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사우스차이나모닝
    2025-11-12
    검색기록 지우기
  • 홍콩
    2025-11-12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3,503
  • 美 시민단체 “전화 감청은 위헌” 정부 제소

    미국 국가안보국(NSA)의 개인정보 수집 스캔들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시민단체가 미 정부기관들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고 나섰다. 11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미국의 시민단체 미국시민자유연맹(ACLU)과 뉴욕시민자유연맹(NYCLU)이 “NSA의 전화 감청 행위는 수정헌법 1조에서 보장하는 표현의 자유와 4조에서 보장하는 사생활을 침해했다며 관련 고위 관계자들을 상대로 제소하겠다”고 밝혔다. ACLU는 법원에 NSA의 통화 내용을 수집하는 기밀 프로그램을 중단시키고 미 정부가 그동안 보관해 오던 모든 통화내역을 삭제하도록 명령할 것을 요청했다. ACLU가 제소한 고위 관계자는 제임스 클래퍼 국가정보국(DNI) 국장을 비롯해 국방부, 법무부, 연방수사국(FBI) 등 관련 당국 수장들이다. 미국 내 여론이 악화되자 기업들은 “기업이 정부의 정보 공개 요청에 적극 협조한 것처럼 비치는 것은 오해”라며 해명에 나섰다. 구글은 이날 공식블로그에 에릭 홀더 법무장관과 로버트 뮬러 연방수사국(FBI) 국장에게 보낸 서한을 공개해 “구글이 마치 정부기관의 고객정보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을 허용하는 것처럼 묘사되고 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한편 스노든과 8년간 그와 교제했던 여자 친구 린지 밀스(28)는 이날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스노든은 미스터리한 남자였다”고 밝혔다. 홍콩에서 자취를 감춘 스노든은 1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인터뷰를 갖고 “나는 반역자도 영웅도 아니다. 미국인일 뿐이다”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노든은 “정의로부터 숨기 위해 여기에 있는 것이 아니라 (미국 정부의) 범죄 행위를 알리기 위해 있는 것”이라면서 미 정부의 본국송환 요청에 맞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 오바마·시진핑 새달 첫 회담… 北核 해법 나오나

    오바마·시진핑 새달 첫 회담… 北核 해법 나오나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다음 달 첫 정상회담을 갖는다. 시 주석을 정점으로 한 중국의 5세대 지도부 출범 이후 주요 2개국(G2)인 미·중 정상이 회동하는 것은 처음이어서 국제사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20일(현지시간) “오바마 대통령이 다음 달 7~8일 시 주석과 캘리포니아주 란초미라지에 있는 휴양지 서니랜즈에서 만날 예정”이라면서 “정상회담 준비를 위해 톰 도닐런 백악관 국가안보 보좌관이 오는 26~28일 베이징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도 21일 시 주석이 이달 31일부터 다음 달 6일까지 트리니다드 토바고, 코스타리카, 멕시코 등 중남미 3국을 국빈방문한 뒤 미국을 찾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정상회담은 시기와 장소 두 가지 측면에서 특이하다. 우선 두 정상이 오는 9월 러시아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처음 만날 것으로 예상돼 왔다는 점에서 보면 회담 시기가 3개월가량 앞당겨진 셈이다. 일각에서는 오바마 대통령이 최근 미 국세청(IRS)의 보수단체 표적조사 논란 등으로 처한 정치적 곤경을 타개하기 위해 외교적 ‘빅 이벤트’를 급하게 마련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이날 “역대 미국 대통령들은 집권 2기에 약해지는 국내정치적 파워를 끌어올리기 위해 해외로 눈을 돌리곤 했다”고 보도했다. 전임자인 후진타오(胡錦濤) 전 국가주석이 취임 후 2년 만에 미국을 처음 방문한 데 반해 시 주석은 취임 후 3개월 만의 방미라는 점도 이번 정상회담이 ‘번개 만남’ 아니냐는 관측을 부르는 대목이다. 시 주석이 중남미 3국을 방문한 뒤 귀국 길에 미국을 들르는 것도 일정이 급하게 추가된 느낌을 준다. 정상회담 장소도 ‘오바마 스타일’이 아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전임자들에 비해 실무적인 백악관 정상회담을 선호해왔고 대통령 별장인 캠프 데이비드도 별로 활용하지 않았다. 따라서 ‘서부의 캠프 데이비드’로 불리는 서니랜즈를 회담 장소로 택한 것은 의외라는 반응이다. 서니랜즈는 언론재벌로 주영 대사를 지낸 고(故) 월터 아넨버그가 만든 휴양지다. 11개의 인공호수와 9홀 골프장 등 위락시설을 갖춘 이 곳에서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리처드 닉슨, 제럴드 포드 대통령 등이 휴가를 즐겼고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매년 새해를 이 곳에서 보냈다. 조지 H 부시 대통령은 1990년 이 곳에서 가이후 도시키 일본 총리에게 국빈만찬을 대접했다. 빌 클린턴, 조지 W 부시 대통령도 이곳에서 휴가를 즐겼고,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 여왕과 찰스 왕세자도 이곳을 방문한 적이 있다. 이 같은 고급 휴양지를 오바마 대통령이 시 주석과의 첫 정상회담 장소로 택한 것은 격식을 벗어나 인간적인 친밀감을 다지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두 정상이 ‘노 타이’는 물론 반바지 차림으로 함께 망중한을 보내는 그림이 펼쳐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북한핵과 이란핵, 시리아 문제 등에서 중국의 협조를 얻기 위해 오바마 대통령이 시 주석에게 파격적 대접을 선사하는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하지만 양국 간에는 그외에도 사이버 해킹,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등 많은 민감한 의제가 놓여 있다는 점에서 회담 결과를 마냥 낙관하기는 이르다는 전망도 있다. 워싱턴 김상연 특파원 carlos@seoul.co.kr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천광청에 인권상 준 英, 中과 관계 더 나빠질 듯

