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빌보드
    2025-08-12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2,610
  • 프로그램 ‘엑셀’로 만든 뮤직비디오 화제

    프로그램 ‘엑셀’로 만든 뮤직비디오 화제

    사무용 프로그램으로 널리 쓰이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엑셀’. 누구에게나 친숙한 이 프로그램으로 재생되는 뮤직비디오가 등장해 화제가 되고 있다. ’세계 최초의 엑셀 포맷 뮤직비디오’란 수식어가 붙은 이 비디오는 소니비엠지 런던 지부의 디자인 담당자 필 크랜딜런과 스티브 밀보른 두 사람의 솜씨다. 이같은 번뜩이는 아이디어의 세례를 받은 음악은 호주 출신의 세계적 하드록 밴드 AC/DC의 ‘로큰롤 트레인’이란 곡으로 최근 발매된 이들의 신보 ‘블랙 아이스’의 첫 싱글이다. 그러나 이같은 발상의 출발점을 알고 나면 그 의미가 반감될 지도 모를 일이다. 제작을 이끈 필 크랜딜런은 위어드닷컴과의 최근 인터뷰에서 “직장에서는 보안상 매우 제한적 인터넷 환경 아래 놓여 있게 마련”이라며 “엑셀 포맷의 뮤직비디오는 회사 방화벽을 무력화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봤다.”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회사 컴퓨터에는 엑셀 프로그램이 기본적으로 설치돼 있어 별다른 보안 절차를 거치지 않고 쉽게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는 뜻. 즉 대중들이 회사에서도 뮤직비디오를 손쉽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는 마케팅상의 노림수가 깔려 있는 것이다. 화제의 곡 ‘로큰롤 트레인’이 실린 AC/DC의 앨범은 빌보드 앨범 차트 1위를 비롯해 영국, 이탈리아, 스웨덴 등 전세계 26개 나라의 앨범 차트 1위를 석권하며 발매 일주일만에 5백만장 넘게 팔려 나갔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해외음악통신원 고달근 kodal69@gmail.com @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공연 리뷰] -태양의 서커스 두번째 ‘알레그리아’

    [공연 리뷰] -태양의 서커스 두번째 ‘알레그리아’

    무대가 현실에선 불가능한 꿈과 환상의 세계를 가능케 하는 마법의 공간이라면 태양의서커스(Cirque du Soleil)는 최고의 마법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간의 육체적 한계를 최고점까지 끌어올려 예술로 승화시키는 그들의 무대는 눈으로 직접 보기 전에는 결코 상상할 수 없다. 지난해 ‘퀴담’에 이어 두번째 내한 작품인 ‘알레그리아’(스페인어로 환희, 기쁨)는 다시 한번 그 명성을 입증했다. 서울 잠실종합운동장에 설치된 거대한 천막극장은 적어도 공연이 진행되는 2시간30분 동안 관객의 몸과 마음을 꼼짝없이 옭아매는 행복한 감옥이었다. 광대가 이끄는 악단이 등장해 서커스 특유의 기분 좋은 시끌벅적함으로 문을 연 공연은 이내 숨을 멎게 하는 아찔한 묘기 릴레이로 이어졌다. 중력의 법칙을 무시하듯 줄 하나에 의지해 공중에서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여성 무용수의 몸짓은 우아했고, 단단한 근육질 몸매를 과시하며 일사불란한 체조와 텀블링 묘기를 선보이는 남성 출연자들은 매혹적이었다. 손바닥만 한 지팡이 하나에 온몸의 체중을 실어 완벽한 균형을 선보인 핸드 밸런싱은 경이로웠고, 번지 줄에 매달려 마치 한 마리 새처럼 추락과 비상을 거듭하는 플라잉 맨은 감탄사가 절로 나왔다. 장난기 가득한 플러, 괴상망측한 차림의 늙고 추악한 다섯 노인 올드 버드, 귀여운 요정 타미르, 그리고 코믹 막간극으로 관객의 긴장을 수시로 이완시켜 준 두 명의 광대 등 독특한 캐릭터들을 보는 재미 역시 놓칠 수 없다. 광대들은 관객에게 장난을 걸며 “내꺼야”“사랑해” 등 한국어 대사를 구사해 웃음을 유도했다. 태양의 서커스 공연에서 빼놓을 수 없는 또 다른 특별함은 무대와 조명, 음악이다. 이번 작품에선 1막 끝부분에 대형 환풍기로 거대한 눈보라를 만들어낸 장면이 압권이었다. 역대 태양의서커스 작품 중 최고라는 음악도 인상적이다.55주간 빌보드 월드뮤직 차트에 올랐고, 그래미상에 노미네이트되기도 했다. ‘알레그리아’를 볼 수 있는 기회는 이번이 마지막이다. 한국, 타이완, 두바이를 잇는 아시아 투어를 끝으로 15년간의 공연은 막을 내린다.‘알레그리아’는 1994년작이고,‘퀴담’은 1996년 작이니 국내에선 아우가 형보다 먼저 선보인 셈이다.1544-1555.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 ‘팝요정 완벽귀환’ 브리트니, 9년만에 빌보드 1위

    ‘팝요정 완벽귀환’ 브리트니, 9년만에 빌보드 1위

    팝가수 브리트니 스피어스가 9년 만에 빌보드 싱글 차트 1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스피어스는 지난 15일 발표된 빌보드 싱글 차트에서 신곡 ‘워머나이저’(Womanizer)로 정상에 등극했다. 1999년 ‘베이비 원 모어 타임’(Baby One More Time) 이후 9년만이다. 전 남편 캐빈 페더라인과의 이혼을 계기로 방황의 나날을 보내며 구설수에 오르내렸던 브리트니는 더이상 예전의 명성을 되찾기 힘들 것이라는 다수의 예상을 뒤엎고 화려하게 재기에 성공했다. 특히 예전 전성기 때 몸매를 되찾은 브리트니는 새 타이틀 곡 ‘워머나이저’(Womanizer)의 뮤직 비디오에서 올 누드를 당당하게 선보이며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내 ‘팝 요정의 귀환’을 실감케 하고 있다. 브리트니의 뮤직비디오는 유투브 등 각종 동영상 사이트에서 화제를 불러 모으며 높은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다. 음원의 다운로드 판매량 또한 발매 첫 주 28만6천 건을 기록했다. 한편 브리트니는 내년 초 ‘브리트니 스피어스 월드투어 2009’를 통해 미국과 유럽, 아시아 등 전세계를 두루 순회하며 콘서트를 펼칠 예정으로 알려져 또 한번 브리트니가 팝 열풍을 일으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사진 = 브리트니 ‘워머나이저’ 뮤직 비디오의 한 장면 서울신문NTN 최정주 기자 joojoo@seoulntn.co.kr@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메탈리카 “우리가 최고? 최고를 갈망할 뿐”

