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교과서 실생활 위주 개편/국어화법·영어회화·실용수학 신설
◎96학년도 시행 교육과정개정안 확정
오는 96학년도부터 사용될 고등학교교과서의 과목별 세부개편내용이 확정됐다.
교육부가 11일 손질을 마친 「고등학교 교육과정개정안」(전문 및 보통교과)에 따르면 지금까지의 이론,공식,법칙등 단편적인 기초지식 습득에 치우쳤던 고교교과가 실생활에 직접 활용가능한 내용으로 전면 개편된다.
이같은 원칙에 따라 모든 고교교과서는 추상적인 내용에서 구체적인 사례중심으로 전면 교체되고 일상생활에서 직접 필요한 지식을 다루는 과목들이 대거 신설된다.
교육부는 이 개정안을 오는 30일 공시할 계획이다.이로써 지난 89년부터 추진해온 제6차 초·중·고교 교육과정개정작업은 모두 마무리 됐다.
교과목별 주요 개정내용을 보면 국어의 경우 화법과목을 신설,대화,연설,토의와 토론등 화법의 유형과 목적,대상에 따라 말하는 절차,내용 선정,표현등을 공부하게 된다.
종전의 국어 교과서의 본문도 시,수필,소설등 작품성위주의 글에서 도덕성회복,환경,경제,보건등 생활주변의 문제를 다룬 글로 대체된다.
영어는 전적으로 독해력 위주로 구성됐던 영어 Ⅰ,영어 Ⅱ이외에 인문계 고교생을 대상으로 한 영어회화와 실업계 고교생을 위한 실무영어과목을 신설,고교 졸업생이 1천5백단어 범위내에서 정치,역사,지리등을 화제로 외국인과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외국어 구사능력을 높이는데 중점을 두기로 했다.
수업방식도 종전의 교사중심에서 실생활과 유사한 모의상황을 선정,학생들의 참여로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교과서가 편찬된다.
수학의 경우 실용수학을 신설,계산기와 컴퓨터,수열을 이용한 은행등 금융기관의 이자율 계산법등 수학의 기초적인 개념과 원리및 법칙을 활용하여 실용적인 문제를 수리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했다.
사회과에서는 공통사회 과목을 새로 만들어 사회적·지리적·역사적 흐름등을 통합적으로 구성해서 우리가 직면한 자원,도시화,산업와 환경,통일,경제윤리,진로문제등을 구체적으로 다루도록 했다.
고교생들의 비인기 과목인 과학과는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학습동기를 촉발시키기위해 학습수준이 낮은 공통과목을 신설하고,일기도의 작성과정과 읽는 법을 지구과학과목에 포함시키는등 생활과학내용을 크게 보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