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사우스차이나모닝
    2025-11-12
    검색기록 지우기
  • 홍콩
    2025-11-12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3,503
  • 中 ‘新핑퐁외교’

    탁구 선진국인 중국이 ‘탁구 아카데미’를 세워 미래의 경쟁자인 외국 선수들을 육성하기로 했다. 올림픽 등 각종 국제대회에서 중국 탁구 선수들의 금메달 독점에 대해 국제 탁구인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누그러뜨리려는 ‘신(新)핑퐁 외교’가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중국 국가체육총국과 상하이 시 정부가 공동으로 설립하는 4년제 대학 과정의 ‘중국탁구학원’이 내년 9월 학기부터 문을 열 계획이라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13일 보도했다. 설립 초기 재원 1억 3000만 위안(약 230억원)은 전액 상하이 시 정부가 출연키로 했다. 중국탁구학원은 중국 국내 선수뿐 아니라 이들의 장래 경쟁자인 외국인 선수들에게도 문호를 개방한다. 2020년까지 중국과 외국 선수 각각 150명을 선발해 류궈량(劉國梁), 스즈하오(施之皓) 등 내로라하는 일류 코치로부터 탁구 기술을 배우게 할 계획이다. 중국 선수들이 국제대회 금메달을 싹쓸이하자 국제탁구협회는 국가별 출전 선수 쿼터제를 적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 중국의 독주를 견제했지만 무용지물이었다. 중국을 상대로 “후진국에 탁구 기술을 전수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쏟아진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중국탁구학원 설립에 관여하고 있는 장젠청(章建成)도 “국제적인 비판 여론에 대한 반응 성격도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 “노벨상 시상식 참석할라” 中, 반체제 인사 등 출국저지

    오는 10일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리는 올해의 노벨평화상 수상자 류샤오보(劉曉波)에 대한 시상식을 앞두고 중국 공안당국이 시상식에 참석할 가능성이 있는 반체제 인사 및 인권운동가 등의 외국행을 원천봉쇄하고 있다. 중국의 원로 경제학자인 마오위스(茅于軾), 저명한 설치미술가이자 인권운동가인 아이웨이웨이(艾未未)가 지난 1일과 2일 출국하려다 당국에 제지당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 홍콩 언론들이 3일 보도했다. 베이징 톈쩌(天則)경제연구소 설립자인 마오위스는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히말라야산맥 주변 국가들의 협력에 관한 국제학술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지난 1일 베이징 서우두(首都) 국제공항을 통해 출국하려다 저지됐다. 마오위스는 “공안 요원으로부터 단지 ‘국가안전에 해가 된다’는 말만 들었다.”면서 “애당초 노벨평화상 시상식에 참석할 계획이 없었다.”고 말했다. 마오위스는 지난 2008년 12월 세계인권선언 채택 60주년을 맞아 류샤오보의 주도로 발표된 민주화 촉구 ‘08헌장’에 서명한 데 이어 류샤오보가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결정됐을 때는 중국 내 지식인들과 함께 수상을 축하하는 공개 서한을 인터넷에 올리기도 했다. 아이웨이웨이도 2일 한국행 비행기에 오르기 30분 전 공안 요원들의 제지를 받았다. 그는 “노벨평화상 시상식에 참석할 계획이 없었지만 출국 금지는 노벨평화상 시상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믿고 있다.”고 말했다. 홍콩의 명보는 지금까지 모두 11명의 반체제 인사 및 인권운동가들이 외국을 방문하려다 공항에서 출국금지 조치를 당했다고 전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 [北 연평도 공격 이후] 中 “한반도 무력으로 해결못해” 반발

    중국이 3일 시작된 미국과 일본의 합동 군사훈련에 크게 긴장하고 있다. 사실상 중국을 가상의 적으로 삼고 실시된다는 점, 이번 훈련의 목적이 중·일 간 분쟁지역인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방위망 구축에 있다는 점, 한국이 처음으로 미·일 합동훈련에 옵서버 자격으로 참가한다는 점 등에 주목하고 있다. 관영 신화통신과 중국중앙방송(CCTV),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등은 이날 일제히 미·일 합동훈련 소식을 전하면서 “한국, 미국, 일본의 잇따른 합동 군사훈련으로 동북아에서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사진] 아이들은 등교했지만…끝나지 않은 긴장감 반관영통신인 중국신문사는 일본 매체를 인용, “이번 훈련이 중국을 가상의 적으로 상정, 중·일 영토분쟁 지역인 댜오위다오 인근에서 이뤄지는 점을 경계한다.”고 전했다. 신화통신은 지난 1986년 이후 10번째인 이번 미·일 합동훈련의 규모가 최근 끝난 한·미 서해훈련의 6배에 이른다고 소개했다. 이번 훈련이 일본 자위대 3만 4100명, 미군 1만 400명, 항공기 250척, 함정 40척, 항공모함 조지 워싱턴함 등이 참여하는 전례 없는 규모라고 전했다. 중국은 이번 훈련이 사실상 중국에 전하는 ‘메시지’ 성격을 갖는다는 점에서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상하이 사회과학원 한반도연구센터 류밍(劉鳴) 주임은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한·미 서해훈련과 미·일 합동훈련의 주요 목표는 물론 북한”이라고 전제한 뒤 “그러나 미국과 미국의 동맹국들이 중국 인근 해역에서 대규모 군사훈련을 실시하는 목적은 중국을 상대로 북한을 좀 더 압박하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연이은 군사훈련으로 동북아에서 한·미·일 3각 협력이 공고화돼 중국·북한과 대치하는 ‘신냉전’ 구도가 형성될지 모른다는 우려도 나온다. 중국 외교부 장위(姜瑜) 대변인은 전날 정례 브리핑에서 “무력시위나 군사동맹으로는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며 한·미, 미·일 간 연합훈련에 대한 불편한 심기를 밝히기도 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 [위키리크스 폭로 파문] “中, 작년 4월에 북·미·중 3자대화 美에 제의”

