곳곳에 김정일노선… 세습체제 강화/북 「개정헌법」 무슨내용 담겼나
◎군사위 격상… 무력사용 전권 부여/당역할 강조로 사회주의 몰락 대응 흔적/북정권 합법성·대남 전략은 그대로 유지
국가안전기획부가 23일 입수,발표한 북한의 개정헌법은 전문및 7개장 1백17개조문으로 구성돼있다.
11개장 1백49개조항이던 종전 헌법에 30여개조항이 새로 추가됐으며 기존내용도 상당부분 손질됐다.
개정헌법의 내용은 크게 ▲시대적 상황변화의 반영 ▲경제난 극복을 위한 노력 ▲사회주의 체제고수 ▲김정일세습체제 강화등의 목적을 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는게 안전기획부의 설명이다.
개정헌법은 우선 마르크스·레닌주의의 퇴조를 반영,「마르크스·레닌주의의 계승」이라는 표현을 제3조에서 삭제한 것은 물론 북한의 대외기본정책(17조)을 종전 「마르크스·레닌주의와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원칙에서 사회주의 나라들과 단결하고 제국주의를 반대하는 인민들과 단결」함에 두던 것을 「자주성을 옹호하는 세계인민들과 단결」하는 것으로 수정했다.
반면 「노동당의 영도밑에 모든 활동을 수행한다」는 조항(11조)을 신설,구소련및 사회주의국가들의 몰락이 노동당이 제역할을 수행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인식아래 노동당의 역할을 강조했다.
경제난 극복을 위한 대외적 경제개방정책의 시도로서는 외국인의 합법적 권리와 이익보장규정(16조)과 자주·평화·친선을 대외정책의 기본원칙으로 천명한 규정(17조)을 신설한 것을 비롯,지난 10월5일 제정된 외국인투자법및 합작법등의 헌법적 기초를 위해 제2장 경제 제37조에 「국가는 우리나라기관 기업소 단체와 다른나라 법인또는 개인들과의 기업합영과 합작을 장려한다」고 명시했다.
개정헌법은 이와함께 경제난 극복을 위한 대내적 산업기술발전촉구노력으로서 인민경제의 현대화 과학화투쟁의 필요성(26조)및 모든 경제활동에서의 기술발전문제 우선고려(27조),농업의 공업화(28조),과학기술발전계획의 수립(51조)등을 역설한 조문을 포함시켰다.
사회주의 체제수호를 강조하는 조치로서는 종전 1개조문이던 국방의 의무에 관한 규정을 보강,「국방」이라는 별도의 장을 신설해 4개조항을 통해 전민무장화·전국요새화·전군간부화·전군현대화를 기본내용으로 하는 군사우위노선을 명시했다.
또 최근 형사소송법제정등 제반법령이 정비됨에 따라 「법은 국가관리의 기본무기이고 모든 기관 기업소 인민은 법을 존종하고 엄격히 준수·집행할 의무가 있다」(18조)고 선언하는등 헌법상으로도 법률에 의한 사회통제강화를 천명했다.
김정일세습체제강화조치로서는 김정일의 최고사령관취임에 따른 헌법적 근거(제107조)를 마련한데 이어 김정일이 위원장인 김일성다음의 지위인 제1부위원장으로 있는 국방위원회를 종전 중앙인민위 산하 부문별위원회의 셩격에서 주석다음의 기관으로 격상시켜 군부장악을 통한 세습체제의 공고화를 꾀했다.
국방위원회는 특히 무력사용에 대한 전반적 권한을 행사할 수 있으며 군사간부임명등 종전 중앙인민위원회의 군사에 관한 권한 모두를 이양받는등 그 위상이 크게 부상됐다.
아울러 김정일이 주창한 3대혁명운동을 제14조에 삽입하는 한편 제8조에서 「공화국의 사회제도는 사람중심의 우리식 사회제도」라고 규정,「인민대중중심의 사회주의는 필승불패」라는 김정일의 지도노선을 헌법내용에 상당부분 반영시켰다.
이밖에 주석및 최고인민회의 중앙인민위의 임기가 종전 4년에서 5년으로 연장되는등 국방위 정무원 중앙재판소장 중앙검찰소장등 주요기관의 임기가 5년으로 통일됐다.
최고인민회의 상설회의에 입법권이 부여돼 그 위상이 최고위입법기관으로 격상됐으며 최고인민회의에는 주석의 소환권및 국방위 위원장,최고인민회의 상설회의 서기장의 선거·소환권,조약의비준·폐기권등이 추가돼 명목상이나마 그 권한이 크게 강화됐다.
국가안전기획부는 그러나 「공화국은 전체 조선인민의 이익을 대표한다」(제1조)는 조항을 존치,북한정권의 유일합법성 즉 남조선혁명전략개념이 그대로 유지되는등 북한은 개정헌법에서도 이념체계및 적화목표에는 변화가 없음을 분명히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