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서울신문
    2025-08-15
    검색기록 지우기
  • 지드래곤
    2025-08-15
    검색기록 지우기
  • 래퍼
    2025-08-15
    검색기록 지우기
  • 정연
    2025-08-15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20,651
  • 계약 마지막 시즌, ‘부진·부상’ 삼성 오승환 개점휴업…“1군 복귀 시점 알 수 없어”

    계약 마지막 시즌, ‘부진·부상’ 삼성 오승환 개점휴업…“1군 복귀 시점 알 수 없어”

    프로야구 역사에 한 획을 그은 투수들이 세월을 비껴가지 못하고 고난에 빠졌다. 지난 시즌 부진으로 마무리 투수 자리를 내준 리그 최고령 오승환(43·삼성 라이온즈)이 계약 마지막 시즌에도 퓨처스 리그(2군)에서 부상, 부진에 고전 중이다. 허벅지를 다쳐 1군 복귀 시점이 묘연한 상황이라 자신의 세이브 기록을 경신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 삼성 관계자는 29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오승환에 대해 “지난달 중순 모친상을 치르면서 몸을 만드는 게 늦어졌다. 이달 초 2군 마운드에 올랐는데 오른 허벅지 내전근을 다쳤다”며 “회복을 마치고 26일 하프 피칭으로 공을 던졌다. 오늘 몸 상태를 확인할 예정인데 불펜 투구까지 해야 추후 일정을 알 수 있다. 당장 1군 복귀 계획을 세우긴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자유계약선수(FA) 계약 마지막 해를 맞은 오승환은 지난달 2025 KBO리그 시범 경기에서 2경기 2이닝 3실점 평균자책점 13.50의 성적을 남겼다. 이어 모친상 등이 겹쳐 개막 엔트리에 포함되지 못했다. 2군에서 시즌을 시작한 오승환은 지난 5일 롯데 자이언츠를 상대로 1이닝 4실점을 올렸고 9일 kt 위즈전에선 1이닝 5실점 했다. 2경기에서 11피안타 평균자책점 40.50을 기록한 것이다. 지난해 추신수(SSG 랜더스), 김강민(한화 이글스) 등 동갑내기들이 은퇴하면서 오승환은 리그에서 유일한 1982년생 선수가 됐다. 게다가 그는 2023시즌을 마치고 체결한 FA 계약에 따라 지난해 연봉 4억원에서 올해 8억원으로 늘어났다. 이에 올해 절치부심 반등을 노렸으나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오승환은 지난 시즌 KBO리그 통산 최다 427세이브, 역대 최고령 세이브(만 42세 42일) 등의 굵직한 기록을 세웠다. 그러나 부진에 빠져 지난해 8월 마무리 투수 자리에서 밀려났고 이후 포스트시즌 명단에서 제외되는 굴욕까지 맛봤다. 삼성 관계자는 “오승환의 재기 의지가 강하다. 다만 나이가 적지 않아 조심스럽게 몸 상태를 확인하고 훈련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 [부고]

    ●이종희씨 별세, 임태순(전 서울신문 논설위원)씨 모친상 = 28일 서울시립승화원, 발인 30일. 010-3957-9897
  • “전통과 혁신 이어지는 전주… 전면적 변화 이미 시작됐죠”

    “전통과 혁신 이어지는 전주… 전면적 변화 이미 시작됐죠”

    “크게 그리고 실현하는 전주, 그 변화는 이미 시작됐습니다.” 우범기 전북 전주시장은 28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보이지 않는 틀에 갇혀 있던 전주가 도시 구조 자체를 바꾸는 전면적인 전환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전주의 변화는 다음 세대가 지금보다 더 나은 도시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우리 세대의 의무이자 책임입니다.” 우 시장은 “교통이 편해지고 도심이 살아나는 변화, 머무를 만한 공간이 늘어나는 변화, 시민이 삶에서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실현하겠다”고 다짐했다. 다음은 우 시장과의 일문일답. -전주의 변화를 정의한다면. “정체성을 지키면서도 시민의 삶을 바꾸는 실질적인 변화에 집중하고 있다. 기존의 틀을 유지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도시 공간 전체를 새롭게 설계하는 방식이다. 여기에 교통 혁신, 관광 거점 확대, 역사 정체성 확장까지 병행되며 동시다발적으로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전주가 그리는 미래는. “전통과 혁신, 일상과 미래가 함께 이어지는 구조를 만드는 게 우리가 향하는 방향이다. 지금 우리가 추진하는 변화는 다음 세대에게 더 나은 도시를 물려주기 위한 준비다. 도시의 골격을 다시 짜고, 교통과 문화, 정체성을 재설계하는 것은 전주의 미래를 다시 그리는 일이다. 올림픽 유치는 전주의 새로운 가능성을 시험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전주는 천년의 역사를 품고 있는 동시에, 앞으로 100년을 설계할 수 있는 도시여야 한다.”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는. “도시 변화는 시민들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어야 한다. 눈에 보이는 변화, 실제로 이용할 수 있는 변화가 있어야 행정도 평가받을 수 있다. 과거 수십년간 그대로였던 종합경기장이 철거되고 그 자리에 컨벤션센터와 문화·창업시설이 들어선다. 한때 방치됐던 방공호는 지금 ‘완산 벙커 더 스페이스’라는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변신해 많은 시민과 관광객이 찾고 있다. 교통 혼잡이 심했던 기린대로에는 간선급행버스체계(BRT)를 도입해 정시성과 속도를 높일 계획이다.” -빠른 추진 속도나 재정 부담에 대한 우려도 있다. “당연한 우려라고 본다. 그래서 사업마다 단계별 실행계획을 갖고 추진하고 있다. MICE 복합단지는 전체 사업비 중 상당 부분을 민간투자 방식으로 구성했고, BRT도 시민 의견을 반영해 정류장 위치나 설계를 조정했다. 무작정 속도만 내는 게 아니라 재정 건전성과 공공성, 실행 가능성이라는 세 가지 기준을 함께 본다. 무리하지 않는, 균형 잡힌 추진이 기본 원칙이다.” -시정 운영에 가장 중요한 원칙은. “꿈을 크게 꾸는 일이다. 전주는 이제 과감하게 더 큰 도전과 전환을 시도해야 할 때다. 지금 그 길을 제대로 밟아 가고 있다. 실행력도 중요하다.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현실적인 변화부터 차근차근 추진하겠다.”
  • ‘1조 클럽’ 한투, 8년째 CEO·이사회 의장 겸직…10대 증권사 중 절반만 이사회 독립성 지켰다

