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벨기에
    2025-11-05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7,919
  • 코로나 옮긴다는 보도에 개 독살 시도 잇따라

    코로나 옮긴다는 보도에 개 독살 시도 잇따라

    레바논의 한 방송에서 개가 신종 코로아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매개체가 된다는 보도가 나온 뒤 개를 독살하려는 시도가 잇달았다고 중동 언론들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레바논의 네티즌과 동물 보호 활동가들이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입에 거품을 문 채 바닥에 쓰러진 개가 괴로워하는 사진과 동영상을 게시했다. 이들은 해당 보도가 근거 없는 ‘가짜 뉴스’라고 주장하면서 이 보도를 믿는 개 주인이 개를 버리는 일이 연달아 벌어졌다고 전했다. 이에 그치지 않고 코로나19 전염을 우려하는 일부 주민이 독극물이나 쥐약을 바른 먹이로 개나 고양이를 유인해 죽이려는 시도도 계속된다며 분노를 표했다. 이들 사건은 지난달 28일 밤 레바논 MTV가 개와 고양이 등 반려동물이 코로나19를 옮길 수 있다고 보도한 뒤 시작됐다. 이에 항의가 이어지자 MTV는 인터넷에서 해당 보도를 삭제했다. 사우디아라비아 아랍뉴스는 1일 “레바논의 동물 활동가들이 독극물을 먹은 개 여러 마리를 신속히 동물병원으로 옮겨 살렸다”라고 보도했다. 레바논 동물 보호 활동가 조 말루프는 자신의 트위터에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를 무시하는 무지한 일부 사람이 개를 죽이려고 거리에 독을 바른 고기를 놓았다. 죽을 만큼 괴로워하는 개를 보라. 그들은 범죄자다”라고 비난했다. 이어 “심지어 개를 키우는 집의 정원이나 테라스에서도 독극물을 바른 고깃덩어리를 발견했다”라고 지적했다. 개나 고양이 같은 반려동물이 코로나19를 옮기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현재로선 개, 고양이가 사람에게 코로나19를 전염시킨다는 증거가 없다고 발표했다. 다만 홍콩과 벨기에에서는 코로나19 확진자가 키우는 개와 고양이가 확진 판정을 받은 적 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 유엔 안보리 유럽 6개국, 북한 미사일 발사 규탄 성명

    유엔 안보리 유럽 6개국, 북한 미사일 발사 규탄 성명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유럽 이사국들이 올해 들어 네 차례 진행된 북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를 규탄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AFP통신에 따르면 상임이사국인 영국, 프랑스와 비상임이사국인 독일, 벨기에, 에스토니아, 폴란드는 31일(현지시간) 유엔 안보리 비공식 화상회의 이후 공동성명을 내고 북한의 미사일 시험 발사를 규탄했다. 성명서는 “(북한이) 탄도 미사일 기술을 사용하면서 반복적인 미사일 시험을 하는 데 깊이 우려한다”고 했다. 이어 북한의 미사일 시험 발사를 보면 북한이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유 무기를 확대하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음이 드러난다고 평가하며 “(북한이) 핵무기 프로그램도 계속 운영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유럽 이사국들은 “안보리가 완전한 결의 이행과 제재 시행 유지를 철저히 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했다. 북한은 지난달 29일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2발을 발사했다. 북측은 초대형 방사포라고 밝혔으나 공개된 사진에 대해선 대구경 방사포와 유사하다는 해석도 나온다. 앞서 북한은 2일과 9일에는 초대형 방사포를 발사했고 21일에는 북한판 에이태킴스(ATACMS)인 전술 지대지 미사일을 쏜 바 있다. 유엔 안보리는 이날 회의에서 북한 미사일 시험에 대한 비판 성명 채택 여부를 두고 논의했으나 중국과 러시아 등이 대북 제재 완화를 요구하면서 단일 의견이 도출되지는 않았다. 서유미 기자 seoym@seoul.co.kr
  • 伊 이틀째 4000명대 증가, 스페인 다시 9222명 폭증, 美사망 中 추월

