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사우스차이나모닝
    2025-11-12
    검색기록 지우기
  • 홍콩
    2025-11-12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3,503
  • 中 신민당 창당인사 10년형

    │베이징 박홍환특파원│공산당 일당독재를 규정하고 있는 중국에서 새로운 정당을 창당한 민주인사가 또 다시 중형에 처해졌다.중국 장쑤(江蘇)성 쑤첸(宿遷)시 중급인민법원이 다당제 도입 등을 주장하며 중국신민당을 창당한 난징(南京)사범대 전 교수 궈취안(郭泉·41)에게 지난 16일 ‘국가권력 전복’ 혐의를 적용, 징역 10년형을 선고했다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인권단체 등을 인용, 18일 보도했다.궈취안은 2007년 초 후진타오(胡錦濤) 주석 등 중국 지도자들에게 다당경선제와 군대의 국가귀속 등 민주체제 도입을 요구하는 온라인 공개서한을 보냈으며 같은 해 12월17일에는 직접 중국신민당을 창당했다. 그는 당원이 실직자와 농지를 잃은 농민, 퇴직 군인 등을 포함해 모두 4000만명에 이른다고 주장해왔다. 민주화 요구 이후 대학에서 해고된 그는 여러차례 구금됐으며 지난해 11월 공안 당국에 정식으로 체포됐다. 그의 부인 리징(李晶)은 ‘미국의 소리’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그는 단지 글을 쓰고 주장했을 뿐”이라며 “모든 사람이 민주구호를 외치는 시대에 어떻게 이런 판결이 나올 수 있느냐.”고 반문했다.중국에서는 최근들어 공산당 일당독재에 대한 불만세력이 크게 늘고 있으며 정치적 불안을 우려한 중국 정부의 강경대응이 잇따르고 있다. 지난달 초에는 민주당을 결성하려던 반체제인사 셰창파(謝長發·58)에게 징역 13년형이 선고됐으며, 광둥(廣東)성 광저우(廣州)에서 활동하는 한 인권변호사가 최근 ‘일당 지배는 재앙’이라는 글이 적힌 티셔츠를 입고 등산하던 중 공안에 끌려가 고초를 겪기도 했다.stinger@seoul.co.kr
  • 알카에다 “중국과 성전 벌이자”

    │베이징 박홍환특파원│중국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의 위구르인과 전세계 무슬림들에게 중국에 대한 성전(聖戰·지하드)을 촉구하는 알카에다 고위 간부의 동영상이 공개됐다. 알카에다의 3인자로 알려진 아부 야히야 알 리비가 7일 아랍계 웹사이트에 공개된 20분 분량의 동영상에서 “위구르인들은 자신들의 종교에 진정으로 귀의해 전능하신 신의 길을 따라 성전을 준비하고, 중국인 침략자들에 대항해 무기를 들어 불의와 억압을 제거해야 한다.”며 성전을 촉구했다고 8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보도했다. 지난 7월5일 서북부 신장위구르자치구 수도 우루무치에서 위구르족과 한족간 충돌로 197명이 사망한 대규모 유혈사태가 발생한 이후 알카에다 핵심 지도자가 중국에 대한 성전을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알 리비는 동영상에서 “동(東)투르키스탄(신장위구르자치구)의 억압받고 상처입은 형제들을 최선을 다해 지원하는 것이 무슬림의 의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이슬람 무장세력이 1979년 아프간을 침공한 옛 소련 군대를 패퇴시킨 사실을 상기시킨 뒤 “무신론 국가(중국)는 멸망으로 치닫고 있으며 러시아 곰의 운명을 답습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알 리비는 중국이 무슬림을 억압하기 위해 사탄과 같은 행위를 저지르고 있으며 위구르인들을 다른 인종으로 대체하려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동영상은 7월 말~8월 초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우루무치 사태’ 이후 위구르 분리주의 단체인 투르키스탄이슬람당(TIP)과 알제리 무장단체인 ‘이슬람 북아프리카 알카에다’ 등이 중국인과 중국기업에 대한 보복테러를 경고한 바 있다. stinger@seoul.co.kr
  • 가짜 댓글 키우는 中공산당

    │베이징 박홍환특파원│우리나라에서도 정치 시즌만 되면 기승을 부리는 ‘인터넷 알바’, 즉 특정집단에 고용된 인터넷상의 ‘여론조작집단’이 중국에서도 화제가 되고 있다. 이른바 ‘우마오당(五毛黨)’. 중국에서 정치적으로 민감하거나 민족간 화합을 해치는 등의 글이 인터넷 사이트에 올라올 경우 즉각 반대 댓글을 올리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말이다. 우마오당은 2006년 초 안후이(安徽)성 선전부의 한 문건이 공개되면서 비롯됐다. ‘난창(南昌)·창사(長沙)·정저우(鄭州)의 선전문화 공작에 관한 연구 보고’라는 내용의 문건에는 2004년 10월부터 시작된 창사시 정부의 ‘인터넷평론원’ 운용 실태가 적혀 있었는데 시 정책을 옹호하는 댓글을 올리는 평론원들에게 월 600위안(약 10만 8000원)의 기본급과 댓글 1건당 5마오(0.5위안·약 90원)를 지급한 것으로 드러나 그때부터 ‘우마오당’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최근의 우마오당은 이 같은 ‘알바생’이 아닌 정부 및 기관의 공산당원 가운데 선발된 인재들이라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5일 보도했다. 중국 공산당 및 정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글들이 인터넷상에 유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부 당원들을 인터넷 평론원으로 배치했다. 허난(河南)성 정저우의 한 대학은 전체 교직원의 5% 정도를 뽑아 인터넷 평론원 역할을 맡긴 것으로 알려졌다. 우마오당은 단순히 댓글을 다는 역할에 머물지 않고 반체제적인 글을 삭제하거나 이런 글들을 올린 네티즌들을 당국에 고발하는 등 적극적인 행동에 나서기도 한다. 우마오당의 실체 및 규모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지지 않고 있지만 중국 전역에서 수십만명이 활동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stinger@seoul.co.kr
  • 홍콩선 또 염산테러

