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서울신문
    2025-08-14
    검색기록 지우기
  • 애니
    2025-08-14
    검색기록 지우기
  • 재테크
    2025-08-14
    검색기록 지우기
  • 건강
    2025-08-14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20,645
  •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대영포장 거래대금 787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대영포장 거래대금 787억 돌파

    코스닥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다양한 흐름을 보인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대영포장(014160)이 4천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닥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주가는 1,992원이며, 거래대금은 78,771백만원으로 시가총액인 2,159백만원 대비 상당한 자금을 동반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주가는 12.23% 급등하여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써니전자(004770)는 3,570원으로 16.86% 급등하며 거래량 3,791만주를 기록하고 있다. 거래대금은 131,876백만원으로 시가총액 대비 10%를 넘어서며 강력한 자금 유입을 보여주고 있다. PER는 29.75, ROE는 5.36으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윌비스(008600)는 972원으로 29.95%의 상한가를 기록하며, 거래량은 2,318만주에 달한다. 평화산업(090080)은 1,829원으로 14.31% 상승하며, 일신석재(007110)는 2,285원으로 3.16% 상승하고 있다. 삼성전자(005930)는 5.47% 하락한 53,700원으로 거래량 2,031만주를 기록하고 있으며, 오리엔트바이오(002630)는 1,918원으로 3.01% 상승하고 있다. 에넥스(011090)는 941원으로 6.45% 상승했으며, 태양금속(004100)은 4,390원으로 29.88% 급등하고 있다. 동양철관(008970)은 1,002원으로 5.47% 하락하며 거래량 911만주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대상홀딩스(084690) ▲23.55%, 유니온(000910) ▲11.76%, 이스타코(015020) ▲15.32%, 일성건설(013360) ▲16.41%, 평화홀딩스(010770) ▲26.36%, 한솔홈데코(025750) ▼0.71%, 삼성중공업(010140) ▼6.12%, SK하이닉스(000660) ▼7.30%, SG글로벌(001380) ▲0.87%, 두산에너빌리티(034020) ▼7.38%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써니전자와 윌비스가 있으며, 이들은 각각 16.86%와 29.95%의 높은 상승률과 함께 대규모 거래량을 기록하며 시장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반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5.47%와 7.30% 하락하며 거래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전체적인 시장 흐름을 보면, 코스닥 종목들은 급등과 급락이 혼재된 상태로, 투자자들의 심리가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한화에어로스페이스 급락 SK하이닉스 삼성전자 삼성바이오로직스

    [서울데이터랩]한화에어로스페이스 급락 SK하이닉스 삼성전자 삼성바이오로직스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급락 SK하이닉스(000660) 삼성전자(005930)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SK하이닉스 -7.30% 삼성전자 -4.10% 삼성바이오로직스 -4.77% 현대차(005380) -4.59%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다. 7일 오후 12시 20분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 삼성전자는 현재가 53,8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4.10% 하락하고 있다. 상장주식수 5,919,638주에 외국인비율이 50.51%를 기록하고 있는 삼성전자는 거래량 20,057,879주로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PER 10.87, ROE 9.03으로 안정적인 재무 지표를 유지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현재가 168,900원으로 7.30% 하락하며, 거래량 4,487,647주를 기록하고 있다. 외국인비율 54.45%를 보유한 SK하이닉스는 PER 6.21, ROE 31.06으로 양호한 재정 상태를 보여준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2.89% 하락하며, 삼성바이오로직스는 4.77% 하락, 현대차는 4.59% 하락하고 있다. 삼성전자우(005935)는 4.09% 하락, 셀트리온(068270)은 5.12% 하락, 기아(000270)는 4.01% 하락하고 있다. NAVER(035420)는 2.73% 하락,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7.83% 하락을 기록하고 있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KB금융(105560) ▼7.08%, HD현대중공업(329180) ▼5.50%, 현대모비스(012330) ▼3.67%, 신한지주(055550) ▼4.04%, 메리츠금융지주(138040) ▼5.32%, POSCO홀딩스(005490) ▼5.68%, 한화오션(042660) ▼7.65%, 삼성물산(028260) ▼4.68%, 카카오(035720) ▼1.67%, 크래프톤(259960) ▼2.28%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한국 증시는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자아내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거래량이 높은 종목들이 다수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특히,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급락세를 보이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외국인비율이 높은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는 각각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하며, 외국인 투자자의 동향이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거래량이 많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PER과 ROE 지표에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지만, 시장 상황에 따라 주가 변동이 크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보로노이 9.87% 하락하며 코스닥 하락세 주도

    [서울데이터랩]보로노이 9.87% 하락하며 코스닥 하락세 주도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인 알테오젠(196170)은 현재가 340,5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6.20% 하락하고 있다. 외국인비율은 14.95%이며, 거래량은 474,168주에 이른다. PER은 290.78, ROE는 29.52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는 현재가 248,000원으로 6.77% 하락 중이다. 외국인비율은 9.60%에 거래량은 124,179주로 집계되며, PER은 2,254.55, ROE는 1.62이다. 에코프로비엠(247540)과 에코프로(086520)는 각각 3.87%, 3.45%의 하락을 기록하고 있으며, HLB(028300)는 2.78% 하락하고 있다. 휴젤(145020)과 클래시스(214150)는 모두 5.27% 하락을 보이고 있으며, 코오롱티슈진(950160)과 리가켐바이오(141080)는 각각 4.46%, 4.91% 하락하고 있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파마리서치(214450) ▼5.66%, 리노공업(058470) ▼5.78%, 펩트론(087010) ▼4.96%, 에스엠(041510) ▼4.31%, JYP Ent.(035900) ▼4.27%, 에이비엘바이오(298380) ▲29.96%, 펄어비스(263750) ▼6.46%, 셀트리온제약(068760) ▼4.24%, HPSP(403870) ▼6.83%, 보로노이(310210) ▼9.87%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코스닥 시장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이어지고 있다. 외국인비율이 높은 종목들도 하락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거래량이 많은 종목에서도 하락세가 두드러진다. 특히, PER과 ROE 지표가 부진한 종목들이 하락폭이 큰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윌비스 17.65% 급등…실시간 상승률 1위

    [서울데이터랩]윌비스 17.65% 급등…실시간 상승률 1위

    7일 오전 9시 10분 윌비스(008600)가 등락률 +17.65%로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윌비스는 개장 직후 5분간 6,366,170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132원 오른 880원이다. 한편 윌비스의 PER은 -2.16으로 나타나며 이는 시장에서 매우 저평가된 상태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ROE는 -27.78%로, 이는 수익성이 매우 낮은 상황임을 보여준다. 이어 상승률 2위 평화홀딩스(010770)는 현재가 11,430원으로 주가가 14.99% 급등하고 있다. 상승률 3위 태양금속(004100)은 현재 3,825원으로 13.17% 급등하며 긍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상승률 4위 써니전자(004770)는 12.77% 상승하며 3,445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승률 5위 유니온(000910)은 11.48%의 상승세를 타고 6,020원에 거래되고 있다. 6위 대상홀딩스우(084695)는 현재가 27,800원으로 7.75% 상승 중이다. 7위 세우글로벌(013000)은 현재가 1,610원으로 7.69% 상승 중이다. 8위 에넥스(011090)는 현재가 950원으로 7.47% 상승 중이다. 9위 유니온머티리얼(047400)은 현재가 2,175원으로 7.14% 상승 중이다. 10위 깨끗한나라(004540)는 현재가 2,810원으로 6.44% 상승 중이다. 이밖에도 진양화학(051630) ▲6.23%, DSR(155660) ▲4.94%, 성신양회우(004985) ▲4.28%, KIWOOM 미국달러선물레버리지(225800) ▲4.22%, SK증권우(001515) ▲4.18%, 깨끗한나라우(004545) ▲4.01%, 까뮤이앤씨(013700) ▲3.97%, 우진아이엔에스(010400) ▲3.93%, 태양금속우(004105) ▲3.75%, 대상홀딩스(084690) ▲3.71% 등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개장 직후 인기 검색 종목 20選