    중국이 지난해 4월 교착 상태에 빠진 북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6자회담이 아닌 북한·미국·중국만 참여하는 3자 대화를 비밀리에 미국에 제안했던 것으로 위키리크스가 공개한 미국 국무부 외교전문에서 드러났다. 3자회담 주체가 북한과 중국, 미국 등 3개국이라는 것은 한국을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대화에서 배제하자는 의미이자, 중국이 적극 나서 북한이 요구하는 북·미 양자대화를 성사시키려고 했음을 뜻한다. 중국 정부가 향후 북한 붕괴 상황이 닥치더라도 북한을 일방적으로 감싸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던 한국 정부의 대중국인식이 심각한 판단착오였다는 것을 보여 주는 또 다른 구체적인 정황증거가 공개된 셈이다. 외교전문 중 하나에 따르면 중국은 6자회담이 2008년 8월 중단된 이후 재개되지 못하자 2009년 4월 미국에 이 같은 제안을 했다. 이 같은 내용을 보도한 일본 교도통신은 이에 대해 “남북한과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가 참여하던 6자회담을 사실상 대체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외교전문에 따르면 당시 미국 정부는 중국 측 제안에 대해 특별한 반응을 보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미묘한 시점도 눈길을 끈다. 북한은 지난해 4월 5일 장거리 로켓 발사실험을 했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의장성명을 통해 이를 비난했다. 북한은 여기에 반발해 4월 14일 6자회담을 전면 부정하고 불능화 작업을 진행하던 영변 핵시설을 원상복구해 재가동하겠다는 외무성 성명을 발표했다. 그 다음 날에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모니터 요원들을 영변에서 추방했다. 이어 5월 25일에는 2차 핵실험을 강행했다. 6자회담 무용론이 터져 나오는 시점에서 중국은 북한을 측면지원하기 위해 북·중·미 3자대화 카드를 꺼낸 셈이다. 한편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일 중국의 외교·국방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중국은 북한이 붕괴하는 사태를 방치하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스인홍(時殷弘) 중국 인민대 교수는 “중국의 기본적 이해와 위배된다.”는 점을 들어 중국이 북한 붕괴를 전제로 한 한반도 통일을 지지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인민해방군 장성 출신인 쉬광위(徐光裕) 군축통제협회 이사도 “중국은 북한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중국의 국가이익에 반하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강국진기자 betulo@seoul.co.kr
  • [2010 광저우 아시안게임] 타이완 ‘한국 보이콧 캠페인’ 왜?

    광저우 아시안게임 태권도 경기 판정에 대한 불만으로 타이완에서 반한 감정이 들끓고 있다. 중국에 대한 반감도 만만치 않다. 타이완 네티즌들은 자국 여자태권도 스타 양수쥔(楊淑君)이 지난 17일 열린 여자 49㎏급 예선 1회전에서 베트남 선수를 9대0으로 크게 리드하다 경기 종료 12초 전 불법 장비를 사용했다는 이유로 실격패 당하자 인터넷상에서 ‘한국 보이콧 캠페인’을 시작했다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19일 보도했다. 전날까지 34만여명이 적극적인 지지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네티즌들은 한국 상품 불매 운동, 한국드라마 시청하지 않기 등 한국의 모든 것을 거부하자고 선동하고 있다. 아시아태권도연맹 홈페이지도 이날 해킹당해 하루종일 운영이 중단됐다. 앞서 타이완에서는 경기가 끝난 당일 밤 일부 시민들이 태극기를 불태우고, 한국산 라면을 발로 짓밟는 등 강력하게 반한 감정을 표출한 바 있다. 사태가 이렇게 확산된 것은 실격패 선언에 관여한 필리핀인 심판위원이 한국계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타이완 네티즌들은 해당 체급의 금메달을 중국선수가 획득한 점을 들어 “한국과 중국이 짜고 금메달을 가로챘다.”고 주장하고 있다. 마잉주(馬英九) 총통까지 나서서 “주최 측에 합리적 설명을 내놓으라고 요구할 것”이라며 이 문제를 묵과할 수 없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다. 2006년 도하 아시안게임 은메달 리스트이자 이번 아시안게임의 유력한 금메달 후보로 꼽혔던 양수쥔은 실격패한 뒤 한참 동안 매트에 앉아 침묵시위를 벌이는 등 크게 반발했다. 이 모습은 금메달을 기대했던 타이완에 그대로 생중계됐다. 당시 아시아태권도연맹 측은 “양수쥔의 뒤꿈치에서 공인되지 않은 센서패치 두개가 발견됐다.”며 실격패 판정을 선언했고, 타이완 측은 “1, 2차 장비 검사에 모두 통과했는데 실격패를 선언한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며 강력히 항의했지만 결과는 번복되지 않았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 中 주말에도 反日시위 확산