    메탈리카 “우리가 최고? 최고를 갈망할 뿐”

    록의 전설 ‘메탈리카’(Metallica)는 겸손했다. 메탈리카는 지난 1981년 결성, 1983년 ‘킬엠올’(Kill’em All)로 데뷔한 이들은 스래쉬 메탈(Trash Metal)이라는 새로운 장르로 전세계 앨범 판매 누적고 9천 5백 만장, 그래미 어워즈 7회 수상, 빌보드 뮤직 어워즈 3회 수상, 아메리칸 뮤직 어워즈 2회 등 그 어떤 가수도 넘보지 못할 수 많은 기록을 양산해온 역사적인 그룹이다. 하지만 메탈리카는 서울신문NTN과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우리는 탐험가이고 계속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자신들의 위치를 낮게 평가해 눈길을 끌었다. 이번 이메일 인터뷰에 응해 준 메탈리카의 보컬이자 기타를 맡고 있는 제임스 햇필드(James Hetfield)는 5년 만에 발표한 새 앨범 ‘데스 마그네틱’(Death Magnetic)에 대해 “새로운 사운드와 초기 음악의 정수를 합친 음악”이라고 평가했다. 그간의 스래쉬 메탈을 버리고 얼터너티브를 가미하면서 새로운 시도로 선보인 2003년 작 ‘St. Anger’로 메탈리카는 평단은 물론 팬들에게서 혹평을 받았다. 전작 ‘St. Anger’의 실패에 대해 제임스 햇필드는 “우리는 우리를 위한 최고의 음악을 만드는 것에 집중했고 다양한 시도를 했다. 외부의 압력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았다.”며 “더 나은 것을 원했고 최고의 것을 만들기 위한 노력이었다.”고 회고했다. 이런 제임스 햇필드의 말처럼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것만 같았던 메탈리카는 5년 만에 신작 ‘데스 마그네틱’에서 강력한 80년대 초기 사운드는 물론 원숙한 연주력까지 더해지며 빌보드 차트 1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제임스 햇필드는 “이번 ‘데스 마그네틱’은 릭 루빈과 우리가 메탈리카의 기본과 집약, 갈망, 순수함을 잡아내려는 노력을 담았고 그것을 이뤄냈다.”고 평가했다. 일각에서 거론되는 그들의 과거작 ‘마스터 오브 퍼팻츠’(Master of Puppets)와 변화가 없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사람들이 그렇게 말하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런 사실은 날 화나게 하고 약간은 무섭게 한다. 하지만 우리는 이 곡들을 우리를 위해 썼다는 것을 팬들에게 말하고 싶다.”며 “모든 사람을 만족 시킬 수는 없는 것을 알고 있다.”고 설명한다. 메탈리카의 데뷔 후 수 많은 밴드들이 ‘포스트 메탈리카’를 외치며 나타났지만 그 명맥을 21세기에 까지 잇고 있지는 못하다. 쟁쟁한 후배들도 사라져 버린 이런 세대에 20년 이상 정상의 자리에서 ‘메탈의 황제’로 군림하고 있는 메탈리카는 자신들을 어떻게 생각할까? 제임스 햇필드는 “메탈리카는 탐험가고 계속 나아가야 한다. 우리는 아티스트이고 최고를 갈망할 뿐이다.”고 자신이 생각한 바를 전했다. “아직 최고를 이루지는 못했다. 그렇기에 우리는 전진해야 한다.” 인터뷰 말미에 제임스 햇필드가 남긴 말처럼 최고를 위해 나아가는 메탈리카가 어떤 음악을 전세계 팬들에게 들려줄지 기대해 보자. 사진제공=유니버설 뮤직 서울신문NTN 김경민 기자 star@seoul.co.kr@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할리우드 진출’ 손담비 “연기·영어 준비완료”

    ‘할리우드 진출’ 손담비 “연기·영어 준비완료”

    가수 손담비가 영화계에 그것도 할리우드에 진출한다. 최근 새 타이틀 곡 ‘미쳤어’로 전성기를 누리고 있는 손담비는 최근 미국 최대 영화사인 유니버셜이 제작하는 춤 소재 영화 ‘하이프 네이션’(가제)의 여주인공으로 러브콜을 받았다. 할리우드 정상급 배우인 우피 골드버그, 재뉴인, 마야 등도 출연도 확정돼 있어 손담비가 대어급 배역을 꾀찬 배경에 대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서울신문NTN과 인터뷰를 가진 손담비는 본격적인 가수로 데뷔하기 전 이례적 경력에 대해 언급했다. 그간 댄스가수의 이미지가 강했던 손담비의 ‘할리우드 영화계 진출’이 대중들에게는 다소 의아하게 느껴질 수 있겠다. 하지만 손담비는 데뷔를 앞둔 3여년 전부터 미국 현지에서 댄스 및 언어 트레이닝을 거쳤을 뿐만 아니라 가수 데뷔 전 연기자로의 꿈을 키워왔던 사실을 고백했다. ◆ 방송연예과 출신, 연기자 꿈 키웠다 동아방송대학 방송연예과 출신인 손담비는 가수로 데뷔하기 이전 대학에서 본래 연기자의 길을 걷고 싶었다고 털어놨다. ”고등학교 때 까지 연예계 진출을 꿈꾼 적은 없어요. 대학 입시를 준비하면서 연기자의 꿈을 부모님께 상의 드리게 됐는데 ‘너가 원하면 지원하겠다.’고 찬성해 주셨죠. 가수의 경우 여러가지 바탕이 되야 하는 부분이 있어서 연기자가 더 어울린다고 생각했어요. “ 손담비는 처음 연예기획사에 들어갔을 당시에도 가수가 아닌 연기자 지망생으로 들어가게 됐지만 뜻밖에 반전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연기자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가수 오디션을 거치게 되면서 데뷔 방향을 전환하게 됐어요.” 손담비는 그로부터 3년이 넘는 시간동안 가수로서 혹독한 트레이닝을 거치면서 연기자로서의 꿈을 완전히 포기했던 것은 아니지만 “연기자를 했으면 또 얼마나 긴 준비 기간이 걸렸을지 모른다.”며 몸을 낮췄다. 그러던 손담비에게 할리우드 영화사 측의 러브콜은 본래 꿈의 영역을 확장하게 된 뜻밖의 기회가 아닐 수 없다. ◆ 미국 현지 트레이닝 3년, 언어 장벽 극복 솔로 데뷔 전, 2005년부터 트레이닝 활동을 해 오던 에스-블러쉬(S-Blush)의 주요 멤버였던 손담비는 약 3년 반 동안 미국 현지에서 실력을 쌓았다. 손담비는 당시 가장 어려움을 겪었던 부분으로 언어 장벽을 꼽았다. ”멤버 중 저 혼자 한국 사람이었어요. 타 멤버들은 교포 출신이었고요. 타지에서의 생활이 쉽지 않았지만 그때 언어적 어려움을 많이 극복한 것 같아요. 특히 그 중 한 멤버의 권유로 미국 교회에 다니게 됐는데 현지 분들이 너무 따뜻하게 대해 주셨어요.” 미국에서 남성적인 강도 높은 댄스로 알려진 크럼핑 댄스 등 흑인 춤을 섭렵해 가던 손담비는 조금씩 언어적 장벽도 낮아지는 느낌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또한 그룹 듀스 출신 이현도와 미국 라펠슨 컴퍼니 소속 피터 라펠슨이 합작한 ‘It’s my life’가 미국 빌보드 핫 댄스 클럽 플레이 차트 2위에 랭크되는 성적을 거두기도 했다. ”자양분이 된 시간들이에요. 미국에서의 다양한 트레이닝 과정은 지금의 가수 활동에도 큰 도움이 되고요. 장차 제 꿈을 이뤄 나가는 데도 중요한 배움의 기간으로 도움이 되리라 믿습니다.” 새앨범 타이틀 곡 ‘미쳤어’의 인기 상승세와 더불어 하반기 차세대 섹시퀸으로 급부상한 손담비가 할리우드 영화에서 보여 줄 숨겨둔 또 다른 재능에 영화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서울신문NTN 최정주 기자 joojoo@seoulntn.co.kr @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메탈리카 새 앨범, 英ㆍ美 음반차트 1위

