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가톨릭용어 쉽게 바꾼다
◎로사리오→묵주,본명→세례명,세족례→발씻김예식,진복팔단→행복선언
가톨릭교회에서 사용중인 용어가운데 「로사리오」 「본명」 「세족례」 「진복팔단」 등 어려운 용어가 「묵주」 「세례명」 「발씻김예식」 「행복선언」 등 쉬운 우리말로 바뀐다.
한국가톨릭의 교회용어가 가톨릭 전래당시 중국의 영향을 받아 어려운 한자어와 라틴어 직·번역의 낯선 외래어가 많다는 지적에 따라 지난 2년간 한글화 개정작업을 벌여온 천주교주교회의(의장 정진석 주교)는 최근 정기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교회용어 개정안」을 최종 승인했다.
이번에 확정된 교회용어개정안은 일반용어 89개,전례복과 성당기물에 관한 용어 49개,미사통상문 변경용어 1백67개 등 어려운 한자어와 외래어 305개 용어를 우리말로 바꾸거나 하나로 통일시켰다.
개정된 내용에 따르면 가톨릭과 개신교를 지칭하는 「구교」와 「신교」 그리고 「기독교」를 사용하지 않는 대신 이를 하나로 묶어 「그리스도교」라는 용어로 통일했다.
또 「산상수훈」은 「산상설교」,「축성생활」은 「봉헌생활」로 바뀌었으며 「말세」와 「세말」은 「종말」,「육화」는 「강생」으로 「교오·간린·미색·탐도·해태」는 「교만·인색·음욕·탐욕·나태」,「염경기도·묵상기도」는 「소리기도,마음기도」로 개정됐다.
또 「입교식」은 「예비신자 환영식」으로 변경됐고,「적 그리스도」 「가 그리스도」 「반 그리스도」는 「그리스도의 적」이나 「거짓 그리스도」로 알기 쉽게 부르게 됐다.
〈미사통상문〉중에서는 「복사」는 「봉사자」로,「성신」은 「성령」으로 바뀌고 「주의 성체와 성혈」은 「주님의 몸과 피」,「영하다·배령하다」는 「모시다·받아 모시다」,「응송」은 「화답송」으로,「고성소」는 「저승」으로 바뀌었다.또 「백성」은 현대어에 맞게 「겨레」로 개정됐으며 「간구」「공번되다」 등도 쉬운 말인 「기도」「보편되다」 로 변경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