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선물거래
    2025-09-05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147
  • [부고]

    ●최희호(서울신문 경기광주지국장)씨 별세 19일 경기 광주시 경안장례식장, 발인 21일 오전 9시 (031)769-0444●손상호(한국금융연구원 부원장)상영(정보통신정책연구원 미래전략연구실 연구위원)씨 부친상 윤선희(상산고 교사)씨 시부상 19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1일 오전 8시 (02)3010-2293●이기성(ENG폴리머 대표)진휘(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팀장)재휘(한국에머슨 차장)외숙(서울 서정초등학교 교사)씨 부친상 이애란(서울 신답초등학교 교사)씨 시부상 정기동(기영상사 대표)조봉래(국무총리비서실 행정관)씨 빙부상 18일 경남 거창장례식장, 발인 20일 오전 9시 (055)941-1382●김광성(전 송곡학원 교사)중성(전 현대기아차 부사장)덕성(재미 사업)대성(사업)씨 부친상 19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2일 오전 8시 (02)3010-2292●이태규(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씨 빙모상 19일 서울대병원, 발인 22일 오전 9시 (02)2072-2027●강길모(전 기아자동차 이사)창모(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 선임연구원)씨 모친상 나상연(나상연정형외과 원장)정순오(한남대 교수)윤용규(엘지이노텍연구소 실장)씨 빙모상 18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0일 오전 10시30분 (02)3010-2291●최승용(칸서스자산운용 주식운용팀장)씨 부친상 장동철(청주의료원 건강관리과장)임헌석(GS칼텍스 부장)씨 빙부상 17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0일 오전 7시 (02)3410-6916●조희용(성남시생활체육게이트볼연합회 회장)씨 상배 상현(용민 이사)정훈(셰플러안산 대리)씨 모친상 전남현(농협중앙회 차장)서원천(에이치에스텍스 대표)씨 빙모상 18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0일 오전 7시 (02)3010-2232●노수종(성암건설산업 대표)씨 부친상 19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1일 오전 8시 (02)3010-2236●최영수(전 동아건설 인사부 차장)씨 부친상 김삼주(전 신광여고 교사)전완일(화가)씨 빙부상 19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1일 오전 6시 (02)3010-2261●이영균(블루오션미디어 대표)씨 빙모상 임용빈(JMAC코리아 대표)씨 조모상 19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1일 오전 9시 (02)3010-2252●김기영(리얼티어드바이저스코리아 대표·전 금융감독원 국장)씨 상배 상현(현대증권 과장)병현(증권선물거래소 대리)씨 모친상 윤선경 김보경(우리투자증권 대리)씨 시모상 19일 서울대병원, 발인 23일 오전 7시 (02)2072-2011●김동희(을지대병원 외과과장)장영호(부산 한창운수)씨 모친상 19일 을지병원, 발인 21일 오전 5시 011-9168-6443,011-736-2509●이광수(동부화학 부장)양수(SK 상무)씨 부친상 김주수(현대건설 전무)도재언(신한생명 고객센터장)씨 빙부상 19일 대구 모레아장례식장, 발인 21일 오전 7시 (053)801-9999
  • “양돈 농가 가격 널뛰기 걱정마세요”

    이르면 올 연말 돼지고기 선물거래시장이 개설될 것으로 보인다. 17일 제주도와 농협제주지역본부 등에 따르면 증권선물거래소가 추진 중인 돼지고기 선물시장 개설 관련 시행령 개정안이 이달에 입법예고된다. 이와 관련, 재정경제부는 18일 관계부처 협의회를 열어 개정안을 마무리한 뒤 이달 안에 입법예고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돼지고기의 선물시장 첫 거래는 11월 금융감독위원회의 승인과 전산시스템 보완, 시험 가동 등을 거쳐 이르면 12월 중순 이후, 늦어도 내년 초에는 가능할 전망이다. 돼지고기 선물거래는 돼지고기를 일정 시점에 일정 가격으로 사거나 팔기로 미리 약속하고 거래하는 것으로 농산물 거래 방식의 하나인 ‘밭떼기’와 유사하다. 돼지고기 선물시장이 개설되면 양돈 농가는 가격 폭락 걱정 없이 적정한 가격에 미리 돼지를 팔 수 있고, 육가공 업체들도 후일 가격 폭등에 관계없이 일정한 값으로 돼지고기를 공급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관계자는 “선물거래소라는 공인된 시장에서 거래되고, 계약 이행을 선물거래소가 보증, 계약 불이행의 위험도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제주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
  • ‘1배럴 100弗’ 곧 닥친다

    국제유가가 사상 처음으로 배럴당 86달러를 돌파하며 배럴당 100달러 시대가 눈앞으로 다가왔다.1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중질유(WTI)는 지난주 말 종가보다 배럴당 2달러 오른 86.13달러로 거래를 마쳤다.5일 연속 올랐다.WTI는 장중 배럴당 86.22달러까지 치솟아 1983년 선물거래가 시작된 이래 최고를 기록했다. 우리나라 수입 원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두바이유 현물가격도 15일 전날보다 배럴당 1.12달러 오른 76.57달러로 사상 최고치까지 치솟았다. 국제유가가 이날 일제히 오른 것은 겨울철 성수기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와 중동지역의 지정학적 불안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유가가 고공행진을 하면서 국내 증시에서 대체에너지가 테마주를 형성하고 있다. 태양광 발전에 참여하는 기업들의 주가가 대부분 올랐다. 16일 신규상장한 에스에너지는 상한가를 기록했다. 공모가는 1만 9000원이었으나 이날 시초가가 공모가의 두배인 3만 8000원으로 결정됐고 상한가까지 기록,4만 3700원에 장을 마쳤다. 에스에너지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전문업체다. 태양광 전지의 기초소재인 폴리실리콘 설비를 증설한다고 발표한 동양제철화학(7.35%), 태양전지용 잉곳(철강덩어리) 제조·판매사인 웅진에너지 지분 80%를 인수한 웅진홀딩스(6.07%), 태양광 발전사업을 위한 자회사를 만든다고 공시한 LG(0.62%) 등이 올랐다. 반면 코스닥에 상장된 대체에너지 관련 주들은 증권선물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가 집중적인 시장감시에 나서면서 하락했다. 최종찬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 “검색광고 시장 年 30% 성장 NHN 독주 지속”