    ‘1조 클럽’ 한투, 8년째 CEO·이사회 의장 겸직…10대 증권사 중 절반만 이사회 독립성 지켰다

    한투 김남구 사내이사 19번 연임메리츠·KB·신한투자·대신 ‘겸직’삼성·미래에셋·NH·키움·하나 ‘분리’ 올해 7월부터 증권사들에 ‘금융판 중대재해처벌법’으로 불리는 책무구조도가 시행되지만 막상 증권사를 감사할 이사회 독립성은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라는 평가다. 국내 10대 증권사 가운데 50%가 최고경영자(CEO)의 이사회 의장 겸직을 허용하고 있다. 28일 서울신문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서 자기자본 기준 상위 10개 증권사의 2018~2024년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현재 한국투자·메리츠·KB·신한투자·대신 등 5개 증권사에서 CEO가 이사회 의장을 겸직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삼성·미래에셋·NH투자·키움·하나증권 등 5개사는 별도의 사외이사나 금융그룹 임원이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다. 지난해 유일하게 순이익 ‘1조 클럽’을 달성한 한국투자증권은 오너이자 CEO인 김남구 한국투자금융지주 회장이 스스로 임원후보추천위원회(3명) 위원으로서 사내이사를 19번이나 연임했다. 이사회 결의를 통해 2018~2019년 부회장에서 2020년 회장으로 승진하기도 했다. 회사 측은 “원만한 이사회 소집과 효율적인 이사회 운영을 고려했다”고 이유를 댔지만 내부 통제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는다. 실제로 지난해 한국투자증권 이사회 중요 의결 사항 34건 중 부결률은 ‘0’건이다. 이사회 의장과 CEO의 분리는 이사회의 독립성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 2014년 이른바 ‘KB금융지주 전산교체 내분 사태’ 이후 금융사의 지배구조 개선 차원에서 금융위원회가 ‘지배구조 모범규준’을 만들면서 생겨났다. 금융사의 이사회 의장과 CEO를 분리 선임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사외이사를 대표하는 선임 사외이사를 뽑도록 하고 있다. 문제는 금융당국이 금융사 CEO가 이사회 의장을 겸직할 수 있게 하는 예외 조항을 허용해 줬다는 것이다. KB증권(김성현 사장), 메리츠증권(장원재 사장), 대신증권(양홍석 부회장)도 CEO 또는 오너가 이사회 의장을 겸직하고 있다. 이사회 의장이 분리됐지만 지배구조 개선에 의문이 나오는 경우도 있다. 키움증권은 ‘라덕연 사태’ 이후 김익래 전 다우키움그룹 회장이 사퇴하면서 2023년 처음으로 이군희 사외이사가 의장을 맡았으나, 지난 3월 이 이사의 임기가 만료됨에 따라 이현 다우키움그룹 부회장이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됐다. 이 부회장은 키움증권 CEO는 아니지만, 창립 멤버이자 김 전 회장과 오랜 기간 함께 일한 사이다. 신한투자증권은 2023~2024년 김상태 전 사장이 이사회 의장을 맡았는데, 선임 사외이사인 박희우 이사가 김 사장과 대학 동기라는 점에서 제 역할을 할 수 있겠느냐는 뒷말이 나왔다. 한국ESG기준원은 “이사회 본연의 CEO 및 내부 지배구조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이 제대로 이뤄지려면 이사회 의장의 실질적 독립성을 확보해 이사회 운영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 [단독] ‘법사폰’ 경마장·강원랜드서 210번 썼다

    [단독] ‘법사폰’ 경마장·강원랜드서 210번 썼다

    무속인 ‘건진법사’ 전성배(65)씨의 공천 개입 의혹 등을 수사 중인 검찰이 전씨가 지난해 1년간 경마장과 강원랜드 인근에서 주로 통화한 사실을 파악했다. 검찰은 기도비로 수억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 전씨가 해당 장소에서 돈을 쓴 것으로 의심하고 정확한 금품 사용처 등 자금 흐름을 추적하고 있다. 28일 서울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서울남부지검 가상자산범죄합동수사단(단장 박건욱)은 이른바 ‘법사폰’으로 불리는 전씨의 휴대전화 발신기지국 위치 분석을 통해 2023년 12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전씨가 서울 서초구 양재동 자택(435건) 외에 경기 과천시 경마장(100건), 강원 정선군 사북읍 강원랜드(110건)에서 통화한 내역을 확보했다고 한다. 이와 관련해 서울신문은 전씨에게 해당 장소 방문 목적과 자금 사용 여부 등을 묻는 전화와 문자메시지를 여러 차례 남겼지만 답변을 듣지 못했다. 전씨 측 변호인도 “현재 진행 중인 재판(2018년 지방선거 관련 정치자금법 위반)과 관련된 사안 외에는 알지 못한다”고 답했다. 아울러 전씨는 지난해 1월 22일 하루에만 윤한홍 국민의힘 의원과 6차례 전화와 문자를 주고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날은 윤 의원이 당시 간사로 있던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더불어민주당이 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수수 의혹’에 관해 현안 질의를 요구한 날이다. 검찰은 두 사람이 지난해 61차례의 전화와 문자를 주고받은 것을 고려하면, 각종 의혹에 대한 대비 차원으로 이야기를 나눴을 가능성도 있다고 의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윤 의원은 앞서 검찰 서면조사에서 전씨에게 인사 청탁을 받았다는 의혹을 부인했다. 전씨 측 변호인도 지난해 12월 법원에 제출한 의견서에서 ‘윤 의원에게 영천시장 공천을 받아 달라는 부탁을 할 정도의 사이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검찰은 전씨 외에도 전씨의 부인과 자녀, 처남 김모(56)씨 등 전씨 일가를 출국금지하며 수사망을 확대하고 있다. 검찰은 김씨가 전씨를 통해 A행정관 채용을 대통령실에 청탁하고, 이후 A씨를 통해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전씨가 2022년 지방선거에서도 지자체 의원이나 지자체장 공천에 개입했다는 의혹에 대한 수사도 속도를 내고 있다. 검찰은 최근 전씨에게 청탁한 지자체 의원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 ‘홍관식’에 퍼스트 걸프렌드까지…“가족은 나의 힘” 표심 끌어안기

