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진흥기금 조성/「기술개발복권」나온다
◎한국기술개발,9월2백억원어치 첫 발매/즉석식·추첨식·원금보장형 3종류/96년까지 5천5백억원 조달계획/정부,“투자재원 마련위해 불가피” 타당성 홍보
과학기술진흥기금 조성을 위한 기술개발복권이 오는 9월부터 시중에 등장한다.
과학기술진흥기금 위탁관리기관인 한국기술개발(사장·김창달)은 27일 기술개발복권 발행방식을 즉석식과 추첨식,원금보장형 복권등 3종류로 확정하고 이가운데 우선 액면가 5백원짜리 즉석식 복권 2백억원어치를 9월중 대행은행을 통해 첫 발매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국기술개발의 계획에 따르면 올해중 즉석식 기술개발 복권은 9월과 11월 2회에 걸쳐 총 5백억원어치가 발매되며 11월부터는 주 1회 추첨을 하는 액면가 5백원짜리 추첨식 복권이 총 1백50억원어치 발매된다.기술개발측은 기존 복권시장과의 조화를 위해 당첨금은 즉석식 1등 5백만원,추첨식 1등 1억5천만원 정도를 구상하고 있다고 밝혔다.그러나 기술개발측은 기술개발복권을 통해 중산층의 유휴자금을 기술개발자금으로 끌어들일수 있도록 게임디자인만은「재미있고 부담없는」 새로운 것을 구상하고 있다고 밝혔다.기술개발측은 이같은 올해 복권발행계획을 이달중 총리실 산하의 복권발행조정위에 상정,최종 확정하고 올해중 총 6백50억원어치를 발매함으로써 이중 30∼34%인 2백억원을 과학기술진흥기금으로 조달할 계획이다.
한편 당초 기술개발복권의 발행형태로 제시됐던 원금보장형복권은 많은 구매자를 대상으로한 복권판매와 당첨금지급·원금상환대책,복권변조방지,판매은행 전지점간의 온라인 전산망구축등에 상당한 준비기간이 요구되는것으로 평가돼 93년이후로 발행이 미뤄졌다.원금보장형복권은 당첨자에게 복권을 지급하되 당첨되지 않은 복권에 대해서도 일정기간이 지나면 원금을 상환해주는 전혀 새로운 형태의 복권이다.
기술개발측은 93년에는 원금보장형복권 1백90억원을 발행하는 것을 포함,즉석식복권 1천2백억원,추첨식복권 8백50억원등 총 2천2백40억원어치의 복권을 발매해 8백억원의 과학기술진흥기금을 조성하는등 96년까지 총 1조2천4백30억원 규모의 복권발행을 통해 5천5백억원의 과학기술진흥자금을 조달한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복권은 지난해 12월 과학기술혁신 종합대책 수립시 과학기술진흥기금 조달방안의 하나로 결정됐으며 향후 5년간 조달목표액 5천5백억은 과학기술진흥기금 총액 1조원중 55%에 이르는 막대한 양이다.
한편 이같은 복권발행을 통한 기금조성방안에 대해서는 사행심 조장,과학기술진흥 의지 빈약등의 문제점이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과학기술투자재원 마련을 위한 정부재정의 한계,상대적으로 적은 국내 복권발행시장등을 들어 강제성이 없는 「희망세」성격의 복권발행의 타당성을 설명하고 있다.현재 우리 국민의 1인당 복권구입액은 연간 6.9달러로 1인당 GNP의 0.12% 수준인데 반해 태국은 6.7달러,0.55%로 우리의 4.6배,홍콩은 37.2달러,0.34%로 우리의 2.8배에 이르고 있다.(별표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