    국내 온라인 검색 광고 시장은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연 평균 29.6% 성장,2010년에 1조 5000억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1위 업체로의 쏠림은 여전해 NHN이 검색광고에서만 9000억원의 매출을 거둘 전망이다. 미래에셋증권 정우철 애널리스트는 이날 서울 여의도 증권선물거래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해외 주요 국가에서도 검색시장에서는 1위 업체로의 쏠림이 심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검색서비스의 시장점유율을 보면 NHN의 네이버가 78∼80%, 다음이 10%대, 엠파스와 야후코리아가 3∼5%를 점하고 있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 코스피 또 사상 최고…증시 천장 뚫렸다

    코스피 또 사상 최고…증시 천장 뚫렸다

    코스피지수가 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2000포인트 안착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10일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1.34%(26.99포인트) 오른 2041.12로 이틀 연속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코스닥지수는 0.67%(5.46포인트) 오른 818.26에 마감됐다. 코스피지수는 지난 연말보다 42.3% 올랐다. 전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지난 9월 0.5%포인트 금리인하를 만장일치로 결정했다는 점이 공개됐다.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이 대두되면서 미국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와 대형주 중심의 S&P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이 2024억원어치 주식을 순매도(판 주식이 산 주식보다 많은 것)했고 외국인이 285억원, 기관투자가가 1177억원을 순매수했다. 이날 상장한 코덱스 차이나 H 상장지수펀드(ETF)는 시초가보다 5.24%(1105원) 오른 2만 2200원을 기록했다.LG,LG생활건강,LG생명과학,LG석유화학,LG화학 등 LG그룹주가 52주 신고가를 기록했다. ●2000 안착… 코스피지수가 3일 연속 2000포인트를 넘자 2000포인트 안착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좀 더 지켜 봐야 한다고 지적한다. 주가가 1∼2%만 빠져도 2000포인트가 무너질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상승에너지도 지난 5∼7월 상승시기와 비교해 미흡하다. 밸류에이션(주가 가치평가)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12월 결산법인의 반기실적을 반영한 주가수익비율(PER)은 15.7배로 선진국 증시와 비슷한 수준이다. 반기 실적을 반영하기 전의 PER는 16.8배다. 주가상승에 부담을 느낀 일부 투자자들은 차익을 실현하고 있다. 지난주 주간 기준으로 국내 주식형펀드 수탁고는 118억원 줄어들었다. 반면 해외 주식형 펀드는 1조 6185억원이 순유입됐다. ●기업 실적이 조정 여부 결정 메리츠증권 심재엽 투자전략팀장은 “중국·인도·한국·일본 등 아시아 주요 증시가 3·4분기 기업 실적 개선으로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는 점에서 앞으로도 추가 상승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 상하이 종합지수는 6000포인트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는 상황이다. 반면 교보증권 이종우 리서치센터장은 “주가가 너무 올라 3분기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큰 상태”라면서 “실적 호전 종목도 큰 폭의 상승세를 보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영증권 김세중 투자전략팀장은 “단기 흐름은 혼조세이지만 내년 상반기 시장까지 보면 코스피가 2300까지 갈 수 있다.”고 말했다. 김 팀장은 “현재 경기가 금리인상이나 유동성 조절을 부를 만큼의 과열도, 지나친 침체도 아닌 상황에서 유동성과 자본시장통합법 시행 등이 겹치면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 홍콩증시 투자 쉬워진다

    홍콩 증시에 쉽게 투자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상장지수펀드(ETF)를 통해서다. 삼성투신운용은 7일 홍콩 항셍중국기업지수(HSCEI)에 기초한 코덱스 차이나(Kodex China) H ETF를 10일 증권선물거래소에 상장한다고 밝혔다.HSCEI는 중국 국영기업으로 이뤄진 홍콩 H주중 상위 우량기업 43개 종목으로 구성된 지수다. 국내 증시에서 해외 지수와 연계된 첫 ETF다. 현재 중국 A·B증시와 홍콩 H주, 레드칩(중국 R) 등에 투자하는 펀드는 1∼2% 수준의 수수료를 내야 한다. 코덱스 차이나 H ETF에 투자할 경우 0.7%의 수수료만 내면 된다. 국내 증시에 상장돼 있어 환전할 필요 없이 원화로 투자할 수 있고, 홈트레이딩시스템(HTS)을 통해 실시간 거래가 가능하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 100대 상장사 사외이사 평균 월급 343만원

    100대 상장사 사외이사 평균 월급 343만원

    증권선물거래소에 상장된 100대 기업 사외이사들의 지난 상반기 월급이 평균 343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증권선물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12월 결산법인 중 비교 가능한 시가총액 상위 100개사가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반기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사외이사들의 지난 상반기 월평균 급여는 343만원으로 집계됐다. SK텔레콤 사외이사들의 1인당 월평균 급여가 667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현대차 617만원 ▲신세계 600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LG전자와 S-Oil, 삼성SDI, 국민은행,LG, 엔씨소프트, 삼성전기, 삼성전자,GS, 아모레퍼시픽 등도 사외이사들의 1인당 평균 월급여가 500만원을 넘으며 상위 4∼11위에 올랐다. 반면 사외이사 월급이 가장 적은 회사는 LS산전으로 100만원에 그쳤다. 이어 온미디어와 현대오토넷, 롯데칠성음료, 대한전선 등도 사외이사 월평균 급여가 100만원대에 머물러 하위 2∼5위로 처졌다. 외환은행(200만원), 하나금융지주(300만원), 우리금융(317만원) 등 은행권도 사외이사 월급여가 적은 편에 속했다. 한편 100대기업 상위 20개사 사외이사 월평균 급여는 526만원으로 하위 20개사 월평균치 190만원의 2.8배에 달해 상하위간의 급여 차가 컸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 ‘한국 증시’ 선진국지수 편입 또 무산

