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인 상대 빈곤율 OECD 최악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의 절반가량은 소득이 전체 중간 수준에 있는 가구의 50%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고령자 빈곤율이다.
9일 통계청과 OECD에 따르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의 상대적 빈곤율(2006년 기준)은 45%로 나타났다.2가구 중 1가구꼴로 상대적 빈곤 상태(소득이 전체 가구 중위 소득의 50%에 못미치는 것)에 놓여 있다는 뜻이다.
이는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것으로, 전체 OECD 국가의 고령자 가구 평균 빈곤율 13%(2005년 기준)에 비해 3.5배에 이르는 것이다. 우리나라 외에는 고령자 가구의 상대적 빈곤율이 40%를 넘는 국가는 없고,30%를 넘는 곳도 아일랜드(31%)가 유일하다.
멕시코(28%), 호주(27%), 미국(24%), 그리스(23%), 일본(22%) 등이 20%대였고 스위스(18%), 스페인·포르투갈(17%), 터키(15%), 벨기에·핀란드·이탈리아(13%), 덴마크·영국(10%)은 10%대였다. 노르웨이(9%), 스웨덴(8%), 오스트리아(7%), 슬로바키아(6%), 폴란드·헝가리·아이슬란드(5%), 캐나다(4%), 룩셈부르크(3%), 체코·네덜란드·뉴질랜드(2%) 등은 상대적 빈곤 고령자 가구의 비중이 매우 낮았다.
우리나라의 고령자 가구 빈곤율이 유독 높은 것은 사회보험이 성숙되지 못한 상태에서 가족 중심의 부양 문화가 빠르게 해체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국민연금의 경우 불과 20년 전인 1988년부터 시행이 본격화돼 수혜자의 비중이 미미하다.
유경준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우리나라는 예전부터 아들, 딸 등 가족들이 고령층을 부양하다 보니 사회보험이 일찍 발달하지 못했다.”면서 “가족 해체로 소득 수준이 낮은 독거노인,1인 가구가 늘어난 것도 빈곤율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