    伊 이틀째 4000명대 증가, 스페인 다시 9222명 폭증, 美사망 中 추월

    이탈리아의 코로나19 확진자가 이틀째 4000명 초반대 늘어 확실히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반면 스페인은 다시 하루 신규 확진자가 9000명 이상 늘어 10만명을 눈앞에 뒀다. 이탈리아 보건당국은 31일 오후 6시(현지시간) 기준 전국 누적 확진자가 10만 5792명으로 전날보다 4053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고 밝혔다. 전날 집계된 신규 확진자 수(4050명)와 비슷했다. 누적 사망자는 837명 늘어 1만 2428명이 됐다. 하루 신규 사망자는 27일 919명, 28일 889명, 29일 756명 등으로 줄어들다 전날 812명으로 늘어난 뒤 이날도 조금 늘었다. 누적 확진자 대비 누적 사망자 비율을 나타내는 치명률은 11.75%로 계속 오르고 있다. 이탈리아 국립 고등보건연구소(ISS)의 실비오 브루사페로 소장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코로나19 곡선이 편평해지는 영역에 도달했다. 하지만 정점에 이르렀다는 의미는 아니며 곡선이 아래로 꺾일 때까지 봉쇄 정책을 지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스페인의 사망자는 하루 사이 849명이 늘어 역대 가장 많이 증가했다. 스페인 보건부 집계에 따르면, 누적 희생자는 8189명이 됐다. 하루 신규 확진자는 9222명이 늘어 9만 4417명으로 10만명을 바라보게 됐다. 프랑스에서도 신규 확진자 수가 급증했다. 이날 하루만 7578명이 증가해 누적 확진자가 5만 2128명으로 집계됐다. 사망자도 499명이 늘어 3523명이 코로나19로 목숨을 잃었다. 이어 영국(2만 5150명), 스위스(1만 6186명), 터키(1만 3531명), 벨기에(1만 2775명), 네덜란드(1만 2595명), 오스트리아(1만 109명) 등이 확진자 1만명을 넘겼다. 미국의 코로나19 사망자 수는 중국을 앞질렀다. 존스홉킨스 대학의 1일 오전 1시 18분(한국시간) 집계에 따르면 미국 사망자는 3416명으로 중국(3309명)을 넘어섰다. 미국은 확진자 17만 5067명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고 희생자는 이탈리아(1만 2428명)와 스페인(8269명)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은 나라가 됐다. 세계 코로나19 확진자는 179개 나라와 지역에서 82만 3479명, 사망자 4만 636명으로 집계했다. 오스트리아도 확진자 1만 88명으로 한국(9786명)을 넘어 한국은 세계에서 14번째로 많은 나라가 됐다. 한국은 162명이 희생돼 세계에서 15번째로 사망자가 많은 나라가 됐다. 유럽에서 거의 유일하게 격리나 봉쇄 정책을 취하지 않고 가장 느슨한 사회적(물리적) 거리 두기를 실천하고 있는 스웨덴은 확진자 4433명에 사망자는 한국보다 많은 180명이 목숨을 잃었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 [애니멀 픽!] 한우리 두가족…오랑우탄과 수달 일가의 ‘꽃피는 우정’

    [애니멀 픽!] 한우리 두가족…오랑우탄과 수달 일가의 ‘꽃피는 우정’

    오랑우탄 가족과 이웃 수달 가족이 사이좋게 어울리며 노는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됐다. 미국 CNN에 따르면, 벨기에 파이리다이자 동물원은 사육중인 영장류들의 삶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 고안한 한 프로그램의 일부분으로 다른 동물들과 함께 지내도록 하고 있다. 동물원 측은 “동물들은 항상 신체적, 감정적, 정신적으로 활동적이고 즐겁고 바쁘게 도전적인 상황과 마주해야 한다”고 말했다.이런 방법 중 하나로 작은발톱수달 일가족은 오랑우탄 가족인 24세 아빠 우지안과 15세 엄마 사리 그리고 3세 아들 베라니가 사는 사육장을 가로지르는 강에서 살고 있다. 동물원 대변인은 “이들 수달은 오랑우탄 섬으로 올라와 자신들보다 크고 털이 많은 이들 영장류와 함께 노는 것을 매우 즐긴다”면서 “특히 우지안과 베라니는 수달 이웃들과 강한 유대를 형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덕분에 양측 모두 매일 즐겁게 보낼 수 있게 돼 실험은 성공적”이라고 덧붙였다. 이들 오랑우탄 가족이 이 동물원에 온 시기는 2017년이며, 이미 겜파라는 이름의 수컷과 신타라는 이름의 암컷 오랑우탄이 살고 있다. 오랑우탄은 인간과 DNA의 97%를 공유하므로 계속해서 유대를 쌓아야 하고 많은 관심을 받아야 하는데 사육사들은 이들과 온종일 마인드 게임과 수수께끼 그리고 퍼즐 등의 놀이를 하며 이들의 지능을 높이기 위한 훈련을 하고 있다고 이 대변인은 설명했다.한편 동물원 측은 인도네시아에 사는 야생 오랑우탄의 개체 수가 줄어드는 것을 막기 위해 서식지인 보르네오섬에 나무 1만1000그루를 심어 숲을 복원하기 위한 모금 운동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파이리다이자 동물원 제공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 ‘미디어 파사드’ 도입한 동탄테크노밸리 지식산업센터 ‘현대 실리콘앨리 동탄’ 이목 집중