    ‘한국 증시’ 선진국지수 편입 또 무산

    우리나라 증시의 FTSE(Financial Times Stock Exchange) 선진국 지수 편입이 3년 연속 무산됐다. 마크 메이크피스 FTSE 회장은 20일 서울 여의도 증권선물거래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한국과 타이완 주식시장은 기존의 준(準)선진시장내 관찰대상국 시장 지위를 유지하고, 이스라엘은 내년 6월부터 준선진국 시장에서 선진국 시장으로 올라간다.”고 밝혔다. 무산 이유에 대해 메이크피스 회장은 “지난해 제한적 충족 판정을 받은 4개 항목중 공매도만 개선됐고 분리결제, 장외거래, 외환거래는 현행 수준”이라고 밝혔다. 거래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분리결제와 장외거래에 대해서는 올 하반기 제도개선을 추진중이다. 시장에서는 한국과 타이완의 신흥시장 비중이 높아 무산된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한국과 타이완이 신흥시장 내에서 차지하는 시가총액 비중이 각각 17.11%,12.12%다. 두 나라가 선진시장으로 옮겨갈 경우 대안을 찾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메이크피스 회장은 “시가총액 비중이 큰 것은 사실이지만 편입 여부는 나라별로 독립적, 객관적으로 결정한다.”며 “편입을 결정할 때 시장규모가 크게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이번 결정이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평가됐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0.33%(6.32포인트) 오른 1908.97, 코스닥지수는 0.35%(2.71포인트) 내린 781.96을 기록했다. 코스피지수는 장 내내 등락을 반복하다 장 마감 프로그램 매수 주문이 들어오면서 올라갔다. 외국인과 기관이 사자세를, 개인은 팔자세를 보였다. 한편 자산운용협회에 따르면 펀드의 순자산총액이 지난 19일 현재 300조 4200억원으로 사상 처음으로 300조원을 넘었다. 국내에 펀드가 도입된 1970년 이후 37년만이며 국가별로는 세계 14위 규모다. 선진국지수에 편입될 경우 선진국 시장에서 우리나라가 차지하는 비중은 2%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FTSE 모건스탠리인터내셔널지수(MSCI)에 이어 세계에서 두번째로 영향력이 큰 투자지표. 영국 파이낸셜타임스와 런던거래소가 공동설립했다.2조 5000억달러의 유럽계 자금이 투자 벤치마크로 쓰고 있다. 선진시장, 준선진국시장, 신흥시장 등 3그룹이 있다.48개국 47개 증시를 분류한다.
  • 새달 21일 금융공기업 빅6 동시 시험

    새달 21일 금융공기업 빅6 동시 시험

    10월21일은 공기업을 준비하는 지원자들에게 ‘고민의 날’이면서 ‘기회의 날’이 될 것 같다. 한국은행, 한국수출입은행, 산업은행, 금융감독원, 예금보험공사, 증권선물거래소 등 이른바 빅6 금융 공기업이 이날 동시에 필기시험을 치르기 때문이다. 이들 기관의 평균 연봉은 지난해 기준으로 6000만∼9000만원으로 대졸 초임도 3300만∼4000만원 수준으로 최고 수준이다. 대부분 자격제한은 없으나 공통적으로 변호사, 공인회계사,AICPA,CFA,FRM 등 관련분야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한다. 한국수출입은행은 올해 38명 내외의 직원을 뽑는다. 영어점수는 토익, 토플, 텝스 가운데 제출한 영어성적 50점과 TOP(서울대 언어교육원의 영어말하기 능력평가)점수 50점을 합산해 평가한다. 금융감독원은 50명 내외를 선발하는데 해외대학교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영어와 한국어에 능한 인재를 별도로 모집한다. 예금보험공사는 박사와 변호사를 따로 뽑는다. 변호사는 2008년 1월 사법연수원 수료예정자를 포함해 필기시험이 면제되고 사법연수원 및 실무경력을 해당경력으로 인정해준다. 증권선물거래소는 토익 900점, 토플 CBT 253점, 중국어 HSK 9등급 이상이어야 지원할 수 있다. 혹은 영어권 이나 중국어권에서 4년이상 체류한 자는 점수가 면제된다. 거래소가 주최한 전국 대학생 증권·선물 경시대회 수상자도 서류전형에서 우대된다. 한국산업은행은 지방인재를 우선적으로 뽑는다. 지역 고등학교와 대학교를 졸업한 자는 5년정도를 해당지역에서 의무적으로 근무해야 한다. 한국은행은 관련 자격증이나 제2외국어 점수가 있으면 서류전형에서 각각 10%씩 가산점이 주어진다. 면접 비중이 높아 필기 점수 600점과 면접 점수 200점을 합산해 고득점자 순으로 선발한다. 윤설영기자 snow0@seoul.co.kr
  • 두바이유 사상 최고 기록…1배럴 72.21弗

    두바이유 사상 최고 기록…1배럴 72.21弗

    국제유가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고공행진을 지속하는 가운데 12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0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 중질유(WTI)가 사상처음으로 배럴 당 79달러를 넘어섰다. 전날 종가기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WTI는 이날 거래에서 지난주 에너지 재고 발표가 나온 직 후 배럴 당 79.29달러까지 상승, 지난달 1일 기록한 기존 최고치인 배럴 당 78.77달러를 넘어서며 1983년 원유 선물거래가 시작된 이후 최고가를 기록했다. 앞서 11일 거래된 두바이유 현물가격도 전날보다 배럴당 76센트 오른 72.21달러를 기록하며 13개월만에 사상 최고치를 돌파했다. 이처럼 유가 급등세가 꺾이지 않는 것은 시장에서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증산결정이 충분치 않다고 받아들이기 때문이다.OPEC는 11일 빈에서 각료회의를 열어 11월1일부터 생산쿼터를 하루 50만 배럴 늘리기로 결정했다. 분석가들은 증가하고 있는 수요를 따라잡기 위해서는 하루 50만배럴 외에 추가로 50만배럴의 증산이 필요하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김성수기자 sskim@seoul.co.kr
  • 2007 증시 ‘진화하는 개인투자자’ 사례 연구

