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영화] 쓰리 타임즈
●쓰리 타임즈(EBS 세계의 명화 오후 11시)
2005년 허우샤오시엔은 또 다른 영화적 시도를 한다. 다름 아닌 시공간에 관한 그만의 독특한 수식을 세운 것. 이 수식은 과거 자신의 작품 ‘펑퀘이에서 온 남자들’,‘해상화’,‘밀레니엄 맘보’에서 모티브를 이끌어내 완성한 것.
그는 이 수식의 미지수에 3가지 값을 대입해본다. 이 대입값은 다름 아닌 ‘1966년, 가오슝’,‘1911년, 대도정’,‘2005년, 타이베이’였다.
첫번째 에피소드는 1960년대 ‘연애몽’. 휴가를 맞아 당구장을 찾은 군인 첸(장첸)은 종업원 슈메이(서기)와 즐거운 시간을 보낸 후, 복귀 후에도 계속 편지를 주고받는다.
하지만 다시 휴가를 맞아 나왔을 때 슈메이는 당구장을 그만둔 상태였다. 그리고 아무도 그녀의 행방을 모른다.
두번째 에피소드는 1900년대 초 ‘자유몽’. 청 말기, 개화 사상을 주장하는 신 지식인 창(장첸)은 유곽의 기녀 아메이(서기)와 사랑에 빠지지만, 신분이란 장벽이 가로막고 있다.
세번째 에피소드는 2000년대 ‘청춘몽’. 간질병에 한쪽 눈마저 실명한 칭(서기)은 타이베이의 한 클럽에서 노래를 부르며 생계를 잇는다. 그녀에게 반한 첸(장첸)은 매일 클럽을 찾아 그녀의 사진을 찍는다. 사랑에 빠진 이들은 각자 애인이 있으면서도 아슬아슬한 밀회를 이어간다.
이처럼 세 가지 시대와 공간을 오가는 ‘쓰리 타임즈’에 영화평론가 홍성남씨는 다음과 같이 갈무리한 바 있다.“과거와 현재(그리고 미래)는 서로 철저히 분리된 구획으로 존재한다기보다는 서로 젖어들면서 공존할 수도 있다는 시각을 보여주고 있다.”고.
그의 말대로 ‘쓰리 타임즈’는 ‘연애몽’,‘자유몽’,‘청춘몽’이란 세 가지 에피소드를 직조해 놓은 영화이지만, 이들을 한꺼번에 관통하는 서사적, 심리적, 미학적 묘미로 마치 그것들이 하나로 섞여들어간 듯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쓰리 타임즈’는 2005년 칸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됐으며, 제10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으로 상영되기도 했다.133분.
강아연기자
arete@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