    메탈리카 새 앨범, 英ㆍ美 음반차트 1위

    헤비메탈의 전설 메탈리카(Metallica)가 5년 만에 발매한 신보 ‘데스 마그네틱’ (Death Magnetic)이 17일자 미국 빌보드 앨범 차트 Billboard 200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이로서 메탈리카는 지난 1991년 이후 발표한 앨범 다섯장(Metallica, Load, ReLoad, St.Anger,Death Magnetic)이 모두 빌보드 앨범차트 1위에 오른 역사상 전례 없는 밴드로 기록됐다. 또한 메탈리카는 앞서 15일 발표된 영국 앨범 차트 에서도 1위를 차지하여 발매 첫 주에 미국, 영국 차트를 동시 석권하는 기염을 토했다. 전세계 온라인 선주문, 까다로운 제작사양 등으로 화제를 모으기도 한 메탈리카의 이번 앨범 ‘데스 마그네틱’은 전작 ‘St.Anger’ 이후 5년 만에 선보이는 신보로 첫 싱글 ‘The Day That Never Comes’를 비롯한 신곡들에서 그들의 전성기라고 불리던 80년대 강렬한 사운드로 회귀를 시도해 팬들과 평단의 호평을 받고 있다. 사진제공=유니버설 뮤직 서울신문NTN 김경민 기자 star@seoul.co.kr@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더 강력해진 사운드… ‘회춘’한 메탈리카

    더 강력해진 사운드… ‘회춘’한 메탈리카

    메탈리카(Metallica). 메탈 음악을 즐겨 듣는 사람이 아니라도 누구나 한번쯤은 들었을 법한 이름일 것이다. 1981년 결성, 1983년 데뷔 앨범 ‘Kill’em All’로 데뷔한 메탈리카는 비주류 장르인 스래쉬 메틀 그룹임에도 전세계 앨범 판매 누적고 9천 5백 만장, 그래미 어워즈 7회 수상, 빌보드 뮤직 어워즈 3회 수상, 아메리칸 뮤직 어워즈 2회 등 그 어떤 가수도 넘보지 못할 수 많은 기록을 양산한 대표적 록그룹이다. 특히 5집 앨범 ‘Metallica’는 1천 5백만 장의 판매고를 기록해 RIAA(미국 레코드 산업협회)가 인증한 다이아몬드 레코드를 기록했으며, 1991년 이후 발표한 정규앨범은 4장 연속 빌보드 앨범차트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데뷔 30년을 바라보는 ‘노장그룹’ 메탈리카. 어느덧 50줄을 바라보는 이 노장들이 12일 5년 만에 선보인 ‘Death Magnetic’을 들고 돌아왔다. 여타 노장 아티스트들이 과거의 영광을 돌이킬 법한 음반들을 선보여 팬들을 실망케 하는 경우가 허다한데 이들은 달랐다. 그것도 더욱 강력해진 모습으로 돌아왔다. 총 10곡을 수록한 이번 앨범은 21세기에 듣기에는 너무나 파격적이다. 프로그레시브록 그룹들의 특기였던 러닝타임이 6~8분여에 이르는 대작 구성의 곡들과 함께 최근 그 흔한 디지털 사운드는 찾아볼 수 없다. 보컬 겸 세컨기타인 제임스 햇필드의 강력한 샤우팅 보컬과 함께 더욱 복잡해지고 간결해진 커크 해밋의 기타리프와 전작 ‘St. Anger’의 리듬 라인을 빛나게 했던 로버트 트루질로의 완벽한 연주가 전부이다. 메탈리카의 리더이자 드럼을 맡고 있는 라스 울리히는 언제부터인가 사라진 투베이스 드럼 연주를 완벽하게 부활시켰다. 1번 트랙 ‘That Was Just Your Life’부터 칼 같은 리듬 파트를 깔기 시작하더니 2008년 오즈페스트에서 첫 선을 보인 ‘Cyanide’에서는 시종일관 투베이스를 밟으면서 과거의 명작 ‘One’을 연상케 할 만큼 강력한 드럼 키킹을 보여주고 있다. ‘80년대로의 회귀’를 선언한 만큼 메탈리카의 신보는 언제부터인가 느슨해져 버린 그들의 연주를 다잡았다고 볼 수 있다. 최고의 명작으로 꼽히는 명작 ‘Master of Puppets’와 ‘Metallica’의 그것을 연상케 한다. 특히 4번 트랙 ‘The Day that Never Comes’는 메탈리카의 수작으로 꼽히는 ‘…And Justice for All’과 맥락을 같이하며, 6번 트랙 ‘Cyanide’또한 ‘Disposable Heroes’와 닮아있다. 단 세월이 흐른 만큼 그들의 연주는 더욱 깊이가 있고 강력해졌다. 그 외에도 시리즈로 계속 진행되고 있는 ‘The Unforgiven 3’ 또한 프로그래시브 메틀 밴드를 연상케 할 만큼 수시로 변하는 리듬라인과 변주, 다양한 악기의 조합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트랙 중 유일한 인스트루먼트 곡인 ‘Suicide& Redemption’는 서정적인 멜로디로 시작하더니 중반부를 넘어서면서 타이트한 기타와 베이스 리프로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커크 해밋은 와와페달 등 다양한 이펙터를 마치 자신의 수족인 양 자유자재로 부리며 리듬 라인 또한 다양한 변박자를 시종일관 손쉽게 연주한다. 메탈리카와 함께하던 수많은 80, 90년대 그룹들은 해체되거나 사라져 버렸다. 메탈리카가 느슨해진 사이 그 뒤를 이을 것으로 예견됐던 판테라는 보컬 필립안젤모의 탈퇴와 기타리스트 다임벡 데럴의 총기 피격 사건으로 사라졌으며, 독일발 테크니컬 그룹 헬로윈은 리더 카이 한센의 탈퇴 후 수 많은 멤버 교체 끝에 그 존재감을 잃고 말았다. 하지만 5년 만에 컴백한 메탈리카는 그들을 기억하는 사람에게만 한정된 ‘추억 마케팅’ 따위는 생각도 않고 21세기에 ‘제대로 된’ 스레쉬 메틀 사운드를 담은 강력한 음반을 들고 돌아왔다. 멤버들의 노화로 인한 연주력 저하로 역사의 뒤안길로 접어들 것으로만 예상되던 이 노장 그룹은 자신이 데뷔해 활동하던 시기에 태어난 아들, 조카 뻘 록밴드들 보다 더욱 강력하고 마초적인 80년대 음악을 들고 돌아왔다. 노장은 죽지 않았다. 더 강해져서 돌아온 것이다. 사진제공=유니버설 뮤직 서울신문NTN 김경민 기자 star@seoul.co.kr@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태양의 서커스 ‘환희’로 다시 온다