    2007 증시 ‘진화하는 개인투자자’ 사례 연구

    사례 1. 지난 5월 회사를 옮긴 A씨. 퇴직금으로 8000만원을 받았고 이를 주식에 투자하기로 했다. 저녁 자리에서 만난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누던 중 한 친구가 자동차 업종을 추천했다. 다른 친구는 “기껏해야 10∼20% 먹는데 지금 작전 들어간 주가 있다.”며 특정 종목에 투자를 권유했다.A씨는 퇴직금 전부를 투자했고 계속 수익률이 하락, 현재 원금은 반으로 줄어들었다. 사례 2. 중소기업 사장 B씨.4년전 증권투자를 시작했다. 철강·금융업종이 발전할 것이라는 생각에 그 업종에서 유망한 주식 4종목을 골랐다.B씨는 주가가 오르면 일부를 팔고 주가가 떨어지면 좀 더 사는 방식으로 주식에 투자된 돈을 똑같이 유지시켰다. 투자원금은 회수한 지 오래고 그의 투자수익률은 400%를 넘는다. 사례 3. 코스피지수가 2000포인트에 달하기 전 주위에서 선물에 투자해 많은 돈을 벌었다는 소문을 들은 C씨. 결국 은행 적금을 깨 4000만원을 선물에 투자했다. 시점은 코스피지수가 2000포인트를 치던 다음 날. 파생상품이라 주가의 변동폭도 컸고 손실도 컸다. 사례 4. 코스피지수가 하루에 100포인트 이상 빠졌던 지난달.D씨는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주식을 사는 신용대출을 이용, 정보기술(IT)주를 갖고 있다가 반대매매가 두려워 4000주를 하한가에 내놓았다. 투자손실은 55%다(팍스넷에서). 신용대출을 할 경우 주가가 떨어져 주식담보비율이 증권사에서 정한 기준에 미치지 못하면 증권사가 반대매매를 한다. 사례 5. 세 종목에 5000만원을 투자한 E씨. 지난달 주가가 폭락할 때 주식을 팔까 고민했다. 이 경우 투자손실이 25%다.D씨는 기다리기로 했다. 당장 급한 돈이 아니었고, 투자한 종목은 기업실적이 개선될 것이라 기대되는 금융과 건설업종이었다. 그는 건설종목은 더 사들이기까지 했다. 현재 그의 수익률은 반전,6%의 수익을 거뒀다. 왜 주식시장에서 매매비중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개미(개인투자자)’들이 수익을 얻는 확률이 낮을까. 전문가들은 회사에 대한 분석도 없이 소문에 휩쓸려서 단기투자를 하기 때문이라고 입을 모은다. 뒤집으면 투자할 회사를 분석해서 좋은 회사에 장기 투자한다면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셈이다. 6일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투자주체별로 봤을 때 개미들의 매매비중이 높으면 상장주식회전율이 높게 나타난다. 지난해 개미들의 매매비중은 51.25%다. 절반을 넘지만 2000년 들어 가장 낮은 수준이다. 상장주식회전율도 286.23%로 2000년 이후 가장 낮다. 상장주식회전율이란 상장주식이 일정 기간 동안 몇회전했는가, 다시 말해 주인이 몇번 바뀌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다.2000년 이후 개미들이 유일하게 순매수를 했던 2002년 상장주식회전율은 881.01%나 된다. 주인이 1년 사이에 8.8번 바뀐 셈이다. ‘한국기업지배구조펀드’를 운영중인 장하성 고려대 교수는 “개인들의 주식보유기간은 1개월 정도”라고 추정했다. 노희진 증권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은 가계 금융자산 중 주식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지만 대부분 기관투자가들을 통한 간접투자라서 투자주체중 개인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극히 미미하다.”고 밝혔다. ●알아야 번다 사례 1의 A씨가 투자한 회사에 대해 아는 것은 회사이름과 작전세력이 개입한 주라는 점. 몇달 사이에 주가를 끌어올리기 위해 사업목적을 추가시켜 어떤 것이 주력업종인지도 가물가물하다. 사례 2의 B씨는 주식은 잘 모른다. 단지 그 기업이 좋다는 것 하나만으로 투자를 했다. 사례 3의 C씨는 증권사 직원에게 투자를 맡겼기 때문에 선물을 샀는지 팠는지도 모른다. ●여유와 결단력 주식은 반드시 여윳돈으로 해야 한다고 한다. 홍은미 한화증권 갤러리아PB지점장은 “개미들에 비해 고액자산가들은 주가가 빠져도 버틸 수 있는 여유가 훨씬 많다.”고 전했다. 일단 우량주 위주로 구성, 손해는 보지 않고 판다는 것이 첫번째 원칙이다. 그러나 투자가 잘못됐다고 생각하는 시점에는 손해를 입고서도 과감하게 판다. 홍 지점장은 “결단력이 손실 규모를 줄인다.”고 전했다. ●적립식 펀드에서 배우자 이익을 본 사례 2의 B씨와 사례 5의 E씨의 투자기법은 적립식 펀드와 유사하다. 장기투자를 했고 한 종목에만 투자하는 이른바 ‘몰빵’투자를 하지 않았다. 나눠서 사고 나눠서 파는 분할매수 분할매도 전략을 취했다. 그리고 여윳돈으로 했다. 정의석 굿모닝신한증권 투자분석부장은 “20년간 깨진 경험과 적립식펀드의 성공을 보면서 일부 개미들의 투자패턴이 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여전히 개미들의 직접투자에 대한 경계의 목소리도 많다. 김범석 한국투자신탁운용 부회장은 “개인이 직접투자해서 수익을 내기는 너무 힘들다.”면서 “꼭 하고 싶다면 대형 우량주를 사두고 잊어버리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오성진 현대증권 포트폴리오분석부장은 “기업 실적을 보고 하는 가치투자에 장기투자, 그리고 밸류에이션(주식의 가치) 투자 세가지를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굿모닝신한증권 정 부장은 적립식펀드를 투자의 중심에 놓고 자산의 20∼30%만 투자할 것을 충고했다. 김학균 한국투자증권 선임 연구원은 “주식에 대한 통찰력은 물론 주식에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쏟을 수 있어야 하는데 일반인이 과연 그럴 수 있는지는 의문스럽다.”고 지적했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 [부고]