    영국이 미국에 망명한 중국 시각장애인 인권운동가 천광청(陳光誠)에게 인권상을 수여함에 따라 달라이 라마 문제로 냉각된 중·영관계가 한층 악화될 전망이다. 영국 의회는 지난 20일(현지시간) 천광청에게 ‘인권과 인간 생명, 인간 존엄’에 대한 공로를 인정해 웨스트민스터 상을 수여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1일 보도했다. 천광청은 시상식에서 영국 정부에 자신과 가족, 동료 인권운동가들을 탄압하고 한 자녀 정책에 따라 낙태를 강요한 중국 관리 44명의 명단을 전달하고, 이들에 대해 영국 여행 금지 조처를 내려줄 것을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에게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명단에는 장가오리(張高麗) 상무부총리, 저우융캉(周永康) 전 정법위 서기, 리젠궈(李建國) 전국인민대표대회 부위원장 등 고위 인사들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캐머런 총리는 가장 두려워해야 할 것은 두려움 자체라는 프랭클린 루스벨트 전 미국 대통령의 말을 되새겨 중국과 중국이 취할 어떠한 무역 위협도 두려워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열여덟 소녀의 다리 앗아간 쓰촨 대지진…스물셋 스스로 싹 틔운 수영 대표의 희망

    열여덟 소녀의 다리 앗아간 쓰촨 대지진…스물셋 스스로 싹 틔운 수영 대표의 희망

    중국 서부 쓰촨(四川)성 장애인수영팀의 대표선수 다이궈훙(代國紅·23)의 꿈은 장애인올림픽에 출전해 금메달을 따는 것이다. 그는 8만 6000여명의 생명을 앗아간 2008년 쓰촨대지진 당시 붕괴된 베이촨(北川)중학교 건물 잔해에 깔려 두 다리를 잃었다. 뭉툭해진 다리를 뚫고 나오는 뼈를 잘라내는 수술을 매년 받고 있지만 한번도 수영을 포기하지 않았다.  쓰촨대지진 5주기를 맞은 12일 중국에서는 희생자들을 추모하면서도 생존한 부상자들의 재기에 큰 박수를 보냈다. 대지진의 악몽 속에서도 굳건한 삶의 의지를 보여주는 인물들은 다이궈훙뿐이 아니다.  재학 중인 원촨(汶川)현 잉슈(映秀)진의 초등학교에서 나흘 만에 극적으로 구출된 장춘메이(張春梅·16)도 다이궈훙과 마찬가지로 두 다리를 잃었지만 희망의 끈을 놓치 않고 새 삶을 살아가고 있다. 홍콩에서 재활 치료를 받은 뒤 청두(成都)의 한 수영학교에 재학 중인 장춘메이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스포츠는 그날의 악몽을 떨쳐내고, 삶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게 해 준다”며 오히려 다른 부상자들을 격려했다.  잔해더미에 짓눌린 다리를 절단한 뒤 첫 소감으로 “콜라를 마시고 싶다”고 말하는 장면이 TV 화면에 잡혀 ‘콜라소년’으로 유명해진 양빈(楊彬·23)은 1년 전 30만 위안(약 5400만원)의 대출을 받아 카센터를 열었다. 그는 밝은 표정으로 “장애인도 일반인과 똑같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열심히 일한다”며 삶에 대한 강한 의지를 밝혔다. 당시 부상자 37만여명 가운데 이들과 마찬가지로 다리나 팔을 잃어 장애인이 된 사람은 1만여명에 이른다.  몐주(綿竹)시의 황장룽(黃長蓉·46)은 지진 이후 아들 왕쥔제(王俊傑·3)를 낳아 다시 어머니가 됐다. 지진으로 고등학생 딸을 잃은 그는 “지진이 없었다면 지금쯤 외할머니가 됐겠지만 또다시 엄마가 됐다”고 말했다. 쓰촨대지진으로 하나뿐인 자녀를 잃은 여성 가운데 황장룽과 마찬가지로 3546명이 새로 임신해 2690명이 출산에 성공했다.  하지만 일부 중국 언론들은 “당시 부모를 모두 잃고 고아가 된 630명 가운데 다른 가정에 입양된 아이가 12명에 불과하다”며 중국 사회의 비정함을 질타하기도 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中·日 ‘해빙무드’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문제로 얼어붙었던 중·일 관계가 문화 교류를 시작으로 해빙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관측이 2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 홍콩 언론들에 의해 제기됐다. 이와 관련, 전날 일본 교도통신은 일·중 우호회관 회장인 에다 사쓰키 전 참의원 의장이 오는 27~29일 중국 베이징을 방문해 위안구이런(袁貴仁) 교육부장(장관)과 차이우(蔡武) 문화부장을 만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에다 전 의장은 ‘일본통’인 왕이(王毅) 외교부장도 만날 계획이다. 에다 전 의장의 방중 소식은 리셴녠(李先念) 전 중국 국가주석의 딸인 리샤오린(李小林) 중국인민대외우호협회 회장이 일본을 방문 중인 가운데 나왔다. 시진핑(習近平) 주석의 해외 순방에 동행했던 리 회장은 지난달 30일 일본으로 건너갔으며 오는 5일까지 머물며 중국서예전 등 각종 문화 행사에 참석한다. 후쿠다 야스오, 하토야마 유키오 전 총리, 야마구치 나쓰오 공명당 대표 등 일본 정계 인사들도 두루 만날 예정이다. 아베 신조 총리 면담도 희망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리 회장이 시 주석과 어렸을 때부터 잘 알고 지낸 사이라는 점에서 양국 관계 개선과 관련된 시 주석의 메시지를 전달하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사스’보다 치명적인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한국은?