    ‘미디어 파사드’ 도입한 동탄테크노밸리 지식산업센터 ‘현대 실리콘앨리 동탄’ 이목 집중

    최근 건물 외관의 차별화는 물론,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까지 가능한 ‘미디어 파사드’(Media Facade)가 건설업계의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건물 벽면에 조명이나 디스플레이를 설치해 이미지 또는 정보를 시각화해 건물을 일종의 ‘콘텐츠’ 매체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디어 파사드를 활용한 부동산의 경우 단순한 공연이나 콘텐츠 상영 외에도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기업들이 사무공간을 휴식공간과 문화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함께 활용하는 트렌드가 늘면서 이러한 미디어 파사드를 갖춘 오피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는 추세다. 국내에서 가장 인지도가 높은 미디어 파사드는 ‘서울 스퀘어’ 미디어 파사드로, 높은 마케팅 효과와 이미지 개선 효과를 노린 기업들이 ‘서울 스퀘어’로 입주했다. 그 결과 ‘서울 스퀘어’는 미디어 파사드 설치 1년 만에 입주율 90%를 기록한 바 있다. 해외에서는 벨기에 브뤼셀의 ‘덱시아타워’, 중국 베이징의 ‘그린픽스’ 등에 적용되었으며, 국내에서는 압구정 갤러리아 백화점, 서울스퀘어, 광화문 등에서 활용 중이다. 대표적인 오피스 공간으로 꼽히는 지식산업센터도 최근 업무시설에 상업시설, 기숙사 등 다양한 시설을 더하는 추세로, 여기에 미디어 파사드까지 도입해 지역의 중심 랜드마크 시설로 자리 잡는 사업지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최근 분양을 앞둔 미디어파사트 설치 지식산업센터로는 경기도 화성시 동탄2신도시에 들어서는 ‘현대 실리콘앨리 동탄’이 있다. 연면적 23만 8000여 ㎡에 지하 4층~지상 20층 규모로, 제조·업무형 지식산업센터와 스트리트형 상업시설, 기숙사가 들어선다. 지식산업센터 내 상업시설 ‘현대 실리콘앨리 스퀘어 동탄’ 입구에 대형 미디어 파사드 2개가 설치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운영, 가시성을 높이고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차별화 된 외관을 바탕으로 지역의 랜드마크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차별화된 특화설계도 돋보인다. 오피스의 경우 제조형과 업무형으로 나누어지며, 제조형 오피스의 경우 5.7m의 높은 층고와 4방향 자연환기로 통풍이 용이하도록 설계됐다. 업무형 오피스는 테라스형 설계를 적용해 실수요자들의 다양한 니즈에 부합하도록 했다. 또한 공유라운지와 세미나실, 북카페, 다목적체육관, 옥상정원 등이 조성되고 업무 환경 전반에 삼성전자 사물인터넷(IoT)이 적용돼 업무 효율성을 높였으며, 각 호실의 공기질 파악이 가능한 삼성전자 시스템에어컨을 도입했다. 이를 통해 공기 상태를 실시간으로 개선, 최적의 업무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식산업센터의 필수 요건인 교통망 또한 확실하다. 기흥IC, 기흥동탄IC를 통해 바로 경부고속도로로 진입할 수 있으며, 용인서울고속도로, 제2외곽순환고속도로도 연계해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교통 입지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부지 내 3개면에 차량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설계했고, 일부 호실에는 드라이브인 시스템도 적용했다. 상업시설 ‘현대 실리콘앨리 스퀘어 동탄’은 뉴욕 스트리트몰을 콘셉트로 레드브릭, 그라피티 등의 디자인을 적용해 건물 곳곳에서 자유롭고 세련된 뉴욕의 정취를 느낄 수 있게 했다. 현재 멀티플렉스 영화관 씨네Q(큐)와 12개 정식규격 레인을 갖춘 대형 볼링장이 입점을 확정 지어 빠른 상권 활성화가 기대되며, 대형 서점 등 키 테넌트 입점도 준비 중이다. 한편, ‘현대 실리콘앨리 동탄’ 견본주택은 한미약품 뒤편인 경기도 화성시 동탄기흥로에 위치하고 있다. 특히 최근 코로나19 감염증 확산에 고객들이 안심하고 방문할 수 있도록 철저한 방역체계를 마련했다. 지난달 27일부로 견본주택 전체 방역작업을 완료했으며 입장 시 손 소독제를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한 편 열 화상카메라(담당자 배치)를 설치했다. 또 공기청정기를 가동해 쾌적한 공기질을 유지하고 고객 간 동선을 제한하며, 매일 자체 방역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상업시설에 설치될 미디어 파사드를 견본주택에서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관련 시설을 조성하고 실제 설계를 반영한 초대형 사업지 모형도와 상업시설 단면 모형도를 도입해 내방객들이 사업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갤러리 풍으로 쾌적하게 조성된 공간에서 5G와 인공지능(AI)을 적용한 로봇 커피 머신을 운영해 고객들과 접점을 확대하고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松谷 노중하 시인, ‘행복을 꿈꾸는 남자’ 출간