    │베이징 박홍환특파원│홍콩에서 또다시 ‘염산 테러’ 사건이 터졌다. 지난해 말부터 벌써 다섯번째이다. 염산병 투척 장소가 행인들이 붐비는 유명 쇼핑가여서 홍콩 주민들의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7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 홍콩 언론들에 따르면 이번 염산 테러는 지난 6일 오후 6시쯤 홍콩의 유명 쇼핑가인 몽콕(旺角)의 여성용품 전문 노점상 밀집지역에서 발생했다. 20대 남성이 노점상 부부와 다투다 가방에서 염산이 들어 있는 병을 꺼내 던져 행인 등 11명이 화상을 입었다. 염산병 2개를 던진 뒤 달아나던 범인은 마침 비번이던 경찰 2명에게 발견돼 격투 끝에 체포됐으며, 이 과정에서 범인은 나머지 한 개의 병을 던졌다. 홍콩 경찰은 이전 사건과의 연관성 등 범인의 여죄를 캐고 있으나 1차 조사 결과 동일범은 아닌 것으로 파악됐다. 홍콩에서는 이번 사건 외에 지난해 12월부터 잇따라 네 건의 염산 테러가 발생한 바 있다. 지난 6월8일 몽콕의 사이영초이(西洋菜) 거리 부근 한 건물에서 괴한이 던진 염산 병으로 24명이 화상을 입은 것을 비롯, 5월에도 비슷한 장소에서 2건의 염산 병 투척 사건이 발생해 40명이 다쳤고, 지난해 12월에도 비슷한 테러로 46명이 화상을 입었다. 홍콩 경찰은 발생 장소가 200m 이내로 인접한 데다 건물 아래로 투척하는 등 수법이 비슷하다는 점에서 동일범의 소행으로 보고, CCTV 설치 확대 등을 통해 추가범죄 방지와 범인 체포에 총력을 기울여왔다. stinger@seoul.co.kr
  • 中 우루무치 당서기·공안책임자 경질

    │베이징 박홍환특파원│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 수도 우루무치에서 횡행하고 있는 이른바 ‘주사기 테러’의 파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중국 정부는 ‘주사기 테러’와 이에 따른 한족들의 대규모 항의 시위 책임을 물어 5일 리즈(栗智) 우루무치시 당서기와 자치구 정부 공안책임자를 전격 경질했다.하지만 시민들은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원인 왕러취안(王樂泉) 신장자치구 당서기의 사퇴를 요구하고 있어 해임된 리즈 서기 등이 ‘희생양’에 불과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 홍콩 언론들은 6일 “건국60주년을 앞두고 중국 지도부가 왕 서기를 해임하기에는 정치적 부담이 매우 컸을 것”이라며 “아울러 ‘시민의 압력에 굴복했다’는 선례를 남기게 되는 등 다른 지방에 미치는 영향도 감안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시민들의 ‘주사기 테러’에 대한 공포도 쉽게 가시지 않고 있다. 우루무치에 급파된 인민해방군 조사팀은 5일 합동기자회견에서 “1차 조사 결과, 방사능 물질이나 유독성 화학물질, 또는 탄저균 등 미생물 병원균 등으로 인한 피해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정확한 분석을 위해 표본을 베이징으로 보냈다.”고 밝혔다. 자치구 정부 검찰원은 지난달 중순부터 5일까지 주사기 테러 피해 사례는 모두 531건이 신고됐으며 체포된 25명의 범죄혐의자 가운데 증거가 확실한 4명을 기소했다고 발표했다.하지만 당국의 기자회견 직후에도 무장경찰이 삼엄한 경계를 서고 있는 런민(人民)광장 부근에서 12세 한족 어린이가 위구르족 남성으로부터 주사기에 찔리는 등 피해 신고가 속출하고 있어 시민들은 공포에 휩싸여 외출을 자제하고 있다.한족·위구르족간 민족갈등의 확산으로 인해 피해자도 속출하고 있다. 3일 벌어진 한족들의 대규모 시위과정에서 5명이 사망하고, 14명이 부상한 가운데 세계위구르대표대회는 수십명의 위구르인들이 한족들의 습격을 받았으며 난먼(南門)의 회교사원 등도 한족들의 난입 위기에 처해있다고 발표했다. 홍콩 언론들은 시위 취재 과정에서 TVB 기자 등 홍콩 언론인 3명이 무장경찰로부터 3시간여 동안 폭행을 당했다며 중국 정부측에 재발방지 등을 강력히 요구했다.멍젠주(孟建柱) 공안부장은 후진타오(胡錦濤) 주석 등 중국 지도부의 지시에 따라 사태 발생 직후 현장에 급파돼 사태수습을 총지휘하고 있다. 주사기 테러와 이로 인한 한족들의 시위, 한족·위구르족간 민족갈등이 10월1일 건국60주년을 앞두고 있는 중국의 최대 난제로 등장한 셈이다.stinger@seoul.co.kr
  • 北 항의 ‘상하이TV 북한다큐’ 뭘 담았기에

