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 체포 동의안 처리 절차와 전례
◎법원요청 받아 정부서 요구서 제출/토론 없이 표결… 과반수 찬성 얻어야
정부가 뇌물외유사건 관련 세 의원들을 구속한다는 입장을 확실시 함에 따라 이들에 대한 체포동의안 제출 및 처리결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헌법은 국회의원은 현행범인 경우를 제외하고 회기중 국회동의없이는 체포 또는 구금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관할법원의 판사는 회기중 의원에 대한 영장을 발부하기에 앞서 체포동의 요구서를 정부에 제출하여야하며 정부는 지체없이 그 사본을 첨부해 국회에 체포동의를 요청토록 국회법에 명시되어 있다.
폐회중이거나 회기중이라도 현행범인 경우에는 체포후 국회의장에게 통보만 하면 되도록 규정되어 있다.
지금 임시국회가 개회중이므로 정부가 이들 세 의원을 구속하려면 체포동의안을 제출,그것이 가결되어야하며 아니면 회기가 끝나는 다음달 9일 이후 구속을 집행하는 방법도 있다.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은 상임위심사를 생략하고 곧바로 본회의에 회부,체포대상의원 본인 혹은 본인을 대리한 다른 의원의 변명을 듣고 토론없이 동의여부에 대한 「무기명투표」를 실시하는 것이 관례로 되어 있다.
표결은 일반 안건과 같이 과반수 출석에 과반수 찬성으로 가결된다.
지난 49년 제헌국회에서 조봉암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맨처음 제출돼 부결된 이래 14번의 동의안 처리과정에서 가결은 7번,부결은 3번,폐기는 4번이었다.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조봉암(49년·부결),양우정(53년·가결),도진희(56년·가결),박영출(56년·부결),박용익(60년·가결),조순( 〃 · 〃 ),정문흠( 〃 · 〃 ),정존수( 〃 ·부결),이재학( 〃 ·폐기),임철호( 〃 · 〃 ),이재현(61년·가결),김준연(64년·폐기),유성환(86년·가결) 박재규(90년·폐기)의원 건 등이다.
특히 4·19직후인 60년 4대 국회에서는 3·15부정선거와 관련해 6명의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무더기로 제출돼 이번의 경우와 흡사한 일이 벌어졌다.
당시 이들에 대한 구속동의여부를 일괄처리하자는 주장도 있었으나 결국 개별표결이 진행돼 3명에 대한 동의안만 통과되었다.
따라서 이번 세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국회에 제출되면 개별적으로 표결이 진행될 것으로 예산되며 여야 의원이 모두 포함되어 있어 찬반이 엇갈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최근의 예를 볼 때도 지난 86년 국가보안법 위반혐의로 구속됐던 당시 신민당 소속 유성환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경호권 발동속에 여당 단독으로 처리됐고 지난 해 2월에는 박재규의원(민자)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표결에 부쳐지지 않고 자동폐기되었다가 임시국회 회기가 끝난 뒤 구속이 집행된 사례가 있는 등 동의안 처리문제는 언제나 진통을 겪었다.
이번 뇌물외유관련 세의원의 처리방식은 ▲불구속기소 ▲체포동의안 제출후 국회통과 ▲체포동의안 제출후 처리지연으로 폐기 ▲체포동의안 부결 ▲다음달 9일 회기가 끝난 뒤 구속 등 여러가지로 상정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