    ‘홍관식’에 퍼스트 걸프렌드까지…“가족은 나의 힘” 표심 끌어안기

    6·3 대선에 도전하는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들이 가족을 앞세운 선거 유세로 유권자들과의 정서적 거리감을 좁히기 위해 애쓰고 있다. 실질적인 유세 지원은 물론 가족을 통해 인간적인 면모를 드러내고 가족 중심의 가치관을 보여 줌으로써 표심을 끌어모으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안철수 후보는 지난 27일 페이스북에 아내 김미경 서울대 교수가 소셜미디어(SNS)에 올린 글을 공유했다. 김 교수는 “남편이 정치에 몸담은 지난 12년 동안 당원으로 가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안철수는 이번에도 반드시 해낼 사람이다. 2차 경선 투표에서 저와 함께 안철수 후보를 선택해 달라”고 호소했다. 홍준표 후보는 지난 25일 한동훈 후보와 맞수 토론회에서 아내와 젊을 적 찍은 사진을 공개했다. 그는 페이스북에도 “1976년 10월 30일 아내를 만난 지 50여년이 흘렀다”면서 “늘 처음 만난 그때의 설렘으로 ‘폭싹 속았수다’의 양관식, 오애순 부부처럼 50년을 살았다”고 적었다.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에서 배우 박보검과 박해준이 연기해 ‘역대 최고의 순애보 캐릭터’로 평가받은 양관식을 자신의 삶에 빗댄 것이다. 가족들의 유세 경쟁도 치열하다. 홍 후보의 배우자 이순삼 여사는 전국을 찾아 “홍준표의 마지막 도전, 여러분이 도와달라”고 호소하며 남편의 선거운동을 돕고 있다. 김문수 후보의 부인 설난영 여사도 지난 25일 강원 춘천시를 찾아 시도의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사위가 강원 인제에서 군생활을 했다”며 인연을 내세웠다. 김 후보는 28일 매일신문 ‘이동재의 뉴스캐비닛’에 출연해 “아내는 요즘도 지방마다 다니면서 인사를 하러 다니는데 정말 미안하다”고 했다. 다른 후보들과 달리 한동훈 후보의 부인 진은정 변호사는 아직 전면에 나서지 않고 있다. 한 후보가 최종 후보로 결정되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경선 과정에선 이른바 ‘당원 게시판’ 논란이 부담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 한 후보 측 관계자는 “아마 필요한 자리에 나오시는 방식이 되지 않을까 싶다”며 조심스럽게 전망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지난 총선 때 부모와 눈물의 유세를 함께하며 반전을 이룬 사례가 있다. 주요 후보 중 유일하게 미혼인 그는 이날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퍼스트 걸프렌드’가 될 가능성이 있는 여자친구의 선거 지원 가능성에 대해 “아직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 ‘보수책사’ 윤여준 영입… 이재명 ‘통합형 우클릭’

    ‘보수책사’ 윤여준 영입… 이재명 ‘통합형 우클릭’

    현충원 이승만·박정희 묘역 참배李 “색깔·차이 넘어 한데 모아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8일 보수 진영의 ‘책사’라 불리는 윤여준(86) 전 환경부 장관을 상임 선거대책위원장으로 영입하며 중도·보수 통합 행보에 드라이브를 걸었다. 이 후보가 “가급적이면 넓게 많은 사람과 함께할 것”이라고 밝힌 뒤 드러난 첫 인선으로 공격적 외연 확장에 나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 후보는 이날 당 대선 후보로서의 첫 일정으로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을 참배한 뒤 윤 전 장관 영입 사실을 직접 확인했다. 이 후보는 “윤 전 장관은 평소에도 제게 고언도 많이 해 준다. 제가 조언을 많이 구하는 편”이라며 “많은 분이 계시지만 대표적 인물로 윤 전 장관에게 선대위를 전체적으로 한번 맡아 주십사 부탁을 드렸는데 다행히 응해 주셨다”고 밝혔다. 윤 전 장관은 김영삼 정부에서 환경부 장관을 지낸 이후 한나라당과 민주통합당, 국민의당 등 좌우 진영을 넘나들며 활발히 자문 활동을 해 왔다. 윤 전 장관은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이 후보를) 돕기로 했으니까 맡아 달라면 맡아야 하겠죠”라며 “제가 말하자면 보수 쪽 사람이니까 그런 의미에서 통합에 방점을 둘 수도 있겠다”고 말했다. 이 후보가 첫 공식 행보로 이승만·박정희·김대중·김영삼 전 대통령 묘역(참배순)을 차례로 참배한 것도 통합 행보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이 후보는 2017년 첫 대선 경선 출마 당시에는 김영삼·김대중 전 대통령 묘역만 참배했다. 당시 이 후보는 “이 전 대통령은 친일매국 세력의 아버지고, 박 전 대통령은 군사 쿠데타로 국정을 파괴하고 인권을 침해했던 독재자이므로 그들에게는 고개를 숙일 수 없었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2022년 대선 때는 네 명의 묘역을 모두 참배하며 중도·보수 성향의 유권자 표심 공략에 나섰다. 이 후보는 당시 “5년이란 세월이 지나면서 저도 더 많은 생각을 하게 됐고, 저의 사회적 역할도 책임감도 많이 바뀌고 커졌다”고 했다. 이 후보는 이날 전직 대통령 묘역을 참배한 후 “평가는 평가대로 하고 공과는 공과대로 평가해 보되 지금 당장 급한 것은 국민 통합”이라며 “국민 에너지를 색깔과 차이를 넘어 다 한데 모아서 희망적인 미래, 세계로 나아가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이어 “소위 말하는 통합의 필요성과 가치가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시기”라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김대중 정부에서 국무총리를 지낸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의 묘역도 참배했다. 이 후보는 “그분이야말로 ‘DJP연합’이라는 일종의 진보·보수 통합정권에 일종의 옥동자 아니겠냐”며 “통합의 아름다운 열매 같은 존재여서 한번 찾아보자고 해서 일정에 없던 박 회장 묘소를 둘러보게 됐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윤 전 장관 외에 복수의 외부 인사 추가 영입도 검토 중이다. 당내에선 김부겸 전 총리와 경선 후보였던 김경수 전 경남지사 등이 합류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또 다른 경선 후보였던 김동연 경기지사는 지사직에 복귀했고 공무원의 선거중립 의무에 따라 선대위 합류는 못 한다. 일각에선 김상욱 국민의힘 의원 영입설도 제기됐다. 우원식 국회의장과 몽골 순방 중인 김 의원은 “민주당으로부터 공식 제안 받은 것은 없다”면서 “지금은 국민의힘이 정통보수당으로 기능하도록 충정으로 원칙 회복과 쇄신을 촉구하고 있다”고 했다. 앞서 경선 캠프에 영입된 권오을 전 한나라당(국민의힘 전신) 의원은 29일 경북도청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 후보 지지 선언에 나설 예정이다. ‘용광로’식의 통합, 효율, 현장 밀착형의 중앙선대위 출범식<서울신문 4월 28일자 1면>은 3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다. 이 후보와 선대위 지도부 등이 참석한다. 최고위원, 중진급 인사들이 지역별로 배치돼 광역시도별 공동 선대위원장을 맡고 현역 의원들도 각 지역구 등으로 내려가 직접 발로 뛰는 선거운동을 펼칠 것으로 전해졌다.
  • [서울데이터랩]삼륭물산 30.00% 상한가 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서울데이터랩]삼륭물산 30.00% 상한가 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28일 오후 15시 40분 삼륭물산(014970)가 등락률 +30.00%로 상승률 1위로 마감했다. 삼륭물산은 장 중 222,402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2,460원 오른 10,660원에 마감했다. 한편 삼륭물산의 PER은 -27.12로, 이는 주가가 적정가치보다 높게 평가될 여지가 있음을 시사하고, ROE는 -10.53%로 수익성이 부진한 상황이다. 이어 상승률 2위 한싹(430690)은 주가가 30.00% 상한가를 기록하며 종가 6,890원에 상승 마감했다. 상승률 3위 유비벨록스(089850)의 주가는 9,320원으로 29.99% 폭등하며 강세를 보였다. 상승률 4위 아이스크림에듀(289010)는 29.98% 상승하며 5,940원에 마감했다. 상승률 5위 옴니시스템(057540)은 29.97%의 상승세를 타고 종가 1,327원에 마감했다. 6위 대호특수강(021040)은 종가 1,675원으로 29.95% 상승 마감했다. 7위 대호특수강우(021045)는 종가 5,150원으로 29.89% 상승 마감했다. 8위 한솔인티큐브(070590)는 종가 2,655원으로 29.83% 상승 마감했다. 9위 한국팩키지(037230)는 종가 2,505원으로 29.79% 상승 마감했다. 10위 엑스큐어(070300)는 종가 5,010원으로 29.79% 상승 마감했다. 이밖에도 모니터랩(434480) ▲27.31%, 더즌(462860) ▲26.02%, 아이즈비전(031310) ▲23.48%, SGA(049470) ▲22.92%, 더블유씨피(393890) ▲21.91%, 인스피언(465480) ▲20.65%, 버넥트(438700) ▲19.87%, 박셀바이오(323990) ▲17.79%, 비에이치아이(083650) ▲17.43%, 자이글(234920) ▲16.92% 등을 기록하며 금일 증시를 상승으로 마감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마감 직후 인기 검색 종목 20選