    │베이징 박홍환특파원│북한이 지난 7월 중순 중국의 한 방송사가 방영한 북한 관련 다큐멘터리가 북한의 부정적인 측면만을 부각시켰다며 중국 측에 강력한 항의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져 해당 프로그램의 내용이 새삼 주목받고 있다. 북한 측이 상하이미디어그룹(SMG)의 북한 관련 다큐멘터리와 관련, 외교채널을 통해 중국에 강력히 항의, 해당 방송사 경영진 등이 해임될 위기에 처했다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중국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30일 보도했다. 문제의 프로그램은 SMG의 다큐멘터리 채널인 ‘옌제(眼界)’를 통해 지난달 20일부터 5일간 연속 방영됐다. 상하이 지역에서만 방영됐지만 인터넷 등을 통해 유포되면서 광범위하게 관심을 끌었다. 북한 측의 강력한 반발을 의식해 중국 당국이 차단한 듯 현재 중국 인터넷에서는 접속이 모두 끊긴 상태이다. 프로그램은 ‘직격조선(直擊朝鮮)’이라는 제목으로 모두 5부작으로 돼 있다. ‘3·8선 기행’ ‘격정 아리랑’ ‘지도자의 포부’ ‘약진 천리마’ ‘김태양(김일성)의 수수께끼’ 등으로 소제목을 붙였다. 북한은 제2차 핵실험을 실시한 지 닷새 후인 지난 5월30일 이례적으로 중국 제작진의 방북을 허가했다. 제작진은 12일간 머물며 경제, 군사, 문화 등 각 방면의 북한 근황을 상세하게 카메라에 담았다. 특히 북한 방송 당국의 협조를 받아 판문점과 개성, 노농적위대, 평양 교외의 326전선공장,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모교인 평양1중학교, 청산농장, 가정집 등을 두루 촬영할 수 있었다. 노농적위대 여성포병연대가 외국 언론에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각 가정과 공장 등에 빠짐없이 걸려 있는 김일성·김정일 부자 사진을 클로즈업한 화면으로 시작되는 프로그램은 각종 구호로 가득 찬 북한 사회를 ‘구호 국가’로 규정하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특히 북한이 지난 4월20일부터 핵심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150일 전투’와 관련, 청산농장과 326전선공장의 의욕적인 운용 실태를 취재했으나 통역으로부터 “그것은 구호일 뿐”이라는 답변을 들었다고 제작진은 제작 후기에서 밝히기도 했다. 제작진과 방송사 경영진은 프로그램 방영 후 베이징으로 불려와 제작경위 등과 관련한 강도높은 조사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stinger@seoul.co.kr
  • 완리 “中 공산당 60년간 복지부동”

    │베이징 박홍환특파원│“중국 공산당은 60년동안 하나도 변한 게 없다.”지난달 말부터 인터넷 상에서 중국 공산당을 비판하는 한 편의 글이 은밀하게 유통되고 있어 중국 지도부가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작성자가 공산당 8대 원로 가운데 한 명으로 꼽히는 완리(萬里·93)로 알려져 더욱 충격적이다. ‘집권당은 기본적인 정치윤리를 세워야 한다-국경절 60주년 직전 완리의 이야기’라는 제목의 글은 A4용지 5장 분량의 장문으로 채워져 있다. 완리는 국무원 부총리와 국회의장 격인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장을 역임했다. 1993년 정치일선에서 완전히 물러난 중국 공산당 원로로 혁명1세대 가운데 한 명이다.공산당 간부 양성기관인 중앙당교 교수와의 몇차례 대담 내용을 술회하는 형식으로 정리된 글의 요지는 지난 60년 동안 중국 공산당의 잘못된 행태가 하나도 변하지 않고 있다는 것. 그러면서 중국 공산당의 민주화를 요구하고 있다. 완리는 글에서 “우리나라(중국)는 아직도 현대적 의미의 정당제도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며 “나라는 아직도 (공산)당의 나라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건국 이래 국가의 금고는 곧 당의 금고일 뿐이고, 아직도 군대는 해방군으로 불리며 국가가 아닌 당의 최고지도자가 지휘하고 있다.”고 당정일체, 당군일체를 비판했다.경쟁이 없는 당내 주요인사 선출제도, 사실과는 거리가 먼 정치선전 등도 도마 위에 올랐다. 그는 “국가는 말할 것도 없고, 당내에서 진정한 의미의 경쟁적 선거제도를 아직도 마련하지 못했다.”며 “국공내전 시기의 (지도부) 비밀회의의 전통이 계속되고 있다.”고 꾸짖었다. 그는 또 “국민의 뜻을 제대로 파악하려 하지 않은 것이 중국 공산당의 최대 실수”라고 지적한 뒤 “건국 60주년을 맞아 지도부는 반드시 반성하는 용기를 가져야 한다.”고 당부했다. 글을 읽은 네티즌들은 “중국 공산당은 원래부터 철밥통 아니었느냐.”고 반문하는 등 대부분 동조하고 있다.하지만 글의 내용 등을 감안, 문제의 글이 완리의 이름만 차용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완리가 아니라면 차오스(喬石·85) 전 전인대 상무위원장, 톈지윈(田紀雲·80) 전 국무원 부총리, 구무(谷牧·95) 전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 등일 가능성이 높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작성자가 누구든 이번 글이 큰 충격을 몰고 온 것은 분명해 보인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중국 당국은 이 글이 ‘정치적 폭탄’이 될 가능성을 감안,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8일 보도했다.이번 글을 계기로 다음달 말로 예정된 중국 공산당의 제17차 중앙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4중전회)에서 당내 민주화가 어느 수준까지 논의될지도 주목된다. 후진타오(胡錦濤) 주석 등 지도부는 최근 들어 부쩍 당내 민주화를 강조하고 있다. 시진핑(習近平) 부주석의 중앙군사위 부주석 입성 등과 관련, 베이징의 한 외교소식통은 “당내에서 보다 투명한 경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 예전처럼 비밀회의를 통해 결정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stinger@seoul.co.kr
  • 中 방사능 유출 쉬쉬… 100만명 대피 소동