    [서울데이터랩]개장 직후 인기 검색 종목 20選

    오늘(4월 7일) 오전 9시에 개장한 국내 증시에서 삼성전자(005930)가 개장 5분 만에 10.73%의 검색비율을 기록하며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삼성전자의 현재가는 53,55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4.55% 하락 중이다. 거래량은 3,891,432주를 기록했으며, 시가는 53,300원이다. 이어 에이비엘바이오(298380)가 검색비율 2위를 기록하며 29.96%의 상한가를 기록하고 있다. 검색비율 3위의 SK하이닉스(000660)는 6.75% 하락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검색비율 4위 한화오션(042660)은 개장 초반부터 5.92%의 하락률을 보이고 있다. 검색비율 5위 코나아이(052400)는 19.37%의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6위 현대차(005380)는 -5.53%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7위 알테오젠(196170)은 -6.20%의 등락률로 주가가 하락 중이다. 8위 오리엔트정공(065500)은 6.00% 상승하며 주가가 오르고 있다. 9위 HLB(028300)는 하락률 1.91%로 주가가 소폭 하락하고 있다. 10위 아가방컴퍼니(013990)는 10.39%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밖에도 동신건설(025950) ▲8.21%, 안랩(053800) ▲1.81%,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3.85%, 두산에너빌리티(034020) ▼6.94%, 유일로보틱스(388720) ▼7.10%, 에코프로(086520) ▼3.07%, POSCO홀딩스(005490) ▼6.23%, 에코프로비엠(247540) ▼1.83%, 삼성중공업(010140) ▼6.56%, 현대로템(064350) ▼7.09% 등이 많이 검색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에르코스 29.99% 폭등…실시간 상승률 1위

    [서울데이터랩]에르코스 29.99% 폭등…실시간 상승률 1위

    7일 오전 9시 10분 에르코스(435570)가 등락률 +29.99%로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에르코스는 개장 직후 5분간 199,659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공모가 대비 3,530원 오른 15,300원이다. 한편 에르코스의 ROE는 2.67%로 수익성은 다소 낮은 편이나, 이는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고려할 때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어 상승률 2위 원티드랩(376980)은 현재가 10,450원으로 주가가 29.98% 폭등하고 있다. 상승률 3위 상지건설(042940)은 현재 9,020원으로 29.97% 폭등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 상승률 4위 에이비엘바이오(298380)는 29.96% 상승하며 44,2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승률 5위 크라우드웍스(355390)는 29.91%의 상승세를 타고 8,860원에 거래되고 있다. 6위 유라클(088340)은 현재가 31,300원으로 29.88% 상승 중이다. 7위 휴맥스홀딩스(028080)는 현재가 3,680원으로 29.58% 상승 중이다. 8위 경남스틸(039240)은 현재가 8,000원으로 28.21% 상승 중이다. 9위 유라테크(048430)는 현재가 17,540원으로 26.10% 상승 중이다. 10위 꿈비(407400)는 현재가 12,770원으로 23.03% 상승 중이다. 이밖에도 코나아이(052400) ▲22.08%, 오픈놀(440320) ▲21.10%, 플랜티넷(075130) ▲16.91%, 오가닉티코스메틱(900300) ▲16.88% 등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단독]딸 안보여준 전처와 6년싸워 승소...영화 ‘면접교섭’ 주인공 친권자됐다

    [단독]딸 안보여준 전처와 6년싸워 승소...영화 ‘면접교섭’ 주인공 친권자됐다

    김씨 6년만에 친권자·양육권 소송 승소딸 보려다가 유괴범으로 몰리기도강제성 낮고 과태료 1000만원 뿐전문가 “적극적 의무 보장법 필요” “아이의 생일날 평소 좋아하던 하늘색 가방이랑 달걀모양 장난감을 사서 포항까지 내려갔지만 친모가 갑자기 연락이 두절됐어요. 아이를 만나기 위해 몇 시간을 집 근처에서 서성였습니다.” 헤어진 배우자가 키우는 자녀와 만나지 못해 고통받는 부모를 담은 칸 영화제 출품작 ‘면접교섭’의 주인공 김재훈(46)씨의 이야기다. 김씨는 사실혼 관계인 전처와 불화를 겪어 헤어졌고 딸 A(11)양의 양육권은 친모에게 넘어갔다. 김씨는 월 2회 딸을 만날 수 있는 면접교섭권을 갖고 있었지만 친모가 약속을 지키지 않아 지난해까지 10년 동안 딸을 한 달에 한 차례도 제대로 보지 못했다. 최근 1년 6개월간 딸을 아예 만나지도 못했다. 김씨는 “전처가 술을 자주 마시고 아이 영구치 2개가 다 썩을 때까지 방치하는 등 양육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해 딸을 데리고 집을 나왔다가 유괴범으로 몰리기도 했다”고 말했다. 7일 법조계에 따르면 김씨는 6년간의 소송 끝에 최근 친권자와 양육자로 인정받았다. 대구지방법원 영덕지원 가사1단독(판사 황인준)이 지난달 7일 김씨가 제기한 소송에서 “친권자 및 양육자를 김씨로 변경한다”고 손을 들어 준 것이다. 재판부는 “장기간의 면접교섭 결과와 심문 등을 종합하면 친권자 및 양육자 변경이 딸의 복리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김씨처럼 헤어진 배우자가 자녀와의 면접교섭을 막아 고통받는 경우가 많지만, 떨어져 사는 한쪽 부모가 법적 보호 속에서 자녀를 만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가사소송법에 따르면 배우자가 면접교섭권 허용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면접교섭을 방해받은 부모는 법원에 이행명령을 신청할 수 있다. 하지만 상당한 시간이 소요돼 고통의 연속이다. 소송 과정에서 면접교섭이 이뤄지지 않은 게 누구 탓인지 옛 배우자와 지루한 법적 공방을 펼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내가 내 아이 보는 게 이렇게 힘든가’라는 자괴감이 든다고 한다. 김씨도 이행명령을 신청한 지 6개월이 지나서야 딸을 만날 수 있었다. 김씨는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전처가 면접교섭 불이행에 대한 별다른 제재를 받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른바 ‘부모 따돌림’ 현상이 벌어지기도 한다. 양육자가 면접교섭을 이행하지 않는 것은 물론 자녀가 헤어진 배우자를 싫어하게 만드는 것이다. ‘부모따돌림방지협회’ 설문조사에 따르면 설문 대상자의 36%인 15명이 “자녀가 양육자의 강요로 비양육자에 대한 거부 의사를 갖게 돼 면접교섭을 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법조계에서는 면접교섭권 이행을 의무화할 법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온다. 엄경천 법무법인 가족 변호사는 “가사소송법에 자녀와의 면접교섭 허용 의무가 명시돼 있지만 이는 소극적인 조치”라며 “양육자가 먼저 아이를 비양육자에게 데려가 보여 줘야 하는 등 적극적 의무를 보장할 법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아들 키우며 느낀 불편함에 기저귀 사업 시작했죠”