    전 세계에서 10여 명이 사망하거나 감염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사스(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보다 치명적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홍콩대 연구팀의 연구결과를 인용해 “극소수의 인체 세포만 감염시키는 사스와 달리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는 인체의 여러 장기에 영향을 주며 세포를 더욱 빠르게 파괴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 다발성 장기 손상이 나타나며, 사망률은 56%에 이른다. 이에 반해 사스의 사망률은 약 5분의 1 수준인 11%였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달 27일 하루 동안 아랍에미리트의 73세 남성과 사우디아라비아와 파키스탄을 방문했던 영국인 1명이 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돼 숨졌으며, 지난 6개월 간 전 세계에서 이 바이러스로 인해 사망한 환자는 11명에 이른다고 밝혔다. 바이러스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미궁이지만, 홍콩대 연구팀은 박쥐와 원숭이, 돼지, 토끼 등이 바이러스의 숙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이 바이러스는 2012년 9월 중동지역에서 최초로 발견됐으며, 정확한 대비책이 공개되지 않은 만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홍콩은 이번 바이러스와 관련해 연구를 이끄는 등 가장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2003년 사스 유행 당시 사망자 299명이 발생하면서 야기된 사회적 혼란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함인 것으로 해석된다. 홍콩 보건당국은 이미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한 가상 대처 훈련 등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 분쟁지서 勢과시하는 中

    분쟁지서 勢과시하는 中

    남중국해 등 분쟁해역에서 중국 군의 공개활동이 부쩍 늘었다. 주권 수호 선서식을 갖는가 하면 섬 탈환 훈련 등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비공개 관행도 깨졌다. 이런 활동들은 군 기관지인 해방군보 등을 통해 상세하게 소개되고 있다. 31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으로의 권력 이양이 마무리된 이후 중국 해군의 분쟁해역에서의 활동이 증가하고 있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고 보도했다. 시 주석이 자국과 영토분쟁을 벌이는 이웃 국가들에 보내는 일종의 ‘경고 메시지’라는 것이다. 실제 중국 해군은 남중국해를 관할하는 남해함대 주도로 연합기동함대를 구성해 지난 19일부터 남중국해와 서태평양에서 해양순시 및 원양 기동훈련을 벌이고 있다. 함대는 2만t급의 상륙함인 징강산(井岡山)호를 필두로 미사일 구축함 란저우(蘭州)호, 미사일 호위함 위린(玉林)호·헝수이(衡水)호, 헬리콥터, 육상 전투병력 등으로 구성됐다. 함대는 지난 26일 남중국해 최남단 암초 쩡무안사(曾母暗沙·제임스 사주)에 도착해 선상에서 남중국해 수호 선서식을 가져 주변국들을 긴장시켰다. 쩡무안사는 중국, 말레이시아, 타이완 등이 각기 영유권을 주장하는 지역이다. 이어 시사(西沙·파라셀)군도로 이동한 함대는 자국 어업관리선과 인접국 어선들의 불법조업 단속을 협의했다. 앞서 지난 20일 시사군도 인근 해역에서 조업 중이던 베트남 어선에 중국 해군이 총격을 가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양국 간 외교공방이 벌어진 바 있다. 남중국해 활동을 마친 함대는 31일 서태평양으로 이동해 공해상에서 함포 실사격 훈련을 실시했다. 중국 해군의 서태평양에서의 훈련은 최근 들어 더욱 빈번해지고 있으며 다분히 미국과 일본을 겨냥한 훈련으로 풀이된다. 중국 해군은 함대의 독자적 활동 이외에도 공군 등과 잇따라 남중국해에서 합동훈련을 전개해 주변국들을 긴장시키고 있다. 중국 해군이 은밀했던 이전과는 달리 공개활동을 강화하는 것은 시 주석의 뜻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니러슝(倪樂雄) 상하이정법대 교수는 “시 주석은 영토분쟁에서 나약한 모습을 보여 국민적 지탄을 받았던 전임자들과는 차별된 모습을 보여 주려 한다”면서 “특히 태자당(당정군 혁명원로의 자제그룹) 출신이어서 영토분쟁에서 강경한 입장을 취할 수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한·중·일 FTA “韓 최대승자 될 것”

