고 흙을 집어먹던 남미 아라우카의 추장을 발견하는 것(‘흙맛’ 중)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구광렬(53) 시인의 새 시집 ‘불맛’(실천문학 펴냄)에 담긴 시편들은 경계를 넘나들며 이 땅과 저 땅, 이 언어와 저 언어 사이를 오간다.
시인의 시선은 바다 건너 대륙의 고고한 산맥으로 높이 치솟는가 싶으면 한반도 남단 어느 황톳길 위에서 노곤해진 길손의 다리쉼으로 이동한다. 시적 정서의 낯섦과 상상력의 자유로움은 구광렬의 시가 보여주는 고귀한 미덕이다.
●낯섦과 상상의 미학 한눈에
주변 이들에게는 단순한 흥미로움일 수 있지만 이중언어로 시를 쓰는 운명은 기구하다. ‘유랑가족’에 등장하는, 성인용품 트럭을 몰고 행상하는 아비와 어린 딸의 가족 서사는 이미 스페인어로 한 차례 발표했던 시 ‘뉴욕 브롱크스 동물원’의 피그미족 오타 벵가의 일대기 서사처럼 핍진함의 절정을 이룬다. 한국의 정서, 혹은 남미의 정서는 대단히 이질적인 시를 만들어내지만 구광렬 안에서 필연적으로 교차하는 지점이 발생한다. 낯섦에 당황스럽다가도 이것을 찾아가는 과정이 구광렬의 시를 읽는 또 다른 재미가 된다.
그러나 ‘무경계의 시인’ 구광렬 역시 고민이 없을 리 없다.
4부에서 연작시로 계속되는 ‘간(間)’은 경계 위에서 두 언어, 두 정서를 다뤄가는 시인의 고민을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시편들이다. 스페인어로 쓴 시임이 분명한 몇몇 ‘간’과 처음부터 한국어로 쓴 몇몇 ‘간’이 한데 어울려 있다. 특히 시 ‘간13’에서 끊임없이 변주되는 ‘새’는 훨훨 날개를 치는 새이면서 두 공간, 두 정서, 두 언어의 간극을 일컫는 ‘사이’이기도 하다.
시인은 “한국에서는 스페인어로 된 시를 거의 못 쓰고, 멕시코에 가서는 한국 시를 쓰지 못한다.”면서 “그 지역의 서로 다른 환경과 정서가 언어가 스며들어 시어도, 주제도 거기에 맞게 떠오르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한국에서는 스페인어로 詩 못써”
구광렬은 “파타고니아(남미 남부지역)에서 목동생활을 하고 싶어” 1982년 멕시코로 건너갔다. 멕시코국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으며 스페인어로 된 중남미문학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1986년 처음 멕시코 문예지를 통해 등단했고, 2003년 멕시코 문인협회상, 스페인대사상, 브라질 21세기 문학예술인연합회 라틴시인상 등을 받았다. 울산대에서 중남미문학을 강의하지만, 정에 굶주린 학생이 방학만 되면 어미의 품을 찾아들듯 허겁지겁 멕시코로 넘어간다.
스페인어로 된 시집만 벌써 6권이다. 이제는 그의 시(‘야생의 꽃’)가 중남미권에서 노래로 만들어질 정도로 저명한 시인이 됐다. 여전히 낯선 이름이지만 국내에서도 4권의 시집을 냈다. 문단의 주목 여부를 떠나 그는 한국 시의 또 다른 도전이자, 이미 이뤄낸 소중한 성취로 평가된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