    “아들 키우며 느낀 불편함에 기저귀 사업 시작했죠”

    풀커버 타입 공략 작년 매출 35억2억~3억 적자 딛고 2년째 흑자 행진 놀이터에서 놀던 한 살배기 아들의 기저귀를 갈아 줄 때였다. 옷을 다 벗기고 다시 입히는 게 여간 번거로운 게 아니었다. 아기가 서 있는 채로 갈 수 있는 기저귀는 없을까. 곧장 천과 ‘벨크로’를 갖고 시제품을 만들었다. 일명 ‘홀딩형 기저귀’다. 성과급을 몽땅 털어 1년 후엔 특허도 출원했다. 롯데홈쇼핑 직원에서 기저귀 스타트업 기업 ‘대디포베베’ 대표가 된 전영석(48)씨의 얘기다. 최근 서울신문과 만난 전 대표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안하길 좋아했는데, 육아하며 느낀 불편함이 사업의 첫 시작이 됐다”고 했다. 운도 좋았다. 때마침 롯데그룹이 사내벤처를 모집한 것이다. 2016년 11명이 나선 최종 프레젠테이션에서 최후의 1인으로 살아남았다. 그 덕에 롯데그룹으로부터 21억원 규모의 투자를 받고 사내벤처로 있다가 독립했다. 시장 공략은 만만치 않았다. 현존하는 설비로는 제품을 만들 수 없어 제조사와 협업해 기계 제작에만 13억원을 들였다. 2020년 1월 2억원 가까운 매출로 성공하나 싶었는데 코로나19가 발목을 잡았다. 전 대표는 “외출을 안 하니 기저귀 수요가 줄어든 데다 제품 벨크로 부분의 약한 고정력, 뻣뻣한 촉감 등 품질 문제도 불거졌다”고 했다. 하기스(유한킴벌리), 팸퍼스(P&G)가 70%를 차지한 국내 시장에서 인지도를 높이려면 결국 가장 많이 찾는 ‘팬티형 기저귀’로 방향을 트는 게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남은 투자금을 털어 ‘로맘스’라는 브랜드로 아기의 엉덩이·허리를 감싸는 풀커버 타입의 제품을 만들었다. 전 대표는 “높은 흡수력, 교체가 쉽도록 잘 찢어지면서도 부드러운 촉감, 경쟁사 대비 낮은 가격을 내세웠다”고 했다. 온 가족이 들러붙어 샘플 5000개를 만들고 온라인을 통해 배포했다. 파스퇴르 위드맘 분유 구매 고객에게 기저귀 샘플을 동봉하는 등 롯데 차원의 도움도 받았다. 매년 2억~3억원의 적자를 보다 2023년엔 9400만원, 지난해엔 1억 3500만원의 흑자로 전환됐다. 지난해 매출은 35억원으로 전년보다 51% 올랐다.
  • “이번 탄핵 결정 보며 희망 있다고 느껴… 내년엔 세계 톱클래스 연주자 韓 올 것”

    “이번 탄핵 결정 보며 희망 있다고 느껴… 내년엔 세계 톱클래스 연주자 韓 올 것”

    “젊고 유능한 한국인 연주자가 점점 많이 나오고 있잖아요. 음악제도 그에 따라 점점 더 좋아지고 있는 것을 피부로 느끼고 있습니다.” 2022년부터 ‘통영국제음악제’의 예술감독을 맡고 있는 세계적 작곡가 진은숙(64)은 6일 경남 통영국제음악당에서 서울신문과 만나 올해 축제의 성과를 이렇게 정리했다. 진은숙은 쇤베르크상(2005), 모나코 피에르 대공 작곡상(2010), 시벨리우스 음악상(2017)에 이어 지난해에는 ‘클래식 노벨상’으로 불리는 에른스트 폰 지멘스상까지 받은 우리 시대 현대음악의 대가다. 통영국제음악제의 격을 말 그대로 ‘국제적’ 수준으로 높인 예술감독으로 평가된다. ●“위협받는 민주주의… 세계적 추세” “‘전쟁 레퀴엠’은 제가 좋아하는 곡입니다. 선곡은 이미 2년 전에 했는데 상황이 공교롭죠. 세계적으로 민주주의가 위협받고 있는 시대잖아요. 제가 있는 독일도 그렇고 한국도 마찬가지고요. 여러 가지로 불안한 시대가 얼른 끝나고 평화가 오길 바랍니다.” 축제의 대미를 장식하는 ‘전쟁 레퀴엠’ 선곡에 대해 진은숙은 이렇게 말했다. 이번 음악제에서는 무려 29개의 다채로운 공연이 무대를 수놓았다. 마지막 공연을 지휘한 성시연과 쇤베르크, 말러의 가곡을 소화한 황수미까지 여성 음악가들의 활약이 돋보인 축제이기도 하다. ●“헌재 결정문, 가장 아름다운 문장” 개인적으로 진은숙은 다음달 18일 독일 함부르크 슈타츠오퍼에서 세계 초연되는 오페라 ‘다크 사이드 오브 더 문’ 작곡을 마치기도 했다. 그는 “스트레스가 극심했지만 그래도 끝낸 덕에 이렇게 마음 편하게 음악제를 즐기는 건 거의 처음”이라고 했다. 내년 축제 라인업은 이미 완성됐다고 한다. ‘작은 힌트라도 줄 수 없느냐’는 요청에 그는 “그럴 수 없다”고 단칼에 잘랐다. 그러면서도 “올해와 마찬가지로 세계 톱클래스 연주자들이 한국을 찾을 것”이라고 귀띔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과 관련해서는 ‘예술가 개인의 의견’이라는 전제를 달고 한마디 덧붙였다.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낭독한 결정문은 아마 한국말로 쓰인 가장 아름다운 문장이 아니었나 생각해 봅니다. 독재의 시대를 경험했던 사람으로서 최근 상황을 보면서 정말 힘들었어요. 그래도 이번 결정을 보며 한국에 희망이 있다고 생각하게 됐습니다.”
  • “역사적인 기록, 신문 호외 삽니다” 일상 회복 기념… ‘파면 굿즈’ 열풍