    동중국해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영유권 문제로 촉발된 중국인들의 반일 시위 열기가 식지 않고 있다. 이달 말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릴 가능성이 높은 양국 간 고위급 회담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주말인 23일 오후 쓰촨성 더양(德陽)에서 1000여명의 시민들이 또다시 일본 규탄 시위를 벌였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 홍콩 언론들이 24일 보도했다. 시민들은 오후 2시쯤 시내 중심가 광장에서 ‘일본은 댜오위다오에서 떠나라’ 등의 반일 구호가 적힌 플래카드를 앞세우고 집회를 가졌다. 일부 시위대는 도요타, 혼다 등 주차돼 있는 일본 차량을 각목 등으로 파손하는가 하면 경찰과도 충돌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안 당국은 시위도 시위지만 일본 언론들의 집중 취재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일본 기자들의 시위 현장 접근을 막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안전’을 이유로 내세웠지만 자극적인 보도 때문에 일본 내 반중감정이 악화될 것을 우려한 조치로 관측된다. 더양과 란저우 이외에 허난성 카이펑(開封), 후난성 창사(長沙), 장쑤성 난징(南京) 등에서 시위가 잇따르고 있다고 중국의 네티즌들이 전하고 있다. 앞서 지난 16일 쓰촨성 청두(成都) 등에서 5만여명이 반일시위를 벌인 데 이어 17일에는 쓰촨성 멘양(綿陽)에서 3만명이 거리시위에 나섰으며 일본계 백화점 ‘화탕’, 일본 라면 체인점 ‘아지센’, 도요타자동차 매장 등이 시위대의 습격을 받기도 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 중국판 위키리크스?

    중국에도 기밀 누설 사이트인 위키리크스와 같은 정부 기밀 폭로 사이트가 생길 전망이다. 중국 내 일부 반체제 인사들이 이른바 ‘중국판 위키리크스’인 ‘거번먼트 리크스’를 내년 6월 1일부터 운영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22일 보도했다. 중앙정부의 기밀 폭로와 민주 촉진이 목적이며, 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킹서비스 등을 통해 이 같은 목적을 전파하면서 자료를 축적해 나가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내부고발자(Deep Throat)’라고 자신을 밝힌 관련자 한명은 인터뷰에서 “이것은 독재와의 싸움이고, 인민에게 알 권리를 되돌려 주는 것”이라면서 “이런 작업을 통해 중국의 정치개혁이 진전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 中 성장목표 7%대로 낮춘다

    중국 공산당의 17기 중앙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17기 5중전회)가 15일 베이징 징시(京西)호텔에서 개막됐다. 나흘간 열리는 5중전회에서는 내년부터 향후 5년간의 경제, 사회, 민생 기조인 제12차 5개년 계획(12·5 계획)이 전국에서 모인 370여명의 당 중앙위원 및 후보위원들의 논의를 거쳐 확정된다. 신화통신 등 중국 관영언론들은 일제히 후진타오 국가주석 겸 중국공산당 총서기가 최근 제시한 ‘포용적 성장’이 ‘12·5 계획’의 중요한 기조로 결정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지난해 말 성장방식의 전환을 선언한 데 이어 ‘포용적 성장’을 통해 산업·지역·계층 간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겠다는 뜻이다. 중국은 이를 위해 ‘12·5 계획’ 기간 중 4조 위안(약 670조원)을 전략산업 및 내륙지역에 집중 투입하기로 했다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초안 작성 작업에 참여한 중국 정부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중국은 또 12·5 계획 기간 중 국내 총생산(GD P) 성장률을 7~7.5%로 낮추는 한편 구조조정에 치중할 것으로 알려졌다. 대규모 자금이 투입되는 핵심 전략산업은 신에너지, 신재료, 정보기술, 바이오 및 신약, 환경, 우주항공, 해양, 첨단 제조업, 하이테크 서비스 산업 등 9개 분야다. 이들 분야에 대해서는 감세와 재정지원 등이 집중된다. 낙후산업을 통한 경제성장을 하지 않고, 국제무대에서의 경쟁력을 업그레이드하겠다는 뜻이다. 올 연말 끝나는 서부대개발 10년 계획을 이을 새로운 내륙지원 프로젝트도 수립할 것으로 알려졌다. 초안작성 작업에 관여한 류친(劉秦) 시안 발전개혁위원회 부주임은 “지난 2년간 잇따라 발표된 지역개발 전략들이 ‘12·5 계획’에 포함돼 국가적 차원에서 통합관리될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의 한 경제전문가는 “공산당 지도부 내부에 ‘낡은 성장모델은 더 이상 경제적으로나 정치적으로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면서 “앞으로는 경제성장률보다 구조조정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말했다. 후 주석은 ‘포용적 성장’에 대해 “근본 목적은 경제 발전의 성과를 모든 지역, 모든 주민들에게 파급시켜 지속가능한 발전을 하면서 사회발전을 실현하는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중국 언론들이 ‘12·5 계획’에서 사회공평정의와 사회모순 해결이 중요하게 취급될 것이라고 전망하는 이유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 中공산당 前 간부 23명 “언론검열 철폐하라”