    한국과 중국, 일본 간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위한 1차 협상이 26일부터 시작된 가운데 3국 간의 서로 다른 셈법으로 인해 협상 타결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특히 각국의 ‘동상이몽’ 속에서 한국이 최대 승자가 될 것이란 분석이 눈길을 끈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27일 긴장과 경쟁, 의심의 ‘먹구름’이 두드러진 3국 간의 관계 속에서 미국 견제를 위해 중국이 적극적인 반면 일본은 경제적 이익보다 역내 긴장 완화를 위해 한·중·일 FTA 협상에 참여하고 있어 한국이 최대 승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일본 측 인사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펑리위안 ‘우아한 퍼스트레이디’ 혹은 ‘또 다른 개인숭배’

    중국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해외순방에 동행 중인 부인 펑리위안(彭麗媛)이 연일 뛰어난 패션 감각으로 ‘펑리위안 신드롬’을 낳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은 “우리도 우아한 퍼스트레이디를 갖게 됐다”며 찬사를 쏟아내는 반면 정계 원로들은 그녀에게 시선이 쏠리는 데 대해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 펑리위안의 패션 센스에 힘입어 중국 의류 브랜드 업체들이 동반 상승효과를 누리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26일 보도했다. 신경보도 이날 ‘펑리위안 효과’로 중국 의류 관련주들이 사흘 사이 최고 10%가량 상승했다고 전했다. 이날 중국 신문 매체들은 1면에 전날 탄자니아에서 시 주석 부부와 자카야 음리쇼 키퀘테 대통령 내외가 함께 찍은 사진을 게재했다. 하지만 초점은 단연 펑리위안의 패션에 모아졌다. 차이나 스타일의 구릿빛 롱 원피스와 보라색 스카프를 두른 펑리위안의 패션 및 자태에 관련된 글만 이날 웨이보에 30만건 이상 올라왔다. 앞서 지난 22일 첫 방문지인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그녀가 입었던 남색 더블 코트와 검정색 가죽 핸드백의 경우 단지 같은 브랜드라는 이유로 비슷한 제품들이 품절 사태를 빚기도 했다. 중국인들은 펑리위안이 만들고 있는 중국식 ‘퍼스트레이디’ 스타일에도 주목하고 있다. 역사학자 장리판(章立凡)은 “중국에는 퍼스트레이디라는 개념 자체가 사실상 없었던 만큼 펑리위안은 중국식 ‘퍼스트 레이디’의 길을 개척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오쩌둥(毛澤東)의 부인 장칭(江靑)이 광란의 문화혁명을 주도한 이후 중국 지도자의 부인들은 ‘그림자형 내조’를 강요받았던 것과 달리 그녀는 새 시대에 걸맞은 중국의 신여성상을 만들 것이란 기대가 깔려 있다. 다만 펑리위안이 순방에서 중국 외교에 유연성을 불어넣으며 소프트파워를 제고시키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원로들은 또 다른 형태의 개인 숭배가 이뤄지고 있다며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고 미국에 서버를 둔 보쉰(博訊)이 보도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시·리시대, 중국식 발전 실현… 군림은 없다”

    “시·리시대, 중국식 발전 실현… 군림은 없다”

    중국의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은 17일 취임 일성으로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이라는 ‘중국의 꿈’을 실현하겠다”고 강조했다. 리커창(李克强) 신임 총리는 “중국이 발전하더라도 군림하려 들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위협론’을 불식시키는 데 주력했다. 시 주석은 이날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폐막 연설을 통해 “중국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애국주의를 핵심으로 하는 민족정신을 확산시키고, 단결 가능한 모든 힘을 응집시켜야 한다”며 국민적 단결을 호소했다. 시 주석은 지난해 11월 공산당 총서기에 선출됐을 때도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이루겠다”고 외친 바 있다. 다시 한번 중국의 꿈과 중화민족 부흥을 강조한 것은 국가발전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의지와 함께 사회통합을 이루겠다는 강력한 뜻을 밝힌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또 “중국의 꿈은 반드시 중국특색 사회주의라는 중국의 길을 통해 실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좌우파 간 이념논쟁이나 정치개혁 논의 등 분열 요소는 철저히 배격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서열 2위인 리 총리는 전인대 폐막 후 처음으로 내외신 합동기자회견을 갖고 중국의 발전은 세계의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리 총리는 “13억 인구와 함께 현대화의 길을 완성하려면 아직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평화로운 세계 환경이 필수적”이라면서 “중국은 발전하더라도 절대 힘을 앞세워 군림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임자인 원자바오(溫家寶) 전 총리가 매년 기자회견 때마다 “중국은 패권을 추구한 적이 없고, 앞으로도 절대로 패권을 추구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던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오히려 ‘중국 위협론’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이 부분에 대한 리 총리의 목소리 톤이 높았다. 그는 문답이 끝난 뒤 스스로 문답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리 총리는 또 “부패 행위와 부패분자에 대해서는 법에 따라 엄정하게 다스릴 것”이라며 부패 척결을 국정의 최우선 순위에 놓았다. 그는 “부패와 정부 신뢰는 물과 불의 관계와 같아서 부패는 절대 용인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미국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지난 정부처럼 중·미관계를 고도로 중시할 것”이라며 안정적인 관계를 희망했다. 전날 마무리된 새 정부 진용 구성에 대해서는 “안정에 방점을 찍었다”는 분석이 대두된다. 전체 25명의 부처 수장(장관급) 가운데 무려 16명이 유임됐기 때문이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시·리(시 주석·리 총리)체제’가 공고한 권력기반을 갖추려면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급진적인 변화를 선택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이번 인선에서는 고령자들을 중심으로 유임자가 많았다는 특징도 있다. 25개 정부 부처 수장의 평균 연령은 60.8세로 10년 전 ‘후진타오·원자바오 체제’ 출범 때의 58.7세보다 노쇠했다. 5년 후 2기 ‘시·리 체제’에서 대대적인 개각이 예상되는 대목이다. ‘미국통’ 이면서 한반도 정세에도 밝은 양제츠 외교부장이 외교담당 국무위원으로 승진했고, 외교부장에는 예상대로 ‘일본통’인 왕이(王毅) 타이완사무판공실 주임이 임명됐다. 또 저우샤오촨(周小川) 인민은행장이 유임돼 당분간 통화정책 등의 급격한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中 외교라인 윤곽 드러나

