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기진정”… 전국땅값 안정세/4ㆍ13조치뒤 부동산경기 급속 냉각
◎수도권 다세대 주택용지만 일부거래/개발예정지도 1∼3% 올라 “보합세”/건설부,지가ㆍ거래 동향조사
과열현상을 보였던 부동산투기가 진정되면서 전국의 땅값이 전반적으로 안정세로 돌아섰다.
건설부는 21일 「4ㆍ13부동산투기억제대책」이 발표된 이후 5월7일까지 전국의 땅값 및 거래동향을 조사한 결과 전국적으로 투기적 거래가 동결되면서 토지시장이 급격히 냉각되고 있다고 밝혔다.
조사대상 17개 지역 가운데 광주군 퇴촌면,서산군 지곡면,군산시 개정동,감안군 칠서면,남제주군 대정읍의 논ㆍ밭과 이천군 이천읍,무주군 설천면,군위군 악계면,청송군 청송읍,북제주군 조천읍의 임야 등 10개지역은 이 기간중 전혀 땅값이 오르지 않았다. 또 서귀포시 서호동의 대지는 이 기간중 땅값 상승률이 0.1%에 그쳤다.
이들 지역은 올들어 지난 4월13일까지 석달여 사이에는 땅값이 10%에서 17.6%까지 상승했었다.
강화군 길상면,동해시 발한동,고성군 토성면,홍천군 홍천읍,제원군 청풍면,목포시 용해동 등 6개지역의 논ㆍ밭과 대지ㆍ임야 등은 1.3∼3.8%올랐으나 올들어 4월13일까지의 상승률 6.7∼17.6%에 비해서는 땅값 상승률이 둔화됐다.
건설부는 이들 지역이 개발예정지역이거나 현재 도시계획사업이 시행되고 있는 지역이어서 개발기대심리 등으로 4월말까지 약간의 상승세를 보였으나 토지거래허가제가 확대 실시된 4월말을 고비로 5월들어서는 오름세를 멈추고 실제거래도 거의 형성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주택전월세가격 상승 및 수요증가로 택지가격이 불안정하고 북방정책 관련지역과 신도시건설 주변지역 등의 땅값이 상승했으나 「4ㆍ13」대책 이후 다세대주택 건설용지를 중심으로 거래가 다소 이루어지고 있을 뿐 거의 중단상태이며 지가도 안정보합세를 유지했다.
영동권은 동해시 발한동의 대지가격이 평당 8만1천원으로 1.3%,고성군 토성면의 임야가 평당 2만5백원으로 2.1%,홍천군 홍천읍의 임야가 평당 2만3천5백원으로 2.2%씩 올랐으나 실거래는 없는 상태에서 호가만 오름세를 보였다.
충남북지역은 제원군 청풍면의 임야가 평당 5천4백원으로 3.8%올랐고 서산군 지곡면의 밭이 평당 2만2천원으로 보합세를 보였다. 전남북지역은 군산시 개정동의 논이 평당 20만원,무주군 설천면의 임야가 평당 6천6백원으로 보합세를 보였으나 목포시 용해동의 임야는 평당 9만1천5백원으로 1.6% 상승했다.
경남북지역은 군위군 악계면의 임야가 평당 4천원,청송군 청송읍의 임야가 평당 1천원,감안군 칠서면의 논이 평당 11만원으로 모두 보합세를 보였다.
제주지역은 북제주군 조천읍의 임야가 평당 1만원,남제주군 대정읍의 논밭이 평당 3만6천원으로 보합세를 보였고 서귀포시 서호동의 대지가 평당 44만원으로 0.1% 오르는데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