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주공·토공 통합,밀어붙이기 지양해야/고일두 서울산업대 건축공학과 교수
느리게 가는 게 문제가 아니라, 엉뚱한 방향으로 가는 게 문제다. 파급효과가 큰 정책일수록 검토에 검토를 더하고, 여러 의견을 들어 고치고 다듬고, 포기할 것은 포기하면서 나아가야 한다. 공기업 선진화와 관련하여 토공과 주공의 통합을 추진하는 정부의 모습을 보며 하는 생각이다.
주공과 토공이 통합하면 직원수가 6000명을 넘어서고, 총 부채규모가 100조원대에 달하는 거대 공기업이 탄생한다. 국민경제에 대한 영향분석이나 제대로 된 경영실사 없이 이 정도 규모의 공기업을 만드는 것이 타당한가. 기능통합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논란이 많다. 주택과 택지는 그렇다 쳐도, 서민주거복지와 도시개발, 산업단지개발, 해외 신도시개발, 지역개발을 모두 한 기관으로 통합하는 것이 과연 바람직할까.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다. 이런 이유로 두 공사의 통합에 대해 이미 여러 차례 검토를 거쳐 국회, 감사원, 해당부처, 전문기관 등에서 기능조정이 더 바람직하다고 결론낸 바 있다.
그동안 국회 등 책임있는 여러 기관에서 통합보다는 기능조정이 더 효과적이라고 내린 결론을 그 흔한 공청회 한번 없이 뒤집는 것이 과연 올바른 것인가. 한차례 토론회가 있기는 했다. 지난 8월14일 국토연구원이 주최한 ‘주공·토공 선진화를 위한 공개토론회’가 그것이다. 하지만 정부가 아닌 연구기관이 주최했을 뿐 아니라, 토론회에서 제기된 찬반 의견이 정책에 전혀 반영되지도 않은, 구색을 맞추기 위한 요식행위에 불과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해답은 이미 정부도 알고 있다. 민주적 절차로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 정부의 인수위백서를 보면, 국가비전인 선진일류국가 건설은 건국과 산업화 그리고 민주화 과제를 완성하는 것이다. 이중 민주화 부분을 보면, 민주화는 되었으나 아직 성숙되지 않았다고 한다. 민주주의의 성숙은 민주주의가 제기능을 하도록 만든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민주적 절차는 정당화와 학습의 기능을 가진다. 민주적으로 결정된 정책은 정당한 것으로 인정된다. 민주주의의 정당화 기능이다. 민주적 과정은 정책을 수정·보완하게 하여 그러지 않을 때보다 더 좋은 정책을 만들게 해 준다. 민주주의의 학습 기능이다.
토공·주공 통합 등 사회적 파급력이 큰 정책은 그것이 사회적 정당성을 갖고, 학습과정을 거치는 방식으로 추진해야 한다. 여기서 학습은 국민만이 아닌 정부에도 해당한다. 더구나 사회가 발전할수록 학습 기능이 더 중요해진다. 법적 하자가 없더라도, 의견수렴과 설득, 상호학습을 통한 개선과정이 충분하지 않을 때 국민들은 그 정책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한다. 광우병 파동과 촛불시위는 이러한 시민사회의 변화를 극적으로 보여준 것이다. 그 파급력의 크기와 논란에도 불구하고 막무가내로 추진하는 양 공사 통합의 부작용은 누가 어떻게 책임질 것인가. 충분히 예상되는 국력낭비와 부동산정책의 혼선, 국책사업 지연 등은 어떻게 할 것인가. 방법은 있다.
이제라도 ‘선진일류국가 건설’을 위해,‘민주화 과제를 완성’하기 위해 중요 국가정책에 대해 개방적이고 철저한 검토와 토론, 심사숙고를 거치자. 그 과정에서 당사자들은 물론이고 정부도 방침을 바꿀 것은 바꾸고, 고칠 것은 고치자. 그렇게 1,2년 늦어지더라도, 가장 쉬운 길이 아닌 가장 좋은 길을 찾아내자. 단순히 통합이냐 아니냐는 식이 아닌, 국토관리와 주거복지의 큰 방향과 세밀한 정책의 틀에서 철저한 경영실사, 공청회와 통합타당성 분석을 거쳐 공기업 선진화를 추진하는 것이 진정으로 국익에 도움이 되는 길이다.
고일두 서울산업대 건축공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