    태양의 서커스 ‘환희’로 다시 온다

    태양의 서커스가 다시 한국에 온다. 1984년 창단된 태양의 서커스는 전통 서커스와 극적 요소, 조명, 음악 등으로 아트서커스의 정수를 선보여온 캐나다의 공연단체. 이들은 지난해 첫 내한공연인 ‘퀴담’으로 공연흥행 1위, 관객 17만명, 매출 150억원을 기록하며 국내 관객들에게 서커스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줬다. 이들의 아홉번째 작품 ‘알레그리아’가 10월15일 서울 잠실종합운동장 빅탑 무대에 오른다. 스페인어로 환희, 기쁨이라는 뜻의 ‘알레그리아’는 1994년 초연해 전세계 65개 도시 1000만명이 관람한 작품. 제목처럼 인생의 즐거움과 희망을 찬미하는 이 서커스는 ‘퀴담’의 연출자 프랑코 드라곤이 서커스단 창립 10주년을 기념해 연출했다. 마스트엔터테인먼트의 김용관 대표는 “‘퀴담’이 ‘다크 쇼’였다면 ‘알레그리아’는 제목처럼 밝고 화려한 쇼”라며 “빌보드 월드뮤직 차트에 55주간 오를 만큼 특히 음악이 태양의 서커스 레퍼토리 가운데 가장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는 작품”이라고 말했다. ‘알레그리아’는 17개국의 최정상급 음악가 55명으로 움직인다. 작품은 마치 위병교대식을 보듯 신·구세력이 교체되는 정황을 그린다. 신세계로 대표되는 에리카와 구세계를 상징하는 플러가 대립하다 마침내 에리카가 승리하는 모습을 통해 전세계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은유적으로 표현한다. 밀란 로키치 아시아태평양 마케팅 부사장은 “태양의 서커스 작품은 세계 각국의 다양한 문화가 어우러진 결과물”이라며 “북한의 공중곡예에서 영감을 받은 공연이나 한국의 널뛰기에서 착안한 동작도 있다.”고 밝혔다. 이번 작품을 위해 주최 측은 25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대형 천막극장을 잠실종합운동장 내에 설치할 계획이다.‘알레그리아’는 이번 아시아 투어를 끝으로 15년간의 순회공연을 마무리한다. 공연시간 2시간30분.5만∼20만원.(02)541-3150. 정서린기자 rin@seoul.co.kr
  • [부고] R&B 선구자 웩슬러 사망

    ‘리듬 앤드 블루스’(R&B)라는 용어를 창시하고 솔 거장들의 음반을 제작한 미국의 음악 프로듀서 제리 웩슬러가 타계했다.91세. AP,AFP 등 외신에 따르면 웩슬러는 지난 15일 오전 미국 플로리다주 새러소타의 자택에서 심장질환으로 숨을 거뒀다. 1917년 뉴욕에서 태어난 웩슬러는 1940년대 후반 빌보드지 기자로 근무하면서 흑인 음악 차트에 ‘리듬 앤드 블루스’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했다.1953년 아흐메트 에르테군을 만난 그는 에르테군이 설립한 독립 음반사 ‘애틀랜틱 레코즈’에 파트너로 합류했다. 이후 흑인 음악가들의 활동을 뒷받침하고 레드 제플린과 롤링스톤스 등 록밴드들의 초기 활동을 돕는 데 힘썼다. 레이 찰스, 아레사 프랭클린, 윌슨 피켓, 솔로몬 버크, 퍼시 슬레지 등 세계적 뮤지션들의 음반이 그의 손을 거쳤다. 프랭클린의 ‘리스펙트(Respect)’, 슬레지의 ‘남자가 여자를 사랑할 때(When a Man Loves a Woman)’, 피켓의 ‘인 더 미드나이트 아워(In the Midnight Hour)’ 등이 그의 대표작이다. 1970년대 워너브러더스 레코즈로 자리를 옮겨 1979년 밥 딜런의 음반 ‘슬로 트레인 커밍’ 등을 제작했으며,1987년에는 로큰롤 명예의전당에 헌액됐다.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 데스 캡 포 큐티 “서태지 음악 들어본적은 없어”

    데스 캡 포 큐티 “서태지 음악 들어본적은 없어”

