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사(외언내언)
그렇잖아도 세계 2위의 불명예를 누리고 있는 교통사고 사망자가 지난해 전년대비 22.6%나 늘었다는 반갑지 않은 소식이다.경찰청은 지난 96년 26만5천여건의 교통사고가 발생,1만2천600여명이 숨지고 35만5천여명이 부상했다고 밝혔다.매일 멀쩡하던 35명이 사망하는 것이다.
수도 없이 되풀이 되어온 통계의 나열이지만 1년 교통사고에 따른 경제적 폐해는 6천6백여억원.사회적 간접 손실은 1년 정부예산의 8%를 상회하는 6조원이나 된다.하루 평균 18억2천여만원의 직접 피해,1백64억원의 사회적 피해가 발생하는 셈이다.
뭐니뭐니해도 안타까운 것은 인명피해다.아침에 건강하게 집을 나선 가장이,귀여운 자식이 한순간에 목숨을 잃는 비극은 누구에게나 날벼락처럼 떨어질 수 있다.
자동차생산 세계 5위국.차량은 하루가 다르게 늘어 금년 하반기면 1천만대 시대에 들어간다.그만큼 사고는 늘게 마련인데 더욱 큰 문제는 사망자의 45%가 보행자라는 점이다.행인의 안전을 외면하는 거친 운전풍토의 소산이다.또 피해보상이나 치료도 제대로 못받아 2중의 피해를 입히는 뺑소니사건이 급증,96년 35.4%나 늘어난 1만5천여건에 811명이 목숨을 잃었다는 통계다.뺑소니사고 검거율은 60%에 미달이다.
「야만적 교통문화」는 사고원인에 뚜렷이 나타난다.중앙선 침범,음주·과속운전등 법규위반 사고가 46.6%를 점한다.한국의 도로가 얼마나 위험한가를 보여주는 통계가 있다.91년 걸프전에 46만7천여명의 미군이 파견됐지만 전사자는 148명에 불과했다.64년부터 74년까지 10년여 이어진 월남전에 연인원 8백74만여명의 미군이 참전했으나 전사자는 4만7천여명이었다.지난 4년 한국의 교통사고 사망자 숫자와 비슷하다.
92년부터 교통사고 사망자 절반으로 줄이기 운동을 폈던 당국은 이번엔 보다 현실적인 사망자 10% 줄이기 운동에 나섰다.사고가 난 뒤에야 후회하는 조급하고 난폭한 운전문화가 바뀌지 않는 한 생사람 잡는 교통사고는 줄 수가 없다.전쟁터보다 무서운 거리의 평화를 위해 철저한 사전 안전교육과 용서없는 엄한 단속으로 운전문화를 바꾸는 도리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