    中 방사능 유출 쉬쉬… 100만명 대피 소동

    │베이징 박홍환특파원│중국 허난(河南)성에서 최근 방사능 물질이 유출됐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도시 주민들이 긴급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허난성 카이펑(開封)시 치(杞)현의 한 방사능 물질 취급공장에서 방사능 동위원소인 ‘코발트 60’이 누출돼 재앙이 닥쳤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지난 17일부터 주민 수만명이 대피하는 소동이 빚어졌다고 20일 보도했다. 하지만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주민들의 증언을 인용해 현 주민 109만명 가운데 80%가 대피, 도시가 텅 비었다고 전했다. 이번 사건은 지난달 7일 치현의 방사능 취급 공장에서 고춧가루에 ‘코발트 60’을 투사하는 작업을 하던 중 기계에 고장이 생기면서 발생했다. 기계 고장을 발견한 시점은 일주일 뒤인 14일. 기계고장으로 고춧가루가 모두 타버린 사실을 알게 된 공장측이 신고를 했고, 다음날 국가환경보호부는 핵안전국 소속 전문가들을 파견, 긴급 조치를 취한 뒤 방사능 누출 여부를 정밀 조사했다. 조사 결과 공장과 주변 지역의 방사능 농도는 자연 상태 수치를 넘지 않았다. 문제는 이런 소식들이 주민들에게 전혀 알려지지 않은 데서 비롯됐다. 이달 초 일부 인터넷 사이트에 관련 소식이 퍼지자 주민들이 동요하기 시작했다. 급기야 16일 국가환경보호부가 사후 조치를 위해 전문가를 또다시 파견하면서 소문은 “치현에서 핵 물질이 유출돼 여러 명이 숨졌다. 이제 앉아서 죽는 것을 기다리는 방법밖에 없다.”는 등 비약적으로 확대되기 시작했다. 17일 상황은 ‘엑소더스’(대탈출)에 가까웠다. 주민들은 승용차는 물론 경운기, 마차까지 동원해 대피했고 정저우(鄭州), 뤄양(陽) 등으로 향하는 도로는 영화의 한 장면처럼 피난행렬로 장사진을 이뤘다. 당일 저녁 카이펑시 정부 고위관계자가 긴급 기자회견을 통해 “유언비어를 믿지 말라.”며 무마를 시도했지만 주민들은 하루가 지나서야 집으로 돌아가기 시작했다. stinger@seoul.co.kr
  • 알카에다 연계 反中조직 “위구르사태 보복”

    │베이징 박홍환특파원│중국 신장(新彊)위구르 자치구의 수도 우루무치(烏木齊) 유혈사태와 관련, 알카에다 북아프리카 조직의 보복테러 첩보에 이어 이번에는 신장 분리주의 운동 무장조직의 협박 동영상까지 등장했다. 미국은 중국과 반(反)테러 공조에 나설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투르키스탄 이슬람당’(TIP)이 지난 5일 한족과의 충돌 과정에서 위구르인들이 희생된 것과 관련, 중국 정부를 비난하며 보복을 다짐하는 동영상을 최근 배포했다고 AP통신이 18일 미국의 테러감시단체 ‘SITE 정보그룹’을 인용해 보도했다. TIP는 알카에다와 연계돼 신장 지역을 중국으로부터 분리독립시키려는 ‘동투르키스탄 이슬람운동(ETIM)’의 분파 조직으로 알려졌다. 4분17초짜리 동영상에서 TIP의 지휘관인 세이풀라는 우루무치 유혈사태 등을 중국 정부가 자행한 ‘학살’의 대표적 사례라고 비난한 뒤 “위구르인들은 복수를 해줄 동지들이 있으며, 신의 뜻대로 곧 공격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동영상은 지난 16일 한 성전주의자 포럼에서 공개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조직은 지난해 베이징 올림픽 직전에도 중국에 테러를 감행하겠다고 위협한 바 있다.이와 관련,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미국이 중국과 반테러 공조에 나설 계획이라고 미 행정부 관계자를 인용, 19일 보도했다. 한편 누얼바이커리(努爾白克力) 신장위구르자치구 주석은 18일 로이터통신 등과 만나 “경찰이 폭동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민간인을 공격하고 상점을 약탈하는 무장 위구르인들을 사살했다.”며 “총에 맞은 위구르인 12명 가운데 3명은 현장에서 숨지고, 나머지는 병원 호송 중 사망했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가 지난 5일 발생한 유혈시위 진압 과정에서 총기를 사용했다고 시인한 것은 처음이다. stinger@seoul.co.kr
  • 中 우루무치 사태 사면초가

    │베이징 박홍환특파원│‘우루무치 사태’ 수습에 나선 중국 정부가 딜레마에 빠졌다. 이번 사태가 위구르족과 한족의 민족간 갈등에서 비롯된 만큼 어느 한쪽 편을 들 수 없는 데다 사태 초기부터 외신기자들에게 현장을 공개한 상황에서 강경대응도 쉽지 않은 형국이 돼 버린 까닭이다. 위구르인 집회 봉쇄는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위구르인들은 게릴라식 산발시위를 벌이며 공안(경찰) 당국과 숨바꼭질하고 있다. 오히려 위구르인들에 대한 강경대응이 국제 이슬람사회의 비난과 경고를 불러왔다. 사태 발생 후 처음으로 13일 중국 공안이 극렬 저항하던 위구르인 2명을 사살한 가운데 알카에다는 중국인들에 대한 보복테러를 경고하고 나섰다. 알제리에 기반을 둔 ‘아프리카 북서부 이슬람 알카에다’(AQIM)가 중국에 대한 보복 공격을 조직원들에게 지시했다고 14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보도했다. 중동과 아프리카에 진출한 중국기업과 중국인 등이 목표라는 것. 인도네시아의 이슬람 조직들도 지하드(성전)를 펼쳐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중국 정부는 당황한 표정이다. AFP통신에 따르면 친강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시위 진압 과정에서 대량 학살이 빚어진 적이 없다.”면서 “이슬람권의 이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족들의 반발 무마도 고민이다. 희생자 184명 가운데 3분의2가 넘는 137명이 한족으로 밝혀지면서 한족들의 위구르족에 대한 적개심은 더욱 커졌다. 더욱이 공안 당국이 사태 초기 한족들의 피해를 방관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정부에 대한 불신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중국 정부는 무장병력을 잇따라 증파하고 있지만 ‘신장지역 철권통치’에 대한 국제사회의 여론이 큰 부담이다. 사태 초기부터 외신에 현장을 공개하면서 신장 지역 일대의 상황이 실시간으로 국제사회에 전파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신장 지역으로 통하는 유일한 국도인 312번 국도를 통해 군 병력을 계속해서 증파하고 있는 사실이 확인됐지만 이 같은 여론을 의식한 듯 병력 수송은 대부분 한밤중에 이뤄지고 있다. 한편 위구르족 출신 베이징 중앙민족대학 경제학과 교수 일함 토티(39)의 체포와 관련, 인터넷상에서 158명의 지식인들이 그의 석방을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당국은 토티 교수의 웹사이트에서 이번 사태를 선동하는 글들이 대거 발견됐다며 그를 배후세력의 한 명으로 지목했다. stinger@seoul.co.kr
  • 상하이·홍콩·타이베이 ‘금융 삼각지’ 탄생하나