    서태지가 주최하는 ‘ETPFEST 2008’에 초대받은 미국 모던록 밴드 데스 캡 포 큐티가 “서태지의 음악을 들어본 적은 없지만 이런 페스티벌을 개최할 수 있다는 것이 대단하다.”고 전했다. 데스 캡 포 큐티는 13일 오후 9시 30분 서울 삼성동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열린 ‘ETPFEST 2008’기자회견에 참석해 이 같이 말했다. 보컬 겸 키보드를 맡고 있는 벤 기버드가 건강상의 이유로 불참한 채 기자회견에 참석한 데스 캡 포 큐티는 “이제 막 한국에 도착했는데 석양이 너무 아름다웠다.”고 한국에 대한 첫 인상을 밝혔다. 이어 ‘이 페스티벌을 개최하는 서태지의 음악을 들은 적이 있나?’는 취재진의 질문에 대해 “솔직히 말해서 서태지의 음악을 들어본 적은 없다. 하지만 이런 페스티벌을 개최할 수 있는 사람이기에 음악을 빨리 들어보고 싶다.”고 전했다. 데스 캡 포 큐티는 지난 지난 1997년 데뷔한 4인조 모던 록 밴드로 최근 발매한 앨범 ‘Narrow Stairs’가 앨범 발매와 동시에 빌보드 차트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ETPFEST 2008’은 서태지, 마릴린 맨슨, 데스 캡 표 큐티는 이날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그 화려한 시작을 알렸다. 올해로 4회째를 맞은 ‘ETPFEST’는 14,15일 양일간 서울 잠실 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서태지, 마릴린 맨슨, 드래곤 애쉬, 스키조, 에픽하이, 닥터코어911, 디아블로, 클래지콰이 등이 참석해 열띤 음악의 장을 펼칠 예정이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에는 최송현 전 KBS아나운서가 사회를 맡아 퇴사 후 첫 공식석상에 모습을 드러내 눈길을 끌었다. 서울신문NTN 김경민 기자 star@seoul.co.kr / 사진=조민우 기자@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앨리샤 키스 내한 공연, 1% 아쉬움 남기다

    앨리샤 키스 내한 공연, 1% 아쉬움 남기다

    세계적인 팝스타 앨리샤 키스(Alicia Keys)의 내한공연이 6,000여명 한국팬들의 환호 속에 99%의 성공과 1%의 아쉬움에 막을 내렸다. 앨리샤 키스는 7일 오후 9시 서울 잠실 실내체육관에서 ‘AS I AM Tour 2008-키스 더 썸머나잇’ 콘서트를 통해 한국 팬들을 만났다. 빅뱅 멤버 태양이 오프닝 게스트로 무대에 올라 자신의 솔로 앨범 수록곡 ‘기도’와 ‘나만 바라봐’로 시작된 앨리샤 키스의 내한 콘서트는 모든 것이 그의 노래에 초점을 맞추고 기획됐다. 여느 가수의 무대에서 흔히 볼 수 있던 화려한 무대와는 다르게 조명 만으로 무대에 변화를 주었으며 관객을 위한 대형 스크린과 음향 장비 외에 모든 것은 앨리샤 키스라는 아티스트와 밴드들의 연주를 위해서만 존재했다. 세계정상의 R&B가수로 손꼽히는 앨리샤 키스는 여느 여가수의 무대와는 다르게 간결한 의상 한벌만으로 꾸며진 것 또한 눈길을 끌었다. 보라색 슬리브리스 티셔츠와 하이 웨이스트 스키니진을 입은 앨리샤 키스는 악세서리 또한 상의의 브로치 만으로 멋을 내고 무대에 올랐다. 하지만 무대에 올라 노래를 시작하는 순간 앨리샤 키스의 폭발적인 가창력과 무대 매너는 화려하지 평범한 않은 의상임에도 그가 왜 세계 정상의 가수인지를 실감케 했다. 무대에 설치된 그랜드 피아노와 양 끝 단에 위치한 키보드를 오가면서 자신의 노래를 한국팬들에게 선보인 앨리샤 키스는 공연 내내 즐거운 미소를 지으며 화려한 가창력을 과시했다. 앨리샤 키스의 3집 수록곡 ‘Go Ahead’로 시작된 앨리샤 키스의 내한 공연은 ‘Teenage Love Affair’, ‘Karma’, ‘I need You’와 빌보드 차트 정상을 차지한 ‘No One’까지 총 17곡으로 꾸며졌다. 이어 팬들의 앙코르가 요청이 이어지자 앨리샤 키스는 무대에서 지난 2004년 내한 당시 한국팬들을 모두 따라 부르게 만든 자신의 히트곡 ‘If I Ain’t Got You’를 열창하며 지난 내한 공연을 회상케 했다. 앨리샤 키스 본인이 공연 초 “흥분된 밤을 선사하겠다.’는 말처럼 시종일관 뜨거운 무대였다. 하지만 앨리샤 키스의 이번 콘서트는 여느 해외 톱 아티스트의 내한 공연에서 고질병처럼 지적되던 지각 공연이라는 1%의 아쉬움을 남겼다. 빅뱅 태양의 오프닝 무대는 예정된 오후 8시에 이뤄졌지만 정작 앨리샤 키스 본인의 공연은 8시 30분을 훨씬 넘긴 9시 정각에서야 시작됐다. 그 결과 공연을 기다리던 일부 관객들은 주최 측에 환불을 요청하기도 했으며, 공연을 관람하던 일부 관객들은 늦은 귀가 시간이 부담되는 듯 콘서트가 끝나기도 전에 서둘러 공연장을 떠나는 웃지 못할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한편 앨리샤 키스의 내한 콘서트는 수 많은 국내 가수들 또한 자리해 눈길을 끌었다. V.O.S와 원더걸스 멤버 선예, 예은, 선미가 자리했으며 애즈원, 2AM, 박정현, 마스터우, 스토니 스컹크가 공연장을 찾았다. 세계적인 R&B 가수로 손꼽히는 앨리샤 키스는 지난 2001년 데뷔 앨범 ‘Song in Minor’로 데뷔해 2002년 그래미 어워드에서 5개 부문을 수상하며 세계적인 스타로 부상했다. 2003년 두 번째 앨범 ‘The Diary of Alicia Keys’는 450만장의 판매고를 기록했으며, 5년 만에 발매된 세 번째 앨범 ‘As I Am’은 수록곡 ‘No One’이 발매되자 마자 빌보드 탑10에 오르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사진제공=소니BMG 서울신문NTN 김경민 기자 star@seoul.co.kr@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16년차 아이돌 백스트리트보이즈 새앨범 준비중

