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인력 3만명 양성/건설부,공동훈련원 10개소 건립추진
◎여성·군·재소자등 활용 늘리기로/인문계 고교생 기술연수도 확대
정부는 올해에도 건설기능인력난이 심각할 것으로 보고 공공직업훈련원등 공식적인 훈련원을 통해 3만1천3백20명의 기능인력을 새로 양성하고 군과 여성및 재소자인력의 활용을 확대키로 했다.
또 건설기능인력의 사기진작을 위해 건설현장에 복리후생시설을 확충하고 안전관리시설도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19일 건설부가 마련한 건설기능인력 수급대책에 따르면 올해 공공훈련,사업내훈련,농어민 직업훈련등 공식적인 훈련기관을 통해 양성하는 기능인력을 지난해의 2만5천8백63명에서 3만1천3백20명으로 확대키로 했다.
이를위해 업종별 공동직업훈련원 10개소의 건립을 추진하고 미진학 인문계 고교생을 기업에 위탁,기술연수를 지키는 단기 직업교육과정도 개설키로 했다.
또 건설업체의 사내직업훈련분담금 비율을 지난해 임금총액의 0.578%에서 올해 0.908%로 상향 조정해 건설업체의 자체 양성도 늘리고 기능인력 자체 양성의무를 기피하는 대형건설업체는 직업훈련분담금을 30% 추가징수키로 했다.
건설부가 발표한 건설인력 수급동향에 따르면 89년이후 건설경기의 활황으로 건설부문의 노임상승률과 취업증가율이 제조업부문을 크게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의 경우 건설업은 89년 31.1%,90년 40.0%,91년 25.4%의 증가율을 기록한 반면 제조업은 89년 25.1%,90년 20.2%,91년 17.1%의 증가를 기록,상대적으로 임금상승률이 높은 건설업에 인력이 집중되는 결과를 빚었다.
이에따라 건설업의 취업자 증가율은 89년 11.3%,90년 17.5%,91년 15.2%의 높은 비율을 유지했으나 제조업은 89년 3.7%,90년 0.1%,91년 1.8%의 증가율에 머물렀다.
취업자 역시 건설분야는 88년 10만4천명,89년 11만6천명,90년 19만9천명,91년 20만4명씩 해마다 증가폭이 계속 늘었으나 제조업분야의 취업자는 88년 25만1천명,89년 17만3천명,90년 7천명,91년 8만9명이 증가되는데 그쳤다.
건설분야의 이같은 취업률 증가로 건설재해의 발생비율도 크게 늘어 전 산업에서 발생하는 재해중 건설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이 88년 21.8%,89년 23.0%,90년 27.9%,91년 32.1%로계속 오름세를 나타냈다.
또 젊은층의 건설현장기피로 건설현장 인력의 고령화 현상이 심화,20대이하가 21.7%(제조업 47.3%),30대가 34%(〃 31%),40대가 28.9%(〃 15.5%),50대이상이 15.4%(〃 6.2%)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