    │베이징 박홍환특파원│중국의 상하이와 홍콩, 타이완(臺灣)의 타이베이(臺北)를 묶는 아시아 최대의 ‘금융 트라이앵글’이 탄생할 것인가. 지난 2001년 합의 이후 양안 관계 악화로 중단됐던 세 도시간의 금융 연계 프로젝트가 양안 관계의 훈풍에 힘입어 8년만에 재추진되고 있다. 내년 중반기쯤 금융위기 이후의 지역 경제발전 및 금융협력 논의를 위한 세 도시간의 첫번째 포럼이 열릴 예정이라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29일 보도했다. 타이완 정치학자 에밀 셩은 인터뷰에서 “지역 내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들인 타이베이와 홍콩, 상하이간의 협력 강화는 모두에게 큰 이익을 가져다 줄 것”이라며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이 구상은 타이베이 측이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실제 최근 도널드 창 홍콩 행정수반에게 오는 9월 타이베이를 방문해달라고 공식 요청한 하오룽빈 타이베이 시장은 지난 26일 긍정적인 회답을 건네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 행정수반의 타이베이 방문은 1997년 홍콩 주권반환 이후 처음이다. 하오 시장은 한정(韓正) 상하이 시장과의 대화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내년 상하이엑스포 참가도 결정했다. 타이베이는 홍콩으로부터 금융 분야의 발전 노하우를 전수받길 희망하고 있다. 오는 2020년까지 상하이를 국제 금융허브로 키우겠다는 중국 정부의 청사진도 타이베이시로서는 고무적이다. 에밀 셩은 “아시아 경제성장의 중요성에 비춰보면 세 도시는 때로는 협력하고 때로는 경쟁하면서 동반성장의 길을 걸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중국과 타이완은 지난 5월 제3차 양안회담에서 상대측에 상업은행의 지점 설립을 합의하는 등 이미 금융 협력의 초보 단계에 접어든 상태다. stinger@seoul.co.kr
  • 中 후베이성 시민 수만명 공안과 충돌

    │베이징 박홍환특파원│중국 후베이(湖北)성에서 호텔 요리사의 의문의 죽음이 발단이 돼 대규모 군중시위 사건이 발생했다. 후베이성 스서우(石首)시 시민 수만명이 지난 17일 밤부터 20일까지 시내 융룽(永隆)호텔을 에워싸고 진압경찰에 화염병 등을 던지는 격렬한 시위를 벌였다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이 21일 보도했다. 이 호텔 요리사인 투위안가오(塗遠高·24)가 호텔 밖에서 변사체로 발견된 것은 17일 오후 8시36분쯤. 공안 당국은 사인을 자살로 발표하고 가족들에게 시신 수습을 요구했다. 하지만 가족들은 시신을 호텔 로비에 둔 채 진상규명을 요구하며 항의농성을 벌였으며 소식을 접한 시민들이 호텔로 몰려와 동조시위를 벌였다. 특히 수만명의 군중은 지난 19일 공안 1000명이 호텔 로비에 안치돼 있는 투의 시신을 호텔 밖으로 빼내가려 하자 호텔로 통하는 길목을 봉쇄한 채 돌과 화염병 등을 던지면서 격렬하게 저항했다. 이 과정에서 시위대 200여명이 부상했다고 홍콩에 기반을 둔 중국의 인권과 민주주의를 위한 정보센터측이 밝혔다. 시위는 이 호텔의 내밀한 지분구조와 관련된 소문도 한 몫했다. 이 호텔은 공안 간부와 법원 공무원 등이 지분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이 호텔이 오래전부터 의약품 불법거래와 관련됐다는 의혹과 함께 투의 타살설까지 급속하게 확산됐다. 한 시민은 “융룽호텔에서 10여년 전부터 여러차례 의문사가 발생했다.”며 “투는 밀린 임금을 받기 위해 호텔 측에 의약품 거래 사실을 폭로하겠다고 위협한 뒤에 죽음을 당한 것 같다.”고 주장했다. 현재 중국 인터넷에는 시위대가 호텔로 통하는 길목을 차단한 채 시위를 벌이는 장면, 파손된 경찰차량, 호텔 간판이 불타는 장면 등이 담긴 사진이 올라오고 있다. stinger@seoul.co.kr
  • 中 베이징시 인터넷 순찰대 만든다

    中 베이징시 인터넷 순찰대 만든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중국 베이징시 정부가 인터넷 순찰요원 1만명을 선발, 인터넷 정화에 나설 방침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베이징시 선전선동 분야 책임자인 차이푸차오(蔡赴朝) 베이징시 부시장이 16일 사회문화환경 정화 및 미성년자 사상도덕 건설을 위한 업무회의에서 이 같은 방침을 설명했다고 18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보도했다. 차이 부시장은 회의에서 “베이징에 등록된 37만여개의 웹사이트를 데이터베이스로 만들고, 웹사이트 소유자와 편집자, 관리책임자의 실명 등록도 추진할 계획”이라며 “일련의 인터넷 환경 정화 방법을 준비 중이며 그 가운데 하나가 1만명의 프리랜서 순찰요원을 운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계획에 따르면 베이징시는 연말까지 최소한 1만명의 인터넷 순찰요원을 선발, 운영하게 된다. 이들은 베이징시의 반관영 인터넷매체협회에 등록돼 활동하며 불량 콘텐츠를 발견할 경우, 즉각 경찰에 보고해야 한다. 감독 당국은 경찰 통보를 받는 즉시 관련 콘텐츠를 삭제하게 된다. 이들에 대한 급여 지급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지만 소속 기업이나 단체들로부터 수당 등을 지급받게 될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의 한 인터넷 전문가는 “중국은 웹사이트 허가, 정기적 조사, 콘텐츠 통제, 모니터링, 처벌 등 인터넷을 통제할 수 있는 모든 시스템을 갖추게 됐다.”며 “특히 순찰요원의 상설 운영은 중국 당국이 더이상 방화벽에 의존해 정보를 차단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비판적인 공공의 의견을 걸러내겠다는 뜻”이라고 분석했다 stinger@seoul.co.kr
  • 톈안먼 사태 20주년…중국은 통제하고 홍콩은 촛불들고