    16년차 아이돌 백스트리트보이즈 새앨범 준비중

    16년째 전세계에서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는 미국의 ‘중견’ 아이돌 그룹 ‘백스트리트보이즈’(Backstreet Boys, 이하 BSB)가 돌아온다. 현지 연예매체들은 최근 닉 카터, 브라이언 리트렐, AJ 맥린, 하위 도로우 등으로 구성된 4인조 남성 팝그룹 BSB가 새 앨범 작업에 착수해 이미 일부 녹음이 진행됐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BSB 멤버인 하위 도로우는 빌보드닷컵(Billboard.com)과의 인터뷰에서 “유럽 투어 기간 중 부분적으로 녹음을 진행했다.”며 “남은 작업들은 9월 6일 시작되는 북미 투어를 마치고 이루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올해 안에 작업을 마치고 내년 초 발매하는 것이 목표”라고 덧붙였다. 이번 음반에는 기존 BSB의 많은 히트곡들을 만들어 온 프로듀서 맥스 마틴도 참여해 팀을 도울 예정이다. 현재 솔로앨범을 준비하고 있는 도로우는 “우리는 각자 개인활동도 하지만 언제나 BSB를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그룹에 대한 애정을 나타내기도 했다. 한편 이 인터뷰에서 도로우는 자신의 앨범 작업은 절반정도가 진행됐으며 다른 멤버 AJ 맥린의 솔로앨범은 막 작업을 끝냈다고 전했다. 사진=thetelegram.com 서울신문 나우뉴스 박성조 기자 voicechord@seoul.co.kr@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영원한 섹시’ 마돈나 “내가 50살이라고?”

    ‘영원한 섹시’ 마돈나 “내가 50살이라고?”

    “젠장! 내가 50살이라고?” ‘영원한 섹시 아이콘’ 마돈나가 기자들 앞에서 자신의 나이에 대한 불만을 털어놨다. 마돈나는 아프리카 말라위 빈곤퇴치를 위해 자신이 만든 영화 ‘아이 엠 비코즈 위 아’(I Am Because We Are)의 미국 프로모션에서 나이에 대한 기자의 질문에 “젠장, 내가 50살이라고?”(F**K you, I’m 50?)라며 민감한 모습을 보였다. 오는 8월 50번째 생일을 맞는 마돈나는 “스스로 나이에 대해서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차라리 오늘 저녁에 뭘 먹을지를 고민한다.”고 말했다. 또 “내 자신이 ‘자연미인’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특별히 예쁘다고도 생각하지 않는다.”며 “다만 스타일에 대한 생각은 한다.”고 밝혔다. 마돈나는 최근 새 음반 ‘하드 캔디’(Hard Candy)를 빌보드 앨범 차트 1위에 올려놓으며 변함없는 건재함을 증명했다. 또 마돈나는 오는 8월 23일부터는 영국 웨일스 카디프를 시작으로 50살을 기념하는 월드 투어도 계획하고 있다. 이번 월드투어 기간에는 약 50~60여회 공연을 소화해 낼 예정이다. 한편 마돈나는 이번 제61회 칸국제영화제 레드카펫에서 같은 58년생인 샤론스톤과 함께 변함없는 아름다움을 과시해 영화제의 화제로 떠오르기도 했다. 사진=thesun.co.uk 서울신문 나우뉴스 박성조기자 voicechord@seoul.co.kr@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새영화] 겟썸

    [새영화] 겟썸

    ‘겟썸’(GET SOME·22일 개봉)은 철저히 몸으로 느끼고 눈으로 즐기는 영화다. 국내에도 마니아층을 확보하고 있는 종합격투기(MMA)를 소재로 미국 10대 고등학생들의 이야기를 그렸다. 그런 만큼 화면 가득 젊음의 에너지가 폭발한다. ‘겟썸’은 시합전 ‘시작’을 의미하는 파이트 클럽 용어. 길거리 댄스에 빠진 젊은이들의 꿈과 열정을 역동적으로 그린 영화 ‘스텝업’으로 잘 알려진 제작진은 일체의 컴퓨터 그래픽이나 스턴트맨 없이 역동적인 ‘맨몸 액션’을 연출해냈다. 줄거리는 그리 복잡하지 않다. 플로리다의 고등학교로 전학 온 제이크 타일러(숀 패리스)는 예전 동네에서의 싸움 장면이 담긴 동영상이 새 학교에 퍼지면서 주목받는다. 하지만 그는 이를 곱게 보지 않던 학교의 최고 주먹꾼 라이언 매카시(캠 지건뎃)에게 비밀 파이트 클럽에서 싸움을 제안받고 크게 패해 망신을 당한다. 맷집만 있었지 기술은 전혀 없던 제이크는 종합격투기 도장을 찾고, 사부인 로카(디지몬 하운스)에게 혹독한 격투기 훈련을 받는다. 이 작품은 K-1,UFC 등 여러 대회를 통해 요즘 젊은이들 사이에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은 종합격투기의 세계를 그대로 엿보게 한다. 펑크록밴드 ‘마이 케미컬 로맨스’와 빌보드를 휩쓴 힙합 가수 솔자보이의 감각적인 음악이 현란한 영상을 뒷받침한다. 30대의 젊은 감독 제프 워드로는 다양한 카메라 워크를 통해 생생한 격투기 장면과 미국 남부 상류사회의 생활상 등을 효과적으로 담아냈지만,10대 ‘성장영화’로서의 미덕은 갖추지 못했다. 청춘의 고뇌보다는 폭발하는 젊음에 지나치게 무게중심이 실려 있기 때문이다. 청춘영화 특유의 순수한 열정만큼은 진하게 느껴볼 수 있는 영화다. 12세 관람가.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 ‘R&B황제’ 어셔, 27일 5집 앨범 발매

    ‘R&B황제’ 어셔, 27일 5집 앨범 발매

    ’R&B 황제’ 어셔(Usher)가 4년 만에 컴백한다. 오는 27일 발매되는 어셔의 5집 정규앨범 ‘Here I Stand’에는 전작 앨범에 비해 보다 개인적인 스토리와 인생 이야기를 담았다. 지난달 25일에 선보인 첫 싱글 ‘Love In This Club’은 발매와 동시에 빌보드 Hot 100 차트 및 아이튠스 차트 1위에 오르며 어셔의 인기를 다시 한번 증명했다. 앨범과 함께 앞으로 공개될 곡은 두 번째 싱글곡인 ‘Moving Mountain’과 ‘Something Special’, 어셔표 정통 R&B ‘What’s A Man To Do’과 비욘세와 릴 웨인이 함께한 ‘Love In This Club Part II’등이 있으며 히든 트랙을 포함한 총 19곡이 수록되어있다. 사진=소니BMG 서울신문NTN 김경민 기자 star@seoul.co.kr@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팝스타 에이머리 “내 음악은 한국과 관계없다”