    [서울데이터랩]마감 직후 인기 검색 종목 20選

    한화오션(042660)이 4월 28일 장 마감 5분 만에 8.18%의 검색비율을 기록해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한화오션의 현재가는 89,3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0.67% 하락하며 거래를 마쳤다. 거래량은 6,337,651주를 기록했으며, 시가는 95,000원이었다. 이어 검색비율 2위의 SK텔레콤(017670)은 하락률 6.75%로 하락 마감했다. 검색비율 3위의 오름테라퓨틱(475830)은 -30.00%의 하한가를 기록했다. 검색비율 4위 삼성전자(005930)는 0.18% 상승 마감했다. 검색비율 5위 에이비엘바이오(298380)는 5.22% 하락하며 거래를 마쳤다. 6위 한미반도체(042700)는 등락률 -8.00%로 하락을 기록했다. 7위 삼성중공업(010140)은 2.92%의 등락률로 주가가 소폭 상승했다. 8위 한화시스템(272210)은 5.49%의 상승세로 거래를 마쳤다. 9위 SK하이닉스(000660)는 -1.30% 하락 마감했다. 10위 경남스틸(039240)은 24.57%의 폭락세를 기록했다. 이밖에도 비에이치아이(083650) ▲17.43%, 시공테크(020710) ▲12.49%, 한화비전(489790) ▲6.76%, 동양철관(008970) ▲5.68% 등이 많이 검색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일정실업 29.93% 상한가…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서울데이터랩]일정실업 29.93% 상한가…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28일 오후 15시 35분 일정실업(008500)가 등락률 +29.93%로 상승률 1위로 마감했다. 일정실업은 장 중 51,911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3,340원 오른 14,500원에 마감했다. 한편 일정실업의 PER은 5.10으로 상대적으로 저평가를 받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ROE는 74.89%로 매우 높은 수익성을 보였다. 이어 상승률 2위 태영건설우(009415)는 주가가 29.93% 폭등하며 종가 6,230원에 상승 마감했다. 상승률 3위 인바이오젠(101140)의 주가는 11,730원으로 29.90% 폭등하며 강세를 보였다. 상승률 4위 티와이홀딩스우(36328K)는 29.76% 상승하며 5,210원에 마감했다. 상승률 5위 경방(000050)은 26.09%의 상승세를 타고 종가 8,700원에 마감했다. 6위 다이나믹디자인(145210)은 종가 1,001원으로 24.81% 상승 마감했다. 7위 LG헬로비전(037560)은 종가 2,920원으로 20.16% 상승 마감했다. 8위 한진중공업홀딩스(003480)는 종가 5,150원으로 13.94% 상승 마감했다. 9위 호텔신라(008770)는 종가 44,100원으로 12.79% 상승 마감했다. 10위 솔루스첨단소재(336370)는 종가 9,100원으로 9.24% 상승 마감했다. 이밖에도 대한제당우(001795) ▲9.22%, 전방(000950) ▲9.16%, 효성티앤씨(298020) ▲8.90%, 티와이홀딩스(363280) ▲8.69%, 고려아연(010130) ▲8.12% 등을 기록하며 금일 증시를 상승으로 마감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옴니시스템 거래대금 무려 905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옴니시스템 거래대금 무려 905억 돌파

    코스닥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대체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옴니시스템(057540)가 7,392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닥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주가는 1,255원으로, 시가총액의 12.13%에 해당하는 905억 원의 거래대금과 ▲22.92%의 폭등을 기록하고 있다. PER 11.51, ROE 6.31로, 재무 지표에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미스터블루(207760)는 2,993만주 거래로 거래량 2위에 올랐다. 현재 주가는 1,514원이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은 3.63%에 해당하는 456억 원이다. PER -7.42, ROE -29.15로, 재무 상태는 다소 부정적이나 거래 대금이 집중되고 있다. 큐라티스(348080)는 1,818만주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3위에 올랐다. 현재가는 1,077원으로, ▲2.57%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이루온(065440)는 1,684만주가 거래되며 현재가 1,742원, ▲11.81%의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한싹(430690)는 1,417만주 거래로 5위에 있으며, 현재가는 6,890원, ▲30.00%의 상한가를 기록하고 있다. 쎄크(081180)는 1,325만주 거래, 현재가 15,870원, ▲5.80% 상승했다. 모니터랩(434480)는 1,220만주 거래로 현재가 5,410원, ▲25.23% 급등했다. 더블유씨피(393890)는 1,093만주 거래로 현재가 10,860원, ▲26.57% 급등했다. 시공테크(020710)는 1,029만주 거래로 현재가 9,300원, ▲9.54% 상승했다. 마지막으로, 아톤(158430)는 988만주 거래로 현재가 6,410원이며 ▲12.85% 급등세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아이스크림에듀(289010) ▲26.70%, 자연과환경(043910) ▲1.61%, 성호전자(043260) ▲5.88%, 우리로(046970) ▼4.88%, 샌즈랩(411080) ▲15.36%, 아이씨티케이(456010) ▲10.74%,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288330) ▼4.74%, 한국정보인증(053300) ▲19.77%, 와이제이링크(209640) ▲15.72%, 나무기술(242040) ▲3.44%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옴니시스템가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12.13%에 달하며 폭등세를 보이고 있고, 한싹는 상한가를 기록하며 거래량이 집중되고 있다. 하락세를 보이는 종목으로는 우리로와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가 각각 ▼4.88%와 ▼4.74% 하락하며 거래량이 8백만주 이상 진행되고 있다. 전체적으로 코스닥 시장은 투자자들의 적극적인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몇몇 종목에서는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을 크게 초과하며 급등세를 기록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리가켐바이오 주가 4.75% 하락하며 하락세 주도

