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벨기에
    2025-11-11
    검색기록 지우기
  • 아카데미
    2025-11-11
    검색기록 지우기
  • 법제처
    2025-11-11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7,924
  • ‘미슐랭 가이드’ 100년 명성 흔들

    |파리 함혜리특파원|프랑스 미식문화의 대명사인 ‘미슐랭 가이드’가 아직 문도 열지 않은 벨기에 식당의 음식을 호평한 것으로 드러나 미슐랭 가이드 100년 역사상 처음으로 문제가 된 가이드북을 수거하는 사태가 빚어졌다. 문제는 지난 24일 베네룩스편 2005년도 판이 네덜란드의 마스트리히트에서 시판되면서 시작됐다. 이어 26일자 벨기에 일간 르수아르는 벨기에 북부 해안지역에 있는 식당 ‘오스텐데 퀸’에 대해 미슐랭 가이드가 포크 2개에 가격 대비 음식의 수준이 아주 우수하다는 평가를 내렸지만 이 식당은 지난 8일에야 개업했다며 세계적인 식도락 가이드북의 신뢰도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 식당의 주인은 벨기에의 유명한 요리장 피에르 와이난츠의 적극적인 추천으로 미슐랭 가이드 편집진이 지난해 11월1일 공사가 한창인 이 식당을 방문했으며 이어 가이드 북에도 실리게 된 것이라고 확인했다. 벨기에 편집진은 이에 대해 “어차피 2005년 1월에 문열 식당인데 내년도 판이 나올 때가지 기다릴 필요가 없다는데 모두가 합의했다.”고 해명했다. 미슐랭그룹은 27일 문제가 된 미슐랭 가이드 베네룩스편 2005년도판 5만권을 유럽의 모든 서점에서 급거 수거하기로 결정했다. 미슐랭그룹의 파비엔 드 브레비송 대변인은 “문제의 식당에 대한 평가에 있어 품질 평가기준을 준수하지 않았다.”며 “베네룩스편에 대한 판매를 중지하기로 했으며 2개월 뒤 수정판을 발매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lotus@seoul.co.kr
  • [국제플러스] “동맹 강화” 라이스 국무 업무 시작

    |워싱턴 이도운특파원|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은 27일(현지시간) “미국은 해방과 자유를 위해 일어서고, 자유와 해방을 갈망하는 사람들 편에 설 것”이라며 “역사가 우리를 부르고 있다.”고 말했다. 26일 상원의 인준을 받고 이날 아침 공식 업무를 시작하기 위해 국무부에 도착한 라이스 장관은 로비로 마중나온 수백명의 직원에게 이같이 말하고 “외교가 정말 중요한 시기이므로 국무부가 앞장서야 한다.”고 말했다. 라이스 장관은 또 “우리 앞에 놓인 위대한 대의를 달성하기 위해 동맹들을 단결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라이스 장관은 다음 주부터 유럽 8개 국가를 순방한 뒤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자치지역인 요르단강 서안도 방문할 예정이라고 국무부가 발표했다. 리처드 바우처 대변인은 라이스 장관이 다음달 3일부터 10일까지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벨기에, 룩셈부르크, 폴란드, 터키를 방문할 예정이며, 파리에서는 연설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우리나라 GDP 세계10위”

    “우리나라 GDP 세계10위”

    국내총생산(GDP) 규모 기준으로 우리나라 경제가 세계 10위권에 진입했다.2003년까지만 해도 11위였지만 지난해 멕시코를 앞질렀다. 또 2008년이면 1인당 국민소득이 2만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됐다. 27일 산업자원부가 내놓은 ‘세계 속의 한국경제의 위상’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GDP는 2003년 6052억달러로 세계 11위였으나 지난해 6674억달러를 달성, 멕시코(6631억달러 추정)를 제치고 10위권에 진입한 것으로 추정됐다.1인당 국민소득은 2003년 1만 2030달러로 키프로스(1만 2320달러), 포르투갈(1만 2130달러)에 이어 세계 50위에 자리했다. 올해 1만 6900달러에 달한 뒤 2008년에는 2만 1068달러로 2만달러 시대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됐다. 수출은 지난해 2542억달러로 캐나다, 중국, 벨기에, 홍콩 등에 이어 세계 12번째로 2500억달러대에 진입했다. 그러나 중계무역을 제외할 경우 네덜란드, 벨기에, 홍콩을 앞질러 9위를 기록했다. 수입규모는 2245억달러로 13위다. 산업별 위상은 조선이 수주량 등에서 1위를 지키고 있는 것을 비롯해 자동차, 철강, 석유화학, 섬유,IT(정보기술) 등 7대 선도산업이 우리 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의 경우 2003년 선박 수주량이 1881만t(42.9%)으로 2위인 일본(28.1%)을 크게 앞질렀으며 선박 건조량도 718만t(32%)으로 1위를 유지했다. 자동차 생산은 318만대로 전 세계의 5.2%를 차지하며 중국, 프랑스에 이어 6위에 올랐고 철강은 4630만t을 생산해 미국, 러시아에 이어 5위를 차지했다. 석유화학 생산은 전세계 생산량의 5.1%에 해당하는 570만t으로 사우디아라비아, 중국에 이어 5위를 기록했다. IT제품은 반도체의 경우 197억달러(8.7%)로 미국, 일본과 함께 3대 강국의 지위를 확보했고 특히 D램(45.2%)과 플래시메모리(25.7%)는 세계 1,2위의 위상을 지켰으며 초박막액정표시장치(TFT-LCD)도 41.7%로 타이완을 제치고 정상을 차지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 ‘공룡조직’ 건보 인력낭비 심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인력이 방만하게 운용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건강보험은 사회보장보험의 성격보다는 의료비 할인제도에 불과하며, 의료수가 및 약제비도 허술하게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감사원은 지난해 4∼6월 실시한 ‘국민건강보험 운영실태 감사’ 결과, 이같은 문제점이 발견됐다고 26일 밝혔다. 감사 결과에 따르면 건강보험공단은 업무전산화에도 불구하고 종전처럼 234개 시·군·구에 227개의 지사를 설치하고 9497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국의 지사가 80여개에 불과한 국민연금관리공단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건강보험공단은 지난 2003년 인사적체 해소 목적으로 4급 이상의 정원을 늘리는 바람에 5·6급보다 4급 이상 상위직이 많아지는 기형적 인력구조를 안게 됐다. 감사원은 또 진료비 가운데 환자 본인 부담률은 43.6%일 뿐 아니라 부담 비율이 해마다 증가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사회보장으로서의 기능을 잃을 정도의 수준이다. 이는 일본의 환자 본인 부담률은 12%를 비롯해 프랑스 27%, 독일 9%, 벨기에 12%, 네덜란드 24%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감사원은 보험적용이 안돼 환자가 진료비를 전액 부담하는 경우 병원의 자의적인 수가 결정과 이에 대한 정부의 관리소홀로 환자가 고액을 부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복부 자기공명촬영장치(MRI)의 경우 자동차·산재보험회사가 병원과 합의한 수가가 28만∼35만원인데도 환자 개인이 부담할 경우에는 58만∼59만원이었다. 감사원은 이밖에 2000년 보건복지부가 2866개 의료행위에 대한 수가를 새로 정하기 위해 이에 대한 ‘상대가치점수’를 재산출했으나 기존 점수에 비해 차이가 커 큰 폭의 수가조정이 불가피해지자 기존의 점수를 그대로 채택하거나 여기에 일정 점수를 더하는 등 적절하지 못한 방식으로 점수를 산정했다고 지적했다. 감사원 관계자는 “총체적인 부실로 인해 국민건강보험의 2003년 말 누적적자는 1조 5000억원에 달했다.”면서 “보험료 인상이 국민저항 등으로 어려운 만큼 건강보험공단의 구조조정, 의료수가에서의 거품 제거를 통해 재정 적자를 타개해야 한다.”고 밝혔다. 강충식기자 chungsik@seoul.co.kr
  • 경기도, 까르푸 손잡고 유럽 공략

    경기도가 세계적인 유통업체인 프랑스 까르푸사와 손잡고 본격적인 유럽시장 공략에 나선다. 까르푸는 21일 유럽을 방문 중인 손학규 경기도지사가 프랑스 파리에서 까르푸사 다니엘 베르나드 회장과 농산물수출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에 따르면 까르푸는 지난해 150t이던 경기도산 신고배 수입판매량을 올해 400t,2014년에는 2000t으로 늘린다. 또 수출 품목을 신고배외에 김치, 인삼 등 5개 품목으로 늘리고, 판매지역도 프랑스와 벨기에서 유럽 전역으로 확대한다. 경기도와 까르푸는 이같은 합의 사항을 차질없이 진행하기 위해 별도의 협의체를 구성, 운영할 계획이다. 까르푸는 프랑스 216개 매장을 포함하여 30개국에 868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경기도 7개를 비롯, 모두 27개를 운영하고 있다. 서재희기자 s123@seoul.co.kr
  • 몸으로 빚은 ‘동양과 서양’

