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공화국 한국서 유기농 홈카페 시작을 알리다
1896년 아관파천 당시 러시아공사관에서 고종이 마신 한 잔의 커피는 한국 커피문화의 시작을 나타냈다. 이후 115년이 지난 지금, 커피는 5,000만 대한민국 국민을 위한 최고의 기호 음료가 되고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커피는 단순 음료를 넘어서, 현대사회의 ‘소통’과 ‘혁신’ 매개체로 발돋움 했기에 커피 없는 세상을 상상할 수도 없게 됐다.
한 경제일간지에서는 특집기사로 ‘커피공화국 대한민국’을 다룬 적 있다. 그 내용을 보면 여러 민간 경제연구소에서 경쟁적으로 커피관련 시장분석자료를 쏟아내고 있으며, 출판업계에서도 커피관련 출판물을 앞다투어 출간해 베스트셀러를 점하고 있다는 것. 또 커피전문가 양성소(커피 아카데미) 역시 전국에 150곳을 넘어섰으며, 창업희망자의 75%가 전문 커피점 개설을 희망하고 있다는 것이다. 9,400여개의 점포와 월 3,000여명의 커피전문가. 이것이 바로 한국이 커피공화국임을 증명하는 어마어마한 숫자다.
메이저 전문커피체인점이 2,000여개나 되고, 기타 커피전문점까지 합하면 전국에 9,400여개의 커피점이 있는 현재. 커피점은 ‘휴식의 공간’에서 ‘비즈니스 공간’으로 변모. 부담 없이 찾게 되는 ‘현대인을 위한 소통의 장’이 됐으며, 학생들에게는 리포트 작성의 공간이 되기도 한다.
또한 9,400여개의 커피점만큼이나, 놀라운 것은 3,000여명의 커피전문 인력이다. 이는 전국의 150여 개의 커피 아카데미에서 교육을 이수한 사람들이 매월 졸업하는 숫자다. 한달에 이 정도니, 연간으로 하면 실로 훨씬 더 많은 인구가 커피 전문가로서의 꿈을 키워나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취업난에 직면해 있는 대학생뿐만 아니라, 30·40대의 창업희망자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직종은 바로 커피전문점 창업이다. 이제는 대학에서도 바리스타학과가 생길 정도로, 커피전문 아카데미의 참여자는 가히 폭발적이다. 아울러 이들은 또 다른 커피 시장의 잠재고객이라고 할 수 있다. 매월 커피전문가 교육이수자가 1,000명씩 배출된다고 가정해 보면, 1년에 1만 2,000명분의 커피시장이 기본적으로 생긴다고 할 수도 있다. 이 부분만 보아도, 커피시장이 연평균 10% 이상의 성장을 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견해에 머리가 절로 끄떡여지게 된다.
선진국의 길목에 들어선 한국에서 원두커피 시장이 확대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커피전문점과 인력의 숫자에서 우리는 커피가 혁신의 매개체임을 실감하게 된다. 매월 3,000여 명의 커피전문가가 배출되는 사회현상과 3년 만에 500개의 체인점을 구축한 카페베네의 급속한 성장, 홈카페 시장의 확대 및 원두커피 시장의 급성장. 또한 취업전쟁시대에 살아가고 있는 20-30대뿐만 아니라 실업에 직면한 40-50대, 그리고 건물을 소유한 50대 자산가에도 커피전문점 창업이 유행하고 있다는 현실을 보면, 커피는 현대 사회에서 ‘혁신의 매개체’임이 틀림없다는 것이다.
3조원! 이 어마어마한 숫자의 금액은 믹스커피 1조 2,000억, 커피전문점 8,000억, 커피음료 7,000억, 홈카페 3,000억 원으로 구성된 국내커피 시장규모다. 이 금액은 올해 연간 복권 판매금액과도 맞먹는 금액으로, 진정 대한민국이 커피공화국임을 실감하게 한다.
원두커피 수요의 확대와 유기농커피, 공정무역커피의 등장과 함께 대기업들이 대자본을 투여하여 믹스커피 및 커피전문점 시장, 그리고 커피음료시장 등 커피시장 확대를 주도하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중소기업에는 새로운 사업 기회가 오고 있다. 중소기업은 3,000억 시장의 홈카페 시장을 주목해 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지하철역 및 동네 골목길에서 쉽게 접하는 커피전문점. 이전의 믹스커피에 길든 소비자들이 빠르게 원두커피의 맛에 길들면서, 자연스럽게 ‘홈카페시장’은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홈카페 시장’에 도전장을 던진 중소기업이 있으니, ‘100% 스트레이트 커피’, ‘유기농 커피’, ‘공정무역 커피’를 주장하는 ㈜한디앤에스의 ‘비야커피’가 그 주인공이다.
한디앤에스는 캡슐커피의 등장으로 더욱더 빠르게 확산 되고 있는 원두커피 시장에 ‘드립커피’ 타입의 ‘비야커피’를 출시하고 홈카페 시장에 도전장을 던졌다. 한디앤에스 측은 “점심 후 자기가 좋아하는 품종의 신선한 원두커피를 선택해서 마시는 노브랜딩 원두커피 시장이 한 발 한 발 다가오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양한 고객의 요구에 맞추어 간편하게 신선한 원두커피를 즐기는 방법으로 ‘스트레이트 드립커피’를 대안으로 제시하며, 유기농커피, 공정무역커피만이 홈카페시장에서 고객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라 전했다.
유기농 제품만을 고집하고 있는 비야커피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소비자들의 선택 폭을 넓혀갈 수 있도록, 새로운 품종을 찾아내 신규 상품들을 출시할 예정으로 있어 더욱 기대를 모은다. 1650년 영국 옥스퍼드 대학 내에 최초로 생긴 커피하우스가 시작이 돼,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커피전문점 브랜드가 생성됐다. 그리고 이제는 대한민국에서 시작된 비야커피가 세계적인 홈카페 브랜드로 거듭나는 날도 머지않았을 것이다.
서울신문 나우뉴스부 nownew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