    中 외교라인 윤곽 드러나

    중국 시진핑(習近平) 지도부의 새 외교 라인이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홍콩 명보는 28일 중국의 외교사령탑인 차기 외교 담당 국무위원에 양제츠(楊潔篪) 외교부장의 승진이 유력하다고 보도했다. 양제츠 외교부장은 오는 3일 개막하는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다이빙궈(戴秉國) 외교 담당 국무위원의 자리를 물려받을 전망이다. 외교 사령탑의 경우 그동안 왕후닝(王滬寧) 정치국 위원과 양제츠 외교부장이 경합을 벌여 왔으나 양 부장이 우세한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신문은 각 부처의 부장(장관급)은 전인대 대표를 맡지 않는 게 관례인데 전날 발표된 전인대 명단에 양 부장이 포함됐고, 이는 당국이 그의 승진을 기정사실화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양 부장의 후임으로는 왕이(王毅) 국무원 타이완사무판공실 주임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왕 주임과 경합을 벌이던 장즈쥔(張志軍) 외교부 부부장(차관급)은 왕자루이(王家瑞)에 이어 공산당 중앙대외연락부 부장에 임명될 것으로 알려졌다. 신문은 애초 외교부장으로 유력하던 장 부부장이 왕 주임에게 밀린 것은 당의 원로인 쑹핑(宋平)과 외교 담당 국무위원을 지낸 탕자쉬안(唐家璇)이 왕 주임을 밀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쑹핑은 왕 주임의 장인인 첸자둥(錢嘉東) 전 제네바 주재 중국 대사와 함께 일했던 인연이 있고, 중국 외교계의 일본통인 탕자쉬안도 일본 대사 경험이 있는 왕 주임을 밀었다는 것이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이날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일본통인 왕 주임이 외교부장에 기용되는 것은 “중국이 중·일 관계가 가장 중요한 문제라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밖에 추이톈카이(崔天凱) 외교부 부부장이 미국 주재 대사에 임명될 것으로 전망된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中, 웨이보 최대 영향력 리카이푸에 ‘재갈’

    중국 당국이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微博)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꼽히는 리카이푸(李開復·52) 전 구글차이나 대표의 웨이보 이용 권한을 사흘간 정지시켰다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19일 보도했다. 앞서 리카이푸는 지난 17일 자신의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웨이보 운영업체인) 시나(新浪)와 텅쉰(騰訊)에서 각각 사흘간 침묵할 수밖에 없게 됐다”며 대신 트위터에 글을 올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리카이푸의 웨이보 이용이 정지된 것은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의 검색엔진 사업 ‘지커’(卽刻)와 이 회사 최고경영자(CEO)인 덩야핑(鄧亞萍)의 업무 수행 능력을 공개적으로 비판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는 최근 웨이보에 올린 글에서 “납세자의 돈을 검색 사업체 지원에 쓰는 것도 문제지만 자유로운 정보 흐름이 없는데 어떻게 검색 사업이 잘되겠느냐”고 당국의 정보 통제와 관영 언론의 검색 엔진 사업을 비판했다. 그는 또 “검색 엔진 회사의 대표를 공산당이 임명하는 것도 문제”라면서 “만약 미국 민주당이 (수영 스타) 마이클 펠프스를 구글 CEO에 임명한다면 구글이 야후를 제치고 세계 최대의 검색 엔진이 될 수 있었겠느냐”고 1990년대 세계 탁구계를 평정하며 ‘탁구마녀’로 불렸던 덩야핑의 자질도 문제 삼았다. 은퇴 후 영국 유학을 다녀온 덩야핑은 공산주의청년단(공청단) 간부로 활동하다 2010년 지커 CEO에 임명됐다. 베이징에서 벤처 인큐베이팅 업체를 운영하는 리카이푸는 시나 웨이보에 3000만명, 텅쉰 웨이보에 2400만명의 팔로어를 보유하고 있으며 시나닷컴은 지난해 그를 웨이보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선정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주간지 ‘남방주말’ 검열 사태 일파만파… 中 유명인사·시민, 언론파업 지지