    [서울데이터랩]리가켐바이오 주가 4.75% 하락하며 하락세 주도

    리가켐바이오(141080) 주가 4.75% 하락하며 하락세 주도 에코프로비엠(247540) 1.26% 상승 리노공업(058470) 4.56% 하락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 3.33% 하락 코스닥 시장에서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대체로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인 알테오젠(196170)은 현재가 36만 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2.44% 하락하고 있다. 외국인 비율은 15.10%이며, 거래량은 243,777주다. PER이 307.43, ROE가 29.52로 재무 지표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반면, 에코프로비엠은 10만4,800원으로 1.26% 상승하며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 종목의 외국인 비율은 11.01%, 거래량은 278,155주로 나타나고 있으며, PER과 ROE는 각각 -106.18, -6.26이다. 시가총액 3위부터 10위까지의 종목 중 상승한 종목으로는 에코프로(086520)가 2.35%, 펩트론(087010)이 1.03% 상승을 기록하고 있다. 한편, 하락한 종목으로는 레인보우로보틱스가 3.33%, 휴젤(145020)이 1.67%, 클래시스(214150)가 0.47%, 파마리서치(214450)가 0.80%, 리가켐바이오가 4.75% 하락하고 있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코오롱티슈진(950160) ▼7.26%, 삼천당제약(000250) ▼2.23%, 에이비엘바이오(298380) ▼3.33%, 리노공업 ▼4.56%, 에스엠(041510) ▲1.28%, JYP Ent.(035900) ▲2.52%, 펄어비스(263750) ▲2.59%, 실리콘투(257720) ▲1.01%, 셀트리온제약(068760) ▼0.72%, HPSP(403870) ▼7.28%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코스닥 시장은 상승과 하락이 혼재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외국인 비율이 높은 종목일수록 거래량이 많은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주가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리가켐바이오는 외국인 비율이 10.95%로 낮은 편이나 높은 거래량을 기록하며 하락세를 주도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SK하이닉스 1.63% 하락하며 시장 하락세 주도

    [서울데이터랩]SK하이닉스 1.63% 하락하며 시장 하락세 주도

    코스피 주요 종목들이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28일 오후 12시 20분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 삼성전자(005930)는 현재가 55,75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0.09% 오르며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 종목의 외국인비율은 49.97%이며, 거래량은 4,881,839주로 기록되고 있다. PER은 11.26, ROE는 9.03으로 수급과 재무 지표 모두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반면 SK하이닉스(000660)는 181,400원으로 1.63% 하락하고 있으며, 거래량은 1,573,813주를 기록 중이다. 외국인비율은 53.34%로 높으며, PER 6.67, ROE 31.06으로 재무 지표가 양호하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과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는 각각 0.58%, 0.39% 상승 중이며, 거래량은 각각 65,423주, 22,460주를 기록하고 있다. HD현대중공업(329180)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는 각각 1.24%, 0.49% 하락하고 있으며, 거래량은 각각 214,549주, 228,278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KB금융(105560) ▼0.12%, NAVER(035420) ▲1.03%, 한화오션(042660) ▲2.56%, 신한지주(055550) ▼0.10%, 현대모비스(012330) ▲0.40%, POSCO홀딩스(005490) ▲1.73%, 메리츠금융지주(138040) ▼0.92%, 삼성물산(028260) ▲1.11%, HD한국조선해양(009540) 보합, 크래프톤(259960) ▲1.34%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전체 시장은 혼조세를 보이며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수세와 매도세가 엇갈리고 있다. 거래량이 많았던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우(005935)는 각각 하락과 상승을 보이고 있으며, 외국인 비율이 높은 종목들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반면 거래량이 적었던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대한제당 거래대금 1,083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대한제당 거래대금 1,083억 돌파

    코스피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대한제당(001790)이 2천6백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피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주가는 4,025원으로, 거래대금은 1,083억8천1백만원에 달하고 있다. 시가총액은 3,610억원으로,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약 30%를 넘어서며 강한 매수세를 보이고 있다. PER은 18.90, ROE는 3.68로 나타나고 있다. 동양철관(008970)은 2천5백만주 이상 거래되며 2위를 기록하고 있다. 현재 주가는 1,521원이며, 거래대금은 379억3천1백만원이다.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약 15.7%로 확인된다. 영흥(012160)은 3위로, 현재 주가는 579원이며 2천5백만주 이상이 거래되고 있다. 등락률은 12.21%로 급등세를 보이고 있으며, 거래대금은 142억5천7백만원이다. 거래량 4위인 삼성중공업(010140)은 1천9백만주 이상 거래되며 현재 주가는 15,190원, 등락률은 3.19%이다. LG헬로비전(037560)은 5위로, 1천만주 이상 거래되며 현재 주가는 2,635원, 등락률은 8.44%이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태양금속(004100) ▼11.14%, 한화오션(042660) ▲2.00%, 두산에너빌리티(034020) ▲0.54%, 대영포장(014160) 0.00%, 남선알미늄(008350) ▲2.99%, 오리엔트바이오(002630) ▼4.33%, 일신석재(007110) ▼1.56%, 한화솔루션(009830) ▲0.50%, 평화산업(090080) ▼0.74%, 써니전자(004770) ▼7.26%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주목할 만한 종목은 영흥과 대한제당우(001795)로, 각각 12.21%와 12.95%의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영흥은 거래대금이 142억5천7백만원이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약 24.3%에 달한다. 대한제당우는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이 약 110%로, 투자자들의 강한 매수세가 확인되고 있다. 반면, 태양금속과 써니전자는 각각 ▼11.14%와 ▼7.26%로 하락세를 보인다. 전체적으로 코스피 시장은 강세를 보이며,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주도하고 있는 양상이다. 특히, 영흥과 대한제당우의 급등세가 눈에 띄며, 투자자들의 집중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반면, 일부 종목은 하락세를 기록하며 시장 내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STX엔진’ 13.35% 급등…실시간 상승률 1위

