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대책 준비 직장인 32% 뿐/ 商議, 서울 직장인 설문조사
퇴직후의 노후대책을 준비하는 직장인은 10명 가운데 3명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13일 발표한 ‘직장인 노후대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노후 준비를 못하고 있다.’와 ‘생각해 본 적이 없다.’는 응답이 각각 45.1%와 22.5%였으며 ‘준비하고 있다.’는 응답은 32.4%에 그쳤다.이번 조사는 서울의 직장인 1005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연령별로는 50대(41.5%),40대(40.0%),30대(31.5%),20대(19.2%) 순으로 준비를 덜해 젊을수록 노후대책 준비를 하지 않았다.
노후생활에 필요한 자금은 4억∼5억원 미만 42.6%,3억∼4억원 미만 20.8% 등 조사대상의 63.4%가 3억∼5억원을 꼽았다.이어 1억∼3억원 미만(15.7%),5억∼7억원 미만(9.1%),7억원 이상(8.9%)의 순이었다.
노후자금 마련 수단으로는 저축(21.4%),개인연금(19.9%),퇴직금(18.6%),국민연금(15.6%),부동산 임대수익(8.8%),주식(5.6%) 등이었다.50대는 퇴직금(33.3%)과 개인연금(33.0%)을 노후대책 1,2위로 꼽았고,40대는 개인연금(28.6%)과 퇴직금(20.8%) 순으로 답했다.20·30대에서는 저축이 각각 29.4%와 26.9%로 1위를 차지했다.
국민연금이 노후대책 수단으로 충분한가를 묻는 설문에는 ‘충분하다.’(9.6%)는 응답에 비해 ‘부족하다.’(40.6%)와 ‘상당히 부족하다.’(31.4%)는 답변이 70%를 넘어 국민연금을 불신했다.정부가 퇴직금 제도의 대안으로 검토하는 기업연금제에 대해서는 반대(37.7%)가 찬성(29.9%)보다 높게 집계됐다.
적당한 은퇴연령으로는 20대는 59세,30대는 60세,40대는 62.8세,50대는 64.2세 등을 꼽아 나이가 많을수록 희망퇴직 연령을 늦게 잡았다.현행 55∼58세 정년퇴직에 대해서도 48.6%가 이르다고 답해 이른바 ‘사오정’(45세 정년),‘오륙도’(56세 정년 도둑) 등 요즘 직장에서 일고 있는 분위기와는 ‘괴리된 응답’을 보였다.
퇴직 이후의 진로와 관련,자기계발을 위해 무엇인가 시작하고 싶다는 응답이 35.6%로 가장 높았으며,이어 사업(25.8%),봉사활동(19.8%),직장생활의 지속(12.0%) 등 순으로 나타났다.예상 수명은 80.3세라고 답했다.
대한상의는 “노령화사회가 급속화되고 있지만 정년퇴직 연령은 계속 낮아져 노후대비를 위해 보다 많은 일자리 창출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주현진기자 jh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