    중국 개혁 성향의 주간지 남방주말(南方周末)의 언론 검열 사태가 일파만파로 확산되고 있다. 남방주말 기자들의 언론 검열 반대 파업을 유명 인사들과 시민들도 적극 지원하면서 중국 집권층을 상대로 언론 자유를 압박하는 형국이다. 파업 소식이 전해진 직후인 지난 7일부터 남방주말 광저우(廣州) 본사 사옥은 물론 베이징 분사 주변에까지 파업을 응원하는 수백여명의 일반 시민과 대학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고 홍콩 명보가 8일 보도했다. 특히 중국에서 팔로어가 매우 많은 사람 중 한 명인 여배우 야오천(姚晨)과 오피니언 리더인 작가 한한(韓寒), 유명 배우 천쿤(陳坤) 등이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에 남방주말 기자들의 파업을 지지하고 나섰다. 이런 가운데 사건을 촉발한 당국의 언론 검열이 시진핑(習近平) 당 총서기의 개혁을 무산시키기 위한 음모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검열 주도자로 지목된 광둥(廣東)성 선전부장 퉈전이 파업 사태를 촉발한 탓에 차기 지도자로 꼽히는 후춘화(胡春華) 광둥성 당서기가 시험대에 올랐다고 중화권 매체 보쉰(博訊)이 이날 보도했다. 보쉰에 따르면 후 당서기는 ‘당이 헌법과 법률 위에 군림해야 한다’는 좌파식 사고를 가지고 있으며 퉈전은 이 같은 언론관을 실천하기 위해 전직 언론·선전 담당 상무위원인 보수파 리창춘(李長春)이 파견한 인물이다. 이들은 헌법을 존중하고 법치 개혁을 통해 정치 개혁을 이루려는 시 총서기를 공동의 적으로 삼아 왔다. 하지만 이번 검열 사건이 언론 자유에 대한 중국인들의 지지를 이끌어내면서 오히려 후 당서기를 난처하게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으로 최고 지도부가 자신들의 언론관을 표명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지만 중국의 발전 상황을 감안할 때 언론 자유를 거론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보고 있다. 당 중앙위 선전부는 이날 당 간부들과 언론 담당 관리들에게 메모를 보내 당의 언론 통제 원칙을 재확인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전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FT, 中에 “우리신문사 사 줘”

    영국 유력 경제지 파이낸셜타임스(FT)를 소유한 미디어기업 피어슨그룹이 중국에서 FT의 인수자를 물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통신 기자 출신으로 현재 중국 상하이 푸단(復旦)대에서 금융저널리즘을 강의하고 있는 더그 영은 7일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피어슨그룹 관계자들이 FT의 인수 대상자를 찾기 위해 중국을 방문했다고 전했다. 영은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블로그에 올린 글에서 피어슨그룹이 중국을 방문한 배경으로 중국의 미디어기업이 다른 나라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현금을 많이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꼽았다. 영은 FT가 중국에서 새로운 인수자를 찾아 나선 것으로 봐서 최근 FT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고 알려진 블룸버그 통신과의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졌다고 해석했다. 피어슨그룹이 한때 자사의 ‘최우량 자산’이었던 FT를 언론 통제가 심한 중국에 매각하려는 시도 자체가 보기 드문 일이라고 영은 지적했다. FT의 이 같은 움직임은 최근 마지막 인쇄판을 내고 온라인으로 전환한 뉴스위크를 비롯해 세계적으로 위축되고 있는 종이매체에 대한 위기 의식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자국과 언론 문화가 다른 서양의 언론 매체를 인수하도록 허가하지 않을 것이며 FT 직원들이 반발할 가능성도 크기 때문에 FT가 중국 기업에 인수될 가능성은 적다고 영은 전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 中 주간지 “작년 1034건 검열당해”

    중국에서 과도한 검열에 대한 언론인들의 항의사태가 확산되는 가운데 당국이 오히려 언론통제를 강화하겠다는 뜻을 표명해 ‘권언(權言) 충돌’이 주목된다. 개혁 성향의 주간신문인 남방주말 소속 기자들이 지난 5일 편집부 명의로 두 번째 공개 성명을 내고 “지난해 모두 1034건의 기사가 당국에 의해 삭제되거나 수정됐다”며 당국의 과도한 검열 행태를 추가 폭로했다고 타이완 연합신문망 등이 6일 보도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당국의 검열과 개입이 수시로 있었고, 기사가 빈번하게 통째로 사라졌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즉각 조사단을 구성해 진상을 파악하는 한편 폐쇄시킨 기자들의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를 해금하라”고 촉구했다. 그러나 당국은 요지부동이다. 공산당 선전 부문 수뇌인 류윈산(劉雲山) 상무위원은 이날 베이징에서 전국 선전부장회의를 소집해 “사회가 다원화되고 매체 환경이 바뀌고 있지만 우리는 공산당의 정치 노선과 중대한 문제에 대한 정확한 입장과 관점을 견지해야 한다”며 언론통제의 고삐를 바짝 조일 뜻을 내비쳤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의 황충칭(黃忠?) 베이징 지국장은 영국 B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남방주말 사건은 중국의 새 지도부 등장 이후 정치개혁과 언론자유가 성취될 것이라는 믿음이 얼마나 어리석은 것인지를 단적으로 보여 줬다”고 꼬집었다. 앞서 남방주말은 당초 1월 2일 자 신년 특집에서 중국의 꿈은 헌정실시와 언론자유라고 적시했으나, 이 매체가 발간되는 광둥(廣東)성 공산당 선전부의 검열을 거친 뒤 중국의 꿈은 위대한 중화민족의 부흥으로 수정됐다. 이에 기자들이 웨이보 등을 통해 강력 항의했으나 관련 글이 모두 삭제됐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시진핑도 ‘언론 길들이기’