    “역사적인 기록, 신문 호외 삽니다” 일상 회복 기념… ‘파면 굿즈’ 열풍

    “역사적인 날을 기록한 호외 구할 방법 없을까요.” “12월 3일 계엄부터 4월 4일 탄핵까지, 신문 호외 모두 합친 에디션 3만 3000원에 팔아요.”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이 결정된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중고 거래 플랫폼에는 헌법재판소 탄핵 인용 결정 소식을 담은 신문 호외를 사고판다는 글이 다수 올라왔다. 4일 여러 언론사에서 발행된 호외는 1부당 1000~3000원 정도에 거래되고 있다. 여기에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이 선포된 날부터 탄핵 선고 당일인 4일까지 배포된 호외를 모두 모은 ‘7종 11부 총모음’과 같은 한정판의 경우에는 약 3만원이 넘는 가격이 매겨졌다. 소셜미디어(SNS)에는 ‘요즘도 종이 호외가 있다’, ‘파면 굿즈 득템(좋은 물건을 구했다는 뜻)했다’는 글과 함께 호외를 들고 있는 인증사진이 게시되기도 했다. 지난 4일에는 SNS에 호외가 놓여 있는 지하철역과 위치를 공유하는 글도 올라왔다. 부산에 거주하는 주기영(36)씨는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역사적인 의미가 있는 날이라 기록용으로 소장하고 싶었지만 지방이라 호외를 구하지 못했다”며 “고민 끝에 중고 거래로 구매해 배송받기로 했다”고 전했다. 비상계엄부터 탄핵 국면까지 이어져 온 혼란스러운 상황이 일단락된 것을 기념해 일부 자영업자들은 할인 행사를 열고 있다. 16년째 서울 종로구 대학로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김모(54)씨는 윤 전 대통령 파면 직후 가게 앞에 ‘모든 음료 10% 할인’ 안내문을 내걸었다. 광주에 있는 한 책방에는 ‘윤석열 탄핵 축하 기념 전도서 5% 할인’이라는 입간판이 내걸렸고 한 의류 쇼핑몰도 전 의류 5% 할인 행사를 시작했다. 불안한 시국 탓에 자영업자들은 예약된 회식이나 모임 등이 미뤄지거나 취소되는 등 적잖은 매출 타격을 입었지만, 앞으로는 경제 상황이 조금은 나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강원 양양군에서 펜션을 운영하는 김누리(26)씨는 예약 고객을 상대로 하루 숙박 금액 중 2만원을 할인해 주기로 했다. 김씨는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계엄 이후 떨어지기만 했던 매출이 오르고 경제가 좀 살아났으면 하는 마음”이라고 전했다.
  • 헌재 앞도 한남동도 조용… 광장 찢었던 시위대가 사라졌다

    헌재 앞도 한남동도 조용… 광장 찢었던 시위대가 사라졌다

    바리케이드 사라지고 관광객 오가주민들 “파면 후 시위대 전혀 없어”일부 尹지지자 광화문서 집회 열어경찰 “혹시 모를 비상 사태에 대비”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결정 사흘째인 6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 “헌재를 해체하라”며 석 달 가까이 이어졌던 탄핵 반대 측 대규모 집회 현장의 고성은 온데간데없었다. 시위대와 정치인들의 모습도 찾아볼 수 없었다. 헌재 정문 앞 일부 구역 외에 안국역 사거리에 설치됐던 차벽과 바리케이드는 대부분 사라졌으며 관광객들이 평화롭게 오갔다. 인근에서 분식집을 운영하는 김정분(71)씨는 서울신문과 만나 “그 많던 탄핵 반대 시위대가 거짓말처럼 사라졌다”고 했다.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인근에도 이날 1인 시위자 2명을 제외하고는 동네 산책을 나온 주민들만 눈에 띄었다. 관저 근처에서 만난 유모(66)씨는 “마치 누군가의 사주를 받아 이곳에 왔다는 생각이 들 만큼 파면이 선고된 4일 이후엔 시위대가 오지 않고 있다”며 “이제야 일상을 되찾은 느낌”이라고 했다. 탄핵 국면에서 대표적 집회 장소였던 헌재와 한남동 관저 인근에는 윤 전 대통령 파면 후 첫 주말 내내 대규모 시위대가 나타나지 않았다. 탄핵 찬성 측의 ‘자축 집회’와 탄핵 반대 측의 ‘불복종 투쟁’으로 광장이 두 쪽 날 것이라던 우려가 기우에 그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서울신문이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심판 선고까지 123일간 주요 집회·시위를 분석(경찰 비공식 추산 기준)한 결과 그동안 탄핵 찬성 집회에는 약 90만 6000명, 반대 집회에는 약 90만 4000명이 참가했다. 약 180만명이 광장으로 쏟아져 나와 각각 파면과 기각을 외쳤던 만큼 양측의 갈등과 분열은 심각했다. 집회 때 양측 간 충돌이 빈번했고 급기야 초유의 서부지법 폭동 사태까지 벌어졌다. 이에 경찰은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헌재 인근을 ‘진공상태’로 만들어 불법행위에 대한 강력 처벌을 여러 차례 강조했으며 지난 4일 별다른 불상사는 발생하지 않았다. 다만 파면 결정에 격분해 경찰버스를 파손한 20대 남성은 이날 특수공용물건손상 혐의로 구속됐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명예교수는 “서부지법 폭동 가담자들이 재판받는 상황 등이 극단적인 지지자들에게 억제 효과를 줬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윤 어게인’(윤 전 대통령의 재집권)과 같은 구호가 일부 지지자들 사이에 나오고 있는 만큼 시위대가 다시 거리로 쏟아져 나올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전광훈 목사는 이날 광화문 동화면세점 앞에서 집회를 열고 “국민 저항권을 발동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광화문광장에서는 윤 전 대통령 파면에 불만을 품은 40대 남성이 자해를 시도하기도 했다. 경찰 관계자는 “헌재와 한남동 앞에서는 당분간 집회가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혹시나 있을 수 있는 사태에 만반의 대비를 하겠다”고 밝혔다.
  • 결집한 국힘·1강 후보 민주… 8년 전과는 다른 대선, 새판 짠다