    松谷 노중하 시인, ‘행복을 꿈꾸는 남자’ 출간

    송곡 노중하 시인의 네 번째 시집 ‘행복을 꿈꾸는 남자’가 3월 17일 한국문학세상(발행인 김동균)에서 펴냄으로 세상에 모습을 드러내 그의 시를 좋아하는 독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그의 시는 현장감을 잘 살려내어 가보지 않아도 현장에 있는 것처럼 그 분위기에 묻히게 된다. 이번 시집을 감수한 한국문학세상 김영일 회장은 “시인은 국내외에 여행을 즐기고 여행지에서 체험했던 민초들의 순박한 삶의 이야기를 시인의 아름다운 시상과 감성으로 승화시켜서 독자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준다”고 칭송을 아끼지 않았다. 송곡 노중하 시인은 대한민국의 건국해이기도 한 1948년 경상도 산골 구미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냈다. 순수하고 진실한 품성은 산촌의 자연환경으로부터 체질화되었고, 아무래도 활달하고 화통한 열린 통이 큰마음은 그의 직업인 건축 일을 하면서 형성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노중하 시인은 영남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중·고등학교 교사를 하다가 전공을 살리고자 건설현장에 뛰어들었다. 중동 건설 붐이 일어날 때 건설현장 산업역군으로 합류하였고 가히 한국건설의 선구자라고 부를 정도로 사우디와 리야드 등 많은 현장에서 건축 시공과 감리 일을 하였다.송곡 선생이 시인으로 등단을 하고 수필가로 문학에 발을 들인 것도 해외여행이 어려웠던 시절에 유럽 등 해외를 다니면서 보고 들었던 여행담을 글로 남기고 싶은 충동이 컸다. 그래서 문학을 하게 되었노라고 기자에게 털어놓았다. 그동안의 써놓았던 수필을 두 권이나 펴냈는데 제주도의 구석구석을 돌아보며 아름다운 풍광을 담은 ‘신비의 섬 제주에서’ 그리고 일상의 여러 견문을 쓴 ‘바람에 흔들리는 청보리’를 출간하였다. 시집도 이번이 네 번째로 ‘모란이 필 무렵, 춤추는 푸른 물결, 아름다운 꽃’이란 제호로 3권을 출간하였다. 화가도 그가 죽고 난 후에 그림이 진가를 보여주듯 문학 작가도 100년 후를 내다보고 후대의 사람들이 이 시대의 정서와 삶을 볼 수 있도록 글을 남겨야 되는 것이라는 문학관이 뚜렷한 작가이다. 앞으로 본인의 호를 따서 만든 송곡문학회를 활성화시킬 계획이라고 소박한 꿈도 내비쳤다. 이 책은 테마별 5부로 나누었고 제1부 사랑의 메들리, 제2부 행복의 길잡이, 제3부 꽃나들이, 제4부 친구처럼 이웃처럼, 제5부 오일장의 추억으로 100여 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이번에 4번째 시집 ‘행복을 꿈꾸는 남자’의 출간을 축하합니다. 문학으로 등단한 계기와 언제 등단했는지 문학 이야기부터 듣고 싶다. “중동 등 해외 건설현장을 돌면서 유럽의 로마, 스위스, 벨기에 등 여행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기록을 남기고 싶은 강한 충동을 받고 기행문을 써보기로 하였다. 처음에는 시조시인으로 10년 전에 ‘새한국문인’이란 문학단체에서 시조가 당선되어 문학 동인으로 활동한 것을 시작으로 ‘청계문학’에서 수필과 시가 당선되어 신인문학상을 받았다. ‘새한국문학회’에서 시조분과 회장을 맡아 활동하였고 ‘청계문학’에서 부회장으로 활동하며 그간 수필집 2권, 시집 4권을 출간하였다. 내가 살고 있는 동작문인협회에 운영이사, 시사랑문학회 자문위원, 한국문화교류협회 이사로 활동하면서 동인들과 교류하면서 행복하게 사는 남자가 되었다. 봄과 가을에 문학단체마다 명소를 찾아가는 탐방행사도 갖고 연말에는 동인지도 발간합니다. 그리고 시낭송회도 열어 동인들과 교류가 활발합니다.” ― 작가로서 앞으로의 계획이 있다면. “지금은 공사의 시공과 감독관으로 문학에 전념하지 않지만 은퇴를 하면 적극적으로 문학을 하려고 한다. 현재 송곡문학회를 만들어 놓았지만 활성화를 시키지 못하고 있다. 유명하신 작가분들과 교류하는 문학의 멍문 단체로 키워볼 생각이다.” 권영이 객원기자 cowtwo@seoul.co.kr
  • 40개국 8만여명 투표 못한다…선관위, 미국 선거사무도 중단