    마오쩌둥 전 주석의 비서를 지낸 리루이(李銳·93) 전 중국 공산당 조직부 부부장 등 개혁 성향의 공산당 전직 고위간부들이 ‘검열 철폐’와 언론자유를 요구하는 내용의 공개 서신을 발표해 파문이 일고 있다. 반체제인사 류샤오보(劉曉波·55)의 노벨평화상 수상 등과 맞물려 중국 내 민주화운동의 불씨가 되살아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15일 개막하는 공산당 17기 5중전회(17기 당 중앙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에서 이 문제가 논의될지도 주목된다. 공산당과 정부의 정치, 문화, 언론 관련 분야에서 고위 간부를 지낸 개혁 성향 인사 23명이 12일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앞으로 보내는 온라인 공개 서신을 통해 “진정한 언론출판의 자유를 보장하라.”고 말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 홍콩 언론들이 13일 보도했다. 이들은 서신에서 중국 헌법에는 공민의 언론, 출판, 집회, 결사, 여행, 시위의 자유가 규정돼 있으나, 실제로는 이 같은 자유가 실현되지 않는 ‘가짜 민주’ 상태에 놓여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공산당 중앙선전부를 지목해 원자바오 총리의 거듭된 정치 개혁 발언까지도 검열해 공민들의 알 권리를 박탈하는 비밀권력을 가진 ‘검은 손’(黑手)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현재 중국의 언론자유 결여 상태를 ‘전 세계 민주주의 역사상의 수치’라고도 혹평했다. 이들은 또 당과 국가기관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언론기관에 독립성을 부여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기자들에 대한 임의 체포나 인터넷 게시글과 댓글에 대한 임의 삭제 같은 관행도 근절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또 중국의 독자들이 홍콩과 마카오에서 발행되는 저작물이나 서적을 제한 없이 볼 수 있도록 허용하라고 촉구하는 등 모두 언론자유와 관련된 8개 항을 요구했다. 서명자들은 리루이 전 부부장 외에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편집장과 사장을 지낸 후지웨이(胡繼偉), 전 중국공산당 중앙선전부 신문국장 중페이장(鐘沛璋), 중앙당교 교수를 지낸 두광(杜光) 등이 대부분 당과 정부의 언론, 문화 분야 원로들이어서 이들이 이번 공개 서한으로 처벌을 받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이번 공개 서한 논의가 지난 8월 르포작가인 셰자오핑(謝朝平)이 지방정부의 이주정책을 고발하는 책을 발간했다가 체포된 사건 직후 시작됐다며 류샤오보의 노벨상 수상과는 무관하다고 밝혔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 톈안먼 주역 리루 체포령 뚫고 訪中

    톈안먼 주역 리루 체포령 뚫고 訪中

    1989년 중국 톈안먼(天安門) 민주화운동의 학생 지도자 가운데 한명으로 중국 당국의 ‘체포령’이 내려져 있는 리루(李路·44)가 지난달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사 회장과 함께 고국을 방문했던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다. 톈안먼 사태 후 프랑스를 거쳐 미국으로 망명한 뒤 펀드매니저로 명성을 쌓은 리루는 현재 버핏의 유력한 후계자로 거론되고 있다. 리루가 지난달 29일 광둥 성 선전에서 열린 중국의 전기 자동차 회사 비야디(BYD)의 주주 초청 행사에 버핏과 함께 참석했었다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11일 보도했다. 버핏은 지난달 말 마이크로소프트의 창업자인 빌 게이츠와 함께 중국 부호들과의 자선 만찬을 위해 중국을 방문했으나 리루의 동행 사실은 공개되지 않았다. 리루가 이끄는 ‘히말라야 캐피탈’ 관계자는 리루의 방중과 선전의 BYD 본사 방문 사실을 확인해 줬지만, 그가 어떻게 중국으로부터 입국 허가를 받았는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광둥성 언론 당국은 기자들에게 BYD 주주 초청 행사 때 버핏 외에 리루를 촬영해서는 안 된다는 지시를 내렸던 것으로 전해졌다. 허베이성 탕산(唐山) 출신인 리루는 난징(南京)대 재학 시절 톈안먼 민주화운동에 참여했다가 시위 막바지에 미국으로 망명, 컬럼비아대에서 공부했다. 1993년 우연히 교정에서 버핏의 강연을 듣고 펀드매니저의 길로 들어선 뒤 성공 가도를 달리다 버핏의 눈에 들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 “노벨상 정치화” vs “류샤오보는 희망”