    │베이징 박홍환특파원│톈안먼(天安門) 사태 20주년을 맞은 4일 베이징은 삼엄한 경비와 통제 속에 하루를 보냈다. 하지만 중국에서 유일하게 톈안먼 사태를 거론할 수 있는 홍콩에서는 희생자를 추모하고 중국 정부에 진상공개를 촉구하는 사상최대 규모의 집회가 열렸다. 비극적 사건의 현장인 톈안먼 광장에는 평소의 두 배가 넘는 공안(경찰)과 무장경찰이 배치돼 희생자 유족들의 추모 집회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했다. 쇠울타리로 둘러쳐진 광장 출입 통제도 한층 강화됐다. 공안들은 X선 보안검색대에서 조금이라도 이상한 물건이 발견되면 신분증을 제시토록 하는 등 바짝 신경이 곤두선 모습이었다. 앞서 베이징대 주변의 유명 서점과 카페 등에는 공안들이 순찰을 돌며 양초 등 촛불시위 용품을 비치하지 말도록 지시하는가 하면 베이징대 등 시내 대학들은 ‘흰옷 착용 금지령’을 내려 추모 분위기 조성을 원천봉쇄하기도 했다. 자식을 잃은 어머니들의 모임인 ‘톈안먼 어머니’ 대표 딩쯔린(丁子霖) 등은 자택에 연금됐고, 자오쯔양(趙紫陽) 전 공산당 총서기의 비서로 그의 회고록 집필을 도운 바오퉁 등은 시 외곽 모처로 옮겨져 연락이 닿지 않았다. 인터넷도 사정은 마찬가지. 논의가 이뤄질 만한 사이트는 모두 폐쇄됐다. 이날 현재 각 대학의 인터넷 게시판 등 6000여개의 사이트가 폐쇄됐다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보도했다. 지난 3월부터 봉쇄됐던 동영상 공유사이트 ‘유튜브’는 물론 단문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트위터’ 등에 대한 접속도 차단됐다. 대륙의 철저한 통제와는 달리 홍콩 등에서는 희생자 추모와 진상규명 요구가 하루종일 이어졌다. 홍콩에서는 이날 밤 빅토리아 공원에서 15만여명이 모여 촛불집회를 열었다. ‘중국의 애국주의적 민주화 운동을 지지하는 홍콩 연대’ 주최로 열린 집회는 희생자 추모, 민주화시위 주역 연설, 자오쯔양 육성 녹음 청취, 청년선언 발표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톈안먼 사태 당시 학생지도자들인 슝옌과 왕단(王丹)은 각각 이날 홍콩 집회와 미국 언론을 통해 중국 정부에 진상공개와 재평가를 요구했다. 지난해 취임 이후 중국과 우호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마잉주(馬英九) 타이완 총통 역시 이례적으로 “이 같은 아픈 시기의 역사는 반드시 공개해야 하고, 의도적으로 숨겨서는 안 된다.”며 진상공개를 요구했다.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도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중국은 톈안먼 시위로 사망했거나 실종된 사람들의 명단을 공개해야 한다.”며 중국을 압박했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내정간섭을 중단하라며 강력히 반발했다. 친강(秦剛)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4일 정례브리핑에서 “미국의 근거없는 주장은 국제법과 중·미 공동성명 3개항의 합의를 위반한 것일 뿐 아니라 중국의 내정에 간섭하려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stinger@seoul.co.kr
  • 中 난징서 대학생 수천명·경찰 충돌

    │베이징 박홍환특파원│중국 장쑤(江蘇)성 성도 난징(南京)에서 수천명의 대학생들이 시위를 벌이다가 경찰과 충돌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1989년 6·4 톈안먼(天安門) 사태 20주년을 2주일여 앞두고 벌어진 대학생들의 집단 시위에 중국 공안당국은 바짝 긴장하고 있다. 지난 18일 밤 난징 항공항천대학(航空航天大學) 장닝(强寧) 캠퍼스의 대학생 수천여명이 공무원의 동료학생 구타에 항의하며 학교 부근 대로를 점거한 채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 학생들은 ‘비폭력, 비협조’ ‘소외계층을 도와 화합사회를 건설하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밤 늦게까지 연좌농성 등을 벌이다가 출동한 공안(경찰)과 충돌했다. 특히 평화시위에도 불구하고 학생 3명이 연행되자 공안과 직접 충돌했으며, 이 과정에서 공안 차량들도 파손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시위는 학교 부근에서 노점을 차려놓고 장사하던 이 대학 학생들이 단속 공무원에게 물품을 빼앗기고 일부 여학생들이 구타를 당한 데 항의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인터넷과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관련 소식이 동료 학생들에게 급속히 전파됐고, 순식간에 수천명의 학생들이 모여들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주변의 시민들까지 합세해 한 때 1만명이 넘는 군중이 부근 도로를 가득 메운 것으로 전해졌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 홍콩 언론들은 홍콩에 기반을 둔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한 정보센터 소식통을 인용, 20일 이 같은 내용을 일제히 보도했다. 중국 인터넷에도 ‘남항대학 구타사건’ ‘남항사건’ 등의 항목으로 관련 내용과 사진이 급속히 전파되고 있다. 대학생 시위는 다음날 새벽 1시까지 이어졌으며, 30명 정도의 학생들이 부상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앞서 지난 7일에도 저장(浙江)성 성도인 항저우(杭州)에서 대학생 수백명이 동료가 사망한 교통사고에 대한 진상규명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인 바 있다. 한편 중국이 동영상 공유사이트인 유튜브(You Tube)에 이어 최근 검색 사이트인 구글의 블로그 서비스(Blogger.com)까지 차단했다고 홍콩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이날 보도했다. stinger@seoul.co.kr
  • “덩샤오핑=독재자” 자오쯔양 회고록 후폭풍 예고