    40개국 8만여명 투표 못한다…선관위, 미국 선거사무도 중단

    코로나 여파…재외국민의 47%에 달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주미대사관 등 25개국 41개 재외공관의 재외선거사무를 다음달 6일까지 중단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로써 재외선거 사무가 중지된 지역은 총 40개국의 65개 공관으로 늘었다. 4·15 총선의 재외투표 기간은 다음달 1~6일로, 선거사무 중단에 따라 이들 지역에 있는 유권자는 투표가 불가능해졌다. 이들 지역의 재외 선거인은 8만 500명으로 전체 재외선거인 17만 1959명의 46.8%에 해당한다. 미국의 경우 주미대사관, 주뉴욕·로스앤젤레스·보스턴·샌프란시스코·시애틀·시카고·애틀랜타·호놀룰루·휴스턴 총영사관, 주시애틀총영사관앵커리지출장소, 주휴스턴총영사관댈러스출장소 등 12개 공관의 선거사무가 중단됐다. 캐나다의 주캐나다대사관, 주몬트리올·벤쿠버·토론토 총영사관 등 4개 공관의 선거사무도 중단됐다. 이밖에 벨기에, 네덜란드, 체코, 뉴질랜드, 말레이시아, 인도, 필리핀, 아랍에미레이트(UAE), 이스라엘, 요르단 등의 주요 공관이 포함됐다. 선관위는 지난 26일 일부 지역에 대한 재외선거사무 중지를 결정하면서 재외국민의 참정권 보장을 위해 제한적이나마 재외선거를 할 수 있는 지역은 대상에서 제외했다. 그러나 이후 미국·캐나다처럼 코로나19 상황의 급속한 악화로 재외선거 실시를 우려하는 주재국의 공식입장 표명이 있거나 주재국의 제재 강화로 정상적인 재외선거 실시가 어렵다고 판단되는 지역에 대해선 외교부 및 재외공관과의 논의 끝에 재외선거사무를 추가로 중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한편 중앙선관위는 재외선거사무가 중지되지 않은 지역은 다음달 1~6일 재외투표가 실시되므로 재외투표소 방역대책을 점검하는 등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 ‘불주사’ BCG 의무접종 국가, 코로나19 사망률 현저히 낮아