    “노벨상 정치화” vs “류샤오보는 희망”

    중국 안팎에서 중국의 반체제 인사 류샤오보(劉曉波·55)의 노벨평화상 수상 후폭풍이 거세게 일고 있다. “류샤오보를 즉각 석방하고, 인권상황을 개선하라.”는 국제사회 및 중국 내 민주인사들의 요구에 대해 중국 정부가 “노벨평화상이 정치적 도구로 전락했다.”고 맞서면서 인권 공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류샤오보의 아내 류샤(劉霞)는 10일 랴오닝성 진저우(錦州)에서 수감 중인 남편을 면회, 노벨평화상 수상 소식을 알렸다. 공안 당국이 면담을 주선한 것으로 전해져 보다 진전된 조치가 나오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하지만 일단 중국 정부의 입장은 강경하다. 중국 정부는 수상자 발표 직후 “류샤오보는 죄인”이라며 선을 긋고, 중국 주재 노르웨이 대사를 불러 노벨위원회 결정에 강력 항의했다.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자매지 환구시보와 영자지 글로벌타임스가 9일 사설을 통해 “노벨평화상이 반중(反中)이라는 목표에 복무하는 정치적 도구로 전락했다.”며 노벨위원회를 맹렬하게 비난한 것도 중국 정부의 입장을 대변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맞서 서방세계와 중국 내 민주인사들의 인권개선 압박도 계속되고 있다. 지난해 수상자인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 나바타템 필레이 유엔 인권최고대표 등이 성명을 발표해 류샤오보의 즉각 석방을 촉구했다. 베이징 톈쩌(天則)경제연구소 마오위스(茅于軾·81) 이사장 등 중국 내 민주인사 7명도 외국에 서버를 둔 웹사이트 보쉰(博訊)에 올린 공동서한을 통해 “류샤오보의 수상이 중국의 평화적 변화를 위한 희망과 지원을 가져다 줬다.”고 평가했다. 류샤오보의 노벨평화상 수상은 중국 내 지식인들에게도 큰 충격을 던져준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지식인들이 인권과 민주주의를 위해 적극적으로 투쟁하지 못하는 현실에 대해 자괴감을 함께 느끼고 있다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보도했다. 중국 정부는 여전히 인터넷과 언론, 휴대전화 메시지 등을 검열·통제하면서 류샤오보의 노벨상 수상 소식을 차단하고 있다. 때문에 당국의 눈을 피해 마이크로블로그 등을 통해 소식을 전하는 네티즌들과 당국의 숨바꼭질이 계속되고 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 中, 美·유럽 갈라놓기 외교?

    中, 美·유럽 갈라놓기 외교?

    원자바오 중국 총리가 유럽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 2일 시작된 원 총리의 대(對)유럽 외교 행보는 9일까지 계속된다. 원 총리는 첫 방문국 그리스에서 그리스 국채 매입, 유로화 안정 지지, 대규모 구매단 파견 등의 약속을 잇따라 내놓으며 적극적으로 유럽의 가려운 곳을 파고들었다. 앙켈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의 회담을 위해 예정에 없었지만 5일 밤(현지시간) 전격적으로 독일 방문도 단행했다. 제8차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가 열린 벨기에 브뤼셀에서 전용기와 헬기를 번갈아 타며 베를린 북쪽의 메세버그 영빈관으로 날아가는 복잡한 방문길이었다. 홍콩의 문회보 등은 역사상 보기 드문 ‘격식파괴’ 행보라고 평가했다. 이탈리아에 이어 마지막으로 방문할 터키와는 이미 합동군사훈련까지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말 중국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인 터키와 비밀리에 공군 합동훈련을 실시했다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이 6일 보도했다. 중국은 왜 유럽에 이처럼 공을 들이는 것일까. 일단은 당장의 현안인 위안화 절상 등과 관련, 미국과 유럽의 연합전선을 깨는 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은 11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때 중국을 상대로 위안화 절상 연합작전을 펴기 위해 벼르고 있다. 원 총리도 이번 유럽방문에서 위안화 환율을 집중 방어하고 있다. 지난 주말 CNN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무역 불균형 문제를 정치쟁점화해서는 안 된다.”며 미 의회의 환율관련법 제정 움직임을 비판한 그는 ASEM 개막연설을 통해 “주요 결제통화의 환율을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해야 한다.”며 위안화 절상을 거부했다. 유로그룹(유로존 재무장관회의) 의장인 장클로드 융커 룩셈부르크 총리, EU집행위 경제통화담당 올리 렌 집행위원, 유럽중앙은행 장클로드 트리셰 총재 등 유로존 ‘3두마차’의 위안화 절상 요구에 대해서도 유럽제품 수입확대 등을 약속하며 “위안화 환율 문제를 객관적으로 공정하게 지켜봐 달라.”고 주문했다. 중국의 유럽 공략은 장기적으로 미국이 의도하고 있는 G4(미국·중국·일본·유럽) 체제로의 개편과도 무관치 않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유럽을 끌어들이지 않고는 미국에 대적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싱가포르국립대의 정융녠(鄭永年) 동아시아연구소 소장은 최근 “미국은 효율성이 떨어지는 G20 체제보다는 주요 7개국(G7)에서 중요하지 않은 국가를 배제하고, 중국을 받아들여 G4 체제로의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것이 G2 간 갈등의 배경이라고 분석해 눈길을 끌었다. 유럽을 둘러싼 중국과 미국의 세력 다툼, 미국과 유럽을 갈라놓으려는 중국의 시도가 계속될 수 있다는 얘기다. 중국이 사상 처음으로 나토 성원인 터키와 군사훈련을 실시한 것도 그런 맥락에서 주목된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 웜 ‘스턱스넷’ 공격… 中 시설 1000여곳 감염