    국내 창작발레 활성화에 힘써온 두 중견 여성 안무가의 작품이 나란히 무대에 오른다. 세종대 장선희 교수는 21∼23일 예술의전당 토월극장에서 ‘수묵’을, 충남대 조윤라 교수는 27∼28일 호암아트홀에서 ‘펠레아스와 멜리장드’를 공연한다. 각각 조선시대 수묵화와 드뷔시의 동명 오페라에서 모티프를 얻어 이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구성한 야심작이다. ●장선희발레단 ‘수묵’ 잘 마른 한지 위를 거침없이 누비는 붓의 움직임처럼 텅 빈 무대를 자유자재로 수놓는 무용수들의 몸짓.‘수묵’은 동양의 정적인 아름다움을 서양의 역동적인 발레로 치환해서 보여준다. 2막10장으로 구성된 작품은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을 배경으로 조선시대 예술가의 불꽃 같은 삶과 예술혼을 때로는 물처럼 잔잔하게, 때로는 폭풍우처럼 강렬한 시각적 이미지로 펼쳐놓는다. 붓, 먹, 종이가 물을 만나면서 천변만화하는 과정과 신명, 천지인, 정중동, 태극, 여백 등 동양정신의 핵심 요소들이 어떻게 무대 위에 형상화될 것인지가 관심거리. 공연에 참여한 스태프들의 화려한 면면도 눈길을 끈다. 소설가 이문열(황진이), 이인화(신시) 등 평소 문인들과의 작업을 즐겨온 안무가는 이번에도 시인 이문재에게 대본을 맡겼다. 여기에 창작국악과 영화음악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작곡가 원일과 일본의 조명디자이너 요시코 기타타니가 가세해 완성도 높은 무대를 선사할 예정이다. 또한 이영철·임혜경(유니버설발레단), 하준용(국립발레단), 김경신·이영찬·최문석(툇마루무용단), 허인정(장선희발레단) 등 국내 유명 발레단의 무용수들이 대거 참여해 한층 기대를 높이고 있다.1만∼5만원.(02)3408-3280. ●조윤라발레단 ‘펠레아스와 멜리장드’ 벨기에 출신 작가 모리스 메테르 랭크가 쓴 ‘펠레아스와 멜리장드’는 유럽에서는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에 비교될 정도로 널리 알려진 작품. 하지만 국내에서는 95년 소극장 오페라로 한차례 공연된 이후 거의 무대화되지 않아 일반인들에겐 생소하다. 형수와 시동생으로 잘못된 사랑에 빠지는 멜리장드와 펠레아스, 그리고 질투 끝에 배다른 동생이자 연적인 펠레아스를 죽이는 골로 등 세 남녀의 엇갈린 사랑과 질투, 죽음이 작품의 기둥줄거리. 안무가는 이 비극적 사랑이야기를 현대발레로 재구성해 지난 99년 국립극장에서 초연했고, 당시 호평에 힘입어 올해 우수 레퍼토리의 하나로 다시 무대에 오르게 됐다. 무용평론가 문애령이 대본을 집필했고, 연극과 무용음악 양쪽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김태근이 음악을 맡았다.1만 2000∼3만원.(02)2263-4680.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 해외직접투자 개도국 집중

    해외직접투자 개도국 집중

    지난해 개발도상국에 대한 해외직접투자(FDI)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힘입어 세계 전체 해외직접투자 규모도 3년 만에 증가세로 반전됐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2일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의 자료를 인용, 지난해 개발도상국에 대한 해외직접투자는 모두 2550억달러로 전년 1720억달러에 비해 48%가량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2000년 1조 3900억달러를 정점으로 해마다 줄어들었던 세계 전체의 해외직접투자 규모도 지난해에는 전년보다 6% 늘어난 6120억달러를 기록, 회복세를 보였다. 칼 서번트 UNCTAD 투자국장은 “개발도상국에 대한 해외직접투자 비중은 2001∼2003년 세계 전체의 27%대였지만 지난해에는 42%로 늘어났다.”면서 “이처럼 직접투자가 늘어난 것은 개도국 경제에 좋은 소식”이라고 말했다. 컨설팅업체인 AT커니는 “투자전망과 리스크관리에 대한 인식에 근본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면서 “특히 투자자들이 이머징마켓에 대한 투자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지역별로는 아시아·태평양지역에 대한 투자가 1660억달러로 2003년에 비해 55% 증가했다. FT는 “특히 한국과 중국을 비롯한 동북아시아 지역에 대한 투자가 급증했다.”면서 “경제활동 개선, 기업의 수익성 증가, 활발한 인수합병(M&A) 등이 해외직접투자 증가의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중남미 지역은 690억달러를 기록해 5년 만에 처음으로 늘었고, 아프리카 지역은 원자재 가격 상승에 힘입어 200억달러의 자본을 해외로부터 끌어들이면서 2년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유럽 중부·동부지역 국가들에 대한 투자는 사상최고치인 360억달러였다. 한편 가장 많은 투자를 유치한 국가는 미국으로 1210억달러였다. 미국은 2000년 3140억달러에서 2003년 297억달러까지 줄어들면서 처음으로 중국에 1위 자리를 내줬었다. 지난해 중국에 대한 투자는 2003년 535억달러보다 16% 늘어난 620억달러였다. 미국의 투자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벨기에, 네덜란드, 독일 등에 대한 해외투자가 줄어들면서 선진국들에 대한 전체 해외투자액은 전년보다 16% 감소했다고 UNCTAD는 밝혔다. 장택동기자 taecks@seoul.co.kr
  • 홍합부인 김쏘였네, 속살 올랐네