    ●이종기(경북신문 발행인)종순(삼흥농원 대표)종원(태극제약 중앙연구소장)언탁(서울신문 사진부 차장)씨 모친상 오종협(자영업)씨 빙모상 3일 신촌세브란스병원, 발인 5일 오전 8시 (02)392-3499●김보현(전 대전지방국세청장)씨 모친상 3일 대전 건양대부속병원, 발인 5일 오전 10시 (042)544-4325●김종석(전 연합뉴스 사진부 부국장)종범(자영업)씨 부친상 김민태(농협중앙회 정자지점장)씨 조부상 3일 LA장례식장, 발인 7일 (02)445-6161,(LA)714-446-8895●박행석(정보통신윤리위원회 경영혁신실장)씨 모친상 2일 평촌 한림대성심병원, 발인 5일 오전 8시 (031)384-4634●김봉길(과테말라 INT트레이딩 대표)준길(서울지방경찰청 은평경찰서 경비교통과장)씨 모친상 최동욱(삼성엔지니어링 상무)씨 빙모상 3일 건국대병원, 발인 5일 오전 9시 (02)2030-7902●이동훈(대전KBS 촬영기자)씨 조모상 3일 충남 예산군 삼성병원, 발인 5일 오전 10시 011-9120-0530●김종원(충청투데이 충북본사 편집국장)씨 빙부상 2일 충북 진천군 효병원, 발인 5일 오전 8시30분 (043)537-9959●홍윤식(고려대 의과대 응급의학과 교수)선경(김&장법률사무소 미국변호사)혜경(의사)씨 모친상 3일 고대안암병원, 발인 5일 오전 9시 (02)929-1299●황윤태(호연당 대표)윤권(현대모비스연구소 차장)씨 부친상 기우백(민경건설 사장)이효신(광주기계공고 교사)이용재(증권선물거래소 부장)씨 빙부상 3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5일 오전 7시30분 (02)3010-2295●신경식(자영업)경택(남평아이티 대표이사 회장)씨 모친상 3일 고대안암병원, 발인 5일 오전 8시 (02)921-9499●이상익(전 특수전사령부 항공과장)씨 모친상 이주형(LG CNS)씨 조모상 2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4일 오전 8시 (02)3010-2262●김영준(삼광빌딩 대표)씨 모친상 2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4일 오전 9시30분 (02)3010-2233●정용택(전 세종대 재무처장)종헌(두산그룹 상무·전략기획본부)씨 모친상 박항식(과학기술부 연구개발조정관)씨 빙모상 백경숙(현강여자정보고 교사)씨 시모상 3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5일 오전 6시 (02)3010-2291●정성화(명지대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장)성철(미국 거주)성태(〃)은실(〃)씨 부친상 3일 신촌세브란스병원, 발인 5일 오전 8시 (02)392-1099
  • [경제현장 읽기] 거래소 증시상장 무기한 연기

    증권선물거래소 상장이 지난달말 사실상 무기연기되면서 상장 논의가 원점으로 돌아갔다. 상장의 필요성부터 상장 이후 갖춰야 할 장치 등 상장 일정 논의에 앞서 다뤄졌어야 할 사항들이다. 그동안 논의는 상장차익을 사회에 환원하기 위한 공익재단에만 집중돼 왔다. 거래소가 2000억원, 현재 주주인 증권사가 1700억원을 출연하기로 합의된 상태다. ●독점이득을 보장받는 상장 거래소 상장의 딜레마는 정부가 민간기업에 독점을 보장해 주고, 그 민간기업이 시장감시의 공적 역할도 수행한다는 점이다. 외국의 거래소 대부분은 2000년 이후 상장했다. 그러나 외국은 독점체제가 아니다. 자본시장의 성숙도도 우리보다 앞서 있다. 국내 거래소를 복수로 하자는 논의도 있었으나 세계적으로 거래소 통·폐합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이 대세다. 상장된 거래소들은 규제기능을 규제기관이나 거래소내 자회사로 분리한 경우도 있고 거래소가 자체적으로 실행하는 경우도 있다. 정답이 없다. 거래소 상장은 2005년 통합거래소 출범 당시부터 목표였다. 참여정부의 대선공약 중 하나이다. 상장이 돼 주주가 회원사인 증권사에서 기관투자가나 개인들로 다변화하면 기업지배구조가 투명해진다. 가치평가가 가능해져 외국 거래소와의 지분교환 등을 통한 합작도 가능해진다. 거래소 지분을 갖고 있는 증권사들은 수백억원대의 상장차익을 얻을 수 있다. ●“법 개정” 對 “정관 개정” 상장 이후에도 거래소의 주 수입원은 매매수수료다. 증권예탁결제원, 증권업협회도 매매수수료의 일부를 떼간다. 금융감독당국 관계자는 “수수료의 전반적 체계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자본시장통합법 실행으로 상장 자체보다 자본시장 전체의 공익규제를 어떻게 가져갈 것인지 큰 틀의 논의가 필요하다. 주주들 이익을 위해 수수료를 올리면 현행 독점체제에서 일반 이용자들이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 상장·거래되는 회사들이 많을수록 수입이 늘어난다는 점에서 상장심사를 소홀히 할 가능성도 우려된다. 주주이익 극대화와 시장감시 기능이 충돌하는 대목이다. 정부는 거래소법을 고쳐 공익성을 통제하는 수단을 만들자는 입장이다. 거래소는 정관만 고치면 가능하다고 맞서고 있다. 거래소 노조에 따르면 정부안은 거래소에서 상장심사와 시장감시기능을 분리, 자율규제위원회를 만드는 것. 자율규제위원장은 금융감독위원회가 승인하며, 거래수수료는 자율규제위원회 심의를 거쳐 재경부가 승인한다. 이 경우 거래소는 매매만 하는 기구가 되며 구조조정이 불가피해진다. 거래소 노조가 반발하는 대목이다. ●거래소 직원들 상장차익 논란 민주노동당은 현행법과의 충돌을 문제삼는다. 상장시 우리사주에 배정된 공모물량은 20%로 상장 이후 우리사주 지분이 10%로 최대주주가 된다. 동일인이 5% 초과 지분을 보유할 수 없도록 한 거래소법과 충돌한다. 무상증자물량은 400만주로 직원 700명에게 1인당 평균 5700여주가 배정된다. 공모가 3만원으로 계산하면 1억 7000만원 수준. 증권거래법 시행령에 공모주는 청약 직전 1년간의 급여총액을 초과할 수 없게 돼 있는데 이 규모를 넘는다. 민노당 관계자는 “국가에 반납해야 할 공익기관 이윤이, 직원이라는 이유로 개인에게 분배되는 건 문제”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거래소 관계자는 “현재 거래소 안으로 상장하더라도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알고 있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직원들의 상장차익 논란은 지나치다.”고 반박했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 증시 경보시스템 새달부터 강화