    [서울데이터랩]‘STX엔진’ 13.35% 급등…실시간 상승률 1위

    28일 오전 9시 10분 STX엔진(077970)이 등락률 13.35%로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STX엔진은 개장 직후 5분간 323,118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3,150원 오른 26,750원이다. 한편 STX엔진의 PER은 27.18로 상대적으로 고평가되어 있을 수 있으며, ROE는 10.15%로 수익성이 준수한 수준이다. 이어 상승률 2위 솔루스첨단소재(336370)는 현재가 9,310원으로 주가가 11.76% 급등하고 있다. 상승률 3위 SNT에너지(100840)는 현재 37,150원으로 7.53% 상승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 상승률 4위 한화엔진(082740)은 7.18% 상승하며 29,1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승률 5위 일정실업(008500)은 6.63%의 상승세를 타고 11,900원에 거래되고 있다. 6위 효성티앤씨(298020)는 현재가 227,000원으로 6.32% 상승 중이다. 7위 WISCOM(024070)은 현재가 2,070원으로 5.61% 상승 중이다. 8위 LG헬로비전(037560)은 현재가 2,560원으로 5.35% 상승 중이다. 9위 한솔테크닉스(004710)는 현재가 4,880원으로 5.17% 상승 중이다. 10위 호텔신라(008770)는 현재가 41,100원으로 5.12% 상승 중이다. 이밖에도 두산2우B(000157) ▲4.77%, HD현대마린엔진(071970) ▲4.63%, 한화오션(042660) ▲4.56%, 인바이오젠(101140) ▲4.54% 등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삼륭물산’ 30% 상한가…실시간 상승률 1위

    [서울데이터랩]‘삼륭물산’ 30% 상한가…실시간 상승률 1위

    28일 오전 9시 10분 삼륭물산(014970)이 등락률 +30.00%로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삼륭물산은 개장 직후 152,343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공모가 대비 2,460원 오른 10,660원이다. 한편 삼륭물산의 PER은 -27.12로 나타나며, 이는 투자자들이 해당 기업의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임을 시사한다. 또한 ROE는 -10.53%로, 이는 자회사 자본을 활용한 수익 창출이 부정적인 상태임을 보여준다. 이어 상승률 2위 유비벨록스(089850)는 현재가 9,320원으로 주가가 29.99% 상한가를 기록하고 있다. 상승률 3위 대호특수강(021040)은 현재 1,675원으로 29.95% 폭등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 상승률 4위 엑스큐어(070300)는 29.79% 폭등하며 5,010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승률 5위 대호특수강우(021045)는 29.63%의 폭등세를 타고 5,140원에 거래되고 있다. 6위 한싹(430690)은 현재가 6,810원으로 28.49% 폭등 중이다. 7위 자이글(234920)은 현재가 5,420원으로 28.28% 폭등 중이다. 8위 모니터랩(434480)은 현재가 5,220원으로 20.83% 급등 중이다. 9위 샌즈랩(411080)은 현재가 9,680원으로 18.92% 급등 중이다. 10위 한솔인티큐브(070590)는 현재가 2,380원으로 16.38% 급등 중이다. 이밖에도 지니언스(263860) ▲16.25%, 예스티(122640) ▲16.08%, 드림시큐리티(203650) ▲15.07%, 싸이버원(356890) ▲14.53%, 더블유씨피(393890) ▲13.99%, 아이즈비전(031310) ▲13.35%, 이루온(065440) ▲12.97%, 비에이치아이(083650) ▲12.61%, 아톤(158430) ▲12.50%, 하이퍼코퍼레이션(065650) ▲11.90% 등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개장 직후 인기 검색 종목 20選

    [서울데이터랩]개장 직후 인기 검색 종목 20選

    오늘(4월 28일) 오전 9시에 개장한 국내 증시에서 한화오션(042660)가 개장 5분 만에 9.75%의 검색비율을 기록하며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한화오션의 현재가는 93,9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4.45% 상승하며 주가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거래량은 595,289주를 기록했다. 이어 삼성전자(005930)가 검색비율 2위를 기록하며 -0.36%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검색비율 3위의 SK하이닉스(000660)는 -0.43% 하락하며 출발했다. 검색비율 4위 에이비엘바이오(298380)는 개장 초반부터 3.04%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검색비율 5위 두산에너빌리티(034020)는 1.25% 상승하며 순조롭게 출발하고 있다. 6위 한화솔루션(009830)은 등락률 1.68%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7위 코나아이(052400)는 12.46%의 급등세를 기록 중이다. 8위 삼성중공업(010140)은 0.95%로 큰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9위 SK텔레콤(017670)은 -4.67% 하락하며 출발했다. 10위 신라젠(215600)은 0.91% 상승하며 시동을 거는 모습이다. 이밖에도 드림시큐리티(203650) ▲16.57%, 비에이치아이(083650) ▲8.49%, 한화엔진(082740) ▲3.68%, 에이비엘바이오 ▲3.04%, 카카오(035720) ▲0.92% 등이 많이 검색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단독]‘건진법사’ 지난해 1년간 200차례 경마장·강원랜드서 통화

    [단독]‘건진법사’ 지난해 1년간 200차례 경마장·강원랜드서 통화

    무속인 ‘건진법사’ 전성배(65)씨의 정치권 로비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전씨가 지난해 1년간 경기 과천의 경마장과 강원랜드에서 주로 통화한 사실을 파악했다. 서울남부지검 가상자산범죄합동수사단(단장 박건욱)은 이를 토대로 전씨가 기도비 명목으로 받은 금품의 사용처를 수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8일 서울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이른바 ‘법사폰’으로 불리는 전씨의 휴대전화 발신기지국 위치를 분석한 검찰은 전씨가 그동안 기도비 명목으로 받은 돈을 경마장과 강원랜드에서 사용했다고 의심하고 있다. 전씨는 2023년 12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서울 서초구 양재동 자택(435건) 외에 경기 과천시 경마장(100건)과 강원 정선군 사북읍 강원랜드(110건)에서 가장 많이 통화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전씨 측 변호인은 “현재 진행 중인 재판(2018년 지방선거 관련 정치자금법 위반)과 관련된 사안 외에는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전씨는 지난해 1월 22일 하루에만 윤한홍 국민의힘 의원과 6차례나 전화와 문자를 주고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날은 윤 의원이 당시 간사로 있던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더불어민주당이 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수수 의혹’에 관해 현안 질의를 요구한 날이기도 하다. 검찰은 두 사람이 1년간 61차례 전화와 문자를 주고받은 것을 감안하면, 당시 특별한 문제를 상의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의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윤 의원은 전씨에게 인사 청탁을 받았다는 의혹을 부인했다. 전씨 측 변호인도 지난해 12월 법원에 제출한 의견서에서 ‘윤 의원에게 영천시장 공천을 받아달라는 취지로 부탁할 정도의 사이가 아니다’고 밝힌 바 있다. 검찰은 전씨 외에도 전씨의 부인, 자녀, 처남 등 일가를 출국금지하는 등 수사망을 확대하고 있다. 검찰은 이미 전씨 아내 명의 계좌로 2018년 지방선거 전후로 약 6억 4000만원 상당의 수표와 현금이 입금된 내역을 확보했다. 또 전씨가 대통령실 행정관 자리를 두고 처남인 김모(56)씨가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는 의미로 ‘찰리(김씨를 지칭) 몫’이라고 언급한 점도 주목하고 있다. 김씨는 자신에 대한 수사가 본격화한 올해 1월 휴대전화를 바꾸는 등 증거인멸을 시도했다고 검찰은 보고 있다. 전씨가 2022년 지방선거에서도 지자체 의원이나 지자체장 공천에 개입했다는 의혹에 대한 수사도 속도를 내고 있다. 검찰은 최근 전씨에게 청탁한 지자체 의원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 “교황 앞에서 부른 아베 마리아… 가수 활동 지표 됐죠”

