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회피지역 관련株 ‘경계령’
최근 개정된 국제조세조정법, 정부가 추진 중인 조세조약 개정 등으로 외국인 주주들의 동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단 조세회피지역 자금으로 지정되면 벌어들인 세금에 대해 원천징수를 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14일 금융감독원 및 증권선물거래소, 증권업계에 따르면 증권가는 정부의 방침에 따라 조세회피지역의 외국 자본이 일부 이탈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특히 외국인은 지난 4월25일부터 주식거래에서 매도 우위를 보이고 있다. 주가 강세로 차익실현 압력도 높아졌지만 규제 위험까지 더해진 만큼 외국인이 보수적 매매성향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케이맨군도, 말레이시아 라부안, 룩셈부르크, 버뮤다, 버진아일랜드, 바하마 등 6개 지역에 서류상 본사를 둔 펀드들 가운데 3월 말 기준 5% 이상 대량 보유 및 변동 보고서를 제출한 ‘큰손’은 총 44개에 이른다. 이들이 보유한 종목은 유가증권시장 37개, 코스닥시장 68개 등 총 105개다. 국적별로는 케이맨군도 소재 펀드들이 가장 많은 55개를 보유했다. 애머랜스LLC는 IHQ, 태창, 한국콜마, 동원 등 14개 종목 주식 927억원어치를 갖고 있다. 코로마스펀드는 동성제약, 케이아이씨, 큐엔텍코리아, 종근당바이오 등 8개 종목에 350억원을 투자했다.KT&G에 5986억원을 투자한 아이칸파트너스마스타펀드와 120억원 규모의 한국포리올 주식을 보유한 조호펀드도 케이맨군도 소속이다. 룩셈부르크에선 피델리티펀드가 메리츠화재, 코리아써키트, 현대미포조선, 계룡건설, 한국금융지주 등 10개 종목 주식을 갖고 있다.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