    다음달부터 불공정거래가능성이 있는 종목은 단계적으로 투자주의종목, 투자경고종목, 투자위험종목으로 지정된다. 한단계 높아질 때마다 하루전 예고된다. 투자위험종목으로 지정되고도 3일 연속 주가가 오르면 매매가 하루 동안 정지된다. 증권선물거래소는 불공정거래 진행 정도를 투자자들이 피부로 느껴 투자판단에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해 이같은 시장경보시스템 개선안을 마련, 다음달 3일부터 실행한다고 29일 밝혔다. 투자주의종목은 기존의 투자주의사항, 투자경고종목은 이상급등종목이 이름을 바꾼 것이고 투자위험종목은 새로 만들어졌다. 투자경고종목이 되면 위탁증거금 100%가 의무화돼 외상으로 주식을 살 수 없다. 투자위험종목은 이외에도 현금으로 갈음할 수 있는 대용증권 사용이 금지된다.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 [인사]

    ■ 감사원 ◇부이사관 승진 △특별조사본부 감찰정보팀장 김시관△행정·안보감사국 제2과장 권정주■ 국무조정실 ◇과장 전보 △총괄심의관실 기획총괄과장 權東泰△규제개혁1심의관실 규제총괄〃 金忠浩△조사심의관실 조사총괄〃 沈和石◇과장 승진△규제개혁기획단 기획총괄과장 金珍坤 ■ 교육인적자원부 △정책홍보관리실 최정식△국제교육정보화국 정병호 김경희△서울대 최광휘 노재명△제주대 윤창수△서울산업대 이상준■ 과학기술부 ◇과장급 전보 △동북아기술협력과장 김대기■ 보건복지부 △감사관 김시관△정책홍보관리실 국제협력관 직무대리 김정석△국무조정실 OECD서울센터 파견 조기원△장관정책보좌관 정홍원■ 여성가족부 ◇승진 △권익증진국 복지지원팀장 이성선◇파견△보건복지부 저출산고령사회정책본부 남점순■ 증권선물거래소 △경영지원본부 국제부장 鄭英源△유가증권시장본부 지원총괄팀장 申昌均△〃 종합시황총괄〃 姜洪起△〃 공시총괄〃 金俊憲△코스닥시장본부 지원총괄〃 文炳鎬△〃 상장총괄〃 徐南基△선물시장본부 선물시장총괄〃 崔重城△시장감시본부 시장감시지원부장 金載準△〃 시장감시〃 沈載承△감사위원회 감사실장 李喜說■ 화재보험협회 ◇부문장 △기획행정 金元鐵△위험사업 鄭義秀△기술연구 李斗炯 ◇지부장△중앙 洪淳萬△경기강원 李光烈△인천 申秉澈 ◇팀장△고객서비스 朴泰完△조사연구 孫英鎭△전기시스템 李相玹△건재환경 鄭在君△방재컨설팅 李福永△업무지원 尹禧相△품질인증 任弘淳■ 서울여대 △자연과학대학장 박원봉△산학협력단장 이기한△대외협력실장 조성원△방송국·학보사주간 정용길■ 신한은행 ◇본부장급 승진 △개인고객그룹 영업본부장 潘鍾永△IB그룹 〃 李熹承△가치혁신본부장 金瀅鎭◇부서장급 전보△점포개발부장 尹赫東△BPR추진부 팀장 李琴行 李載坤△기업금융팀장 吳暎鎭△종합금융시장부장 裵起範△IB사업〃 金祥鎭△투자금융〃 金正翼△전략투자팀장 姜鳳求△신탁부장 張聖秀△펀드사무관리실장 金寅煥△총무부장 尹勝郁△재무기획〃 李尙昊△여신심사〃 金善鶴△인사〃 李成洛△강북지점장 金亨珍△군인공제회관〃 李亨勳△노량진역〃 金和鎭△노원역〃 鄭泰佑△도곡남〃 朴玄俊△독산동〃 朴瑾濟△둔촌2동지점 개설준비위원장 李忠根△망우동지점장 鄭成太△목동해누리〃 姜大石△방배동〃 林壽△방학동〃 崔宗浩△봉천서〃 李鍾根△삼선교〃 李香馥△서소문〃 姜哲基△수락산역〃 郭峻碩△신도림동〃 李鍾國△여의도중앙〃 盧相來△일원역〃 沈弘植△잠원역〃 朴鍾愛△장지동지점 개설준비위원장 李東鎬△충무로역지점장 金相祿△한강로〃 李承權△고잔〃 盧奉善△봉담타운지점 개설준비위원장 鄭中鍾△분당구미동지점 〃 李淳雨△산곡중앙지점장 延秉壽△서현동〃 趙郁濟△용인보라지점 개설준비위원장 金洙日△의정부중앙지점장 尹鍾準△주안남〃 李允載△학익동지점 개설준비위원장 朴千鶴△화성병점지점장 崔興淵△마산〃 金永玟△강동 기업금융지점장 白用鉉△반포남 〃 鄭敦永△서초남 〃 趙大熙△스타타워 종합금융센터지점장 金楨開△여의도 종합금융센터장 李東煥△장한평 기업금융지점장 李基俊△창신동 〃 金龍浩△증평 〃 金鍾弼△런던지점장 梁熙昌△프로젝트투자팀장 吳昌洙△동국대지점 개설준비위원장 陳煐岸△서울광장지점장 張在守△역삼2동지점 개설준비위원장 承仁煥■ 신한금융지주 ◇승진 △상무 위성호△IR팀장 류승헌
  • 증권선물거래소 상장 무기 연기

