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 ‘ 해명 돌발영상’ 삭제 논란
지난 5일 ‘삼성 떡값’ 로비 명단 공개 이전에 열린 청와대측의 사전해명 기자회견을 담은 YTN ‘돌발영상’이 삭제돼 논란이 일고 있다.
7일 방송된 이 돌발영상이 몇 시간 만에 YTN 홈페이지는 물론 포털 사이트에서도 삭제되자 그 배경을 놓고 논란이 벌어지고 있는 것. 사태의 발단은 7일 오후 YTN이 돌발영상 프로그램을 통해, 이틀 전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의 떡값 회견에 대한 청와대의 논평이 사제단의 회견 시각보다 1시간 먼저 나온 사실을 ‘미래 일을 예측해 미리 막는다.’는 내용의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 빗대어 보도한 데서 비롯됐다.
이 같은 사전 브리핑은 마감시간 지체를 염려한 청와대 방송기자들이 청와대 측에 먼저 요청해 이뤄지게 된 것이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사제단 발표 이후 보도’라는 조건으로 “자체조사 결과, 거론된 분들이 떡값을 받았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는 내용의 해명 성명을 냈고, 이 대변인과 기자단은 사전 브리핑을 ‘비보도(off)’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양측의 이 같은 합의는 YTN 돌발영상이 오후 2시40분 사전 브리핑 내용을 보도하면서 깨졌다. 이후 돌발영상은 오후 6시40분에 재방송된 뒤 자취를 감췄다.YTN 홈페이지는 물론 포털사이트 네이버와 다음에서도 사라졌다. 현재 해외 사이트 ‘유튜브’를 통해서만 볼 수 있을 뿐이다.
이에 대해 청와대 대변인실은 “기자들의 편의를 위해 사전에 브리핑한 것”이라며 “청와대와 기자단 사이의 ‘신사협정’이 깨진 것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을 뿐 삭제를 요구한 적은 없다.”고 밝혔다.YTN 홍상표 보도국장도 “청와대측에서 문제제기가 있었지만, 삭제는 자체 판단에 따라 행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YTN 기자협회 지회와 노조 공정방송추진위원회는 10일 저녁 회의를 열고 “해당 영상이 신의성실의 원칙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렸다. 현덕수 YTN 노조위원장은 “동영상 삭제는 보도국장의 판단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돌발영상은 어떤 형태로든 원상복구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청와대 출입기자단 운영위원회는 YTN 취재기자에 대해 “돌발영상이 백 브리핑(기자들과의 비공식적인 질의응답) 실명 비보도 원칙과 상호 신의 등을 위배한 것으로 간주, 엄중 경고 조치를 내린다.”며 3일간(10∼12일) 춘추관 출입금지 징계 조치를 내렸다. 그러나 이번 사태와 관련,‘신종 언론통제’가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편의에 따라 관행적으로 운영되는 사전 브리핑제와 청와대 논평 내용을 제대로 검증하지 않은 언론에 대한 비판도 만만치 않다. 시사평론가 김종배씨는 “언론이 편의적인 취재·보도 관행에 반론을 제기하지 않고, 청와대 인사검증을 재검증하려는 의지를 보이지 않은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강아연기자 arete@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