    │베이징 박홍환특파원│톈안먼(天安門) 사태 20주년(6월4일)을 앞두고 15일 출간된 자오쯔양(趙紫陽·2005년 사망) 전 중국 공산당 총서기의 회고록 ‘국가의 죄수’(Prisoner of the State)가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곧 중국어판까지 출간될 예정이어서 후폭풍 여부가 주목된다. 아직 중국 내에서는 회고록 출간 사실조차 보도되지 않고 있지만 홍콩 등 외곽에서부터 톈안먼 사태 재평가 논란은 이미 시작됐다. 홍콩의 행정수반인 도널드 창 행정장관이 14일 “경제발전이라는 측면에서 톈안먼 사태를 평가해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가 “경제를 위해서는 시민들이 희생돼도 괜찮다는 것이냐.”는 비난에 직면했다. 자오의 비서였던 바오퉁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회고록 출간으로 중국 공산당이 분열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불가능한 일”이라면서도 “공산당(간부들)은 많은 생각을 하게 될”이라고 전망했다. 실제 회고록은 리펑(李鵬) 전 총리와 야오이린(姚依林) 전 부총리 등 중국 공산당내 강경보수주의자들을 학생시위의 격화를 몰고 온 장본인들로 지목하고, 중국의 오늘을 있게 한 지도자로 추앙받는 덩샤오핑(鄧小平)을 ‘독재자’로 비난하는 등 충격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자오는 톈안먼 학생시위에 온건하게 대처했다는 이유로 실각, 죽을 때까지 베이징에서 가택연금 상태로 있었다. 자오는 회고록에서 톈안먼 사태 당시 학생들의 민주화 시위에 대한 무력진압 결정은 리 전 총리 등 골수 보수파의 음모와 권력 상실에 대한 덩의 우려가 만들어낸 합작품이라고 주장했다. 평화적으로 진행되던 학생시위가 격화된 것은 1989년 4월26일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가 사설을 통해 학생시위를 ‘반공산당, 반사회주의’라고 매도한 것에서 비롯됐는데, 리 전 총리가 덩의 허락 없이 전날 내부모임에서 나온 얘기를 토대로 인민일보에 사설을 게재토록 했다는 것이다. 그는 또 “덩샤오핑은 민주주의가 안정을 저해 한다고 믿었다.”며 톈안먼 사태의 최종 책임이 덩에게 있다고 주장했다. 당시 상하이 당서기였던 장쩌민(江澤民) 전 주석이 시위대에 압도돼 도움을 요청했다는 사실 등 알려지지 않았던 공산당 내부 움직임도 전했다. 회고록은 음악 테이프로 위장돼 비밀리에 반출된 30시간 분량의 자오 육성 녹음을 토대로 출간됐다. stinger@seoul.co.kr
  • 원자바오 기밀문서 해킹당해

    │베이징 박홍환특파원│원자바오(溫家寶) 총리의 1급기밀 문건 등이 들어 있는 중국 국무원내 차관급 고위 간부의 컴퓨터가 해킹 피해를 당했다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1일 중국 소식통들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해킹 당한 문건 가운데는 원 총리가 지난달 초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발표한 ‘정부공작보고’의 초안은 물론 국가 최고기밀로 간주되는 정치국 상무위원들의 비공개회의 발언록도 포함돼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공교롭게도 지난달 29일 캐나다 토론토대학 연구진은 중국에 기반을 둔 해커 조직이 주중 한국대사관과 인도 다람살라의 티베트 망명정부 컴퓨터를 비롯한 전 세계 103개국 1295개 컴퓨터를 해킹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발표했다. 해커들은 타이완에서 중국 국무원의 컴퓨터 시스템에 침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소식통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측에 “문제의 고위 간부가 인터넷 연결용 컴퓨터를 구분해 사용해야 하는 규정을 어기고 민감한 정보가 담겨 있는 컴퓨터를 인터넷에 연결시키는 순간 타이완 해커가 시스템에 침입해 문건들을 내려받았다.”고 말했다. 해킹 피해 사실은 보안요원이 데이터를 역추적하는 과정에서 발견됐으며 이같은 내용을 보고 받은 원 총리는 크게 분노하면서 관련자 엄벌을 지시, 해당 인사는 공직과 당직에서 모두 제명당하는 ‘솽카이(雙開)’ 처분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매년 3월 초 전인대 개막식에서 발표하는 정부공작보고의 주요 내용은 보통 하루 전쯤 홍콩 언론을 통해 흘러나오는 경우가 더러 있지만 올해는 발표 순간까지 철저하게 비공개를 유지, 배경에 관심이 증폭됐다. 특히 올해 보고에서는 원 총리가 중국 정부의 추가경기부양책을 발표할 것으로 예고돼 있었지만 정작 보고에서는 이 부분을 거론하지 않았다. 중국 정부는 이번 해킹에 외국 정보기관이 개입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식통은 “이번 해킹은 우연하게 발생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며 “해외 정보기관들은 중국 정부의 IP 주소를 주시하면서 언제든 기회를 엿보고 있다.”고 말했다. stinger@seoul.co.kr
  • 노벨상 후보 中인권변호사 가족 美망명