    증권선물거래소 상장이 무기한 연기됐다.〈서울신문 8월28일자 보도 참고〉 이정환 경영지원본부장은 28일 “정부가 상장승인의 전제조건으로 거래소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어 상장 일정과 자본시장발전재단 설립 여부가 불투명하다.”면서 “앞으로 상장문제에 매진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정부측은 거래소법을 개정, 시장감시와 상장심사 등 공익 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 마련이 전제돼야 한다는 입장이다.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 거래소 상장 물건너가나

    증권선물거래소 상장이 삐걱거리고 있다.10월중 상장을 장담하던 목소리는 사라지고 이영탁 거래소 이사장의 임기가 끝나는 내년 1월까지의 상장도 불투명한 상황이다.거래소는 27일로 예정됐던 상장위원회의 거래소 상장에 대한 적격성 검토안건을 연기했다. 거래소는 내부 절차로 상장 적격성을 검토받은 뒤 금융감독위원회의 승인, 유가증권신고서 제출, 공모 등을 거쳐 10월까지 상장을 끝낼 계획이었다. 금융감독당국이 거래소의 공적 기능과 지배구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미리 마련한 뒤 상장을 준비해야 한다며 제동을 걸고 나왔기 때문이다. 거래소 노동조합은 “관치금융과 경영진의 무리한 상장 추진으로 상장 본래 취지가 왜곡·변형됐다.”며 상장 반대투쟁에 들어갔다. 거래소가 상장되면 이익을 추구하는 민간기업이 된다. 거래소 이익은 주식매매에 독점권을 부여받았기 때문에 가능하다. 거래소 상장 논의가 나왔을 때부터 불거진 독점 이윤 논란에 대해 거래소는 자본시장발전재단을 내놓았다. 거래소가 2000억원, 거래소 주주인 증권사들이 1700억원을 낸다. 주요 사업은 전문 인력 양성, 투자자 보호, 자본시장 제도 개선 연구사업 지원 등이다. 민주노동당은 거래소가 당연히 해야 할 사업을 공익재단에 넘긴 것뿐이라는 입장이다. 금융감독당국은 수수료가 주요 수입원이 되면 주주들인 증권사가 이를 올리려고 할 때 이를 방지할 수단이 없다고 본다. 증권시장 침체로 수익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으면 자율규제를 등한시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상장으로 우리사주조합이 10%로 최대주주가 될 전망이라 상장심사, 시장감시 등의 자율규제기능을 독립시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거래소 노조는 ‘조직 왜곡’이라며 반대하고 있다.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 굴뚝주 ‘끌고’ 금융주 ‘밀고’

    굴뚝주 ‘끌고’ 금융주 ‘밀고’

    올 상반기 상장사들의 기업실적이 3년만에 개선됐다. 20일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 상장 544개사의 올 상반기 매출액은 343조 898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8.6% 늘어났다. 순이익은 27조 1717억원으로 19.8%나 급증했다. 지난해 상반기 순익은 전년 동기보다 8.0%,2005년 상반기에는 11.6%나 감소했었다. ●제조업 천원어치 팔아 69원 벌어 조선, 화학, 철강·금속업종 등 전통적인 굴뚝주가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선박수주 물량이 늘었고 국제원자재 값이 지난해보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었던 것이 주원인이다. 운수장비는 지난해보다 영업이익이 74.3%나 늘었고 화학 51.4%, 운수창고 50.5% 등의 신장세를 보였다. 반면 전기·전자, 통신업종 등의 실적은 악화됐다. 제조업의 매출액영업이익률은 6.87%로 지난해 같은 기간 6.78%보다 조금 나아졌다. 즉 1000원어치를 팔아 69원의 영업이익을 거둔다는 의미다. 금융업종의 매출액(영업수익)은 23조 6688억원으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순이익이 4조 7146억원으로 15.2%나 증가했다. 순이자마진이 계속 줄어들지만 대출자산 증가와 연체율 하락에 따른 자산건전성 개선, 카드사의 수익성 개선 등의 효과로 분석된다. ●10대 그룹, 평균보다 저조 10대 그룹 계열사의 상반기 매출액은 158조 9062억원으로 8.0%, 순이익은 11조 2012억원으로 14.4% 늘었다.10대 그룹에 속하지 않는 제조업의 총매출액 증가율 10.4%, 순익 증가율 27.8% 등에 비해 저조한 셈이다. 그룹별로는 LG그룹 순익이 652.8%나 급증했다. 현대중공업(260.2%), 한화(47.8%) 등이 늘어난 반면 삼성(-5.9%), 금호아시아나(-33.96%) 등은 순이익이 줄었고 한진그룹은 적자로 전환됐다. ●코스닥, 양극화 심화 코스닥 상장사는 전반적으로 실적이 저조한 반면 코스닥100지수나 스타지수(30개 우량기업)에 편입된 기업은 실적이 뚜렷하게 개선됐다. 전체 12월 결산법인의 상반기 매출액은 6.0% 느는 데 그쳤고 순이익은 22.7% 줄어들었다. 반면 코스닥100지수 편입기업은 매출액은 7.6%, 순이익은 8.8% 늘었다. 스타지수 편입기업은 매출액은 10.3%, 순이익은 68.7%나 늘었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 [열린세상] 위험관리가 필요하다/조환익 수출보험공사 사장

