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열조짐 계파갈등 ‘봉합’ 급선무
31일 공식출범한 ‘정세균호’ 앞에는 여기저기 암초들이 있다. 비록 내년 초 전당대회까지 운영되는 임시기구지만 내부적으론 당 내분 수습 및 쇄신, 당·청 갈등 진화, 전당대회 준비 등의 과제가 있고 외부적으론 남은 정기국회를 원만하게 이끌어야 한다. 여당으로서 정기국회 운영의 주도권 확보가 당장의 ‘발등의 불’이다. 논란이 예상되는 부동산대책 관련 법안을 비롯해 국민연금법, 국가보안법, 사립학교법, 쌀비준 동의안 등이 기다리고 있다. 원내대표를 겸임하고 있는 정 의장으로서는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더욱이 내부적으론 당 내분 수습이 급선무다. 자칫 전당대회를 앞두고 계파간 기싸움으로 번질 우려마저 있다. 이를 의식한 듯 정 의장은 취임 기자간담회에서 “각 그룹간 조화와 견제, 균형이 잘 이뤄지면 긍정적 효과가 발현되지만 분열하고 원심력이 작용하면 당의 힘이 결집되지 않을 것이다.”고 강조했다. 계파간의 도를 넘는 과도한 경쟁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이를 반영하듯 임시집행위원의 구성도 계파가 고려된 듯하다.‘친 김근태계’인 재야파로는 이호웅·유선호 의원이,‘친 정동영계’로는 이강래 의원이, 개혁당 출신으로는 유기홍 의원이, 당내 보수성향의 안개모(안정적 개혁을 위한 의원 모임)에선 유재건 의원이 포진했다. 그러나 정 의장의 의지와는 별도로 이미 내년 전당대회와 차기 대권 당내 예선을 겨냥한 계파별 움직임이 조기 과열될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 임시집행위 위원장 선임에서도 치열한 기싸움을 벌였다. 정세균 원내대표의 의장 추대를 놓고 일부 재야파가 ‘친 정동영계’인 바른정치모임 소속이라는 이유로 반대의견을 내 한때 곤욕을 치른 것으로 알려졌다. 집행위 구성과 관련, 한 집행위원은 “비상시기인 만큼 최상의 선택은 아니지만 최악은 피하자는 생각이 강했다.”며 여운을 남겼다. 물론 공식적으론 양측 모두 차기 당권 장악을 위한 계파 활동을 부인하고 있다.‘친 김근태계’인 민평련(민주평화국민연대) 유선호 의원은 “지금은 대선 국면도 아니고, 자칫 계파 모임이 당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고, 바른정치모임 이강래 의원도 “지금은 당 재건에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먼저 ‘액션’을 취한 쪽은 재야파다. 민평련은 전 지도부 총사퇴를 이끌어낸 여세를 몰아 상승세를 이어가려는 분위기다.31일 모임을 갖고 당·청 관계 쇄신과 당 정체성 회복 등 향후 정국을 논의했다. 한발 더 나아가 ‘정동영계’에 반감을 갖고 있는 신기남 의원이 주도하는 신진보연대와의 연대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는 눈치다.반면 ‘정동영계’는 아직 큰 움직임이 없이 세결집 구상에 돌입한 듯하다. 세결집과 관련, 한 의원은 “그때(전당대회) 가서 이뤄지지 않겠느냐.”고 말했다.‘친 김근태계’에 견줘 다소 느긋한 행보를 보이는 것은 당내 세력이 일단 우위에 있고, 또 임시 집행위원회도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구성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기 때문이다.박준석기자 pj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