    팝스타 에이머리 “내 음악은 한국과 관계없다”

    “내 음악과 한국은 관계없다.” 한국계 팝스타 에이머리가 8일 유럽권 음악사이트 ‘식스샷닷컴’(sixshot.com)과의 인터뷰에서 “내 음악과 한국문화는 관계가 없다.”고 밝혔다. 자신을 ‘한국인이자 흑인’이라고 소개할 정도로 한국과의 관계를 강조하던 이전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에이머리는 그녀의 세 번째 정규음반 ‘Because I Love It’과 관련된 인터뷰 도중 “한국전통과 K-pop이 당신의 음악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라는 질문에 “영향은 받지 않았다.”고 잘라 말했다. 이어 “어디서 어떻게 자랐는지가 (음악에) 더 많은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한다.”면서 “나는 (한국음악이 아닌) 클래식과 소울, 팝, 헤비메탈 등의 음악을 듣고 자랐다.”며 자신의 음악적인 뿌리가 미국임을 강조했다. 2002년 데뷔 이후 앨범을 낼 때마다 빌보드 톱10에 곡을 올리는 에이머리는 한국인 어머니와 흑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다. 또 ‘에므리’라는 한글 이름을 몸에 문신으로 새겨 넣을 정도로 ‘어머니의 나라’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왔다. 지난해 발표한 음반에는 한국가수 세븐과의 듀엣곡을 수록해 그의 미국진출에 힘을 더하기도 했다. 한편 에이머리는 인터뷰에서 “어렸을 때 사람들이 ‘너는 누구냐’고 많이 물어봤었다.”면서 “나는 그들이 왜 나를 괴롭히고 추궁하는지 몰랐었다.”며 혼혈인이라는 이유로 힘들었던 과거를 털어놓기도 했다. 사진=에이머리 홈페이지 서울신문 나우뉴스 박성조 기자 voicechord@seoul.co.kr@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80년대 록밴드 ‘콰이어트 라이엇’ 보컬 사망

    80년대 록밴드 ‘콰이어트 라이엇’ 보컬 사망

    ‘Cum on feel the noise’로 1980년대를 풍미했던 헤비메탈 밴드 ‘콰이어트 라이엇’(Quiet Riot)의 리드보컬 케빈 듀브로(Kevin Dubrow)가 사망했다. 케빈 듀브로는 지난 25일(현지시간) 라스베이거스의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라스베이거스 경찰은 “외부인의 침입 흔적은 없었으며 부검 결과가 나와야 정확한 사인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듀브로의 사망 소식에 콰이어트 라이엇의 드러머 프랭크 바낼리(Frank Banali)는 자신의 홈페이지를 통해 “어떻게 말을 해야할지 모르겠다. 절친한 친구였던 케빈과의 추억들이 기억난다.”며 애도를 표했다. 콰이어트 라이엇은 1983년 발표한 곡 ‘Cum on feel the noise’를 통해 메탈 밴드 최초로 빌보드 차트 1위를 차지했었다. 사망한 듀브로는 2004년 솔로 음반을 냈으며 밴드는 지난해 10월에 그들의 마지막 스튜디오 음반 ‘Rehab’을 발표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박성조 기자 voicechord@seoul.co.kr@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성공하고 싶으세요 저랑 함께 즐기시죠”

    “성공하고 싶으세요 저랑 함께 즐기시죠”

    “즐기세요. 즐거움이 끝나면 그때부터는 고통이 시작돼요. 성공하려고 발버둥치는 게 아니라 즐기다 보면 어느샌가 가장 행복한 사람이 되어 있어요. 저도 그랬고요.” 우리 시대의 팝 아이콘 비욘세 놀스(26)가 각자의 자리에서 고군분투하는 여성들에게 전하는 메시지다. 9일과 10일에 서울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 첫 내한 공연을 펼치는 비욘세. 이메일 인터뷰로 먼저 만난 그는 요즘 한국의 가창력 있다는 가수들이 ‘리슨’을 즐겨 부른다는 얘기에 “이번에 가면 꼭 한번 들어 보고 싶다.”며 호기심을 드러냈다. 1998년 여성 트리오 ‘데스티니스 차일드’로 데뷔한 그는 2002년 솔로로 나섰다. 이후 빌보드 차트 정상과 그래미상을 여러 차례 거머쥐며 세계 팝 시장을 거침없이 내달렸다. ‘신이 내린 몸매’라는 뛰어난 외모에 노래와 춤, 작곡·작사까지 해내는 그는 자신은 완벽주의와는 거리가 멀다고 했다.“저도 절대 완벽하지 않아요. 부족한 부분은 그대로 받아들이죠. 때론 ‘이건 내가 전에 해보지 않은 거니까 그냥 안전하게 가자.’는 주의이기도 해요. 악성 루머에 상처도 받고요. 그래서 그냥 내 모습 그대로 나를 받아들이는 법을 배우려고요.” 아웃캐스트나 로렌 힐, 티나 터너의 노래를 들으면 영감에 휩싸인다는 비욘세. 그에겐 그만의 철칙이 있다. 자신과 다른 스타들을 절대 비교하지 않는다는 것.“얼마전 샤키라와 뮤직비디오 촬영을 했는데 2시간밖에 연습을 못했는 데도 멋지게 진행했어요. 서로 경쟁을 하거나 끌어 내리려 한다면 그럴 수 없었겠죠. 같은 시기에 같은 활동을 하는 가수들을 존경하는 시선으로 보면 스스로에게도 득이 돼요.” 비욘세는 지금껏 살면서 가장 잘 한 일 중 하나로 2집 ‘B’데이’앨범의 창작을 꼽았다.“곡을 만들 때는 가급적 내 안에 있는 것을 다 끌어내서 강한 비트와 힘 있는 리듬, 좋은 가사로 채우려고 해요. 이번 앨범으로 그래미상도 받았으니 정말 전 축복받은 사람이죠.” ‘비욘세’의 디바 이미지를 가장 극대화해 보여준 것은 올해 초 개봉한 영화 ‘드림걸즈’였다. 그는“영화 촬영은 현미경으로 관찰을 당하는 것 같다.”면서도 자신의 마음을 잡아끄는 역할이라면 영화도, 뮤지컬도 해보고 싶다고 야무지게 말했다.“익숙하고 편한 것보다 새로운 도전이 저를 더 즐겁게 해요. 인생의 도전 과제는 늘 무궁무진하지 않나요?”지금까지보다 앞으로를 더 기대하게 하는 비욘세의 마지막 말이었다. 정서린기자 rin@seoul.co.kr
  • ‘텔미댄스 신드롬’ 세대초월