    웜 ‘스턱스넷’ 공격… 中 시설 1000여곳 감염

    중국 내 1000여곳의 산업시설이 오작동을 일으키는 신종 초정밀 웜바이러스 ‘스턱스넷(Stuxnet)’에 감염된 것으로 알려져 비상이 걸렸다. 관영 신화통신은 컴퓨터보안 전문업체 관계자의 말을 인용, 최근 며칠 사이 중국 내 개인컴퓨터 600만대와 10 00여곳의 산업시설이 스턱스넷에 감염됐다고 30일 보도했다. 보안업체 뤼싱(瑞星) 관계자는 “컴퓨터에 침투한 스턱스넷은 관리자 신분을 획득, 각종 정보를 미국에 기반을 둔 서버로 송출하고 있다.”며 사이버 공격의 진원지로 미국을 지목했다. 스턱스넷은 특히 독일 지멘스사의 특정 제어시스템을 집중적으로 공격하기 때문에 중국 정부가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최대의 수력발전소인 산샤(三峽)댐을 비롯, 베이징 서우두(首都)공항 제3터미널의 운영시스템, 상하이 자기부상철도, 베이징~톈진(天津) 고속철도, 베이징, 광저우(廣州), 선전 등의 지하철 통제시스템 등 주요 기간시설이 지멘스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중국의 사이버 보안 전문가들은 스턱스넷으로 인해 중국이 사상 유례가 없는 엄청난 피해를 입을 우려가 있다면서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베이징의 사이버 보안 전문가인 왕잔타오(王占濤)는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철강, 에너지, 교통 등 중국 내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 경보음이 울린 상태”라면서 “이처럼 비상이 걸린 것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중국 공업정보화부도 상황을 면밀하게 주시하고 있으며, 상황이 심각해지면 전국적으로 지멘스 시스템을 점검하는 등 조치를 취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중국 측은 아직까지 스턱스넷에 감염된 산업시설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지 않고 있다. 스턱스넷은 지난 7월15일 처음으로 감염사례가 확인된 이후 이란, 인도네시아, 인도, 파키스탄, 미국 등지에서 감염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특히 이란의 첫 원자력발전소인 부셰르 원전의 컴퓨터들이 스턱스넷의 집중공격을 받았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 北이어 새달 中 후계구도 가시화

    北이어 새달 中 후계구도 가시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3남 김정은이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에 선임돼 북한의 후계구도가 본격화된 가운데 이번에는 중국의 대권구도에 전 세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다음달 15일부터 나흘간 열리는 중국 공산당 제17기 중앙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17기 5중전회)에서 시진핑(習近平) 국가부주석이 중앙군사위 부주석에 선임될지가 최대 관심사다. 중국에서 중앙군사위 부주석은 ‘대권 승계의 필수코스’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 홍콩 언론들은 29일 후진타오 국가주석이 28일 열린 정치국 회의에서 5중전회 일정을 확정했다고 전하면서 이번 5중전회에서는 시 부주석에게 온통 이목이 집중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시 부주석이 중앙군사위 부주석에 선임되면 중국의 권력승계 문제는 사실상 일단락된다. 2012년 가을 열리는 제18기 공산당 전국대표대회(전대)에서 후 주석으로부터 공산당 총서기직을 물려받고, 2013년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국가주석직까지 넘겨받아 중국의 5세대 지도자에 등극할 것으로 예상된다. 후 주석도 1998년 국가부주석에 임명된 이듬해인 1999년 9월 15기 4중전회에서 중앙군사위 부주석에 선임됐고, 2002년 당 총서기, 2003년 국가주석에 올랐다. 일말의 변수가 남아 있다는 관측도 있다. 바로 리커창(李克强) 부총리와의 권력 투쟁이다. 앞서 시 부주석은 후 주석과 마찬가지 수순을 밟아 지난해 9월 열린 17기 4중전회에서 중앙군사위에 입성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실현되지 않았다. 당시 “리커창 부총리와의 권력투쟁이 심각하다.”, “본인이 고사했다.”, “발표만 안 했을 뿐 이미 확정됐다.”는 등 구구한 소문이 돌았다. 베이징의 외교 소식통은 그러나 “중국의 권력승계 시스템상 시 부주석이 후 주석의 뒤를 이을 것은 거의 100% 확실하다.”면서 “이변은 벌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 홍콩세관 “K21장갑차 계류”