    중국 당국의 언론 통제가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비난 여론이 거세게 일고 있다. 중국 내 개혁 성향의 시사주간지 난팡저우모(南方周末)가 신년 특집 기사에 우파 지식인들이 주장하는 헌정(헌법정치)과 권력분산, 민주, 평등 등을 게재했다가 관련 당국이 삭제하는 사건이 일어나 이 신문사 기자들이 항의하고 있다고 BBC 중문판이 4일 보도했다. 난팡저우모는 당초 ‘중국의 꿈은 헌정 실시’라는 제목으로 “헌정과 권력 분산이 이뤄질 때 우리는 공권력을 비판하고, 자유로운 신앙생활을 가질 수 있으며, 자유 강국을 건설할 수 있다”는 내용의 신년 특집을 사전 제작했으나, 광둥(廣東)성 선전부가 이를 모두 삭제하고 대신 시진핑(習近平) 총서기의 취임 일성인 ‘중화민족 부흥의 꿈’으로 대체했다. 이에 편집부 기자들은 지난 3일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徽博)에 공개 성명을 내고 당국의 검열에 강하게 항의하며 조사를 촉구했으나, 관련 글마저 웨이보에서 삭제됐다. 이와 관련, 중국 외교부 화춘잉(華春瑩) 대변인은 “중국에는 언론 검열제가 없으며 언론 자유를 존중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개혁파 잡지 옌황춘추(炎黃春秋)의 시나 웨이보 웹사이트가 이날 오전부터 돌연 폐쇄돼 논란이 일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보도했다. 옌황춘추는 지난해 12월 31일 방송통신위원회 격인 공업정보화부로부터 웹사이트가 폐쇄될 것이란 통보를 받았지만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은 듣지 못했다고 밝혔다. 한편 선전(深?)시 공안 왕덩차오(王登朝·38)가 공원에서 민주 집회를 조직했다는 이유로 지난해 11월 수감됐는데, 엉뚱하게 수뢰 혐의가 적용돼 14년형을 선고받고 투옥 중이라고 신문이 전했다. 신화통신은 앞서 왕이 280만 위안(약 4억 7000만원)의 뇌물을 받았다고 전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 中, 인터넷 검열 강화 알고 보니

    지난달 공산당 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를 전후해 중국내 인터넷 접속이 더욱 느려지는 등 원활한 접속이 어려워진 이유가 드러났다. 중국이 ‘만리방화벽’(Great Firewall)이라는 악명으로 널리 알려진 인터넷 검열 시스템을 한층 강화했으며, 그동안 중국내 네티즌들이 당국이 금지한 사이트 등에 접속할 때 이용했던 VPN(가상사설망)을 자동 감지해 막아버리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23일 보도했다. VPN은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처럼 중국 당국이 막아놓은 사이트를 우회 접속하는 수단으로 이용돼 왔으나 최근 중국 인터넷 이용자들은 VPN에 접속할 수 없거나, 접속되고 나서도 곧바로 멈추거나 속도가 지나치게 느려지는 현상을 경험하고 있다. 일부 외국 VPN 공급업체들은 통제 강화로 인한 시스템 간섭 현상이 있다고 설명했다. VPN 공급업체인 아스트릴은 만리방화벽이 이제 VPN 프로토콜(규약)을 자동으로 학습하고 찾아내 막아버리는 능력을 갖고 있다고 비난했다. 한 관계자는 “이번 만리방화벽 업데이트는 가장 최악이며 모든 VPN 공급업체뿐 아니라 네트워크상의 다른 지점들과 접속하기 위해 VPN을 이용하는 많은 기업들에게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중국의 류샤오밍(劉曉明) 영국주재 대사는 지난 21일(현지시간) BBC에 출연, “중국 인터넷에서는 정치, 경제, 문화 등 각 방면에 대한 네티즌들의 다양한 의견을 볼 수 있다.”면서 “중국의 인터넷은 매우 개방적”이라고 강변했다. 류 대사는 그러면서 “인터넷 보안을 위해 정부의 인터넷 관리는 반드시 필요하다.”며 인터넷 검열 필요성을 합리화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시진핑 ‘격식 파괴’ 없었다

    교통 통제를 하지 않고 주민들과 허물 없이 악수를 나누는 시진핑(習近平) 공산당 총서기의 ‘격식 파괴’ 광둥(廣東)성 시찰을 중국 언론들이 대서특필하고 있지만 실상은 전혀 다른 모습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시 총서기가 첫 시찰지인 광둥성 선전(深?)에 도착한 지난 7일 저녁 선전시 바오안(寶安)구 화차이(華彩)인쇄공장 인근에서는 이 공장 노동자 3000여명이 일부 고속도로 차선을 점거한 채 8시간 동안 시위를 벌였는데 시 총서기의 시찰이 지장을 받지 않았던 것은 공안들이 시위대를 강제 연행하는 등 무력 진압했기 때문이라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10일 보도했다. 시위대가 공안으로부터 구타당하는 사진이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微博)에 유포됐으나 즉각 삭제됐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조작’된 격식 파괴 의혹도 제기됐다. 광저우(廣州)시와 선전시 당국은 시 총서기 방문에 앞서 연일 거리를 청소하고 화단을 새로 조성하는 등 미화 사업에 열을 올렸다. 홍콩 명보는 “이는 이달 초 공산당 중앙정치국이 형식·관료주의 파괴를 외치며 내놨던 지도부 시찰 접대 간소화 조치와 배치된다.”고 꼬집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삼합회 두목, 14년만에 출소한 뒤 첫마디는?