    “교황 앞에서 부른 아베 마리아… 가수 활동 지표 됐죠”

    2023년 교황 알현, 음악 인생 변화‘평화의 노래 하라’ 메시지로 생각 “칸타레!”(이탈리아어로 ‘노래하라’는 뜻) 팝페라 테너 임형주(39)씨의 음악 인생은 2023년 몽골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이 이야기를 들은 이후 완전히 바뀌었다. 당시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열린 교황 집전 미사 폐막 행사 무대를 장식한 임씨는 다음날 몽골주교관 ‘비숍의 집’에서 뜻밖의 알현을 하다 줄리오 카치니의 ‘아베 마리아’를 무반주로 불렀다. 임씨는 27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그때 ‘칸타레’라는 교황님의 말을 들은 순간 ‘앞으로도 평화의 노래를 하라는 메시지를 주시는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며 “팝페라 테너로, 음악인으로 활동하며 잊지 않아야 할 지표가 됐다”고 말했다. 2021년 세례를 받기도 한 그는 “교황을 만난 건 인생을 통틀어 가장 큰 영광의 순간이었다”며 “노래가 끝난 이후 ‘브라보’라고 찬사를 보내 주셔서 어린아이처럼 기뻐했다”고 전했다. ‘아베 마리아’는 독창회 때면 늘 부르는 노래기도 했지만 ‘칸타레’에 응답한 이후부터는 노래가 주는 의미가 조금은 달라졌다. 임씨는 “(‘아베 마리아’라는 곡은) 겸손하고 낮은 자세에서 신께 드리는 기도, 그 자체가 됐다”고 했다. 교황이 선종한 지난 21일 밤 임씨는 그날을 떠올리며 기도하다 ‘칸타레’라는 제목으로 생애 첫 성가집을 내겠다는 결심까지 했다고 한다. 임씨의 첫 성가집 ‘칸타레’는 천주교가 2027년 주최하는 ‘서울 세계 청년대회’를 기념해 출시될 예정이다. 임씨는 올해 국내 최초로 ‘팝페라 하우스’를 서울 종로구에 열 계획이다. 1층은 공연장, 2층은 공연장과 갤러리, 3~4층은 임씨가 사는 집으로 구성된 음악과 집을 접목한 공간으로 설계할 예정이다. 임씨는 “이 분야의 선구자라는 평가에 부끄럽지 않게 팝페라를 부르는 후배들을 위한 공간을 만들고 싶다는 게 오랜 꿈이었다”며 “팝페라 하우스가 다 지어지고 난 뒤 첫 공연에서 부르는 첫 곡은 당연히 ‘아베 마리아’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 “봄꽃 혼란·식물의 경고… 수목원, 교과서 밖 교육 허브로 나선다”

    “봄꽃 혼란·식물의 경고… 수목원, 교과서 밖 교육 허브로 나선다”