    홍콩해관(세관)은 지난 20일 홍콩 콰이청 화물터미널에서 K21 장갑차와 관련 부품을 발견해 계류중이라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명보(明報) 등 현지 신문들이 23일 보도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K21장갑차는 홍콩 수출입조례(進出條例)를 어긴 것으로 알려졌다. 수출입조례에 따르면 홍콩에서 수출·수입되거나 재수출, 또는 환적되는 모든 전략물품의 경우 반드시 홍콩 해관에 신고해 허가를 받도록 규정돼 있으며, 무기는 전략물품으로 분류돼 있다. 이번에 문제가 된 K21 장갑차와 관련 부품은 2개의 컨테이너에 담겨져 이달 초 사우디아라비아의 항구를 출발한 화물선에 실려 지난 18일 홍콩항에 도착했다. 이후 홍콩 콰이청 화물터미널에서 23일 출발하는 다른 배에 실려 부산으로 향할 예정이었다고 현지 언론들은 전했다. 이에 대해 k21을 생산한 방산업체인 두산DST는 “계류 중인 K21은 사우디아라비아 수출을 위해 현지 시범을 마치고 부산항으로 복귀하는 장비로, 지난달 10일 사우디를 출발해 환적을 위해 이달 18일 홍콩항에 도착했다.”면서 “지난 20일 홍콩세관은 보세창고에서 환적물품을 확인하던 과정에서 이 장비를 발견하고 해명을 요구했다.”고 말했다. 두산은 이어 “홍콩세관은 환적에 필요한 서류 7개 가운데 통상 6개 서류만을 받던 것에서 추가로 최종사용자 확인서를 요구했다.”면서 “24일까지 추가 서류를 운송주관 선사인 머스크사를 통해 홍콩으로 발송하고 이달 30일 홍콩항을 출발해 다음달 5일 부산에 도착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이석기자 hot@seoul.co.kr
  • “김정일 후계자 자리, 여동생 김경희가 노릴 수도”

    “김정일 후계자 자리, 여동생 김경희가 노릴 수도”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여동생인 김경희 노동당 경공업부장이 김 위원장의 후계자 자리를 노릴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고이케 유리코 전 일본 방위상은 ‘준비중인 김정일의 여동생’이라는 제목의 언론 기고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관련 글은 지난 16일자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실렸다. 고이케 전 방위상은 “김 위원장은 김경희를 권력세습의 관리인으로 지명했을 수 있지만 김경희는 스스로 후계자가 되려는 계획을 세울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6월 김정은의 후견인으로 알려진 리제강 노동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의 교통사고 사망 사건을 근거로 들었다. 고이케 전 방위상은 “당시 이 사건에 김경희가 연루돼 있다는 소문이 있었다.”며 “이는 김경희가 김 위원장 사후에 권력을 행사하려는 의도가 있음을 암시한다.”고 설명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 [한반도 ‘천안함 출구’ 열리나] 美-中 화해

    [한반도 ‘천안함 출구’ 열리나] 美-中 화해

    연초 미국의 대(對)타이완 군사무기 판매로 중단됐던 미국과 중국간의 군사교류가 재개될 전망이다. 양국은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이 미국을 국빈방문하게 될 내년 1월 이전에 국방대화 등을 재개하는 것에 대략적인 합의를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8일 중국 외교소식통의 말을 인용, 지난달 말 미국을 방문한 추이톈카이(崔天凱) 중국 외교부 부부장이 제임스 스타인버그 미 국무부 부장관을 만나 정상회담전 군사교류 재개에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두 차례 연기됐던 후 주석의 미국 국빈방문 논의도 속도가 붙기 시작했다. 베이징의 외교소식통은 “양국이 내년 1월 후 주석의 미국 국빈방문에 합의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래리 서머스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 등 미국 고위관료들도 후 주석의 방미 문제 등을 사전조율하기 위해 방중했다.”고 말했다.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방중했을 때 후 주석의 미국 방문을 처음으로 요청했고, 지난 6월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또다시 초청한 바 있다. 후 주석은 두차례 모두 흔쾌하게 초청을 수락했지만 양국간 갈등으로 실현되지 못했다. 미국의 대타이완 군사무기 판매, 오바마 대통령의 달라이 라마 면담, 미국의 위안화 절상 압력 등으로 연초 5개월간 갈등이 지속됐고, 6월 이후에는 한·미 연합군사훈련과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의 남중국해 관련 발언, 중국의 군사훈련 시위 등으로 양국간 갈등이 해소될 틈이 없었다.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중간선거(11월)를 앞둔 미국의 현실적 필요성과 미국과의 장기 대치가 경제 등에 이로울 게 없다는 중국의 판단이 맞아떨어져 양국이 급속도로 화해모드로 전환할 수 있었다고 보고 있다. 한편 후 주석은 이날 서머스 위원장과 토머스 도닐런 국가안보 부보좌관 등 미국 대표단을 만나 “양국은 지속적인 대화와 교류, 협력을 통해 양국관계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문제 등을 적절히 처리해야 한다.”면서 “양국관계를 건강하고 안정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함께 노력하자.”고 말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 추락 北전투기 처리 장기화?