    홍합부인 김쏘였네, 속살 올랐네

    찬바람이 불면 그리워지는 그 맛. 따끈하면서도 담백한 홍합탕은 얼었던 몸을 풀어준다. 이런 까닭에 김이 모락모락 피어오르는 홍합을 내놓는 길거리 포장마차 불빛마저 정겹다. 보랏빛이 약간 감도는 까만 껍데기를 벌려 빼먹는 속살에는 감칠맛이 그만이다. 홍합 특유의 향에서 바다까지 느낄 수 있다. 홍합의 속살은 어찌보면 참으로 외설적이다. 지역에 따라선 합자, 열합, 섭 등으로 부른다. 허균은 중국인들은 홍합을 ‘동해부인(東海夫人)’이라며 즐긴다고 적었다. 홍합을 많이 먹으면 여성의 속살이 예뻐진다고 믿었던 것. 프로비타민D가 풍부해 골다공증을 예방하고, 조혈작용에도 효과가 높아 전혀 근거가 없는 말은 아닐 성싶다. ■ 이번 주말 홍합 어때요 홍합은 사실, 우리보다 서양의 식탁에서 더 주빈의 자리를 꿰차고 있다. 우리는 나물이나 국을 끓일 때 홍합을 넣거나 술국으로 홍합탕이 인기다. 하지만 프랑스·이탈리아 등 유럽에선 홍합을 주요리로, 당당한 한끼의 식사로 먹고 있다. 홍합을 삶으면서 나오는 국물에 크림이나 토마토 소스를 섞어 요리해 다시 홍합에 끼얹어 먹는다. 요즘 홍합이 한창 나는 곳은 전남 여수시다. 홍합은 굴에 비해 수익성이 낮아 양식은 훨씬 적다. 돌산대교를 건너 옥색 바다의 여수시 돌산읍 우두리 강남금마을을 찾았다. 돌로 쌓은 방파제가 있을 정도로 고즈넉한 마을의 포구에서 배를 타면서 배 이름을 물었다. 선장 정충길(55)씨는 “작은 밴데 무슨 이름이 있겠어요.”라고 말했다. 마침 바람이 없어 호수처럼 잔잔한 바다를 10여분간 미끄러지듯 달렸다. 대경도 사이였다. 한 줄로 죽죽 늘어선 띔개가 보였다. 홍합 양식장이었다. 선장 정씨가 부인과 함께 띔개 아래로 매달린 줄을 낫으로 끊어 끌어올렸다. 뽀얀 흙먼지를 둘러쓴 홍합이 빼곡히 매달려 있었다. 다른 부착 생물도 많이 붙어있었다. 끌어올린 홍합에 물을 끼얹자 깨끗해졌다. 선장 정씨가 끌어올린 홍합을 부인이 하나 하나 다 뗐다. 홍합은 실같은 족사로 서로 붙어있는데 이를 떼냈다. 선장 부인은 “껍데기를 깨끗이 씻어 실파·풋고추와 마늘을 다져 넣고 끓이면 기막힌 홍합탕이 된다.”며 “홍합은 조개와는 달리 해감할 필요가 없지만 국물처럼 마시려면 소금물에 조금 해감하면 된다.”고 말했다. 홍합은 찬물에 끓여야지 뜨거운 물에 넣으면 조가비가 벌어지지 않는다고 귀띔했다. 한 시간가량 이렇게 작업하자 커다란 광주리에 5개 가득했다. 다시 돌아왔다. 커다란 통속에 넣고 바닷물로 씻자 홍합 특유의 검은빛이 반짝거렸다. 씻은 홍합을 박신양에서 깠다. 홍합을 까던 박정이(60)씨.“요즘엔 홍합을 까도 인건비가 안 나와요. 홍합 알 1㎏에 겨우 2000원선이에요.”라고 하소연했다. 굴은 배가량 더 받는단다. 이렇게 깐 홍합을 상인들이 모아 대형 마트와 음식점 등에서 판매한다. 박씨는 “홍합 살은 연한 소금물에 흔들어 씻고 검은수염(족사)이 있으면 자르면 된다.”며 “국을 끓일 때 끓는 물에 살짝 데쳐 헹군 뒤 쓰면 된다.”고 말했다. 선장 정씨는 “좋은 홍합은 껍데기가 까맣고 광택이 나며 깨지지 않아야 하며 껍데기를 벗겼을 때 살이 통통하고 붉은 빛이 돌며 윤기가 있는 것이 싱싱하다.”고 귀띔했다. ■ 여수에서 홍합 맛보랑께 아름다운 항구도시 여수에는 먹을거리도 풍부하다. 요즘 여수의 가장 대표적인 음식은 삼치회다. 다른 지역에선 구이로 먹어도 비린 생선인데, 여기선 최고의 횟감으로 통한다. 여수에서도 삼치회를 먹기 시작한 것은 20년 정도에 불과하다. 거문도 부근에서 잡힌 삼치는 씨알이 1m 이상 나갈 정도로 굵어 대부분 일본으로 수출됐단다. 일본에선 삼치를 선어 상태로 보관했다가 즉시 회로 내놓는 것. 삼치잡이 선원들만 그동안 삼치회를 맛봤던 별미다. 여수 사람들은 삼치회 전문집으로 교동의 사시사철(061-666-1445)을 든다.12년째 삼치회(3만∼5만원)만 취급한다. 삼치회는 참치회처럼 썰어 낸다. 김동근씨는 “삼치회는 손바닥에 배춧잎과 김을 올린 다음 삼치회를 기름간장 소스에 찍어 얹고 풋마늘과 함께 먹는다.”며 시범을 보여줬다. 참치처럼 부드러웠지만 맛은 참치 뱃살(오도로)보다 더 고소했고 입안에서 살살 녹았다. 고깃살에 흰줄이 들어간 부분은 졸깃한 질감이 느껴졌다. 삼치회를 다진 마늘·참기름 등을 넣은 간장에 찍어 먹는 것이 특징. 사시사철 맞은편의 노다지(662-4045)도 삼치회 전문집이다. 삼치 전문집들은 대개 오후에 문을 연다. 삼치가 거문도에서 매일 오후에 들어오는 탓이다. 여수에서 뺄 수 없는 또 한가지는 서대회. 가자미처럼 생긴 넓적한 생선인 서대는 남해안 지역에서 꾸덕꾸덕하게 말려 찜이나 조림으로 주로 먹는다. 뼈는 무척 억세지만 살은 토실하면서 담백하다. 서대를 회로 먹는 것은 여수가 거의 유일한 듯하다. 진남관앞 로터리에서 중앙파출소로 가는 길목의 구백식당(662-0900)은 서대회(1만원)로 유명세를 탔다. 구백식당의 서대회는 향토음식으로 여수지역 초등학교의 지역사회 교과서에도 올랐다. 서대는 껍질을 벗기고 포를 떠 1㎝ 크기로 어슷 썰어 미나리·상추·양파 등을 넣고 양념장으로 비벼 낸다. 양념 맛은 달콤·새콤·매콤하다. 주인 손춘심(57)씨는 “서대회 무침은 막걸리 식초에 발효시켜 내오기 때문에 탈이 나지 않는다.”며 “넓은 그릇에 밥을 조금 푸고 그 위에 콩나물·참기를 넣고 서대회를 넣고 비벼 먹는 것이 여수의 방식”이라고 말했다. 양이 넉넉하기 때문에 3명이면 2인분,5명이면 3인분 정도 주문하면 적당하다. 구백식당 주위로 서대회 전문 음식점 예닐곱집이 몰려 있다. 여수 사람들은 생선만 먹을까? 바다에서 나는 것을 고기라고 부르고 소·돼지고기를 ‘육고기’라 부르며 즐겨 찾는다. 가장 대표적인 곳이 돌산대교 입구에서 오른쪽으로 빠져 한일택시 옆의 초당갈비(643-6333)를 많이 찾는다. 이 집의 대표 음식은 등심(1만 7000원). 겉모습이 꽃무늬 모양으로 빨갛다. 나주에서 나는 암소만 취급하며 부드러우면서도 입안에서 살살 녹는 듯하다. ■ 서울서도 홍합 맛보세요 서울 이태원역 2번 출구앞에서 30m가량 가면 나오는 라시갈 몽마르트(796-1244)는 프랑스 음식점이지만 홍합요리도 낸다. 외국인들에게 먼저 알려진 이 곳은 프랑스인 요리사가 주방을 책임지고 있다. 지난 2002년 문을 열 당시 최초로 유럽 스타일의 홍합요리 2가지를 냈다가 지난해부터 23가지로 보강했다. 여러 프랑스 음식과 함께 홍합구이·홍합찜·홍합샐러드·홍합수프·홍합꼬치 등 프랑스뿐만 아니라 태국식까지 다양하게 내고 있다. 먹는 방식은 유럽스타일이다. 플로랑 레스코자크 조리장은 “젓가락이나 포크 대신 한 손에 홍합을 들고 다른 손으로 홍합 껍데기를 집게처럼 집어 속살을 파내 소스에 찍어 먹고, 국물은 껍데기로 떠 먹는다.”고 말했다. 인기 메뉴는 전통적이면서도 홍합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는 브뤼셀스타일(1만 1000원), 매콤한 토마토 소소를 곁들인 홍합요리(1만 4000원)와 함께 훈제 베이컨·홍합요리(1만 4000원)이다. 홍합을 백포도주·양파·마늘·셀러리 등과 함께 넣고 익힌 다음 나오는 국물에 크림과 훈제 베이컨을 넣고 익혀 홍합의 향을 살렸다. 국물이 담백하면서 부드럽고, 빵을 찍어 먹기도 좋다. 서울 신촌 민들레영토 맞은편의 완차이(392-7744)의 아주매운홍합찜(2만원)이 유명하다. 조개와 새우 등의 해산물을 홍콩 스타일로 내놓지만 메뉴 이름에서 보듯이 맵다. 따갑듯이 매운 자극이 아니라 따끔따끔하다. 홍합을 살짝 익혀 사천·청양 고춧가루를 마늘·파·생강 등과 함께 두반장 소스와 넣고 볶아 냈다. 고추기름은 쓰지 않는다. 주인 총복자씨는 “우리집 홍합찜은 신촌에선 첫째다.”며 겸손하지만 자신감을 내보였다. 첫 맛은 고소하고 졸깃하면서 매운 맛이 느껴진다. 단맛도 살짝 배어있다. 웬만한 사람은 홍합 5개 정도 먹으면 이마에서 땀이 맺힌다. 아주매운홍합찜을 주문하면 전혀 간이 되지 않은 밍밍한 쌀죽이 한 그릇 나온다. 입안이 매운 맛으로 달아오르면 죽을 먹으면 된다. 금방 매운 맛이 가라앉는다. 매운 맛에 중독성이 있는지 홍합찜을 맛본 사람은 자주 찾는다. 서울 삼청동 청수정(738-8288)이 홍합밥으로 유명하다. 홍합을 넣고 가마솥에서 밥을 지은 다음 상에 내기 직전 참기름과 간장을 약간 넣고 살짝 볶는다. 주인 박일화씨는 “영업 비밀”이라며 더 자세한 비법 공개를 거부했다. 연한 갈색의 밥에 기름기가 돈다. 고소하면서 밥에 찰기가 있다. 메뉴는 2가지. 똑같은 밥을 도시락(6000원)과 정식으로 낸다. 도시락은 김치와 나물 등 반찬이 네댓가지가 나오며 포장해서 야외에서도 먹을 수 있다.2인분 이상만 주문받는 홍합정식엔 김치·겉절이·나물·생선구이·찌개 등 17가지의 반찬이 나온다. 정갈하지만 1인분에 1만 3000원 하는 가격이 만만찮다. 대구볼때기탕(2만원)도 유명하다. 마늘전문점으로 유명한 서울 여의도의 메드포갈릭(783-5296)도 홍합을 내놓고 있다. 매운 홍합찜(1만 3800원)은 홍합에다가 토마토 소스와 마늘과 후추를 넣고 바질 등의 향신료와 함께 졸인 것으로 향이 좋다. 또 화이트와인 홍합찜(1만 3800원)은 자극적이지 않고 부드럽다. 크림 소스를 넣어 맛이 담백하고 깔끔하다. 와인의 안주로 잘 어울린다. 압구정(546-8117)과 광화문(722-4580)에 분점을 두고 있다. 이밖에 서울 압구정동 성수대교 남단에서 글로리아백화점 방향의 하나은행골목에 있는 더버블스(3446-8041)는 블루치즈 홍합요리(2만 1000원)를 비롯해 벨기에와 이탈리아식 홍합요리 10여가지를 내고, 대학로의 마로니에공원 근처의 장(742-4788) 역시 이탈리아식 홍합구이(1만 5000원)와 홍합죽(1만 2000원)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글 여수 이기철기자 chuli@seou.co.kr 사진 남상인기자 sangin@seoul.co.kr
  • 토종웰빙을 찾아서-제주 조랑말고기