    ‘불주사’ BCG 의무접종 국가, 코로나19 사망률 현저히 낮아

    결핵 예방을 위한 유아 BCG 백신 접종 여부에 따라 국가별로 코로나19 사망자 수에 큰 차이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진은 BCG 백신 접종이 전반적인 호흡기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뉴욕공과대학(NIC) 연구진은 28일(현지시간) BCG 예방 접종이 코로나19 사망률을 크게 감소시켰다고 밝혔다. 정책적으로 BCG 백신을 접종하는 국가의 인구 100만명당 사망자 수가 그렇지 않은 국가보다 훨씬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BCG 백신 주사는 볼록한 흉터가 남아 ‘불주사’로도 불린다. BCG 백신 예방접종을 의무적으로 시행하지 않는 미국과 이탈리아 등은 오랫동안 BCG 백신 접종을 실시했던 국가들에 비해 더 심각하게 코로나19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이 연구는 해외 의학논문 사전공개 사이트인 메드아카이브(MedRxiv)에 게재됐다. BCG는 비병원성 BCG 균주를 이용해 결핵에 대한 면역을 형성하도록 만든 결핵 예방 백신이다. 특히 소아의 결핵과 결핵성 뇌수막염 등 중증 결핵 발병 예방에 효과가 있다. 결핵은 바이러스가 아닌 결핵균 때문에 발병하지만, 과거 연구에 따르면 BCG 백신이 항바이러스 면역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인터루킨-1베타(IL-1β) 생성에 영향을 미친다. 인터루킨은 인체가 생성하는 면역 관련 물질이다. 이로 인해 결핵뿐만 아니라 다른 호흡기 질환 퇴치에도 도움을 준다는 분석이 있다. 지난 3월 21일 수치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BCG 백신 접종을 시행 중인 55개 국가들의 코로나19 사망자는 인구 100만명당 평균 0.78명이었지만, 보편적인 BCG 백신 접종 정책이 없는 5개 국가는 16.39명으로 확연한 차이가 나타난다. 수치상 약 21배에 가깝다. BCG 백신 접종 정책을 하지 않는 주요 국가는 이탈리아, 미국, 레바논, 네덜란드, 벨기에 등이다. 연구진은 BCG 접종 시행 기간과 사망률도 관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스페인은 16년간(1965~1981년) BCG 접종을 시행했다. 반면 덴마크는 1946년부터 1986년까지 40년간 시행했다. 두 국가의 인구 100만명당 사망자 수는 각 29.5명과 2.3명으로 약 10배 가까이 차이난다. 1947년부터 BCG 백신 접종을 시행한 일본은 100만명당 사망자가 0.28명이며, 1920년대 BCG 접종을 시작한 브라질은 사망자가 100만명당 0.0573명이다. 현재 BCG 접종을 시행하고 있지만 높은 확진자와 사망자를 기록한 국가도 있었다. 논문은 이란의 경우 1984년에야 백신 접종이 시작돼 이전 출생자들은 백신으로 인한 면역 효과를 보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또한 1950년대부터 BCG접종을 시작했던 중국에 대해서는 문화혁명(1966~1976년) 당시 결핵예방 및 치료기관 해산으로 일부 연령층이 감염에 더 취약했을 것으로 추측했다. 우리나라는 지난 1962년부터 세계보건기구(WHO) 지침에 따라 생후 4주 이내 영아를 대상으로 BCG 접종을 시작했다. 21일 0시 기준 사망자인 102명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국민 100만명 중 1.9명 정도가 코로나19로 사망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 네덜란드·스위스·벨기에 환자 한국 앞질렀다, 사망자는 진작에

