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칼럼] 내가 만난 성공하는 법/조영주 KTF 사장
얼마 전 ‘나를 바꾼 그때 그 한마디’라는 책이 화제를 모았었다. 명사들이 자신의 인생항로를 겪어오면서 큰 변화를 이끌어낸 한마디의 말들을 정리한 내용인데, 참 재미있게 읽었던 기억이 난다. 조금만 관심을 가지면 책이나 인터넷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것이 명언·명구이지만, 그 많은 말들 중에 특정한 시점에 자신의 처한 상황과 결합해 특별하게 다가오는 말이 있기 마련이다. 평소에는 흘려 듣던 유행가 가사도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고 난 뒤에 들으면, 다 내 얘기처럼 애절하지 않은가.
사장이 된 뒤 ‘당신의 인생에 영향을 준 한마디가 있느냐.’는 질문을 심심치 않게 받는다. 그럴 때마다 나의 삶 속에 오롯이 흔적을 남긴 한 구절의 글귀를 떠올리곤 한다.
사회생활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아 결혼을 했다. 결혼을 하고 보니, 총각 때와는 달리 한 가족의 가장으로서의 묵직한 책임감이 느껴졌다. 그 당시 사회 생활 초년병으로 매일 새로운 업무와 부딪치면서 바쁘게 살아갔는데,“지금 이대로가 내 인생을 위한 최선의 길인가.”,“성공하는 비법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 때가 많았다.
그러던 어느 해 연말 새해 여성잡지에는 가계부 부록이 첨부되기에 잡지를 구하러 서점에서 이 책, 저 책 훑어보다가 한 귀퉁이에서 ‘성공하는 법’이라는 글귀를 발견했다.‘여원’이라는 여성잡지속의 숨은 별책이었다. 밀봉된 부분을 개봉하니 핑크색 스티커가 하나 있었다. 그 스티커를 눈에 잘 보이는 데 붙이고, 매일 보고 실천하면 성공한다는 것이었다. 너무 간단하기도 하고, 재미있기도 해서 그 스티커를 화장대 거울 앞에다 붙여놓고, 매일 보고 실천하려고 노력했다.
스티커에 쓰인 것은 “내가 만나는 모든 사람, 내가 하는 모든 일 모두 다 귀하고 아름답다.”는 짧은 구절이었다. 지금 보면 별스럽지도 않은 내용인데, 그 당시 젊은 나에게 마음에 와 닿는 울림이 있었던 것 같다. 몇 년 전 이사할 때 세간을 정리하면서 아쉽게 그 스티커는 없어졌지만, 그 구절을 마음속에 새기고 생활 속에서 실천하려 노력하고 있다.
청년 실업난이 심각하지만 중소 제조업체에서는 일할 사람을 구할 수 없다고 한다. 또 어렵게 입사해서도 자리를 잡지 못하고 그만두는 젊은이들도 많다. 나름대로 꿈을 가지고 입사했는데, 복사하는 것을 시키고 창고 정리나 시키니 “내가 이것 하려고 입사했냐.”며 자리를 박차고 나간다.
좀 더 나은 것을 바라고, 그것을 위해 매진하는 것이 젊은이의 특권이라 이해를 하면서도 남보다 좋은 자리, 남들이 부러워하는 자리에 성큼 올라서고 싶은 부푼 꿈이 만들어낸 현상인 듯하여 마음 한 자리가 편치 않다.
TV만 틀면, 벼락스타의 이야기나 인생역전 드라마가 심심치 않게 들려온다. 몇 십억원의 로또 복권에 당첨된 행운아도 매주 몇 명씩 나온다. 그럴 때마다 거북이처럼 느리게 변해가는 나의 이야기가 너무 식상하고 재미없어 보일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인생이란 긴 레이스에서 몇 번의 묘수나 요행으로 성공할 수는 없다. 바둑 격언에도 “묘수를 세 번 두면 진다.”는 말이 있지 않은가. 어떤 사람이 공부를 잘하고 싶어 용한 점쟁이에게 비법을 물으니,“국어·영어·수학 위주로 예습 복습을 철저히 하라.”고 했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빨리 뛰고 게으른 토끼보다 한 걸음 한 걸음 최선을 다한 거북이가 이기는 우화의 진실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본다.
조영주 KTF 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