    토종웰빙을 찾아서-제주 조랑말고기

    ●웰빙음식으로 뜨면서 전문음식점만 20여개소 제주 조랑말고기가 웰빙음식으로 뜨고 있다. 여성들에게는 미용식으로, 남성들에게는 강정식으로, 노인들에게는 관절염이나 골다공증·중풍치료 음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몇년 전까지만 해도 5∼6개소에 불과하던 말요리 전문음식점이 지금은 제주지역에만 20여개소로 불어났다. 말고기는 쇠고기와 같이 채식성 육류의 일종으로 소보다 부드러운 육질과 높은 영양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유럽 대부분의 나라들은 쇠고기보다 말고기를 상급으로 친다. 러시아·프랑스·벨기에·네덜란드·독일·호주·일본 등이 대표적인 말고기 애호국가들이다. 특히 프랑스의 경우는 세 사람 중 한 사람이 먹고, 일인당 소비량이 약 1.7㎏이나 되며 전문 정육점이 3000여개소에 이를 정도로 대중적이다. 호주에서도 말고기가 캥거루·타조·악어 등과 함께 대체 육류로 각광받고있다. 제주를 찾는 관광객들 가운데 일본인들의 말고기에 대한 관심은 대단해서 어느 말고기 식당에 가더라도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우며 “오이시(맛있다)”를 외치는 일본인들을 쉽게 볼 수 있다. 이는 일본에서 말고기를 건강에 그만인 최상급 육류로 치기 때문이다. ●동의보감·방약합편 등에도 말고기 효능 기록 조선실록이나 세종실록 등에 따르면 제주의 조랑말 ‘마건포’는 고려시대부터 매년 섣달이면 임금에게 올려지던 주요 진상품이었다. 세종 초기에는 말고기 수요가 급증해서 중국 사신들의 위로연을 제외하고는 사용을 금지시켰다는 기록이 있으며, 연산군은 정력보강제로 맥마만 골라 잡아먹었다는 설도 있다. 이를 입증하듯 허준(許浚)의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말고기는 신경통·관절염·빈혈에 좋고 특히 이명(귀울림)에 효험이 있으며 허리와 척추뼈에도 좋다.”고 기록돼 있다. 황도연(黃道淵)의 의서 ‘방약합편(方藥合編)’에도 “말고기는 원기가 부족해 기운이 없고 피로를 자주 느끼며 매사에 의욕이 없을 때 이를 회복시켜주는 효능이 있고, 몸을 차게해 진정 및 소염작용이 있어 흥분을 잘 하거나 혈압이 높은 사람, 심장·폐·대장이 약한 사람에게 좋다.”고 나와 있다. 민간에서도 말의 다리뼈는 신경통과 관절염에, 말기름은 화상에 특효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래서 말은 고기뿐 아니라 내장, 기름, 뼈 등이 모두 귀하게 쓰인다. 고기는 연하고 부드러우며 다른 육류보다 소화 흡수율이 뛰어난 저지방 고단백 식품이다. 칼로리와 콜레스테롤 함량도 적어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그만이다. ●관절·중풍·당뇨 등 성인병에 특효인 비방식품 제주 조랑말은 부위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수분 71.2%, 단백질 21.3%, 지방 3.5%, 회분 함량이 1.2%가 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약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특히 뼈에는 글리코겐 함유량이 우유의 4배나 되고 고기 100g당 동물성 철(8.1㎎)과 인(379.8㎎), 칼륨(1352㎎), 망간(57.2㎎) 등이 다량 함유돼 있어 관절·류머티즘·골다공증·신경통·중풍·간질환 환자 등 성인병에 특효가 있는 비방식품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밖에 말의 머리는 치매예방에 도움을 주고, 말젖은 고혈압과 결핵·간염·위궤양에 좋으며, 말피는 근육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우리나라와 일본 등지에서 민간요법 차원에서 화상이나 아토피 피부염 치유에 널리 쓰이고 있는 말기름과 당뇨 환자들이 즐겨 찾는 말고기의 효능이 과학적으로 입증된 사례도 있다. 농촌진흥청 난지농업연구소가 최근 말고기 기름에 대한 성분을 분석한 결과 불포화지방산인 팔미톨레산 함량이 8.2%로 돼지고기(2.8%)나 쇠고기(2.6%)보다 2∼3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팔미톨레산은 사람의 피부를 보호하는 피지(皮脂)의 주요 성분으로, 사람의 피부에서 강력한 향균작용을 함으로써 피부를 보호하고, 췌장 기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인슐린 분비기능을 촉진시키는 등 최근들어 의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기능성 물질의 하나다. ●음식종류도 한식·일본식·유럽식 등 다양 말고기 요리로는 한국식으로 양념갈비·주물럭·불고기·육회·찜·전골·곰탕·도가니탕 등이 있고, 일본식으로는 샤부샤부·스키야키·마카스·덴푸라 등이 있으며, 서양식으로는 스테이크·커틀릿 등 다양하다. 금방 잡았을 경우에는 간과 내장이 특히 맛있어 일부 음식점들은 단골 고객들에게만 전화로 알려줄 정도다. 양념갈비는 소 갈비 못지않게 담백하며 육질이 질기지 않고 냄새도 없다. 육회는 말의 뒷다리 살을 이용해 만들며 달걀 노른자와 채 썬 배, 당근을 곁들여 먹는데 입안에서 살살 녹는 맛이 일품이다. 회는 뒷다리 살을 생선회처럼 썰어 생채로 먹는다. 곰탕은 일반 도가니탕에 비교가 안될 정도로 그 맛이 환상적이며, 삶은 결장(내장)을 양념장에 찍어 먹거나 메밀가루와 무를 썰어넣어 국을 끓여 먹으면 별미 중의 별미다. 말고기 요리에 대한 인기가 상종가를 치면서 올해부터는 말뼈를 농축시켜 만든 휴대용 엑기스와 말젖으로 만든 화장품 등도 나오고 있다. 제주지역에서 식용으로 나오는 말고기는 거의가 조랑말 경주에서 뛰고 난 10∼13세 정도의 퇴역마들이며 한해 100여마리 도축되고 있다. 제주 김영주기자 chejukyj@seoul.co.kr
  • [인사]

    ■ 산업자원부 ◇국장급 전보 △원전사업기획단장 趙石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파견 安玹鎬 ◇과장급 전보△총무과장 鄭載勳 ■ 보건복지부 ◇국장급 전보 △공보관 盧然弘△한방정책관 劉永學△사회복지정책실 인구가정심의관 朴夏政△〃 장애인복지〃 張玉珠△연금보험국장 李相龍△국민연금심의관 孫建翼△지역보건복지혁신사업단장 李相泳△국립의료원 사무국장 朴憲烈△질병관리본부 질병조사감시부장 朴景鎬△사회복지정책실 기초생활보장심의관 申英澈◇팀제조직 겸직△국가중앙의료원설립준비단장 朴憲烈△오송생명과학단지조성사업단장 李相基◇과장급 전보△총무과장 金德中△기획관리실 혁신인사기획관 李泰翰△주벨기에구주연합대표부 파견(예정) 李在國△한방정책관실 한방의료담당관 朴祥杓△〃 한약〃 金貞錫△기획관리실 국제협력〃 李錫圭△사회복지정책실 의료급여과장 李元熙△ 〃 자활지원〃 金斗守△ 〃 복지자원정책〃 柳志馨△〃 인구·가정정책〃 金相希△ 〃 장애인정책〃 王鎭鎬△보건정책국 보건의료정책〃 陳幸根△〃 의약품〃 宋在燦△〃 공공보건〃 朴敏守△건강증진국 건강정책〃 李榮浩△〃 질병〃 韓文德△〃 구강〃 安正寅△연금보험국 보험정책〃 崔喜周△ 〃 보험관리〃 安小榮△한방산업단지조성팀장 金有謙△농어촌노인복합〃 徐信一△오송생명과학단지조성사업단 과장 文進雄△국가중앙의료원설립준비단 〃 金惠珍△참여복지홍보사업단 〃 崔英豪△보건복지전달체계개선팀장 신꽃시계△지방이양사업평가팀장 韓益熙△기획관리실 혁신인사기획관실(인사담당) 李相仁△국립인천공항검역소 사무과장 金明奭△〃 검역〃 朴賢子△국립부산검역소장 金永均△국립인천〃 申相淑△국립통역〃 禹洪植△국립마산병원 서무과장 金平淪△〃 약제〃 朴英源△국립목포병원 서무〃 黃仲澤△〃 약제〃 尹惠珠△국립소록도병원 약제〃 직무대리 金眞奭△복지부본부 王后東 李根善 睦昭榮 ■ 노동부 △노사정책국장 鄭鍾秀△산업안전〃 宋永重△교육인적자원부 파견 河甲來△보건복지부 〃 申英澈△고용정책심의관 李埰弼 ■ 농림부 ◇과장급 전보△혁신인사기획관 李濬遠 ■ 농업기반공사 ◇도본부(관리실장) △경기도 林東殷 △전북 全俊鍾 △경북 徐榮濟 ◇사업단 △새만금사업단 관리실장 韓鯨泰 ◇지사(경기도본부) △양평·광주·서울 李光孝 △수원 羅正宇 △연천·포천 梁祥基 △고양 朴慶運 △강화 尹仁澤 △김포 朴泰雲 △평택 林平大 △안성 李重日 (강원도본부)△원주 金南虎 △강릉 金周仁 △영북 李寬浩 (충북도본부)△청원 黃承鉉 △보은 金貞煥 △진천 洪景善 △충주·제천 李炳國 (충남도본부)△연기·대금 李基大 △천안 安興洙 △홍성 趙炳初 △서천 金在道 △서산 李原熙 △당진 趙近相 (전북도본부)△순창 徐三石 △동진 鄭秉魯 △부안 朴相玉 △전주·완주 牟德來 △정읍 宋泰銘 △무주·진안·장수 金益秀 (전남도본부)△강진·완도 金鍾元 △곡성 朴光浩 △광주지사장 宋炫起 △보성 李永大 △해남 金福烈 △진도 朴秉斗 (경북도본부)△청송 權在元 △안동 申鉉國 △칠곡 李載春 △구미 裵潤泰 △예천 崔秉庸 △영주 朴相宗 △달성 劉甲鍾 △의성 安大榮 △영천 趙鏞虎 △경산 金英吉 △고령 鄭大堯 △성주 姜求德 △상주 韓萬用 (경남도본부)△함안 朴炳永 △밀양 鄭瑩在 △사천 林成柱 △거창 韓亨奎 △합천 徐相榮 △하동·남해 辛昇燁 ■ 중앙일보 △상임고문 한남규△편집국장(이사대우) 김수길△국제담담 겸 IHT발행인(〃) 길정우△전략마케팅실장(〃) 이성훈△마케팅본부장(〃) 김상규△통일문화연구소장 이규진△중앙일보 시사미디어㈜ 대표이사 이장규 ■ 경희의료원 △기획팀장 겸 홍보팀장 崔承完△예산분석팀장 金基正△의료지원〃 卓琦千△총무총괄〃 朴秀榮△총무〃 崔德元△원무총괄〃 金韓祉△노사협력〃 姜根榮△물류〃 李龍喜△부속병원 부속행정실장 崔泳鎭△치대병원 〃 崔凰圭 ■ 대신투자신탁운용 △투자전략팀장 李容林△주식운용팀장 崔亨根 ■ 기업은행 △이사대우 李庚烈△강서지역본부장 朴琮圭△북부〃 崔鈴△경인〃 趙浚熙△대구경북〃 方圭福 ■ 서울우유 ◇승진 △영업상무 朴在圭
  • [이젠 사람입국이다] 2. 평생학습이 가져온 제2의 삶

