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40만 등 400만명 ‘미러클 서울’ 만끽
서울의 간판 축제인 ‘하이서울 페스티벌 2007’이 6일 폐막제를 끝으로 10일간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외국인 40만명을 포함해 400만명 남짓이 서울시내 곳곳에서 축제를 즐긴 것으로 추산된다. 올해 처음 기획한 ‘제1회 세계줄타기 대회’‘제1회 세계DJ페스티벌’이 성공을 거뒀다. 한강시민공원 양화·망원지구를 가로지르는 1㎞ 한강줄타기에는 9개 나라 18명의 선수가 출전, 관람객 5만명이 사흘간 숨죽이고 지켜봤다. 중국의 우지압둘라(20)선수가 11분22초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영화 ‘왕의 남자’에서 감우성(광대 장생역)을 대역한 권원태(40)씨는 17분 6초로 9위에 머물렀다. 한강시민공원 난지구에서 열린 DJ페스티벌에도 9만명이 참여, 젊음을 발산했다.●한강 프로그램에 인파 몰려 한강물결을 피부로 느낄 수 있는 ‘미러클 수중다리’와 ‘한강 횡단 수영대회’도 인기를 모았다. 철제 수중다리(300m)가 수면에 25㎝ 가라앉게 설치돼 어린이들이 맨발로 첨벙첨벙 뛰어다녔다. 조선시대 강 건너기를 재현한 ‘충효의 배다리’도 1㎞ 떨어진 곳에 마련돼 인산인해를 이뤘다. 6일 한강시민공원 잠실·뚝섬지구에서는 한강 1.6㎞를 건너는 수영대회가 열렸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완주한 선수들에게 수건을 덮어주며 격려했다. 서울의 역사를 되살린 ‘서울역사재현’행사도 호평을 받았다. 지난달 27∼29일 종로구 재동초교 운동장이 조선시대 마을, 포도청, 장터로 꾸며졌다. 떡메치기, 새끼꼬기, 물레돌리기, 곤장, 감옥 등 조선시대 생활상을 체험할 수 있었다. ‘정조 반차 재현’과 ‘서울역사 퍼레이드’에 관심이 집중됐다. 지난달 29일 조선시대 복장을 한 930여명과 말 120필이 1795년, 정조가 혜경궁 홍씨의 회갑잔치를 맞아 아버지 사도세자가 묻힌 경기 화성(현재 수원)으로 행차한 ‘정조반차도’를 도심 퍼레이드로 되살렸다. 6일에는 역사 속 위인들이 등장하는 서울역사 퍼레이드가 종묘∼종로3가∼광화문사거리∼서울광장(2.5㎞)에서 펼쳐졌다. 연개소문, 김유신, 계백, 장보고, 신사임당, 명성황후, 퇴계 이황, 세종대왕, 류관순 열사 등으로 분장한 위인들이 박수갈채를 받았다.●국제축제, 보완할 점 적잖아 서울시는 서울광장과 청계천을 중심으로 펼쳐졌던 축제무대를 한강과 도심 고궁으로 확대했다. 축제기간을 중국의 노동절, 일본의 골든위크 시기와 맞추면서 일정을 예년에 2배인 10일로 늘렸다.5회째를 맞은 하이서울 페스티벌을 국제적인 축제로 성장시키기 위한 야심찬 시도였다. 그러나 결과는 시원찮다. 축제 참가인원(400만명)은 지난해(125만명)보다 크게 늘었지만 해외 관광객은 눈에 띄지 않았다. 한강에 행사가 집중되면서 도심이 비어 축제 분위기를 돋우는 데 미흡했다는 지적이다. 해외 현지 설명회도 최소 6개월 전에 이뤄져야 했지만 충분하지 않았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서울광장에서 열린 폐막식에서 “올해 축제를 평가·분석해 내년에는 시민에게 다가가고, 외국관광객이 많이 찾아오는 세계적인 명품축제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정은주기자 eju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