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광장] 일산 호수공원의 야생초 화원/황진선 논설위원
집에서 걸어서 20여분 거리인 일산 호수공원에 1주일에 한두번 씩은 가는데 야생초 화원은 꼭 둘러보는 편이다. 그런데 참나리, 쑥부쟁이, 개미취, 구절초 등이 꽃을 피웠을 때를 제외하고는 즐겁지만은 않았다. 호수공원 개장과 함께 북쪽 끄트머리 자연학습원 안에 400㎡의 야생초 화원이 들어섰지만 그동안 방치되다시피 했기 때문이다. 물론 예산 탓이었을 것이다.
그러다가 지난봄, 야생초 화원이 산뜻하게 단장된 것을 보고 환호하지 않을 수 없었다. 새 꽃밭에는 마을에 피는 식물, 약이 되는 식물, 나리와 붓꽃 가족, 덩굴 식물, 향이 나는 식물, 제비꽃 가족, 국화 가족, 벼와 사초 가족으로 나누어 모두 117종을 심었다. 야생초마다 이름과 간단한 설명을 담은, 나무로 만든 고급스러운 팻말도 세웠다. 마을에 피는 식물만 소개하면 양지꽃, 뻐꾹채, 뱀딸기, 쥐오줌풀, 노루오줌, 매발톱꽃, 패랭이꽃, 엉겅퀴, 물레나물, 금낭화, 까치수염이다.
사실 지난 3,4년간 야생초 꽃밭을 서성대면서 공원을 관리하는 분들에게 섭섭했다. 호수공원에서 해마다 4월이면 고양꽃전시회를,3년 주기로는 세계꽃박람회를 열었지만, 야생초는 늘 뒷전이었다. 꽃전시회와 박람회는 화려하고 보기 좋은 외국 꽃들로만 채워졌다. 그리고 장미정원과 주변에는 고양시의 상징인 장미 52종 1만여그루를 심어 놓았다. 그래서 공원 관리자들도 외국꽃 서너번 들여다볼 때 야생초도 한번 들여다봐주면 어디 덧나나 하고 생각한 것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최근에는 수목원과 식물원을 찾는 발길이 부쩍 늘었지만 일반인이 우리 꽃과 나무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한 것은 채 10년도 안 된 것 같다. 자생식물이 많은 것으로 유명한 한택식물원이 공식 개장한 것이 2002년 4월이다. 아마 그 무렵부터 우리 삶의 조건인 식물과 공생해야 한다는 생태주의적인 인식이 퍼지기 시작한 것 같다. 그것은 단일 문화와 단작(單作)을 강요하는 세계화와 글로벌화에 맞서, 문화적·생물학적 종다양성을 추구해온 풀뿌리운동가들의 노력 덕분일 것이다. 호수공원을 산책하면서 바로 이곳이 장미로 상징되는 단작을 추진하려는 세계화 세력과 다양한 야생초로 상징되는 풀뿌리 지역세력이 충돌하는 현장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한 적도 있다. 하지만 야생초 꽃밭은 장미정원에 비해 너무 작고 초라해 안타깝다.
야생화는 대부분 작고, 피어 있는 기간이 아 사람들의 관심을 오래 끌지 못한다. 그러나 원예 식물이 아닌 진짜 토착식물이 우리를 지켜준다고 생각하면, 야생화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제 생명의 지속성은 궁극적으로 종 다양성에 의존한다는 명제를 모르는 사람은 없다.
외국의 식물원들은 야생식물요리법을 가르치고, 자연보호단체 회원들에게 전문적인 교육을 하는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 두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그렇지 못하다. 그래서 우선 1주일에 한두번이라도 수목원과 식물원을 불문하고 야생초에 대해 해설하는 시간을 만들면 어떨까 생각해 본다. 최근에 숲 해설가들이 인기를 끌 듯이 야생초 해설가들도 인기를 모을수 있을 것 같다. 야생초 해설을 희망하는 자원봉사자도 있을 수 있다. 야생초를 돌보는 것이 지역공동체를 보존하고, 삶을 의미있게 유지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해설가는 물론 해설을 듣는 사람도 저절로 기쁜 마음이 우러날 것 같다. 야생초, 이제 제대로 대접해야 한다.
황진선 논설위원 jshw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