    [이젠 사람입국이다] 2. 평생학습이 가져온 제2의 삶

    |프랑크푸르트 장택동특파원|“의지만 있다면 배움의 기회는 항상 열려 있습니다. 끊임없이 배우는 것만이 자신과 조직을 발전시키는 유일한 길입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공항 관리를 맡고 있는 프라포트(Fraport)의 화물통제센터에서 만난 페터 케른(43) 화물관리국장은 자신있는 목소리로 말했다. 고졸에 화물노동자로 회사 생활을 시작했던 케른 국장이 600여명의 직원을 지휘하는 지금의 자리에 오를 수 있었던 것은 ‘학습의 힘’ 때문이다. 케른 국장은 1979년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6년 동안 가게 점원 등으로 일하다 86년 화물창고 노동자로 프라포트에 입사했다. 그는 “사무직으로 회사에 들어가고 싶었지만 자리가 없었다.”면서 “일단 입사해서 기회를 찾아보려 했다.”고 회고했다. 하지만 기회는 빨리 찾아왔다.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한다는 점을 인정받았고, 직속 상사로부터 1대1 현장교육을 받으면서 회사의 운영시스템을 익힐 수 있었다. 급기야 그는 87년 수출문서를 다루는 부서에서 문서수발을 하는 업무를 맡았다. 사무직으로 직종을 바꾸는 데 성공한 것이다. 하지만 겨우 첫걸음을 떼었을 뿐. 고학력자들이 즐비한 사무직에서 승진은 쉽지 않았다. 그는 “대졸자들이 바로 수영을 시작한다면 나는 발장구를 치는 법부터 배워야 했다.”고 비유했다. 그동안 그가 사내교육을 통해 배운 과목은 공항경영, 일반경영, 국제경영 등 경영과목을 비롯해 재정회계, 성인교육, 문화차이 인식,MS오피스를 비롯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사용법, 영어(토플) 등 20여개에 이르고, 국제경쟁력 강화 프로그램(KIM)을 이수했다. 이렇게 많은 양의 학습을 소화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더욱이 회사업무를 집에까지 들고 가서 해야 할 때에는 일을 마치고 밤새 책과 씨름하기도 했다.‘어떻게 어려움을 이겨냈느냐.’고 묻자 그는 “나보다 많이 배운 다른 직원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그들보다 더 열심히 뭔가를 배워야만 한다는 점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고 이것이 동기가 됐다.”고 말했다. 이같은 노력에 힘입어 90년에는 수출문서관리 및 화물창고의 담당관으로 승진했고,99년 수출입문서 및 위험화물관리 부장을 거쳐 지난 2003년 화물관리국장 자리에 올랐다. 16살짜리 딸을 둔 가장에다 중견간부 대열에 들어선 케른 국장이지만 그의 공부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자기계발을 계속해야 하고, 열심히 공부하는 부하 직원들을 통솔하려면 나도 공부를 계속할 수밖에 없다.” 프라포트의 사내교육시스템은 독일 내에서도 우수한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2002년에는 독일 상공회의소(DIHT)가 주관하고 대통령이 후원하는 ‘교육·훈련 솔선수범상’까지 받았다. 루츠 지베르트 조직발전국장은 “실직자 훈련프로그램부터 시작해 중견간부가 된 직원도 있고, 여러차례 직장을 옮겨다니다 직업안정성 교육을 받고 프라포트에 자리를 잡은 뒤 승승장구하는 간부도 있다.”고 귀띔했다. 프라포트는 ‘프라포트 아카데미’와 ‘프라포트 칼리지’ 등 2개의 사내교육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아카데미는 400여명의 임원진을 대상으로 하며 위기상황 대처방법, 직원과의 관계 등을 중점 교육한다. 칼리지에서는 1만 2600여명의 일반직원을 가르치는데 신입 직원교육, 기술향상 및 자격증 획득 등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필요에 따라 외부교육기관과 연계한다. 다음해 실시할 교육을 기획하기 위해 해마다 9∼12월에는 철저한 평가과정을 거친다. 일괄적으로 전사원에게 같은 과목을 듣게 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별 적성과 필요에 따라 ‘맞춤형 교육’을 제공한다. 또 칼리지에서는 외국어, 컴퓨터 등 직무와 직접 관련이 없는 분야의 교육도 실시한다.‘미래에 닥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대비하고 직원들의 배우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라는 게 프라포트측의 설명이다. 직원들은 ‘Q카드’라는 제도를 통해 교육비를 해결한다.2000년부터 운영 중인 이 제도는 회사에서 1년에 600유로(약 84만원)를 Q카드 계좌에 적립, 직원들에게 교육비로 제공하면 직원들은 Q카드를 이용해 과목별로 등록하는 것이다. 과목당 수강료가 150∼450유로 정도이기 때문에 가격에 맞춰 2,3개 코스를 수강해도 되고 남은 돈은 다음해로 이월해도 된다. 물론 교육비 외의 용도로는 쓸 수 없다. 지베르트 국장은 “회사는 돈을, 직원은 시간을 투자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교육을 강화한 결과 생산성이 높아지고 이직률이 낮아지고 있다.”면서 “교육 부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등을 감안한다면 직접적인 이익도 적지 않다.”고 덧붙였다. 케른 국장은 욕심이 많다. 언제까지 직장에서 일할 수 있을 것 같으냐고 묻자 “앞으로도 20년은 문제없다.”고 밝게 웃으며 말했다. 이어 KIM 과정에서 배운 국제감각과 토플 수업을 통해 익힌 영어를 바탕으로 언젠가는 해외지사에 나가서 일을 해보고 싶다고 밝혔다. 프라포트는 중국, 페루, 벨기에 등 10여개국에 지사를 갖고 있기 때문에 그의 꿈은 실현될 가능성이 높다.“한국에 프라포트 지사가 생긴다면 한국에서도 꼭 한번 일해보고 싶다.”고도 했다. 하지만 그가 정말 하고 싶은 일은 자기처럼 어렵게 회사 생활을 시작한 비슷한 처지의 후배들을 가르치는 일이라고 한다. 케른 국장은 “더 나이가 들면 승진을 욕심내기보다는 인력개발 분야로 가서 후배들을 교육시킬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면 좋겠다.”면서 “그동안 회사에서 배운 것을 그들에게 꼭 돌려주고 싶다.”고 말했다. taecks@seoul.co.kr ■ 유럽의 평생학습은 평생교육’(Lifelong Learning)이란 단어는 유럽 사람들에게 좀 생소하지만 낯선 개념은 아니다. 이 용어가 본격적으로 쓰인 것은 1996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정상들이 모여 ‘모두를 위한 평생학습(Lifelong Learning for All)’을 제창하고, 유네스코(UNESCO)가 삶의 내면적 가치를 가꿔가는 새로운 차원의 학습을 권고하면서부터다. 그러나 내용적으로 보면 유럽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생애 전반에 걸친 다양한 학습과 교육이 이뤄지고 있어 평생학습이 결코 새로운 것이 아니다. 유럽 평생교육의 기원은 루소가 1762년에 쓴 ‘에밀’에서 찾을 수 있다.‘교육에 대하여’라는 부제가 붙은 이 책은 주입식 지육(知育)에 편중된 형식적 교육에 반기를 들며 자연주의적 전인교육을 중시했다. 틀에 짜여진 교육이 아니라 순수한 자연성을 추구하는 자유로운 교육, 열린 자기주도적 학습을 강조한 것이다.‘자연으로 돌아가라.’는 루소의 유명한 말도 이런 취지에서 비롯됐다. 르네상스 자연주의·자유주의 사상을 계승·발전시켜 근대적인 인간교육의 이념을 제공한 루소는 칸트, 페스탈로치 등을 통해 근대 유럽 교육철학에 커다란 영향을 줬다. 유럽의 지식인들은 21세기를 ‘네오 르네상스’의 시대라고도 한다.‘다시 인간중심으로 되돌아가자.’는 네오휴머니즘 운동, 인간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휴먼테크 등의 추세도 이와 부합된다. 첨단기술의 시대에도 역시 사람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이다. 인간중심의 사회는 결국 사람을 가꾸는 것으로 귀결된다. 일하는 것도 노동생산성 향상 차원이 아니라 삶의 가치실현이란 차원으로 바뀐다. 유럽에는 주어진 틀 속에서만이 아니라 일과 생활 속에서 학습이 자연스럽게 녹아 있고, 자기 스스로를 끊임없이 계발하는 사회적 풍토가 조성돼 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벼룩시장에는 온갖 물품들이 나오지만 그곳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붐비는 곳은 책 앞이다. 시대를 달리한 옛 서적들 앞에 중년 신사들이 모여들고, 추억을 더듬는 노부부와 한 권의 책을 들고 한껏 즐거워하는 주부, 할아버지 손을 잡고 따라나온 귀여운 손자. 벼룩시장도 자연스럽게 또 하나의 평생학습장이 된다. 점점 사라져가는 청계천의 헌책방들, 노령화사회라고 하면서도 노인들이 갈 곳은 탑골공원밖에 없는 우리의 현실과 대비된다. ‘영국 대영박물관은 세대가 교차하는 학습장이다. 유치원생부터 중년, 노년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세대들이 이곳에서 뭔가 나름대로 배움과 깨달음의 느낌을 안고 간다. 런던 템스강 옆 벤치에 앉은 사람들도 책과 함께 있었고, 독일 프랑크푸르트로 가는 열차 안에서도 유럽 사람들은 그런 모습을 보여줬다. 네덜란드 헤이그에 있는 셸 러닝 센터에서는 자유롭게 토론하며 문제를 찾고 스스로 해결해 나가는 학습방법이 눈에 띄었다. 틀 속에 갇힌 학습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일상 속에 녹아 있는 교육과 자기 스스로를 가꾸는 것이 배움이고, 지속적인 자기계발을 통해 삶의 가치를 실현하는 것, 이것이 유럽 평생학습의 정신이다. 프랑크푸르트에서 석철진 경희대 유럽통합연구소 부소장 아태국제대학원 교수 cjsuk@khu.ac.kr
  • [잉글랜드 챔피언십리그]

