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광장] 아파트도 정치다? /오승호 논설위원
국토해양부가 건설 규제 완화 방침을 밝힌 이후 정부가 방향을 제대로 잡은 것인지, 궁금증이 여전히 남아 있다. 서울 강남지역 등에서 리모델링을 포기하기로 했다거나, 재건축 아파트 매물을 거둬들이는 등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소유하고 있는 아파트 값이 오를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일 것이다. 반면 같은 강남에 살고 있으면서도 걱정이 앞서는 이들도 많다. 아파트 값이 다시 뛸 텐데, 섣부른 규제 완화는 위험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아파트 분양가 상한제와 재건축 소형 및 임대아파트 비율 완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 부동산 정책에 밝거나 업무 연관성이 많은 교수 2명과 전·현직 한국은행 고위 간부, 민간경제연구소 간부, 시중 은행장 등 6명에게 물어 봤다. 우연의 일치인지는 몰라도 규제 완화 내용이나 시기에 대해 찬·반이 반반씩 갈렸다.
찬성하는 쪽의 의견은 이렇다. 부동산 시장이 소강 상태이고, 지방의 미분양 아파트가 늘면서 중소 건설사들이 자꾸 도산한다는 점을 들었다. 재건축을 묶어 두면 공급 부족으로 나중에 아파트 값이 오를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른바 버블 세븐 지역 아파트 값이 떨어진 점도 제시했다. 한 취재원은 “시중에 자금이 풍부한 것이 유일한 에너지이긴 하지만,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는 분양가 인상이 아파트 값 상승으로 이어지긴 어려울 것”이라고 진단했다. 분양가가 낮아지면 아파트 질(質)이 떨어지는 등 가격 규제로 인한 왜곡이 있게 마련이라는 의견도 제시한다.
이와는 달리 정반대 입장을 보인 이들은 우선 주택 수요가 줄고, 공급 과잉 상태인 점을 이유로 든다. 판교 등에 이어 오는 2010년엔 2기 신도시가 본격 공급되는데, 공급 부족으로 가격 상승을 우려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맞지 않다는 것이다. 규제 완화로 주택 공급을 활성화하겠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지적한다. 이뿐이 아니다. 그러잖아도 분양가가 지나치게 높다는 비판이 있는데, 분양가가 더 오르면 주택 가격 안정에 결코 도움이 안 된다는 시각이다. 어떻게 하면 싼 값에 주택을 공급할 수 있을지 지혜를 모아야 하지, 인위적으로 수요를 창출해 집 값을 올리려 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도 나왔다. 모 은행장은 “미분양 아파트 문제부터 푸는 것이 순리 아니냐.”고 되물었다.
이렇듯 의견이 양분된 가운데서도 하나의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지적의 키 워드는 ‘감성적’ 접근이었다. 한 교수는 “정책은 장기적인 효과를 노리고 추진하는 것”이라면서 찬성론을 폈다. 그러면서 감성을 자극하거나, 감성에 의존해서 정책을 평가하면 안 된다고 덧붙였다. 아파트 가격 규제를 풀어야 하는 정책 방향은 맞지만, 관철하려면 정치 지도력이 필요한데 이명박 대통령은 그런 것이 없다는 것이다. 반대론을 피력한 한 인사는 “비강남권의 대다수 주민들은 강남 거주자들은 다 부자라고 생각한다.”면서 “노무현 정부 때는 강남을 타깃으로 삼았는데, 부동산 정책에 감성적인 요소는 배제되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경제난을 극복하기도 벅찬데 독도 문제, 금강산 피격 사건 등으로 나라가 어지럽다. 전 정권 때 도입된 부동산 정책에 대한 반감이나 강남 집 값이 떨어지는 것만을 의식해 조급증을 보여선 안 된다. 분양가와 재건축 규제 완화가 시장 원리를 넘어 특정 계층을 껴안으려는 정치성이 가미된 건 아닌지, 향후 여론 수렴을 통해 명확히 가려야 한다.
오승호 논설위원 osh@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