    결집한 국힘·1강 후보 민주… 8년 전과는 다른 대선, 새판 짠다

    국힘, 朴 탄핵처럼 분열하지 않아민주, 이재명 외 적수 후보군 취약尹 거센 반탄 여론·옹호 영향력도“중도표 많이 가져가느냐의 싸움”“국힘 단기간 내 새 흐름 조성 관건”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조기 대선이 시작되면서 8년 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및 조기 대선 당시와 어떤 차이가 있을지 주목된다. 8년 전에는 당시 여당이 탄핵 찬반으로 갈라져 저마다 후보를 냈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분당까지 이르지는 않았다는 점에서 다른 양상으로 흘러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윤 전 대통령은 박 전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헌법재판관 8명 전원일치 의견으로 파면됐다. 박 전 대통령은 2016년 12월 9일, 윤 전 대통령은 2024년 12월 14일 국회에서 탄핵소추안이 가결돼 탄핵심판이 시작된 시기도 비슷했다. 헌법재판소의 심리 기간이 달라 대선 시기에 한 달 정도 차이가 나지만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단계 없이 곧바로 임기가 시작되는 건 똑같다. 박 전 대통령이 임기를 1년도 채 안 남기고 파면된 반면 윤 전 대통령은 3년을 못 채우고 물러나게 된 것도 차이점이다. 8년 전과 지금, 각 당이 처한 양상도 다르다. 당시 더불어민주당 경선에서 문재인 전 대통령은 57.0%의 득표율로 경쟁자였던 안희정(21.5%) 전 충남지사, 이재명(21.2%) 민주당 대표를 제쳤다. 하지만 이번에는 당내에 이 대표의 적수가 없어 압도적 경선 승리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6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민주당 경선 구도 자체는 크게 다르지 않은데 제2, 3의 후보군이 너무 취약한 게 차이”라며 “보수 지지층도 후보가 결정되면 그쪽으로 집결할 것이기 때문에 결국 대선은 중도를 어디가 많이 가져가느냐의 싸움이 될 것”이라고 짚었다. 8년 전에는 홍준표(당시 자유한국당 후보) 대구시장 외에도 안철수(당시 국민의당 후보) 국민의힘 의원, 유승민(당시 바른정당 후보) 전 의원까지 대선에 출마해 보수 표가 갈라졌다. 당시 본선에서 문재인 41.08%, 홍준표 24.03%, 안철수 21.41% 등으로 나눠지면서 민주당이 승리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국민의힘이 분당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다만 박 전 대통령 때와 달리 윤 전 대통령의 탄핵을 반대하는 여론이 만만치 않게 거셌고 아직 윤 전 대통령을 옹호하는 세력이 내부에서 영향력을 발휘하는 점이 전과 다르다. 윤태곤 더모아 정치분석실장은 “경선을 지켜봐야겠지만 국민의힘이 쪼개질 가능성은 낮다”면서 “국민의힘은 단기간 내에 대통령과 절연하고 어떻게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 낼 것이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 이재명 대세론 속 ‘비명계 4金’ 도전장… 중도층 표심 확보 총력

    이재명 대세론 속 ‘비명계 4金’ 도전장… 중도층 표심 확보 총력

    李, 후보 선호도 49% ‘압도적 1위’이르면 9일 당대표 사퇴 후 출사표본선 ‘1%P 싸움’… 당 확장성 필수경선도 흥행해야 다양성 힘 받아김두관, 당내 가장 먼저 출마 선언김부겸·김동연 공식 발표 ‘저울질’ 야권에선 ‘이재명 대세론’에 비명(비이재명)계가 도전장을 내는 구도로 조기 대선 경선의 막이 올랐다.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당내에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지지세가 강하지만 비명계 주자들도 중도층 확장력 등을 앞세워 이변을 일으킨다는 계획이다. 오는 6월 3일 대선이 유력한 가운데 김두관 전 경남지사가 7일 가장 먼저 출사표를 내고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동연 경기지사, 김부겸 전 국무총리 등도 조만간 출마 여부를 밝힐 것으로 전망된다. 6일 정치권에 따르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가 8일 국무회의에서 대선 날짜를 확정해 공고하면 이 대표는 이튿날인 9일쯤 당대표직을 내려놓을 전망이다. 이 대표는 지난 4일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후 주말 동안 공개 일정을 잡지 않고 휴식하며 대선 준비 등에 전념한 것으로 알려졌다. 약 두 달로 시간이 촉박한 조기 대선의 특성상 여론조사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이 대표는 유리한 구도로 선거를 시작하게 됐다. 리서치뷰가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지난 4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1% 포인트,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참조)에서 야권 주자 중 이 대표 선호도는 48.9%로 압도적인 1위였다. 김 전 총리(8.1%), 김 지사(7.5%) 등이 뒤를 이었다. ●李, 이미 경선 캠프 꾸리고 공약 손질 이 대표는 이미 물밑에서 대선 준비를 마무리한 상태다. 경선 캠프 관련 5선의 윤호중 의원이 선거대책위원장에 내정됐고 3선 강훈식·김영진·한병도 의원 등 중진급 의원들이 주요 보직을 맡아 이 대표 경선을 도울 계획이다. 공약 부분도 2022년 대선 공약을 업그레이드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올 초부터 분야별로 대선 공약을 만들라는 지시가 왔고 현재 중앙당에서 취합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 대표에게 남은 문제는 확장력이다. 당원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고 있지만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대선판에서 지지층만이 아닌 각계각층을 대상으로 두루 표심을 확보할 수 있을지가 가장 큰 과제다. 2022년 대선 당시 이 대표와 윤 전 대통령의 득표율 격차는 0.73% 포인트로 역대 대선 최소 득표 차였다. 장성호 전 건국대 행정대학원장은 이날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야권에서 지금은 이 대표 말고는 (유력 주자가) 없을 것 같지만, 본선은 결국 1% 포인트의 싸움”이라며 “국회 권력을 민주당이 쥐고 있는데 이러한 상황을 견제하려는 심리가 발동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시절과 달리 보수가 훨씬 결집해 있는데, 이제는 (국민이) 이 대표가 얼마나 잘할지 검증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상황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이 대표는 지난 4일 윤 전 대통령 파면 직후 “국민과 함께 대통합의 정신으로 무너진 민생과 평화, 경제, 민주주의를 회복하겠다”고 통합을 강조하는 메시지를 내는 등 낮은 자세를 보였다. 당내 경선에서 그간 강조해 온 실용주의, 성장 중심의 정책 등을 앞세우며 중도·보수층 등 확장력 확보에 주력할 전망이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현재까진 이 대표와 민주당에 유리하지만 분위기가 좋다 보니 말실수가 나올 수 있다”며 “대선은 막판에는 51대49의 싸움으로 이 대표의 실수가 나오면 상대측에서 반사적 이익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대표가 내놓은 중도·보수 정책이 생각만큼 통하지 않는 건 선거용 정책이라며 진정성을 의심받고 있어서다”라고 분석했다. 현재 민주당 경선에서 이 대표가 절대 유리한 형국이지만 다른 대선 주자들이 얼마나 선방하느냐에 따라 민주당에 불만을 가진 중도층이 생각을 바꿀 계기를 만들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민주당이 이 대표 일극체제를 넘어 다양성을 가진 정당임을 입증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비명계인 김두관 전 지사는 7일 국립서울현충원을 찾아 김대중(DJ) 전 대통령 부부 묘소를 참배한 뒤 민주당 내에서 가장 먼저 대선 출마 선언을 할 계획이다. 김 전 총리, 김 지사, 김경수 전 지사 등도 공식 대선 일자가 나오는 대로 출마 선언 날짜를 정할 계획이다. 김영록 전남지사도 대선 출마 여부를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다. ●촉박한 경선 일정에 기탁금 4억도 부담 다만 당내 경선 일정이 한 달도 채 되지 않는 데다 조기 대선판이 이 대표 측에 워낙 쏠려 있어 다른 대선 주자들이 결단을 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또 민주당에서 대선 후보로 나서려면 4억원의 기탁금을 내야 하는 부담이 크다. 이 때문에 대선 주자들이 실제 경선에 나설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관측도 있다. 비명계 박용진 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더 낮은 자세로 역량을 키우고 준비하겠다”며 대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박 전 의원은 “조기 대선에서 반드시 만들어야 할 민주당의 승리가 작은 승리가 아닌 국민 모두의 큰 승리가 될 수 있도록 국민통합, 사회정의, 경제성장을 위해 분명한 목소리를 보태겠다”고 말했다.
  • ‘1강’ 없이 보수 잠룡만 10여명… 국민의힘 ‘경선 혈투’부터 예고