    ‘설바우두’ 설기현(26·울버햄튼)이 새해 첫날 마수걸이골을 터뜨리며 산뜻한 출발을 했다. 설기현은 1일 자정 열린 잉글랜드 챔피언십리그(2부리그) 플리머스와의 홈경기에서 전반 24분 페널티지역 오른쪽 외곽에서 케니 밀러의 패스를 받아 25m짜리 오른발 중거리슛을 날리며 골망을 갈랐다. 잉글랜드 진출 이후 정규리그 첫 번째골이자 지난해 9월21일 칼링컵 번리전에서 잉글랜드 진출 이후 첫골을 기록한 이후 3개월여 만의 득점이기도 했다. 2경기 연속 선발 출전한 설기현은 예전과는 달리 부지런한 몸놀림으로 상대수비진을 파고드는 등 단연 돋보이는 플레이를 펼치며 신임 글렌 호들 감독으로부터 확실한 ‘눈도장’도 받았다. 울버햄튼은 그러나 설기현의 선제골을 지키지 못하고 후반 13분 플리머스의 프리오에게 동점골을 내줘 1-1로 비기면서 승수는 쌓지 못했다. 리그 1호골로 시즌 1골,4도움을 기록한 설기현은 팀 공식사이트를 통해 “안더레흐트(벨기에)에서는 스트라이커여서 골을 많이 터뜨렸는데 여기서는 왼쪽 윙이고 골을 만들어 주고 있다.”면서 “이제 시작일 뿐 앞으로 더욱 많은 골을 넣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설기현은 또 “골을 넣는다기보다는 그냥 볼을 맞히려고 했는데 골문으로 들어갔다.”며 골 장면을 설명했다. 파워와 스피드의 잉글랜드 무대 적응에 애를 먹었던 그는 “다른 나라로 옮겨 뛰는 것은 어렵고 적응 시간이 필요하다. 이제는 잉글랜드 축구에 많이 적응됐고 생활도 편해졌다.”면서 “우리 팀은 앞으로 더 많은 승리를 챙기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덧붙였다. 울버햄튼은 호들 감독이 부임한 이후 내리 5경기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하며 좀처럼 승수를 쌓지 못해 7승11무 9패(승점 32)로 리그 18위에 머무르고 있다. 호들 감독은 경기 직후 “스트라이커들이 더욱 거세고 과감하게 몰아붙였어야 했다.”면서 승리를 놓친 아쉬움을 드러냈다. 김성수기자 sskim@seoul.co.kr
  • [지진해일 대재앙] 유럽정부 늑장대응 비난 봇물

    |파리 함혜리특파원|아시아 남부의 쓰나미 참사 이후 유럽에서 일부 정치인들의 처신과 정부 당국의 늑장 대응이 여론의 도마위에 올랐다. 유럽국가 가운데 가장 많은 희생자를 낸 것으로 보이는 스웨덴이 대표적이다. 스웨덴 언론은 1500명이 실종된 것으로 보고 있는 정부의 공식 통계는 안이한 것이라며 최대 4500명에 이를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지 신문들은 라일라 프라이발츠 외무장관이 30시간이 지나서야 겨우 보고를 받았다며 “무능한 장관은 물러나라.”고 주장하고 있다. 프라이발츠 장관은 사건 당일 저녁 외무부 관리들이 진상 파악에 분주한데도 태연히 공연을 관람한 것으로 밝혀졌다. 200여명이 실종상태인 핀란드에서도 정부가 궁지에 몰리고 있다. 태국에 머물다 구조된 사울리 니니스토 전 외무장관은 “정부가 사건 발생 4∼5시간 내에 비상 각의를 소집했어야 한다.”며 정부의 늑장대응을 문제삼았다. 그는 사태 발생 18시간 만에 대사관측과 접촉했으나 성의를 보이지 않았다며 자신을 포함한 현지의 핀란드인들은 철저히 버림받은 듯한 느낌이었다고 말했다. 한 핀란드 관광객도 정부의 핫라인 접촉을 시도했으나 무위에 그쳤다며 수백만대의 휴대전화가 보급된,‘노키아의 나라’에서 이런 일이 있을 수 있느냐며 분노를 터뜨렸다고 현지 신문은 전했다. 219명의 실종자가 발생한 덴마크도 예외가 아니다. 야당은 현지 자국민이 도움을 호소하고 있는데도 정부가 재해관리팀을 태국 등에 급파하지 않은 것은 문제라며 의회 특별회의를 소집, 책임을 따지겠다고 벼르고 있다. 일부 유럽 정치지도자의 처신도 눈총을 받고 있다. 토니 블레어 영국 총리는 사태 발생 이후에도 휴가지인 이집트에 머물고 있다. 자크 시라크 프랑스 대통령은 연례적인 신년 메시지 발표를 위해 모로코에서 휴가를 마치고 사태 발생 나흘 만인 30일에서야 귀국했다. 반면 게르하르트 슈뢰더 독일 총리는 휴가를 단축하고 서둘러 집무에 복귀했고 1월1일로 예정된 오스트리아 방문도 취소했다. 벨기에의 카렐 드 귀히트 외무장관도 여론의 포화를 받고 있다. 현지 한 일간지는 그가 독일에서 휴가를 즐기는 동안 수십차례 통화를 시도했다며 “도대체 외무장관은 어디에 있었느냐?”고 힐난했다. 포르투갈에서는 태국 주재 대사가 수도 리스본에서 휴가를 보내다 28일 저녁에야 임지로 돌아간 사실이 구설수에 올랐다. lotus@seoul.co.kr
  • 강서구의 ‘뜨거운 중소기업 사랑’

    강서구의 ‘뜨거운 중소기업 사랑’

    출입문 자동개폐기를 취급하는 ㈜동광상사 권오병(62) 사장은 지난 9월 ‘강서구 해외시장개척단’에 참가, 스페인 등 유럽 3개국에서 모두 250만달러의 판매계약을 체결했다. 권 사장은 “34년의 기술력으로 국제특허까지 취득했으나 동남아 시장에서 고전했다.”면서 “해외시장개척단을 통해 유럽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10년간 28개국에 1억 7654만달러 수출 도와 자치구의 중소기업 해외시장 개척사업이 올해로 10년째를 맞았다. 지난 1995년 서울시내 25개 자치구 가운데 처음으로 해외판로 개척에 나선 강서구는 10년동안 1억7654만달러의 수출실적을 거뒀다.10년 동안 거친 대상국도 28개국에 이르며 올해만 1100만달러의 수출계약을 맺었다. 직원수가 10명을 넘지 않는 중소기업들이 올린 성과로는 적지 않은 실적이다. 지난 1995년 강서구는 당시 유영 구청장의 제안에 따라 지역내 중소기업의 해외판로 개척에 나섰다. 첫 대상지인 호주에서 올린 성과는 50만달러에 불과했지만 해를 거듭할수록 꾸준히 증가,99년부터 매년 1000만달러 이상의 실적을 보였다. 지난 1999년 이집트와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지역에서 거둔 액수는 1640만달러에 달했다. 10년을 거치며 교역국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등 아시아에서 멕시코, 파나마, 베네수엘라 등 중남미 국가와 러시아, 우크라이나, 이탈리아, 스페인 등 동·서유럽을 모두 아우른다. 내년에는 영국과 스웨덴, 벨기에를 대상지로 선정했으며 현재 희망 업체를 모집중이다. 해외시장 개척단에는 10∼13개 업체가 참가하고 있다. ●상품성·현지 적합성 고려해 업체 선발 유영 구청장은 “해외시장에 약한 중소기업이 바이어와 직접 상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자는 취지에서 이 프로그램을 시작했다.”면서 “지방자치단체가 실질적으로 지역내 중소기업을 돕는 방법이며 앞으로도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참가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왕복항공료와 숙박비 등 체재 10일 동안 필요한 기본 비용을 부담한다. 올해는 370만원 정도 소요됐으며 팸플릿과 기타 진행경비는 자치구에서 부담한다. 강서구는 품목의 상품성과 해외시장의 적합성 등을 고려해 업체를 선발한다. 올해 해외시장 개척단을 파견한 자치구는 강서구를 비롯해 은평구, 구로구, 종로구, 관악구 등 모두 5곳. 이들이 내보낸 기업체 수는 54개에 이르며 내년부터는 금천구와 영등포구, 양천구도 파견을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구로구는 상반기와 하반기 등 모두 두차례 걸쳐 21개 기업체를 파견했다. ●금천·영등포·관악구등 참가신청 접수 해외업체와 연결하는 방식은 대부분 KOTRA의 협조를 얻는다. 참가 희망업체의 팸플릿을 제작한 뒤 KOTRA의 해외무역관을 통해 수출 가능여부를 타진하는 방식이다. 이 때문에 참가업체는 현지의 상황에 따라 선정된다. 내년에 새로 파견단을 운영하는 금천구와 양천구도 KOTRA를 통해 해외판로 개척에 나설 계획이다. 내년 해외시장개척단은 강서구가 31일까지 희망 업체를 모집하며 금천구는 1월10일, 구로구와 영등포구, 관악구는 1월말 까지 각각 접수한다. 이유종기자 bell@seoul.co.kr
  • [구정이삭]

    ●서울 금천구는 21일(화)까지 ‘원어민 영어·중국어 겨울학교’에 참가할 초·중학생 200명을 모집한다. 수강료는 무료지만 교재비는 수강생이 부담. 교육은 다음달 4일(화)부터.(02)890-2310∼4. ●서울 동대문구는 24일(금)까지 ‘눈꽃 속의 스키캠프’에 참가할 청소년 80명을 모집한다. 행사는 30일(목)에 열리며 형편이 어려운 청소년을 우선 선발한다. 참가비 무료. 접수는 구립 동대문·답십리·청량리·휘경독서실 및 전농공부방에서 받는다.(02)2127-4254. ●서울 성북구는 28일(화)까지 청소년 겨울 영어캠프에 참가할 초등학교 4∼6학년 및 중학교 1∼2학년의 신청을 받는다. 신청자 중 105명을 공개전산추첨을 통해 결정한다. 교재비 일부는 수강생 부담.(02)920-3041∼2. ●서울 강서구는 31일(금)까지 ‘2005 해외시장개척단’ 참가업체를 모집한다. 내년 5월 9∼19일 10박11일의 일정으로 영국·스웨덴·벨기에 등을 방문할 예정이다.(02)2600-6276. ●서울 성동구 보건소는 다음달 4일(화)까지 청소년 건강체험 프로그램에 참가할 청소년 60명을 선착순모집한다. 행사는 다음달 6일(목)∼7일(금),10일(월)∼11일(화),12일(수)∼13일(목)에 진행된다. 신청은 홈페이지(www.e-bogunso.seoul.kr) 또는 전화로 받는다.(02)2286-7033. ●서울 중구 청소년수련관은 다음달 12(수)∼17(월)일에 있을 중국배낭여행에 참가할 초등학교 4학년∼고등학생을 선착순 모집한다. 중국 상하이, 항주 등을 5박6일간 돌아본다. 참가비 78만원.(02)2250-0520∼3.
  • [월드이슈 ‘존엄사’ 논쟁] “안락사 허용하라” 거세진 요구

