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고액보험’ 인기
경기불황이 길어지면서 보험상품을 선택하는 소비자들의 경향이 뚜렷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단순하게 위험에 대비한 상품보다는 비싸더라도 자산 증식을 겸해 장기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는 상품에 몰리고 있다. 나 자신보다는 미래의 자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점도 눈에 띈다. 외환위기 때 긴축하기 위해 보험을 해약하던 모습과는 다른 양상이다.
●경기 나빠도 고액보험 선호
30일 보험개발원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최근 3년동안 생명보험 신계약 건수는 2002년 1402만 5155건,2003년 1183만 8433건,2004년 1109만 5458건 등으로 해마다 290만여건,74만여건씩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2년 사이 보험시장 규모가 20.8% 줄어든 셈이다. 보험시장이 이미 포화상태에 접어들었다는 점을 감안해도 경기침체의 영향이 가장 큰 감소 요인으로 분석됐다.
생명보험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가입금액 1000만원 미만의 저가(低價)보험이 2002년 620만여건에서 2003년 474만여건,2004년 379만여건 등으로 줄면서 신규계약자 감소세를 주도했다. 비중도 44.23%→40.11%→34.24%로 축소됐다. 하지만 보험금 4억∼5억원을 받을 수 있는 보험의 신규계약은 2002년 1828건(비중 0.01%)에서 2003년 2890건(0.02%),5418건(0.05%)으로 늘었다. 전체 보험시장은 축소되고 있는 가운데 고액보험 시장만 매년 두배씩 증가한 셈이다.
●나보다는 자녀를 위해
계약기간이 10∼30년인 장기보험의 비중도 높아졌다. 손해보험사의 대표적인 장기보험인 통합보험의 판매비중은 삼성화재가 지난 3월 31.6%, 현대해상이 지난해 12월 36.4%를 기록했다. 삼성화재 ‘슈퍼보험’의 경우 지난해 1월에 비중이 2.7%에 불과했으나 5월 12.7%,9월 24.3%, 올 3월 31.6% 등으로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손해보험사들의 수익구조도 자동차보험에서 통합보험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
또 보험대상자가 10세 미만인 어린이보험의 가입건수도 2002년 53만여건에서 2003년 76만여건,2004년 91만여건으로 증가했다. 비중도 3.81%→6.43%→8.22%로 높아졌다. 보험대상자가 50세 이상인 효도보험의 가입건수도 2002년 74만여건(5.35%)에서 2003년 83만여건(7.03%),2004년 88만여건(7.97%)으로 높아졌다. 반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30대의 보험가입은 2002년 507만여건(36.18%),2003년 396만여건(33.53%),2004년 355만여건(32.05%)으로 줄었다.
이는 보험료 지불 능력이 있는 30∼40대가 자신을 위한 보험가입을 줄이는 대신 자녀와 부모를 위한 보험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는 얘기다.
●소비자의 의식변화 때문
보험판매 시장의 변화는 일반적인 저축성보험, 건강보험 등이 줄어든 대신 웬만한 질병을 모두 보장한다는 종신보험, 치명적 질병을 철저하게 보장한다는 CI보험, 보험에 투자 개념을 추가한 변액보험 등의 신장세가 두드러진 데서 비롯됐다.
이들 상품은 고액의 보험금을 받는 대신 보험료도 월 10만∼50만원 등으로 비싼 편이다. 생명보험사 관계자는 “고액보험이 증가한 이유는 보험시장의 저변 확대로 해석할 수 있다.”면서 “이는 신규 가입자가 발생한 것이 아니라 기존 가입자가 싼 보험을 비싼 보험으로 전환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보험사가 고액보험 판매를 잘해서 나타난 결과라기보다는 보험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일종의 ‘복권’에서 진정한 ‘금융상품’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풀이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