    ‘1강’ 없이 보수 잠룡만 10여명… 국민의힘 ‘경선 혈투’부터 예고

    ‘선두’ 김문수, 내일 출사표 가능성홍준표 “30년 준비… 구원투수 될 것” 한동훈, 통합 메시지로 ‘대선 모드’오세훈, 휴가 내고 경선 준비 착수유승민·안철수도 출마 일정 조율‘尹 면담’ 나경원 반탄파 주자 거론 이준석, TK 찾아 ‘보수 적자’ 강조 국민의힘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여파가 가시지 않은 가운데 대선 체제 전환에 착수했다. 윤 전 대통령 파면 확정 때까지 말을 아꼈던 국민의힘 잠룡들도 경선 일정이 촉박한 만큼 이번 주 곧바로 출마 선언에 나선다. ‘절대 강자’가 없는 만큼 경선 흥행에 대한 기대는 크다. 다만 탄핵 국면에서 쪼개진 지지층을 하나로 모으는 것과 ‘탄핵 정당’ 오명을 상쇄할 중도층 확장은 풀어야 할 과제다. 탄핵 국면에서 보수 진영 1위 주자로 급부상한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8일 마지막 국무회의 참석 후 장관직을 사퇴하고 공식 출마 선언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김 장관 측은 6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1위 후보가 출마하지 않는 경우는 없다”고 전했다. 김 장관은 지난 5일 자택 앞에 모인 지지자들의 출마 요구에 “아무런 욕심이 없다”면서도 “이 나라가 이렇게 가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대구시장 사퇴와 대선 출마 일정을 일찌감치 짜 둔 홍준표 대구시장은 이날 페이스북에 7일과 9일 저서 출간, 8~11일 대구시의회와 대구시청 퇴임 인사 일정을 공개했다. 공식 출마 선언은 당 경선관리위원회의 후보 등록 시점에 맞출 예정이다. 홍 시장은 “이번에는 민심과 당심에서 모두 이기겠다”며 “30년 준비한 경륜과 국정 철학으로 박근혜 탄핵 때처럼 패전 처리 투수가 아닌 대한민국 구원투수가 되겠다”고 썼다. 친한(친한동훈)계를 중심으로 사실상 이미 캠프 대형을 갖춘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곧바로 후보 등록 후 공식 출마 선언에 나설 예정이다. 한 전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이영훈 여의도순복음교회 담임목사가 지난 5일 발표한 “분열을 넘어 치유와 회복으로 가자”는 시국 메시지를 공유했다. 한 전 대표 측은 탄핵 반대파들의 격앙된 분위기를 고려해 연일 통합 메시지를 내고 있다. 지난 4일 윤 전 대통령의 파면 이후 공식 메시지를 내지 않은 오세훈 서울시장도 휴가를 내고 경선 준비에 착수한다. 오 시장은 경선 참여로 잠시 시정을 떠나는 데 대해 서울시민에게 양해를 구하고 대선 출정식을 소화할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을 미국·중국(G2)과 견주는 주요 3개국(G3)으로 도약시키는 ‘오세훈의 5대 동행’ 구상을 대선 공약으로 앞세울 예정이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서울 광화문에서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한다. 안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4선 이상 중진 의원 간담회 후 기자들과 만나 “이번 주 중반 정도 광화문을 생각하고 있다”며 “광화문을 두고 일부 집회를 이쪽과 저쪽에서 했지만 광화문이 국민 통합의 상징이 돼야 한다는 뜻”이라고 밝혔다.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도 이번 주 출마 일정을 조율 중이다. 유 전 의원은 윤 전 대통령 파면 직후 “보수를 재건해야 한다”며 “탄핵에 반대하셨던 분들도 힘들겠지만 보수 재건에 힘을 모아 주시기를 호소드린다”고 밝혔다. 유 전 의원은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아직 약세를 벗어나지 못했지만, 전체 유권자 대상 조사에서는 상위권에 자리한다. 지난 4일 리서치뷰(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1% 포인트,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의 국민의힘 대선 주자 적합도 조사에서 김 장관(18.6%)에 이어 유 전 의원(14.4%)이 2위를 차지했다. 한 전 대표(10.3%), 홍 시장(9.1%), 안 의원(6.2%), 오 시장(5.8%) 순이었다. 이철우 경북지사도 8일쯤 공식 출마 선언을 준비 중이다. 이 지사는 지난 5일 “여기서 주저앉으면 안 된다”며 “모두 일어나서 자유우파의 힘으로 다시 초일류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를 지키자”고 말했다. 광역단체장 중에서는 유정복 인천시장, 김태흠 충남지사도 출마를 고심 중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불출마 입장을 밝혔다. 당내에서는 5선 나경원 의원의 대권 도전 가능성도 거론된다. 지난 5일 관저에서 나 의원이 윤 전 대통령을 1시간 동안 만난 것도 대권 도전 관측에 힘을 실었다. 나 의원은 ‘반탄파’ 규합을 시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윤상현(5선) 의원,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도 후보 등록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여의도의 전통적 명당 경쟁에도 막이 올랐다. 홍 시장과 한 전 대표는 서울 여의도 국회 앞 대하빌딩에 사무실을 마련한 것으로 전해진다. 대하빌딩은 보수와 진보 진영을 가리지 않고 대선 주자들이 선호하는 명당 사무실로 꼽힌다. 윤 전 대통령 파면 전 개혁신당 대선 후보로 확정된 이준석 의원은 발 빠르게 대선 행보에 나섰다. 이 의원은 조부모 산소가 있는 경북 칠곡에서 대구·경북(TK) 일정을 시작했다. 조부모 고향이자 최근 산불 피해를 본 영덕에서도 일정을 이어 갔다. 친정인 국민의힘에서 독립해 개혁신당을 차렸으나 ‘보수 적자’ 포지션을 잃지 않겠다는 전략이다. 이 의원은 지난 4일 윤 전 대통령 파면 직후에도 “바른말하는 보수 세력을 보여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 “서서 교체 안될까?” 육아 불편함에서 아이디어로 차린 기저귀 회사