    프랑스 하원이 지난달 30일 소생 가망이 없는 말기환자가 생명연장 치료를 거부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 ‘환자와 임종의 권리에 관한 법률’을 만장일치로 승인,20년 동안 지속돼 온 ‘존엄하게 죽을 권리’ 논쟁은 일단락됐다. 네덜란드와 벨기에처럼 안락사를 인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프랑스가 존엄하게 삶을 마감할 권리를 법적으로 인정함에 따라 안락사를 금지하고 있는 다른 국가에서도 제한적이나마 안락사를 허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회복불능인 환자에 대한 치료를 중단하는 행위가 가정과 병원에서 광범위하게 행해지고 있다. 물론 종교계는 안락사에 대해 여전히 ‘절대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파리 함혜리특파원| 프랑스에서 ‘존엄하게 죽을 권리’ 논쟁은 식물인간 상태에 빠진 한 청년의 어머니가 아들의 안락사를 시도한 사건을 계기로 촉발됐다. ●뱅상 욍베르의 호소 전직 소방관인 뱅상 욍베르는 지난 2000년 9월24일 교통사고를 당해 전신마비에다 시각과 언어능력마저 상실하는 사실상 식물인간 상태에 빠졌다. 오른쪽 엄지손가락 하나만을 겨우 움직일 수 있는 상태였던 그는 곁에서 어머니가 알파벳을 하나씩 부르다 원하는 글자가 나왔을 때 손가락을 움직이는 방법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었다. 의식은 뚜렷하지만 병세는 호전되지 않아 육체적·심리적으로 극심한 고통에 시달리던 뱅상은 2002년 12월 자크 시라크 대통령에게 ‘죽을 권리를 달라.’는 내용의 편지를 썼다. 뱅상은 편지에서 “뚜렷한 의식을 갖고 있는 환자라면 누구든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져야 하고 생존 또는 죽음을 선택할 권리가 있다.”면서 “나를 위해서, 그리고 나를 사랑하는 이들을 위해서 죽음을 바란다.”고 호소했다. 하지만 그의 청원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프랑스에서는 안락사를 법으로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들의 고통을 보다 못한 어머니 마리 욍베르는 아들이 사고를 당한 지 만 3년째 되는 날인 지난해 9월24일 아들에게 다량의 신경안정제를 주사했고 뱅상은 이틀 만에 숨졌다. 이 사건은 프랑스에서 내연하고 있던 안락사의 합법화 논쟁에 불을 지폈다. 안락사를 제한적이라도 허용해야 한다는 여론도 들끓었다. ‘존엄하게 죽을 권리를 위한 협회(ADMD)’의 장 코엔 회장은 “죽음은 정상적인 삶의 연장”이라며 “인간답고 자유롭게 살 수 있는 권리가 존중되듯이 품위있게 자신의 삶을 마감할 수 있는 권리도 주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프랑스에서 안락사는 여전히 ‘불법’ ‘환자와 임종의 권리에 관한 법’은 치료가 불가능한 환자가 스스로 죽음을 선택할 수 있도록 인정하되 환자의 의식 유무에 따른 다양한 생명 마감절차를 규정하는 등 가망이 없는 환자의 고통을 단축할 수 있는 조건을 엄격히 명시했다. 소생 불가능한 환자가 원할 경우 의사는 생명연장 장치의 제거나 일시적인 소생술에 의한 치료를 중지할 수 있으며 죽음을 앞당기는 역효과를 가져오는 한이 있더라도 통증완화제를 투여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다만 이같은 처치가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환자에게 상세히 설명해야 한다. 환자가 자신의 뜻을 표현할 수 없는 상태일 경우 환자의 가장 가까운 가족이 이를 대신할 수 있다. 필립 두스트 블라지 보건장관은 “새 법에 따라 프랑스에서 삶의 마감은 또 다른 측면을 갖게 된다. 죽음은 더 이상 복종의 시간이 아닌 선택의 시간이 된다.”면서 “그러나 안락사가 금지되는 원칙에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유럽에서는 네덜란드가 지난 2001년 4월 안락사를 법적으로 허용했으며, 벨기에와 스위스에서는 자살을 하려 해도 신체여건상 자살할 수 없는 말기 환자들이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 죽을 수 있도록 자살 지원을 합법화하고 있다. 네덜란드의 경우 매년 3500명이 합법적으로 안락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현실을 감안, 법을 개정해야 한다” 현재 프랑스에서는 소생술로 생명을 유지하다 갑자기 숨진 경우의 50%가량이 치료 중단에 따른 것으로 집계될 만큼 가망없는 환자에 대한 치료 중단은 실제로 많이 이뤄지고 있지만 명확한 관련 법이 없어 의료진이 판단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전국의사협회가 ‘환자와 임종의 권리에 관한 법률’에 대해 “매우 만족한다.”며 전폭적인 환영의사를 표시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여론도 대체적으로 그런 쪽이다. 프랑스의 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6%가 환자 본인이 원할 경우 죽을 수 있는 자유를 가져야 하며,80%가 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영국도 안락사 옹호단체인 ‘자발적 안락사협회(VES)’의 지난 9월 여론조사에서 영국인의 82%가 현재의 자살 관련법 개정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국에서는 환자가 원하거나, 의사가 소생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이를 인정해야 한다는 판결이 잇따라 이런 사회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 lotus@seoul.co.kr ●존엄사와 안락사 존엄하게 죽을 권리를 말하는 ‘존엄사’는 말기 환자가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더이상 소생치료나 연명술에 의지하지 않고 편안하게 죽음을 맞게 하는 것을 말하고,‘안락사’는 고통을 없앨 다른 수단이 없을 경우 약물 투여나 인공호흡기를 떼는 등의 인위적인 방법으로 생명을 끊는 행위를 가리킨다. ■ 미국 미국 50개주(州) 가운데 안락사를 법으로 허용하는 곳은 오리건주 한주뿐이다. 미시간과 메인, 하와이 등에서도 안락사 허용을 법제화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주민 반대로 부결됐다. 오리건주는 1994년 안락사법인 ‘존엄 사망법(Death with Dignity)’을 주민 투표로 통과시켰다. 일단 시행한 뒤 3년 뒤 확정한다는 단서가 붙었지만 원안대로 결정됐다. 이에 따라 고통에 시달리며 시한부 삶을 사는 오리건주 주민은 의사에게 치사량의 약을 처방받아 숨질 권리가 생겼고, 지금까지 171명 이상이 그렇게 죽음을 택했다. 하지만 오리건주의 안락사법은 아직도 법정 싸움에 휘말려 있다. 안락사법에 반대하는 미 연방정부가 소송을 냈기 때문이다. 연방정부는 지난 5월 항소심에서 졌지만 “안락사법이 약물 사용에 관한 연방법(CSA)에서 규정한 ‘정당한 치료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지난달 대법원에 상고했다. 1997년에도 안락사 허용과 관련한 대법원 판결이 있었다. 당시 대법원은 안락사 권한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결했지만 각 주가 안락사 허용 여부를 결정할 여지는 남겨 두었다. 정부의 상고에 대해 대법원은 내년 초 심리 여부를 결정한다. 정부의 승소 가능성은 97년 당시 판결문 작성을 주도했으며 현재 갑상선암으로 정상적 업무를 수행하지 못하는 보수 성향의 윌리엄 렌퀴스트 대법원장이 참여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11월 대선에서 존 케리 후보가 당선됐다면 정부가 소송을 취하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많다. 안락사에 반대해온 조지 W 부시 대통령과 달리 케리는 “개인적으로 안락사에 반대하지만 오리건주 법에 반대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었다. 미국에서 안락사 문제가 최대 쟁점이 된 계기는 10여년 동안 130명을 안락사시킨 ‘죽음의 의사’ 잭 케보키언 사건이었다. 케보키언은 지난 99년 루게릭병 환자를 안락사시킨 혐의로 2급 살인죄를 적용받아 10∼25년형을 선고받고 복역하고 있다. 최근에는 14년 간 의식을 잃고 튜브로 영양분을 제공받아 살아온 아내를 안락사시키기 위해 튜브를 제거하게 해달라는 플로리다주 마이클 시아보 사건이 쟁점이다. 연방대법원은 시아보의 손을 들어줬으나 안락사에 반대해온 대통령 동생 젭 부시 주지사는 재판 과정에 하자가 있다며 대법원에 이의를 제기한 상태다. 황장석기자 surono@seoul.co.kr ■ 일본 |도쿄 이춘규특파원|일본에는 안락사를 관습적으로 용인하는 분위기가 있으나 아직 법제화되지는 않아 실제로 안락사가 이뤄지거나 문제화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대신 일본에서는 죽음이 임박했을 경우 연명치료(목숨을 연장시키기 위한 치료)를 거부, 자연사를 선택하는 ‘존엄사(尊嚴死)’가 폭넓게 인정되고 있다. 존엄사를 내세워 안락사를 적절히 수용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관련 법은 현재 청원 단계이다. 존엄사를 인정하려는 사회적 움직임도 활발하다.1976년 창설된 ‘일본존엄사협회’는 10만명 이상의 회원을 거느리며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등 존엄사 관련 단체들도 적지 않다. 다만 일본존엄사협회 회원수가 최근 수년간 정체상태이다. 이는 안락사나 존엄사가 사회적인 쟁점으로 부각된 사례가 없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일반국민 다수는 절박한 과제로 인식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후생노동성이 지난해 실시한 의식조사에서 일본국민의 74%는 고통을 동반하는 말기질환 환자에 대한 연명치료에 부정적이었다. 그 가운데 59%는 존엄사를 지지했고 14%는 안락사까지도 찬성했다. 존엄사의 법제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은 여전히 37%였다. 앞서 일본에서는 1990년대 중반 교토의 한 병원장이 말기 암환자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근육 이완제를 투여, 안락사시킨 것이 적발돼 사회적 논란을 일으킨 바 있으나 근래에는 특별한 논란이 없는 상태다. 일본은 다만 안락사나 존엄사시킬 경우 유죄 여부에 대해 법원의 판례(95년 요코하마 법원)를 준용하고 있다. 당시 법원은 가족의 부탁을 받고 골수종 환자를 안락사시킨 도카이의대병원 의사에게 유죄판결을 내리면서 ‘안락사’의 4가지 조건을 명시했다.▲환자의 견딜 수 없는 고통이 계속되고 ▲죽음이 임박했으며 ▲고통을 없앨 다른 수단이 없고 ▲환자 본인이 명백히 안락사를 원할 경우에만 안락사가 허용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일본에서는 죽음이 임박했을 때 생명연장 치료를 거부해 자연사를 선택하는 소극적인 안락사를 폭넓게 인정하는 추세다. 다만 올 들어 인터넷 동반자살이 도쿄는 물론 전국적으로 빈발하며 젊은층의 자살사이트가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그 중에서 “안락사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싶다.”는 등의 안락사나 존엄사를 앞세운 자살사이트가 적지 않아 안락사 문제를 다소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는 평이다. taein@seoul.co.kr
  • 세계最高 160층 삼성이 짓는다