    노벨상 후보 中인권변호사 가족 美망명

    │베이징 박홍환특파원│지난해 노벨평화상 후보까지 오른 중국의 저명한 인권변호사 가오즈성(사진 오른쪽 두번째·高智晟·44)의 부인 겅허(왼쪽 두번째·耿和)가 딸(15)과 아들(4)을 데리고 중국을 탈출, 미국에 망명했다. 15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에 따르면 겅허는 지난 1월9일 베이징의 자택을 떠나 남부 윈난(雲南)성 산악지대를 거쳐 같은 달 16일 태국에 도착한 뒤 미국 망명신청이 받아들여져 지난 11일 미국으로 떠났다. 겅허와 두 자녀는 현재 애리조나주 피닉스에 머물고 있다. 겅허는 인터뷰에서 “딸이 학교에 다니지 못하게 된 지난해 10월 이후 망명을 결심했다.”고 밝혔다. 그녀는 “아이들을 위해 남편을 포기했지만 남편도 이해할 것”이라며 “남편은 언제나 감시를 받고 있기 때문에 작별인사도 못한 채 쪽지만 남기고 떠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파룬궁(法輪功) 수련자들과 미국의 기독교단체 등이 탈출 자금 등을 제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가오즈성은 파룬궁 수련자, 지하교회 신도, 농민 등 사회적 약자의 인권보호 활동에 앞장서온 중국의 대표적 인권변호사로 지난 2006년 말 정부전복 기도 혐의로 투옥됐다 풀려난 뒤 중국 공안 당국의 감시를 받아 왔다. 가오즈성은 지난 1월19일 체포돼 2주 동안 구금돼 있었는데 당시의 구금이 결국 가족들의 탈출 때문이었던 것으로 밝혀진 셈이다. 인권단체들은 가오즈성이 지난달 4일 이후 또 다시 행방불명 상태라고 주장하고 있다. stinger@seoul.co.kr
  • 中, 돈 풀어 티베트 달랜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시짱(西藏·티베트) 문제 해결을 위해 중국 정부가 선택한 ‘카드’의 윤곽이 확실해졌다. ‘선전전’과 ‘물량공세’. 지난해 ‘3·14 유혈시위’ 이후 중국 정부는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인 달라이 라마측과 협상을 진행했지만 결국 무위로 끝났다. 달라이 라마 측의 ‘고도 자치’ 요구를 중국은 ‘분리주의 책동’이라며 거부했다. 그후 중국 정부는 ‘티베트 봉기 50주년’이 되는 올해를 기점으로 대대적인 선전전을 펼치기로 작정한 것으로 보인다. 주제는 당연히 ‘민주개혁’에 맞춰져 있다. 중국 중앙텔레비전(CCTV)은 ‘시짱 민주개혁 50년’(3부작)과 ‘시짱 농노 이야기’ 등의 다큐멘터리를 제작, 연일 종합채널과 국제채널을 통해 방영하고 있다. 50년 전 달라이 라마측의 분리독립 봉기를 제압하지 않았다면 티베트 민중은 아직도 봉건주의 체제에서 처참한 농노의 삶을 이어가고 있을 것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 ‘티베트 백서’와 각종 전시회를 통해 티베트 봉기 진압을 100만여명의 농노를 해방시킨 사건이라고 선전하고 있다. “중국이 티베트의 고유문화를 압살하고 있다.”는 달라이 라마측의 비난을 의식한 듯 티베트 전통문화 공연도 봇물을 이룬다. ‘물량공세’도 잇따르고 있다. 중국 정부가 올해 시짱자치구에 투자하는 자금은 160억 위안(약 3조원)에 이른다. 11차 5개년 계획 기간(2006~2010년)에만 모두 778억 위안을 쏟아 붓는다. 이에 앞서 2001년부터 지난해까지 티베트에 투입한 중앙정부 재정은 1540억 위안이 넘는다. 중국 정부는 “해당 기간 시짱의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12%로 전국 평균보다 훨씬 높다.”고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경제적 지원과 선전 공세로 티베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미국 컬럼비아대학의 티베트 전문가인 로버트 바넷 교수는 11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경제적 요인 등도 여론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지만 무엇보다도 티베트인들의 종교적·문화적 삶에 대한 간섭이 적어야 한다.”며 “현재의 정책으로는 아무리 많은 자금을 투입해도 중국의 지배에 대한 반감만 커질 뿐”이라고 지적했다. stinger@seoul.co.kr
  • 지구촌 곳곳 “독립 지지” 시위

    │베이징 박홍환특파원│티베트 봉기 50주년 기념일인 10일 시짱(西藏·티베트) 자치구 수도 라싸(薩)는 폭풍전야 같은 긴장이 하루종일 이어졌다. 티베트는 물론 인접한 칭하이(靑海), 간쑤(甘肅), 쓰촨(四川)성 등의 티베트인 집단 거주지도 상황은 비슷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와 AP 등 외신들은 라싸 시내 곳곳에서 중무장한 병력이 트럭을 타고 이동하는 모습이 곳곳에서 목격됐다고 전했다. 중국 중앙정부가 티베트 자치구에 파견한 인민해방군 병력은 모두 10만여명. 이들은 베이징루 등 시내 중심지뿐 아니라 주거지역의 골목 곳곳에서 대오를 갖춰 집중적인 경계활동을 펼치고 있다. 특히 지난해 ‘3·14 유혈시위’의 총본산 역할을 한 조캉사원(大昭寺)은 병력이 주변을 에워싼 채 승려들을 감시하고 있어 사실상 고립 상태에 빠져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이날 포탈라궁이 정상적으로 오전 9시에 문을 열어 불교신자들을 맞는 등 라싸 시내는 평온한 상태라고 보도했다. 하지만 지역 주민들은 대규모 무장병력의 경계에도 불구하고 지난해와 유사한 시위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외출을 자제하고 있다. 한 주민은 “지난 6일 이후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고 말했다. 다음달 1일까지 외국인의 티베트 입경을 금지한 티베트 자치구 정부는 체류 중이던 외국인들을 티베트 경계 밖으로 내몰고 있다. 전국 각지의 티베트인 집단거주지에서도 검문이 대폭 강화됐다. AFP 통신은 이날 칭하이성의 티베트 불교사원을 방문하려던 자사 기자 3명이 중국 공안의 제지를 받고 쫓겨났다고 보도했다. 한편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인 달라이 라마는 망명지인 인도 다람살라에서 지지자 2000여명과 함께 티베트 봉기 50주년 기념행사를 가졌다. 달라이 라마는 “중국은 티베트인들을 깊은 고통과 압제의 수렁으로 몰아넣었고 티베트인들은 말 그대로 지상의 지옥을 경험하고 있다.”며 “티베트 사람들은 두려움 속에 살고 있으며 중국 당국은 티베트인을 끊임없이 의심하고 감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날 인도 수도 델리 등 세계 곳곳에서는 중국의 티베트 통치에 항의하는 크고 작은 집회가 잇따라 열렸다. stinger@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