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그룹 내년 경영계획 들여다보니…
국내 10대 그룹은 내년 경영 키워드로 대부분 ‘글로벌과 성장, 고객가치’를 선택했다. 하지만 불확실한 경제 환경 탓에 이를 뒷받침할 투자와 채용에서는 다소 인색했다. 또 내년 경제의 최대 변수로 환율과 유가를 가장 많이 꼽았다.‘북핵 사태’ 영향과 관련, 대책 마련에 착수하면서도 경기 하락 가능성을 우려했다.
서울신문이 13일 국내 10대 그룹을 대상으로 ‘내년 사업계획’을 조사한 결과,‘안전 운행’에 초점을 맞춘 보수적 경영이 대세를 이뤘다. 다만 그룹별 상황과 경제 여건에 따라 투자와 채용의 폭은 변화가 엿보인다.
●최대 변수는 ‘환율과 유가’
올해 ‘환율 직격탄’으로 고생한 10대 그룹은 무엇보다 내년 원·달러 기준 환율을 짜게 잡았다. 올해 1000원 안팎에서 내년 사업계획에서는 900원대 초반으로 책정했다.
삼성은 기준 환율을 올해보다 55원 낮춘 925원으로 잡았다.LG는 910원으로도 안심이 안돼 수출 비중이 높은 계열사 중심으로 이보다 더 보수적으로 기준 환율을 수립 중이다. 현대·기아차는 내년 경영키워드로 ‘환율변동에 따른 수익성 제고’를 정할 정도로 환율에 민감한 모습이다.
내년 유가에 대한 불안감도 커 보인다. 대부분 기준유가를 60∼70달러(서부텍사스중질유·WTI 기준)로 정했지만 아직 확정을 못한 그룹도 꽤 있다. 한진은 “유가 10달러 변동에 따라 연간 2000억원의 손익이 달라진다.”면서 신중한 접근을 보였다.
●투자와 채용은 ‘양극화(?)’
내년 경제의 불확실성 때문에 투자는 ‘예년과 비슷한’ 제자리걸음이 많았다. 그럼에도 삼성과 현대차, 포스코, 롯데,GS 등 10대 그룹 가운데 절반인 5개 그룹이 투자 확대 가능성을 내비쳤다.
삼성은 내년 연구개발(R&D) 투자 규모를 올해(7조 7000억원)보다 소폭 늘리겠다는 방침이다. 롯데와 포스코는 글로벌 현지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현대차는 계열사인 현대제철의 일관제철소 건설로 투자 규모가 예년보다 늘어날 전망이다.GS도 올해보다 높은 수준의 투자 규모를 내비쳤다.
반면 SK와 LG, 한진, 현대중공업, 한화 등은 내년 투자 규모를 예년 수준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신규 채용도 그다지 밝지 않다.10대 그룹 중 6개 그룹이 내년 채용 규모를 올해 수준으로 잡았다. 나머지 삼성과 현대차,GS, 현대중공업 등은 채용 규모를 올해보다 늘리겠다는 입장이지만 소폭 증가에 그칠 전망이다.
●정부의 역할은 ‘규제 완화가 첫손가락’
10대 그룹은 내년 정부의 경제운용에 있어 최우선적으로 역점을 둬야 할 부문으로 ‘규제 완화’를 첫손가락으로 꼽았다. 또 성장 잠재력 확충, 투자 활성화, 정책의 일관성, 부동산 규제, 경기 부양 등도 정부가 내년에 신경써야 할 부문으로 지적했다.
‘북핵’ 영향과 관련,10대 그룹은 북핵 자체보다 이에 따른 환율, 금리, 유가 변동, 경기 하락 등을 우려했다. 특히 내수 기반인 한진과 롯데그룹은 내수경기 하락에 불안감을 표시했다.
산업부 종합 golder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