    손연아 한국환경교육학회장정원, 이젠 지속 가능 발전의 쇼룸지식 공간 ‘식물원’ 역할도 재조명김주환 한국식물원수목원협회장자생식물 활용 맞춤 도시숲 조성생물다양성 보전은 생존의 문제임영석 국립수목원장환경교육·산림교육 융복합 시대식물계의 반란 미세 신호 읽어야천권필 한국과학기자협회 부회장미디어 ‘식물-경제-삶’ 연결 주목식물원, 인류 생존 교육 공간 진화기후위기와 생물다양성의 위기가 동시에 엄습한 시대, 식물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그릴 수 있을까. 오는 6월 열리는 세계식물원교육총회(ICEBG) D-50일을 맞아 지난 21일 국내 식물·환경 교육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식물이 보내는 경고와 교육·연구 중심으로서 수목원·식물원의 역할 확장을 논의했다. 동아시아 최초로 한국에서 열리는 이번 총회를 계기로 수목원과 식물원이 단순한 관람 공간을 넘어 기후위기 대응 지혜를 가르치는 교육의 중심이 돼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임영석 국립수목원장, 손연아 한국환경교육학회장, 김주환 한국식물원수목원협회장, 천권필 한국과학기자협회 부회장이 참석했다. -지난해 서울신문은 ‘계절실종, 식물은 답을 알고 있다’ 기획기사로 이상기후의 전 지구적 영향을 조명했다. 올해 들어서도 4월의 폭설, 이상한파 뒤 기온 급상승으로 봄꽃의 혼란이 더 심화된 모습이다. 임영석 원장 자연이 보내는 SOS가 분명해지고 있다. 봄꽃이 피었다가 과거 경험해 보지 못한 눈을 맞아 고개를 숙이는 일들이 일어났다. 침엽수 등에서 가지마름과 같은 피해 현상이 광범위하게 발생해 전국 수목원 사례를 수집하며 원인을 파악 중이다. 병리학적인 조사와 해부학적인 조사를 병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천권필 부회장 식물에 대한 관심이 언론에서도 크게 높아지고 있다. 봄꽃, 가을 단풍 같은 계절 현상이 과거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나아가 식물은 경제지표로도 부상했다. 개화 시기 변동은 농산물 가격이나 물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맥락에서다. 식물이 과거 생장 습관에서 벗어나는 게 경제 그리고 우리의 삶에 밀접하게 연결된다는 점을 미디어가 주목하고 있다. -식물들이 보내는 이 경고신호의 원인은 무엇인가. 김주환 협회장 기후위기의 직접적인 결과다. 식물은 온도와 빛의 미세한 변화에 반응하지만 환경 변화에 완전히 적응하기까지 매우 긴 시간이 필요하다. 식물의 생존에 결정적인 것은 가을의 최고기온, 봄이 오기 전 땅이 어는 온도인데 기후변화로 이 패턴이 완전히 교란되고 있다. 식물계는 이미 기후 임계점에 가까워졌고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빠르게 변하고 있다. 임 원장 ‘식물계의 반란’ 양상이 뚜렷하다. 지난해 가을에 벚꽃이 피어 화제가 된 일이 있었다. 국립수목원에서도 36종의 식물에서 ‘가을 불시개화’가 나타났다. 2009년 이후 관찰 데이터를 보면 과거에는 순차적으로 피던 꽃들이 동시다발적으로 피는 ‘꽃의 대혼란’ 양상도 뚜렷하다. 이런 현상들이 급진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우려스럽다. 식물이 보내는 미세한 신호를 읽어야 인류의 미래도 예측할 수 있다. -식물이 스스로의 변화를 통해 우리에게 경각심을 주자 여러 지자체가 너도나도 도시 정원을 가꾸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도시 녹지는 열섬 현상을 완화시키고 미세먼지를 흡수하는 한편 탄소 저장고 역할을 하고 시민들의 정서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무엇보다 보기에 좋다. 임 원장 화려한 디스플레이 정원도 아름다운 느낌을 줘 좋지만 다양한 생명체가 찾아오는 생물다양성 정원에도 관심을 가지면 좋겠다. 국립수목원은 지자체와 협력해 모델정원을 조성한다. 이 모델정원의 성공을 ‘처음 찾아온 생물이 다시 찾아오느냐’로 측정해야 한다. 일회성 경관이 아닌 생태계 회복력을 높이는 정원이 지속 가능한 정원이다. 김 협회장 오늘날 정원은 ‘생태계 인프라’로 재정의돼야 한다. 유럽처럼 도시-교외-자연을 연결하는 생태 네트워크로 인식해야 한다. 도시에는 공중보건에 기여하는 식물을, 교외에는 식용 가능한 열매 식물을 심는 전략이 필요하다. 더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버스 정류장 위에 작은 녹지를 조성해 인왕산, 남산 등 주변 산의 자생식물을 심는 ‘버스스톱 그린 루프’가 있다. 새들이 정류장을 ‘도심 속 식물 휴게소’로 활용해 열매를 먹고 씨앗을 퍼뜨리는 생태 연결고리를 만드는 것이다. 연중 한철 피는 꽃을 보려고 같은 종류의 나무를 전국에 도배하듯 심는 건 지역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탄소 저감 강박증’의 결과다. 자생식물을 활용하는 주변 맞춤형 도시숲 조성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손연아 학회장 정원이 ‘지속 가능 발전의 쇼룸’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17개 항목을 지역별 정원 테마로 구현하면 어떨까. 어떤 지역에선 건강과 웰빙을 테마로, 다른 지역에선 양질의 교육을 주제로 꾸미면 정원이 SDGs를 직관적으로 체험하는 공간이 돼 교육과 관광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정원과 녹지가 기후위기 대응에 이렇게 중요한 역할을 하고 식물이 보내는 경고신호가 분명한 지금 식물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은 어떻게 이뤄지고 있나. 손 학회장 아쉽게도 우리 교육은 ‘식물맹’을 양산하고 있다. 초등학교에서 ‘식물의 한살이’를 가르치지만 관찰기록에 치중돼 있고 생명체로서의 가치나 생태계 내 역할에 관한 관심은 적다. 중고등학교에 가면 광합성을 화학 공식처럼 암기하고 식물을 분류학적 대상으로만 여긴다. 학생들이 식물이 어떻게 주변과 소통하는지와 같은 생태적 맥락이나 생명체로서의 특성을 경험하거나 식물이 다른 동물이나 인간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이해할 기회가 거의 없다. 식물은 인간의 도구가 아니라 생태계의 주체임을 가르치는 패러다임 전환이 시급하다. 임 원장 교과서에서 물관, 체관은 가르치지만 살아 있는 식물의 생명력은 간과되기도 한다. 지난해 수목원에서 121년 된 오리나무가 쓰러졌다. 하지만 나무 외곽부의 절반이 아직 연결된 걸 보고 베어 내는 대신 부러진 부분만 방부 처리를 하고 나무를 가꿨다. 기적처럼 새잎이 나고 하늘로 다시 가지를 뻗어 냈다. 지금 이 나무는 ‘소원나무’로 불리고 주변에 조성한 작은 정원은 치유정원으로 입소문이 났다. 이런 생명의 지혜를 알아야 한다. 김 협회장 정답 찾기에 집중하는 우리 교육이 살아 있는 식물의 복잡성을 교과서에 욱여넣었다. 토마토는 과일인가, 채소인가. 한국인들은 나무에서 열리지 않는 한해살이라며 “채소”라고 답하지만 사실 서구에서는 식물학적으로 꽃이 핀 뒤 맺히는 열매라는 면에서 과일로 분류하기도 한다. 십몇 년 전 학회에서 이 혼란을 해결하려고 했지만 입시 위주 교육에서 이렇게 복잡다단한 이야기를 다루기는 힘들었다. 결국 ‘토마토 분류의 문제는 시험에 출제하지 말아 달라’는 요청으로 논쟁이 끝이 났다. -식물이 보내는 기후 경고를 수용할 교육이 새롭게 필요한 시점이다. 6월 총회는 어떤 역할을 하게 될까. 손 학회장 ‘인간이 자연을 소유한다’는 관점에서 ‘인간도 자연의 일부’라는 관점으로 전환하는 것이 미래교육의 핵심이 돼야 한다. 마침 고교학점제로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이 늘면서 수목원이 교육의 새 무대가 될 여지가 커졌다. 총회는 지식 공간으로서 식물원의 역할을 재조명할 계기가 될 것이다. 임 원장 환경교육과 산림교육의 벽이 무너지는 융복합 시대다. 나아가 우주 식물, 식물 외교까지 교육 스펙트럼은 확장 중이다. 식물은 생태맹을 치유하는 현장 교육의 허브가 될 것이다. 김 협회장 생물다양성 보전은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코로나19는 인간, 동물, 식물 간 질병의 연결을 보여 준 리트머스시험지였다. 총회는 다양성의 가치를 재확인하는 범사회적 합의의 장이 될 것이다. 천 부회장 식물원이 ‘인생샷’ 명소가 아닌 ‘인류 생존의 열쇠’를 가르치는 교육 공간으로 진화해야 한다. 미디어도 부처의 칸막이를 넘어 식물-경제-기후의 연결고리를 심층 보도하기 위한 노력을 늘려 갈 것이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