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토지공개념’정신
토지공개념.국민 대다수의 지지와 기대 속에 등장하였으나,지금은 거의 흔적도 찾기 힘든 이름이다.토지제도가 흔들리고 부동산시장이 불안한 요즘,나는 간절히 ‘토지공개념’을 다시 생각한다.
토지공개념이란 무엇인가? 토지의 공적 가치에 대한 선언적 개념이다.자본주의 사회에서 토지는 사유재산이다.그러나 일반상품과는 다르다.우리의 국토는 단 하나이며 유한한 자산이며,우리의 삶터이다.개인의 사유권을 초월하는 공익적 자산인 것이다.따라서 땅에 관한 개인의 재산권도 공공복리의 증진을 위해서는 제약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 토지공개념의 핵심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는 토지의 ‘재산권’과 상충되는 개념인 듯 하나,땅이 좁은 유럽의 여러 나라들은 일반적으로 토지의 소유권이나 이용권에는 필요에 따라 우리보다 훨씬 엄격한 제한을 가하고 있다.
80년대 후반 우리는 극심한 부동산투기를 경험하면서 토지공개념의 공감대를 이루었다.그리고 이같은 개념을 정책화하기 위해 소위 ‘3법’이라 부르는 토지초과이득세,개발이익환수제 및 택지소유상한제를 만들었다.그러나 이 제도들은 그동안 계속 기득권층으로부터 끈질긴 공격의 대상이 되었다가 이런저런 사연으로 그 후 하나하나 비극적 최후를 맞았다.토지초과이득세와 택지소유상한제는 위헌판정으로 폐기되었다.개발이익환수제도 제몫을 제대로 하지 못하도록 상당 기간 유보되었다.
이렇게 위헌소지가 있는 처방들이 당시 왜 필요했었나? 그것은 기존의 조세법 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논리적으로 따져보자.토지의 과다소유는 종합토지세에 의해 억제되어야 한다.또 땅값 상승으로 인한 개발이익의 사회환수는 양도소득세를 활용하면 된다.
거래하지 않은 미실현 이익에는 직접 과세할 수는 없으나 언제건 상속 또는 증여할 터이므로 상속세와 증여세로 환수된다.그러나 실제로 이들은 막대한 토지의 불로소득에 대해 별 실효성이 없었던 것이다.그 이후 ‘재산권’을 제약한다는 논리로 그린벨트마저 해제되었다.
그래서 토지공개념은 붕괴되고,빈 껍데기만 남았다.화려한 출발에 비하면 초라한 몰골이다.토지공개념의 퇴장은정치논리에 밀려 퇴장한 금융실명제의 퇴장과 궤를 같이 한다.그렇지만,가장 개혁다운 개혁이 아니었을까?
땅의 재산권이란 정해진 용도지역의 제한 범위 내에서 존중되는 것이지 소유자의 임의대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모두가 자기의 재산권이 최대로 존중되는 방향으로 허용한다면 이 땅은 난개발로 뒤덮일 것이다.누가 도시계획을 존중하고 누가 토지에 관한 규제를 반가워 할 것인가? 도시계획은 재산권의 제약없이 만들어질 수 없다.
토지소유권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신성한 권리다.그러나 국가가 공익을 위하여 토지를 규제하는 것도 국가의 신성한 권리다.우리 헌법에도 공공복리를 위해 재산권 행사를 제한할 수 있음을 명시하고 있다.국토환경은 시장경제 논리로 설명할 수 없는 신비하고 무한한 가치를 지닌다.그래서 나는 토지공개념의 정신이 지금도 그리고 앞으로도 우리에게 유효한 국토관리의 기초라고 믿고 있다.
강남의 재건축 용적률을 둘러싼 싸움을 보며,계획관리지역(과거의 준농림지역)에 다시 공장증설을 허용한다는 보도를 보고,풀린그린벨트 지역에 아파트촌이 들어서는 것을 보고,판교신도시 주변 지역에 벌써부터 번지는 난개발을 보며,나는 토지공개념을 다시 되새긴다.땅이 투기판의 노리개가 되고,토지정책이 포퓰리즘으로 흔들리는데, 부동산 보유세를 3배 인상하겠다는 정부의 엄포가 무슨 효과가 있겠는가?
계획이 개발에 우선하여야 한다.그러나 아직 우리는 토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정책적 도구가 부실하다.토지제도가 허술하기 때문이다.요즘의 심상찮은 부동산경기를 지켜보며 나는 불안하다.어떻게 우리의 국토를 지켜 나갈 것인가? 행여 그 때 뿌린 토지공개념의 싹이 아직 살아 있을까?
이 건 영 단국대교수 전 국토연구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