    “서서 교체 안될까?” 육아 불편함에서 아이디어로 차린 기저귀 회사

    놀이터에서 놀던 한 살배기 아들의 기저귀를 갈아 줄 때였다. 옷을 다 벗기고 다시 입히는 게 여간 번거로운 게 아니었다. 아기가 서 있는 채로 갈 수 있는 기저귀는 없을까. 곧장 천과 ‘벨크로’를 갖고 시제품을 만들었다. 일명 ‘홀딩형 기저귀’다. 성과급을 몽땅 털어 1년 후엔 특허도 출원했다. 롯데홈쇼핑 직원에서 기저귀 스타트업 기업 ‘대디포베베’ 대표가 된 전영석(48)씨의 얘기다. 최근 서울신문과 만난 전 대표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안하길 좋아했는데, 육아하며 느낀 불편함이 사업의 첫 시작이 됐다”고 했다. 운도 좋았다. 시제품을 생산하려면 막대한 비용이 들어 포기하려던 찰나에 롯데그룹이 사내벤처를 모집한 것이다. 2016년 11명이 나선 최종 프레젠테이션에서 최후의 1인으로 살아남았다. 그 덕에 롯데그룹으로부터 21억원 규모의 투자를 받고 사내벤처로 있다가 독립했다. 세상에 없던 기저귀만 있으면 대박이 날줄 알았지만 시장 공략은 만만치 않았다. 현존하는 설비로는 제품을 만들 수 없어 제조사와 협업해 기계 제작에만 13억원을 들였다. 2020년 1월 2억원 가까운 매출로 성공하나 싶었는데 코로나19가 발목을 잡았다. 전 대표는 “외출을 안 하니 기저귀 수요가 줄어든 데다 제품 벨크로 부분의 약한 고정력, 뻣뻣한 촉감 등 품질 문제도 불거졌다”고 했다. 하기스(유한킴벌리), 팸퍼스(P&G)가 70%를 차지한 국내 시장에서 인지도를 높이려면 결국 가장 많이 찾는 ‘팬티형 기저귀’로 방향을 트는 게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남은 투자금을 털어 ‘로맘스’라는 브랜드로 아기의 엉덩이·허리를 감싸는 풀커버 타입의 제품을 만들었다. 전 대표는 “높은 흡수력, 교체가 쉽도록 잘 찢어지면서도 부드러운 촉감, 경쟁사 대비 낮은 가격을 내세웠다”고 했다. 온 가족이 들러붙어 샘플 5000개를 만들고 온라인을 통해 배포했다. 파스퇴르 위드맘 분유 구매 고객에게 기저귀 샘플을 동봉하는 등 롯데 차원의 도움도 받았다. 매년 2억~3억원의 적자를 보다 2023년엔 9400만원, 지난해엔 1억 3500만원의 흑자로 전환됐다. 지난해 매출은 35억원으로 전년보다 51% 올랐다. 전 대표는 “기저귀 판매 기업에 그치지 않고 육아의 불편을 해소하는 게 꿈”이라고 했다. 향후엔 성인용, 반려견용 기저귀까지 사업을 확장할 예정이다.
  • 광장 찢었던 시위대가 사라졌다…일상 되찾은 헌재와 한남동

    광장 찢었던 시위대가 사라졌다…일상 되찾은 헌재와 한남동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결정 사흘째인 6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 “헌재를 해체하라”며 석 달 가까이 이어졌던 탄핵 반대 측 대규모 집회 현장의 고성은 온데간데 없었다. 시위대와 정치인들의 모습도 찾아볼 수 없었다. 헌재 정문 앞 일부 구역 외에 안국역 사거리에 설치됐던 차벽과 바리케이드도 대부분 사라졌고, 관광객들이 평화롭게 오갔다. 인근에서 분식집을 운영하는 김정분(71)씨는 서울신문과 만나 “그 많던 탄핵 반대 시위대가 거짓말처럼 사라졌다”고 했다.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인근도 이날 1인 시위자 2명을 제외하고는 동네 산책을 나온 주민들만 눈에 띄었다. 관저 근처에서 만난 유모(66)씨는 “마치 누군가의 사주를 받아 이곳에 왔다는 생각이 들 만큼 파면이 선고된 4일 이후엔 시위대가 오지 않고 있다”며 “이제야 일상을 되찾은 느낌”이라고 했다. 탄핵 국면에서 대표적 집회 장소였던 헌재와 한남동 관저 인근에는 윤 전 대통령 파면 후 첫 주말 내내 대규모 시위대가 나타나지 않았다. 탄핵 찬성 측의 ‘자축 집회’와 탄핵 반대 측의 ‘불복종 투쟁’으로 광장이 두 쪽 날 것이라는 우려가 기우에 그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서울신문이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심판 선고까지 123일간 주요 집회·시위를 분석(경찰 비공식 추산 기준)한 결과, 그동안 탄핵 찬성 집회는 약 90만 6000명, 반대 집회에는 약 90만 4000명이 참가했다. 약 180만명이 광장에 쏟아져 각각 파면과 기각을 외쳤던 만큼 양측의 갈등과 분열은 심각했다. 집회 때 양측간 충돌은 빈번했고, 급기야 초유의 서부지법 폭동사태까지 벌어졌다. 이에 경찰은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헌재 인근을 ‘진공상태’로 만들고, 불법행위에 대한 강력 처벌을 여러 차례 강조했고, 지난 4일 별다른 불상사는 발생하지 않았다. 다만 파면 결정에 격분해 경찰버스를 파손한 20대 남성은 이날 특수공용물건손상 혐의로 구속됐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명예교수는 “서부지법 폭동 가담자들이 재판받는 상황 등이 극단적인 지지자들에게 억제 효과를 줬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윤 어게인’(윤 전 대통령의 재집권)과 같은 구호가 일부 지지자들 사이에 나오고 있는 만큼 시위대가 다시 거리로 쏟아져 나올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전광훈 목사는 이날 광화문 동화면세점 앞에서 집회를 열고 “국민저항권을 발동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광화문 광장에서는 윤 전 대통령 파면에 불만을 품은 40대 남성이 자해를 시도하기도 했다. 경찰 관계자는 “헌재와 한남동 앞에서는 당분간 집회가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혹시나 있을 수 있는 사태에 만반의 대비를 하겠다”고 밝혔다.
  • “역사적 그날의 기록, 호외 구해요”…파면 기념 각종 할인 행사도

    “역사적 그날의 기록, 호외 구해요”…파면 기념 각종 할인 행사도

    “역사적인 날 기록한 호외 구할 방법 없을까요.”, “12월 3일 계엄부터 4월 4일 탄핵까지, 신문 호외 모두 합친 에디션 3만 3000원에 팔아요.’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이 결정된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중고 거래 플랫폼에는 헌법재판소 탄핵인용 결정 소식을 담은 신문 호외를 사고 판다는 글이 다수 올라왔다. 4일 여러 언론사에서 발행된 호외는 각 1부당 1000~3000원 정도에 거래되고 있다. 여기에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이 선포된 날부터 탄핵선고 당일인 4일까지 배포된 호외를 모두 모은 ‘7종 11부 총모음’과 같은 한정판의 경우에는 약 3만원이 넘는 가격이 매겨졌다. 소셜미디어(SNS)에는 ‘요즘도 종이 호외가 있다’, ‘파면 굿즈 득템(좋은 물건을 구했다는 뜻)했다’는 글과 함께 호외를 들고 있는 인증사진이 게시되기도 했다. 지난 4일에는 SNS에 호외가 놓여 있는 지하철역과 위치를 공유하는 글도 올라왔다. 부산에 거주하는 주기영(36)씨는 서울신문과 통화에서 “역사적인 의미가 있는 날이라 기록용으로 소장하고 싶었지만 지방이라 호외를 구하지 못했다”며 “고민 끝에 중고 거래로 구매해 배송받기로 했다”고 전했다. 비상계엄부터 탄핵 국면까지 이어져 온 혼란스러운 상황이 일단락된 것을 기념해 일부 자영업자들은 할인 행사를 열고 있다. 16년째 종로구 대학로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김모(54)씨는 윤 전 대통령 파면 직후 가게 앞에 ‘모든 음료 10% 할인’ 안내문을 내걸었다. 김씨는 “정치 성향과 무관하게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오랫동안 이어진 혼란이 어느 정도 정리된 것 같아 기쁨을 나누고 싶다”고 했다. 광주에 있는 한 책방에는 ‘윤석열 탄핵 축하 기념 전도서 5% 할인’이라는 입간판이 내걸렸고, 한 의류 쇼핑몰도 전 의류 5% 할인 행사를 시작했다. 불안한 시국 탓에 자영업자들은 예약된 회식이나 모임 등이 미뤄지거나 취소되는 등 적잖은 매출 타격을 입었지만, 앞으로는 경제 상황이 조금은 나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강원 양양군에서 펜션을 운영하는 김누리(26)씨는 예약 고객을 상대로 하루 숙박 금액 중 2만원을 할인해주기로 했다. 김씨는 서울신문과 통화에서 “계엄 이후 떨어지기만 했던 매출이 오르고 경제가 좀 살아났으면 하는 마음”이라고 전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자연과환경 거래대금 52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자연과환경 거래대금 52억 돌파

