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 핵심 지배구조 개선은 빠져
농협이 “금융 해서 몇 조원씩 벌어 사고나 치고 있다.”는 이명박 대통령의 질책에 따라 인적 쇄신을 포함한 고강도 구조조정에 나서기로 했다.특히 신용사업부문을 중앙회로부터 분리,별도의 금융지주회사를 설립하기로 했다.그러나 농협중앙회 회장의 사업별 대표이사 추천권 독점 등 농협 개혁의 핵심인 지배구조 개선은 쏙 빠져 있어 구조개혁안으로는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농협은 4일 각 사업부문별 대표이사들이 참석하는 긴급대책회의를 갖고 “기존 틀을 깨는 고강도 구조조정을 신속하게 추진하고,세부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비상경영위원회를 5일 개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논의된 구조조정 방안의 골자는 ▲지주회사제 도입을 통한 지배구조혁신 ▲인적쇄신을 통한 구조조정 ▲불요불급한 자산매각 ▲경제사업 구조조정 통해 자본 확충,산지유통 활성화 집중 투자 등이다.
눈길이 쏠리는 내용은 신용사업부문 금융지주회사 설립.현재 중앙회 산하의 신용사업 분야를 분리해 금융지주회사로 만들고,그 밑에 은행과 보험,자산관리 쪽을 자회사로 둔다는 것이다.
지난해 발표된 신경(신용·경제 사업)분리 안에 따라 독립되는 금융 부문의 경쟁력 확충을 위해 최근 금융권의 추세인 지주회사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이다.
또한 중앙본부 직원을 20% 감축하고 이들을 일선에 배치해 현장 중심의 영업력 강화를 꾀하기로 했다.<서울신문 10월30일자 17면 참조>
그러나 농협의 쇄신안이 당초 기대에 못 미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농협이 관치에서 벗어난 1988년 이후 1~3대 회장이 모두 구속된 것은 회장이 전권을 휘두를 수 있는 지배구조에 뿌리를 두고 있다.이 대통령이 농협을 강도 높게 질책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그러나 이번 쇄신안에는 이에 대한 내용이 빠져 있다.
중앙회 회장의 법적 지위는 2005년 농협법 개정으로 비상임으로 격하되고,구체적 업무 결재권 등은 부문별 대표에게 넘어가 있지만 회장은 여전히 각 사업별 대표이사와 사외이사 추천권을 갖고 있다.개혁안에 따라 금융 부문이 지주회사로 독립되더라도 회장이 인사권을 포기할지는 미지수다.이에 따라 중앙회 회장의 명예직화와 더불어 인사추천위원회 상설화와 감사위원회 독립기구화 등이 선결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