    삼합회 두목, 14년만에 출소한 뒤 첫마디는?

    마피아 등과 함께 세계적인 범죄조직으로 손꼽히는 ‘삼합회’(三合會·트라이어드)의 두목이 14년 만에 출소했다. 홍콩 영자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의 2일자 보도에 따르면, 삼합회의 주요세력 중 하나인 ‘14K’의 두목 완콕코이는 지난 1일 14년 6개월간의 복역을 마치고 출소했다. 1998년 5월 마카오 당국이 중국 반환을 1년 여 앞두고 선포한 ‘범죄와의 전쟁’ 과정에서 체포된 그는 ‘부러진 이빨’(崩牙駒)이란 별칭으로 활동하는 삼합회 조직의 두목이었다. 체포 당시 완콕코이는 돈세탁, 전화도청, 고리대금업 등 범죄조직과 관련한 범법행위 뿐 아니라 마카오 경찰청장의 차량을 폭파해 암살을 시도한 혐의 등으로 15년 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출소 직후 “나의 시대는 갔다.”면서 “마카오의 사회 안정을 위해 조용히 살고 싶다.”는 뜻을 밝혔지만 ‘조직’은 여전히 그를 내버려두지 않았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출소 당일 조직원 수 백 명이 모여 축하연을 연 것이 확인됐으며, 이에 따라 당국은 그의 출소를 계기로 마카오의 범죄조직들이 다시 활기를 띠지 않을까 염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마카오 당국은 완콕코이에게 출소 뒤 불필요한 행보를 자제할 것을 직접 경고했다. 한편 홍콩을 거점으로 활동하는 삼합회는 흑사회와 함께 중화권의 대표적인 범죄조직이며, 기원은 불분명하나 청나라 말 반청복명(反淸復明)조직인 천지회(天地會)에서 변질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홍콩 영화의 주된 소재로 사용되면서 국내에서도 익숙해졌으며, 최근에는 중국의 유명 여배우인 장백지(장바이즈)의 아버지가 삼합회의 조직원인 것으로 알려져 눈길을 모으기도 했다. 사진=영화 ‘무간도2’ 중 한 장면 송혜민기자 huimin0217@seoul.co.kr
  • ‘리틀 胡’ 후춘화, 광둥성 서기 유력 당 인사 총책 조직부장에 자오러지

    ‘리틀 胡’ 후춘화, 광둥성 서기 유력 당 인사 총책 조직부장에 자오러지

    시진핑(習近平) 총서기가 이끄는 중국 공산당의 후속 인사가 잇따르고 있다. 멍젠주(孟建柱) 공안부장이 공안 및 사법계열을 관장하는 중앙정법위 서기에 임명된 데 이어 자오러지(趙際) 산시(陝西)성 서기가 8000여만명의 당원 인사를 책임지는 당 중앙조직부장에 임명됐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20일 보도했다. 중앙정법위 서기는 그동안 상무위원이 맡았으나 이번에 한 단계 아래인 정치국 위원에게 맡김으로써 직위가 내려갔다. 통신은 또 6세대 선두주자 가운데 한 명인 쑨정차이(孫政才) 지린(吉林)성 서기는 충칭(重慶)시 당서기에, 한정(韓正) 상하이 시장은 상하이시 당서기에 임명됐다고 전했다. 전임자들이 각각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임된 데 따른 것이다. ‘리틀 후진타오(胡錦濤)’로 불리는 후춘화(胡春華) 네이멍구(內蒙古)자치구 서기는 개혁·개방의 일번지인 광둥(廣東)성 당서기로 이동할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자치구 당간부 회의에서 “당원들은 시 총서기가 이끄는 당 중앙과 사상이 일치해야 한다.”며 시 총서기에게 ‘충성’을 맹세했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변수가 없는 한 후 서기가 2017년 19차 전국대표대회(전대)에서 정치국 상무위원에 선임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한편 당권(총서기직)과 군권(중앙군사위 주석직)을 동시에 넘겨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후 주석은 내년 3월 국가주석직까지 물려주고 ‘완전 퇴임’한 뒤 공개석상에 나타나지 않고 베이징 자택에서 유선암을 앓고 있는 부인 류융칭(劉永淸)을 간병하는 데 전념할 것이라고 이날 중화권 사이트인 둬웨이(多維)가 보도했다. 후 주석은 1980년대 고원지대인 티베트에서 근무할 당시 산소 부족으로 심장병을 얻었으며 이후에도 완치되지 않았다. 후 주석이 외국 방문 때나 외빈을 접견할 때 때때로 기운이 없고 얼굴이 부어 보여 건강과 관련해 외부의 추측을 불러일으켰던 것도 이 때문이라고 둬웨이는 전했다. 후 주석의 자택은 베이징식물원과 이화원 사이에 있는 위취안(玉泉) 인근 시자오샹산(西郊香山)이며, 다른 지역에는 저택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