    중국 당국이 랴오닝성 푸순(撫順)현 라구(古)향에 추락한 북한의 미그21 전투기 잔해를 19일 오전 5시쯤 현장에서 반출했다. 사고 발생 38시간만이다. 무장경찰 100여명이 현장 접근을 엄격하게 통제한 가운데 전투기를 해체, 대형트럭 3대에 나눠싣고 떠났다고 현지 주민은 전했다. 현장은 여전히 통제되고 있다. 중국과 북한이 사고기 처리 등을 위한 협상을 시작했지만 조사 및 협상은 장기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베이징의 한 소식통은 “조종사가 이미 사망한 데다 북한도 자세한 경위를 설명할 가능성이 높지 않다.”며 “중국은 당분간 전투기에서 수거한 블랙박스와 잔해 등을 통해 영공 진입 경위 등을 자체조사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조사결과가 나온다고 해도 북한과 중국 입장에서 모두 난처한 사건인 데다 북·중 관계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은밀하게 처리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보고 있다. 추락기가 중국 영공에 진입한 이유와 관련, 베이징의 대북 전문가들은 탈북시도 보다는 기체고장 쪽에 무게를 두고 있다. 한 소식통은 “북한의 연료보급 상태 등을 감안하면 중국을 가로질러 러시아로 망명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훈련 중 항법장치 및 엔진 고장 등으로 국경을 넘은 뒤 연료 고갈로 불시착을 시도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한때 중국 인터넷에서 “조종사 두 명 가운데 한 명이 추락 직전 낙하산을 타고 탈출했다.”는 목격담이 올라 조종사 생존가능성이 제기됐지만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한 소식통은 “중국 당국이 현장조사를 통해 이 전투기가 조종사 한 명이 탑승하는 단좌식이라는 사실을 확인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한편 북한 전투기 월경사건과 관련, 중국 내에서 방공망의 허점이 노출돼 군부가 곤혹스러운 처지에 놓이게 됐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 홍콩 언론들이 보도했다. 홍콩의 군사평론가인 마딩성(馬鼎盛)은 “시속 2100㎞까지 비행할 수 있는 미그21이라면 최소 5분에서, 최대 15분까지 중국 영공에 들어와 있었던 셈”이라며 “중국 인민해방군이 이를 감지하지 못한 것은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 중국 돈, 미술품 시장으로 몰린다

    중국 돈, 미술품 시장으로 몰린다

    중국의 돈이 미술품시장으로 몰리고 있다. 부동산 시장이 정부 규제로 주춤하고, 주식시장이 약세를 벗어나지 못하는 사이 갈 곳 잃은 뭉칫돈들이 미술품 시장으로 몰려들고 있는 것이다. 9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 MP)에 따르면 중국 최대의 미술품 경매회사 폴리 인터내셔널 옥션의 올해 봄철 거래액은 33억위안(약 5650억원)을 넘었다. 이 회사가 한 시즌에 기록한 역대 최대거래액이다. 세계적인 경매회사 소더비도 올봄 홍콩 경매에서 20억홍콩달러(약 3000억원)어치를 거래했다. 지난해 전체 거래액을 넘어선 액수다. 지난 가을철 이후 중국의 미술품 경매회사들이 거래한 미술품 가운데 1억위안(약 171억원) 이상의 초고가 작품도 9점이나 된다. 지난 6월 11세기 북송대 서예가 황정견(黃庭堅)의 서예작품 ‘지주명’(砥柱銘)은 폴리 인터내셔널 경매에서 3억9000만위안(약 667억원)에 낙찰돼 전 세계에서 거래된 중국 미술품 가운데 최고 경매가를 기록했다. 이석우기자 jun88@seoul.co.kr
  • 中, 남중국해 겨냥 미사일 기지 건설

    中, 남중국해 겨냥 미사일 기지 건설

    중국 인민해방군의 전략미사일 부대인 제2포병이 최근 광둥성 북부 샤오관(韶關)에 새로운 미사일 기지를 건설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 홍콩 언론들이 8일 보도했다. 특히 이 미사일 기지에는 항공모함 킬러로 알려진 중거리 탄도미사일 둥펑(東風)-21C와 개량형 둥펑-21D가 집중 배치된 것으로 알려져, 남중국해를 둘러싼 미국과의 패권 경쟁이 한층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거리 탄도미사일(MLBM)인 둥펑-21은 사정거리 1500~2500㎞에 이르며, 특히 둥펑-21D는 정확도가 크게 향상된 대함 탄도미사일(ASBM)로 개발돼 항모 등 해상전력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 미국 워싱턴의 전략·국방 싱크탱크인 ‘프로젝트 2049연구소’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광둥성 미사일 기지 건설은 중국이 남중국해에 대한 전략적 계산을 끝냈음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한편 미국 군사력의 상징인 핵추진 항공모함 조지 워싱턴호는 중국의 이 같은 강경 대응에도 이날 베트남 중동부 항구도시 다낭의 연안에 도착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