    세계最高 160층 삼성이 짓는다

    국내 건설업체가 세계 최고층 빌딩을 짓는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아랍에미리트연합(UAE) 두바이에 지어질 ‘부르지 두바이’(Burj Dubai) 빌딩(조감도) 공사를 8억 8000만달러에 수주했다고 9일 밝혔다. 부르지 두바이 빌딩은 160층 이상, 높이 700m 이상, 연면적 15만평 규모로 세계 최고층 빌딩(타이베이 TFC 101빌딩·508m)의 기록을 경신하게 된다. 호텔·고급 아파트·사무실로 구성된 이 빌딩은 UAE 부동산 개발업체인 에마르(Emaar)가 발주했고, 세계 여러 나라가 참여한 수주 경쟁에서 삼성건설은 벨기에 베식스 및 UAE 아랍텍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최종 시공사로 선정됐다. 이 사업은 두바이 정부가 260억달러를 투입, 두바이 신도심을 개발하는 ‘글로벌 두바이 5대 프로젝트’ 가운데 하나다.5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세계 최대의 쇼핑몰과 3개층으로 이뤄진 수족관, 올림픽 대회장 수준의 아이스 링크 등으로 이뤄지는 복합단지로 건설된다. 삼성건설은 타이완 TFC 101빌딩,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타워 완공에 이어 부르지 두바이를 수주, 세계 마천루 3개를 정복하면서 초고층 건물 시공 톱 클래스 입지를 굳히게 됐다. 이상대 사장은 “세계 건축사의 이정표를 세우는 공사인 만큼 완벽한 시공으로 한국건설의 자존심을 세우겠다.”고 수주 소감을 밝혔다. 류찬희기자 chani@seoul.co.kr
  • [삼성하우젠 K-리그 2004] 스타감독 누가 웃을까

    [삼성하우젠 K-리그 2004] 스타감독 누가 웃을까

    마지막에 웃는 자는 누구일까. 올 한해를 마무리짓는 국내 프로축구의 패권은 수원 차범근(51)과 포항 최순호(42), 두 걸출한 스타감독의 맞대결로 판가름나게 돼 팬들의 흥미를 더한다. 수원과 포항의 K-리그 챔피언 결정전이 8일(포항)과 12일(수원) 두차례 열리는 것. 두 감독은 1970년대(차 감독)와 80년대(최 감독) 한국 축구를 대표하는 스트라이커 출신. 현재는 각각 40대와 50대를 대표하는 축구 지도자이기도 하다. 1986년 멕시코 월드컵 본선에서는 선·후배가 나란히 공격수로 발을 맞추기도 했다. 최 감독은 당시 이탈리아전에서 빗장수비를 제치며 환상적인 중거리슈팅을 터뜨리면서 전 세계 축구팬들에게 이름 석자를 알렸다.‘차붐’ 차 감독은 긴 설명이 필요없는 한국 축구의 대표 브랜드.72년 고려대 1학년때 최연소로 태극마크를 단 뒤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독일 분데스리가에 진출하는 등 줄곧 엘리트 코스만을 밟아왔다. ●차범근 “교체선수 많아 체력전 자신” 그러나 두 감독은 화려한 선수경력과는 달리 지도자로서는 영욕을 맛보며 그리 순탄치 않은 길을 걸어왔다. 차 감독은 프랑스월드컵을 1년 앞둔 97년 1월 대표팀 사령탑에 올랐다. 그해 9월28일 적지인 도쿄국립경기장에서 열린 일본과의 예선전에서 드라마 같은 2-1 역전승을 일궈내며 단숨에 ‘명장’의 반열에 올라섰다. 하지만 정작 본선에서는 멕시코에 1-3으로 역전패, 네덜란드에 0-5로 대패한 뒤 마지막 벨기에전을 앞두고 현지에서 전격 경질되는 수모를 겪었다. 국내 프로 에서도 94년 울산 현대를 끝으로 감독직을 떠날 때까지 한번도 정상을 밟지 못했다. 올해 10년 만에 다시 수원 사령탑으로 국내 프로무대에 복귀해 첫 우승의 도전장을 내민 것. 수원으로서는 99년 이후 5년 만에 K-리그 정상 노크다. 최 감독은 포항 코치와 2군 감독을 거쳐 2000년 8월 시즌 중반부터 포항 감독을 맡았다. 이후 2001년 5위,2002년 6위, 지난해 7위 등 신통치 않은 성적을 냈고, 지난해에는 ‘퇴진’운동에 시달리는 등 아픔을 겪었다. 그나마 올해는 전기리그에서 우승을 했지만, 후기들어 13개 팀 중 꼴찌로 추락하면서 빛이 바랬다. ●최순호 “수비약점 공략” 최 감독은 이미 배수진을 친 상태. 지난 5일 울산과의 플레이오프전을 승리로 장식한 뒤 “내년 감독에서 물러나 1년간 재충전의 시간을 갖겠다.”며 전격 사퇴의사를 밝혔기 때문. 챔피언결정전 진출이라는 목표를 이룬 만큼 부담없이 한판 승부를 벌이겠다는 각오로 읽혀진다. 포항으로서는 92년 프로축구선수권대회 이후 12년 만에 K-리그 우승을 노리는 것. 올시즌 두 팀 간의 전·후기와 컵대회의 전적은 2승1패로 차 감독이 한발 앞서 있다. 하지만 양쪽 모두 상대팀의 전력을 꿰뚫고 있고, 단기전(1·2차전)인 만큼 결국 두 감독의 ‘지략싸움’에서 승부가 갈릴 전망이다. 최 감독은 “수원은 공격이 강한 만큼 수비가 약점”이라면서 “나드손 등 몇몇 선수만 주의하면 승산이 있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이에 대해 차 감독은 “일주일 사이에 3경기를 치르는 빡빡한 일정인 만큼 체력이 승패의 관건”이라면서 “이병근 조성환 조병국 등 교체선수들의 폭이 넓은 우리쪽이 다소 유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성수기자 sskim@seoul.co.kr
  • [부고]

    ●강예경(서울신문 부산 장림지국장)씨 모친상 2일 부산영락공원, 발인 4일 오전 10시30분 (051)508-9000 ●박정재(전 수출입은행 감사)씨 별세 석윤(화일목장 대표)석범(주 벨기에 EU대표부 공사)씨 부친상 이계식(제주도 정무부지사)한종명(자영업)씨 빙부상 3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5일 오전 8시 (02)3010-2293 ●안성웅(충북야구협회 상임고문)씨 별세 3일 충북 청주의료원, 발인 5일 오전 9시 (043)269-4499 ●최창근(최창근내과 원장)준근(지와이인터내셔널 대표)씨 부친상 이우진(공주교대 교수)김종욱(우리금융 부회장)김진수(금호중부판매 대표)유영면(자동차부품연구원 사업단장)김기흥(경기대 경제학부 교수)김규성(조향상사 대표)씨 빙부상 2일 서울대병원, 발인 6일 오전 8시 (02)2072-2091 ●백종구(명지교회 목사·관동대 교수)씨 모친상 신금동(동대문비뇨기과병원 원장)김영식(부천시장 관리소장)씨 빙모상 3일 신촌세브란스병원, 발인 6일 오전 6시 (02)392-0499 ●허영도(전 고성라이온스 회장)씨 별세 성식(국민은행 장승배기지점장)태용(한국통신진흥 차장)태욱(새빛정보통신 사장)씨 부친상 권해형(INI스틸 인천영업팀 부장)이상림(새빛정보통신 실장)씨 빙부상 3일 강남성모병원, 발인 5일 오전 4시 (02)590-2352 ●조용석(충북일보 편집국장)씨 부친상 3일 충북대병원, 발인 5일 오전 9시30분 (043)263-9432 ●이양희(공무원)씨 부친상 3일 오전 9시 삼성서울병원, 발인 5일 오전 8시 (02)3410-6918 ●신승덕(공군 제3875부대장)씨 빙부상 2일 부산 한서병원, 발인 4일 오전 7시 (051)751-1109 ●양효식(매일경제신문 문화부장)대식(수성엔지니어링 이사)범식(운천한의원 원장)우식(아시아나항공 과장)씨 부친상 3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5일 오전 7시 (02)3410-6920 ●이승만(재미 워싱턴·리브라더스 회장)씨 부친상 3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7일 오전 7시 (02)3410-3153
  • 아리랑 TV, 프랑스 등에 방송시작

    아리랑 TV(대표 구삼열)가 1일부터 프랑스, 벨기에, 북아프리카 등 프랑스어권 지역과 우크라이나에 위성과 케이블을 통해 24시간 방송에 들어갔다. 프랑스의 대표적인 위성방송 플랫폼 사업자인 TPS의 360번 채널을 통해 130여만 가입 가구에 프로그램 송출을 시작했다. 이를 통해 아리랑TV는 아시아에서의 ‘한류’열풍을 유럽본토에서도 재현할 수 있는 교두보를 확보, 한류의 서진화(西進化)가 탄력을 받게 됐다. 또한 TPS를 통해 방영될 아리랑 TV의 영화·드라마·음악 프로그램은 영어와 함께 중국어 자막으로도 제공돼 프랑스 내 아시아계 시청자들에게도 호응을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