    ‘텔미댄스 신드롬’ 세대초월

    “테테테테테 텔미.”요즘 이 노래 모르면 원시인 취급 받기 십상이다. 지난 9월 초 타이틀곡 ‘텔미’로 가요계에 뛰어든 소녀그룹 ‘원더걸스’. 데뷔 한달여밖에 안 된 이들이 각종 포털 사이트의 검색어 순위를 장악하며 어린이부터 30,40대 남성들까지 아우르는 ‘국민여동생’이 됐다. 어린이, 남학생, 군인, 외국인까지 등장하는 UCC에 이들의 인기 이유를 분석한 동영상과 인터넷글의 조회 수도 치솟고 있다. 선예(18), 예은(18), 선미(15), 소희(15), 유빈(19) 멤버 다섯 명 각각의 인기도 만만치 않다. 기존의 10대 아이들 밴드가 10,20대에 소구한다면 이들은 모든 세대를 아우른다.‘원더걸스’가 다른 점은 뭘까. 전문가들에게 물어봤다. ●80년대 복고풍으로 친화력 상승 우선 원색 패션과 멜로디, 댄스보다는 율동에 가까운 80년대 복고풍으로 대중 친화력을 높였다는 게 ‘원더걸스’의 강점이다. 음악평론가 송기철씨는 “기존의 10,20대를 타깃으로 하는 아이들 그룹과 달리 80년대 세대들인 30,40세 어른들에게도 이미 경험해본 익숙함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음악평론가 임진모씨는 “대중음악에서 가장 중요한 게 흥얼거림을 자극하는 건데 원더걸스는 쉽게 따라부를 수 있는 후렴구와 아이들 그룹 중 유일하게 복고 사운드를 선보여 전 세대의 공감을 이끌어내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마돈나, 저스틴 팀버레이크 등 미국의 주류 팝가수들도 80년대 팝 스타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이런 음악들이 빌보드 차트에서도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롤리타 콤플렉스 자극, 정형화된 아이들 그룹에서 탈피 ‘원더걸스’의 인기는 여자 연예인에 대한 대중들의 소비 코드 중 하나인 롤리타 콤플렉스(소녀에 대한 동경이나 성적 집착을 가지는 현상)라는 견해도 있다. 대중음악평론가 김작가씨는 “이전의 여성그룹이 보호본능을 유발하거나 스스로 성숙한 여인으로 보이려는 노력을 했다면 이들은 교복을 입고 나오는 등 노골적으로 롤리타 콤플렉스를 자극하고 소녀 캐릭터를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씨는 “최근 몇년간 SM엔터테인먼트가 아이들 산업을 장악해 10대 그룹의 노래나 안무가 획일화되어 있었는데 ‘원더걸스’는 표정 연기나 동작이 크고 적극적이라 보는 이들에게 카타르시스를 준다.”고 덧붙였다. ●대중 취향 과거로 회귀하나? 이러한 ‘원더걸스’에 대한 대중들의 선호는 최근 방송에서 두드러지는 통속성에서 기인한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음악평론가 강헌씨는 “‘원더걸스’ 열풍은 키치적 감수성을 자극한 것”이라며 “‘무한도전’ 같은 TV프로그램처럼 요즘 대중문화에서 슬랩스틱과 통속성이 인기 있는 걸 보면 사람들의 취향이 회귀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원더걸스’의 쉬운 안무와 노래는 더 이상 대중들이 새롭거나 실험적인 음악을 기대하지 않는다는 방증이라는 견해도 있다. 정서린기자 rin@seoul.co.kr
  • 10·11월 비욘세·메가데스 등 줄줄이 내한공연

    10·11월 비욘세·메가데스 등 줄줄이 내한공연

    10∼11월 늦가을 해외 팝 스타들의 내한 공연이 줄을 잇는다.‘팝의 디바’ 비욘세와 시아라 두 여가수의 공연은 10∼20대 팬들에게 단연 화제다. 지난해 10월 남자친구 제이 지의 내한 공연에 동행했던 비욘세는 11월9·10일 서울에서 자신의 단독 콘서트를 갖는다. 서울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 열릴 비욘세의 공연은 그가 직접 선발한 댄스팀과 코러스 등 80여명의 월드 투어 팀과 첨단무대장비를 동원해 화려한 무대를 선보인다.8만∼16만원.(02)515-2449. ‘Goodies’로 2004년 빌보드 1위를 차지해 단숨에 팝의 신데렐라로 떠오른 시아라는 10월19일 오후 8시 올림픽공원 펜싱경기장에서 공연을 갖는다. 앨범 전곡을 작곡하는 실력까지 갖춘 그의 리듬감각과 목소리를 직접 마주할 기회다.3만 3000∼7만 7000원.(02)3445-4354. 메탈밴드 메가데스와 린킨파크의 공연도 국내 록팬들을 설레게 한다.2000년에 이어 세번째로 한국을 찾는 메가데스는 10월28일 올림픽공원 올림픽 홀 무대에 선다.2002년 리더이자 기타리스트인 데이브 머스테인의 왼팔 신경 마비 이후 팀을 해체했던 이들은 2004년 활동을 재개했다. 메가데스의 이번 공연은 새로 발표한 곡들을 선보이는 자리인 데다 데이브 머스테인의 재활 후 처음 갖는 공연이어서 한층 관심을 모은다.6만 6000∼8만 8000원.1544-1555. 4년만에 내한한 린킨파크의 무대는 11월30일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 한국계 멤버 조셉한으로 국내에도 친근한 밴드 린킨파크는 최근 영화 ‘트랜스포머’에 수록된 ‘What I’ve Done’으로 주목을 받기도 했다.8만8000∼9만9000원.(02)3141-3488. 중년 음악팬은 스콜피언스의 공연에 구미가 당길 듯. 스콜피언스는 10월26·28일 서울 잠실 실내체육관과 부산 경성대학교에서 콘서트를 갖는다.1972년 결성된 이들의 서정적인 하드록·메탈, 발라드곡들을 감상할 수 있다.3만 5000∼13만 5000원.(02)575-2121. 정서린기자 rin@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