    [열린세상] 위험관리가 필요하다/조환익 수출보험공사 사장

    “위험관리가 필요하다.” 요즈음 세간에 가장 입에 많이 오르내리는 이야기 중의 하나가 ‘위험관리’이다. 아프가니스탄 인질 피랍과 관련해서도 한탄스럽게 나오고 있고, 춤추는 증시판에서도 쏟아져 나온다. 그러나 위험은 이브가 뱀의 유혹에 의해 선악과를 따먹을 때부터 인류와 늘 같이 존재해 왔다. 인생을 웬만큼 산 사람들이 과거를 돌이켜보면 ‘한방이면 인생이 망가질 수 있었던 위험’을 적잖이 피해가거나, 이겨나갔음을 발견할 것이다. 그렇다고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질까 무서워 걱정을 멈추지 않았다는 기나라 사람의 걱정,‘기우(杞憂)’만 하고 조용조용 숨만 쉬고 살 수는 없는 노릇이다. 더구나 모든 위험에는 달콤한 꿀이 따르는 강력한 유혹이 있다. 이래서 ‘위험관리’가 필요한 것이다. 우리는 하루에도 열두번씩 선택의 기로에 놓여진다. 주황색 신호에서 달릴까, 기다릴까? 주가가 떨어지는데 지금 들어갈까, 좀 더 기다릴까? 기업에서는 계속 시설투자를 해 나갈까, 아니면 땅이나 사둘까? 등 위험과 기회 사이에서 방향을 잡아야 한다. 사실 1990년대 중반까지 우리 경제는 1% 가능성에 모험을 걸며 많은 신화를 만들어 왔다. 고 정주영 회장은 ‘배를 주문해 주면 그 계약서로 돈을 빌려 조선소를 세워 배를 만들겠다.’는 어찌 보면 황당하고 위험천만한 조건으로 그리스 선주와 계약을 맺고 울산 조선소 건립을 이루어 냈다. 정부 통제를 받는 은행들이 기업의 실패 위험을 전적으로 맡아 주면서 우리 경제규모는 커졌다. 그러나 규모가 커질수록 부실도 크게 늘어나면서 위험은 국가가 관리할 수 있는 수준 이상으로 커지고, 결국 IMF 외환위기라는 국가 위험을 맞게 된 것이다. 이같은 위험관리 실패로 인한 신용 실추는 개인이나, 기업이나, 국가나 단기간에 회복이 어렵다. 우리나라도 세계 5위의 외환보유국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외환위기 때 떨어진 국가신용등급은 속시원히 회복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위험관리는 평시에 모든 상황이 정상적일 때 하여야 한다. 첫째, 위험관리는 미리미리 이루어져야 한다. 국제적으로 표준화한 위험관리의 ‘룰’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금융기관의 경우 국제결제은행(BIS)의 바젤2 신자기자본규약은 ‘발생 가능한’ 모든 기대손실을 포괄적으로 규정하여 충당금을 쌓도록 했다. 기업 부문도 위험관리와 내부통제를 위한 국제기준 도입에 예외가 될 수 없다. 위험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예방접종으로 기업과 금융부문 건전성을 한발 앞서 확보하여야 한다. 둘째, 위험관리 비용의 지출에 인색할 필요가 없다. 선물거래, 옵션, 무역거래와 환율변동의 위험을 담보하는 보험에 이르기까지 모든 위험관리는 비용지출을 요구한다. 위험관리 비용은 더 큰 손실에 대비한 안전장치로서 최소비용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셋째, 위험관리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하다. 선진 금융기관들은 위험관리를 위한 전문인력 확보에 노력을 아끼지 않는다. 양질의 인력을 확보해서, 리스크를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수익을 내면 파격적인 보상을 통해 더 좋은 성과를 유도하는 ‘선순환’이 정착하도록 해야 한다. 넷째, 위험관리를 위한 경영의 투명성 확보가 필요하다. 기업경영의 투명성이 없이는 회계부정이나 내부통제 실패를 예방하기 힘들다. 위험관리는 재무나 리스크를 다루는 몇몇 부서만의 문제가 아니다. 내부통제와 위험관리의 실패로 쓰러진 거대기업 엔론이나 월드콤의 사례가 이를 생생히 보여준다. 우리 기업의 새로운 시장 개척을 위해서는 개도국 중심의 진출이 불가피하다. 고위험을 수반한 대외진출도 더욱 늘어나게 될 것이며, 상시적인 위험관리가 중요해질 것이다. 기업의 내부적인 문제도 더욱 투명해져야 한다. 분식회계나 정경유착 등 구태 경영은 언제라도 새로운 위험 요인으로 등장할 수 있다. 국가와 기업, 개인의 건전한 성장을 위한 위험관리 일상화가 필요하다. 조환익 수출보험공사 사장
  • [부고]

    ●최영식(전 인헌고 교감)씨 별세 상진(LG CNS 차장)진연(경일고 교사)미연(해인사 성보박물관 학예연구사)주연(모나드 수석연구원)소연(귀인중 교사)규연(청주지방법원 판사)씨 부친상 이연상(인헌고 교사)씨 시부상 김건오(솔트룩스 이사)장건(청주지방법원 판사)씨 빙부상 8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0일 오전 6시 (02)3010-2292●박성만(회사원)성욱(교사)성현(경기대 교수)성호(목포 문태고 교사)성화(강진중 교사)씨 모친상 이승민(재 인도네시아 변호사·민주평통 자문위원)씨 빙모상 8일 서울대병원, 발인 10일 오전 8시30분 (02)2072-2011●양준철(덕수정보통신 대표)광철(대지 이사)경철(덕수정보통신 부장)상철(동작경찰서)씨 부친상 8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0일 오전 6시 (02)3010-2230●김희석(KCC대리점 사장)씨 상배 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9일 오전 7시30분 (02)3010-2295●권양삼(한화건설 대리)은정(동심에드피아)씨 부친상 장혜준(경기 광주 쌍령초등학교 교사)씨 빙부상 8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0일 오전 6시 (02)3010-2233●임형택(재미 사업)소인(서울 정애학교 교사)씨 부친상 서문원(증권선물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장보)씨 빙부상 8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0일 오전 8시 (02)3410-6918●표영태(동양종합건업 회장)영덕(LG생활건강 부장)씨 모친상 8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0일 오전 7시30분 (02)3010-223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