    코스닥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자연과환경(043910)이 6천100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닥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주가는 861원이며, 시가총액은 976억원이다. 거래대금은 52억5천300만원으로 시가총액의 약 5.38%에 달해 집중적인 매수세가 이루어지고 있다. PER -27.77, ROE -3.80으로 재무 지표는 다소 부정적이지만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다. 오리엔트정공(065500)은 거래량 3천700만주를 기록하며 거래량 2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주가는 13,720원, 시가총액은 4,355억원이다. 거래대금은 614억7천만원으로 시가총액 대비 14.11%에 달해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형지I&C(011080)는 현재 2,405원으로 15.91% 하락하며 3천300만주 이상 거래되었다. 한국피아이엠(448900)은 18,890원으로 68.66% 급등하며 2천300만주 이상 거래를 기록 중이다. 소프트캠프(258790)는 1,736원으로 7.69% 상승, iMBC(052220)는 4,850원으로 13.70% 하락했다. 웹케시(053580)는 17,550원으로 24.64% 상승했고, 형지글로벌(308100)은 9,400원으로 9.35% 하락세를 보인다. 부방(014470)은 2,375원으로 5.56% 상승 중이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경남스틸(039240) ▲30.00%, KD(044180) ▲20.69%, NE능률(053290) ▼30.00%, 세종텔레콤(036630) ▲15.31%, 위즈코프(038620) ▲18.00%, 대신정보통신(020180) ▲9.08%, 아가방컴퍼니(013990) ▲16.67%, 밸로프(331520) ▲10.94%, 대주산업(003310) ▲8.72%, 대성창투(027830) ▲6.08%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급등한 한국피아이엠과 웹케시가 눈에 띈다. 한국피아이엠은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36.57%에 달하며, 웹케시는 6.40%의 활발한 거래를 보인다. 반면, NE능률과 형지I&C는 각각 30.00%와 15.91% 하락으로 거래대금이 시가총액 대비 각각 6.62%와 13.29%에 달하지만 부정적인 주가 흐름을 보이고 있다. 코스닥 시장은 전반적으로 일부 종목의 급등락이 두드러지며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투자자들은 특정 종목의 주가 급등락이 일시적인지, 아니면 추세적인 변화인지를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오리엔트바이오 대규모 거래량 속 하락세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오리엔트바이오 대규모 거래량 속 하락세

    코스피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대부분 변동폭이 큰 모습을 보이고 있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리엔트바이오(002630)가 6천5백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피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했다. 현재 주가는 1,939원이며, 거래대금이 14만4,378백만원에 달한다.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6.28%로,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PER은 121.19, ROE는 16.45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대영포장(014160)는 2,700만주 이상 거래되며 거래량 2위를 기록했다. 주가는 1,655원이며, 거래대금은 4만3,768백만원이다.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2.44%로, 강한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 종목은 PER이 N/A로 제공되지 않지만, ROE는 0.02로 확인된다. 에넥스(011090)는 현재 860원으로 거래되며, 2,620만주 이상 거래되고 있다. 등락률은 -6.01%로 하락세를 보인다. 이 종목의 거래대금은 2만4,388백만원이다. 평화산업(090080)는 1,578원으로 2,149만주 거래되며 18.20%의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동양철관(008970)의 주가는 1,050원이며, 1,832만주가 거래되고 있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한국ANKOR유전(152550) ▼-1.44%, 이스타코(015020) ▼-7.87%, 일성건설(013360) ▼-5.94%, 덕성(004830) ▼-11.10%, 한솔홈데코(025750) ▲18.45%, 두산에너빌리티(034020) ▼-4.45%, 평화홀딩스(010770) ▲29.93%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급등한 평화산업와 써니전자(004770)가 있다. 두 종목 모두 거래대금이 시가총액 대비 2% 이상을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하락 종목으로는 일신석재(007110)와 한솔홈데코가 있다. 이들 종목도 거래대금이 시가총액 대비 2% 이상을 기록하며 치열한 매수·매도 공방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코스피 시장은 변동성이 큰 종목들이 많아 투자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상승세와 하락세가 혼재된 가운데, 거래량이 많은 종목들을 중심으로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SK하이닉스 6.45% 하락하며 코스피 하락세 주도

    [서울데이터랩]SK하이닉스 6.45% 하락하며 코스피 하락세 주도

    코스피 대형주들이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4일 오후 12시 20분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인 삼성전자(005930)는 현재가 56,35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2.17% 하락하고 있다. 외국인 비율이 50.64%에 달하고, 거래량은 13,493,280주로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삼성전자의 PER은 11.38, ROE는 9.03으로 안정적인 재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반도체 대장주 SK하이닉스(000660)는 182,050원으로 6.45% 하락하며 거래량이 4,892,781주에 이르고 있다. 외국인 비율은 55.14%로 높은 편이며, PER은 6.70, ROE는 31.06으로 양호한 지표를 보인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1.59% 상승하며 320,000원에 거래되고 있고, 현대차(005380)는 1.70% 하락한 190,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는 2.52% 하락하며 1,085,000원에 거래 중이다. 삼성전자우(005935)는 1.49% 하락하며 46,300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셀트리온(068270)은 1.21% 하락한 171,400원의 현재가를 기록하고 있다. 기아(000270)는 1.32% 하락하며 89,600원에,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는 1.15% 하락한 689,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NAVER(035420)는 0.91% 하락하며 196,800원에 거래 중이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KB금융(105560) ▲0.91%, HD현대중공업(329180) ▼0.34%, 현대모비스(012330) ▼0.77%, 신한지주(055550) ▼1.68%, 메리츠금융지주(138040) ▼0.50%, POSCO홀딩스(005490) ▼1.48%, 한화오션(042660) ▼4.75%, 삼성물산(028260) ▼1.44%, 카카오(035720) ▼3.27%, 크래프톤(259960) ▲3.25%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전체 시장은 주요 종목들의 하락세로 인해 약세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두드러지는 가운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거래량이 많은 점이 주목할 만하다. SK하이닉스와 크래프톤은 각각 6.45% 하락과 3.25% 상승으로 가장 큰 등락폭을 보이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