    네덜란드·스위스·벨기에 환자 한국 앞질렀다, 사망자는 진작에

    네덜란드와 스위스, 벨기에가 코로나19 환자 수에서 한국을 앞질렀다.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의 집계에 따르면 30일 오전 4시 47분(한국시간) 현재 스위스의 코로나19 감염자는 1만 4829명, 네덜란드는 1만 930명, 벨기에는 1만 836명으로 세 나라 모두 한국(9583명)을 넘어섰다. 전날까지 세계에서 아홉 번째로 환자가 많이 발생한 나라였던 한국은 이제 열두 번째 나라가 됐다. 더욱이 한국은 하루 100~200명대 환자가 새로 추가되는 추세인 반면, 한국 아래 터키(9217명), 오스트리아(8743명) 등이 빠르게 늘고 있어 조만간 이들 나라에도 순위를 양보할 가능성이 있다. 사망자는 네덜란드가 771명으로 감염자 규모에 견줘 상당히 많은 편이다. 벨기에가 431명, 스위스가 300명을 기록하고 있어 모두 한국(152명)보다 월등히 많다. 한때 중국에 이어 무서운 속도로 환자가 폭증했던 한국이 감염자, 사망자 모두 안정화 추세로 접어들었다는 점을 보여준다. 유럽에서 이탈리아, 스페인의 뒤를 이어 환자도 많고 사망자도 많은 독일, 프랑스, 영국의 상황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이를테면 이들 세 나라는 유럽 확산의 2중대인 셈이다. 독일은 6만 1164명의 감염자 가운데 490명만 숨져 지극히 낮은 치명률을 기록한 반면, 프랑스는 감염자가 4만 704명인데도 하루 사망자가 310명 추가돼 29일 아침(현지시간) 누적 희생자가 2606명으로 이란(2640명)의 턱밑까지 따라붙었다. 영국은 1만 9772명의 감염자 가운데 1228명이 숨지는 등 그런대로 관리가 되는 모습이지만 정부는 지난 23일 3주를 기한으로 발동한 이동제한령을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최악의 상황을 상정하고 있다. 마이클 고브 국무조정실장은 BBC에 출연해 “정확히 예상할 순 없지만, 모두가 상당 기간 이런 조치가 계속되리라는 것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확진 판정을 받고 자가 격리 중인 보리스 존슨 총리는 대국민 서한을 통해 “솔직히 말씀드리는 것 이 낫다. 코로나19 상황이 지금보다 더 나빠질 것”이라면서 모든 국민이 집에 머물 것을 재차 호소했다. 물론 코로나19와의 싸움은 길게 봐야 한다. 한 나라에서 종식됐다고 안심할 수가 없다. 세계적 대유행(팬데믹) 상태이기 때문이다. 사회적(물리적) 거리 두기를 지속적으로 해야만 한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 원격근무·1인 가구 많은 스웨덴…학교·카페 운영 그대로

    원격근무·1인 가구 많은 스웨덴…학교·카페 운영 그대로

    스톡홀름 직장인 중 절반이 원격근무 1인 가구 비중 50%… 가족 전염 적어 BBC “사회적 거리두기 생활화” 분석 105명 사망… 50명 이상 모임 금지령 伊사망 1만여명… 전세계 3분의1 달해전 세계 코로나19 감염 확산으로 유럽 각국이 국경 봉쇄와 이동제한령 등을 강제하고 있는 가운데 스웨덴의 ‘느슨한 조치’가 눈길을 끌고 있다. 원격근무 활성화와 높은 1인 가구 비중 등 ‘사회적 거리두기’가 생활화된 덕분에 스웨덴 정부가 다른 유럽국가들과 달리 유연한 정책으로 코로나19에 대응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BBC는 28일(현지시간) 원격근무를 장려하는 스웨덴의 기업문화 등이 다른 유럽국가와 다른 코로나19 대책이 가능한 이유라고 보도했다. 유연근무와 원격근무가 가능한 기술력과 기업문화가 널리 퍼져 있으며, 수도 스톡홀름 직장인 가운데 절반이 원격근무를 하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도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 스톡홀름에는 스포티파이와 스카이프 등 기업가치 10억 달러(약 1조 2200억원) 이상인 ‘유니콘’ 기업이 소재하는 등 세계에서 창업생태계가 가장 활발한 도시로 꼽힌다. 나아가 정부에 대한 국민 신뢰도가 높기 때문에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을 따르고 있다는 시각도 있다. 스테판 뢰벤 총리가 지난 주말 TV 연설에서 강조한 것도 “시민 각자에게 무거운 책임감이 있다”는 메시지였다. 1인 가구가 많은 스웨덴의 인구통계학적 특징 때문이라는 관점도 있다. BBC는 “대가족 위주인 지중해 국가들과 달리 스웨덴 가정의 절반이 1인 가구로 이뤄져 가족 내 바이러스 확산의 위험이 적다”고 분석했다.물론 스웨덴도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의 위협에서 자유롭지는 않다. 미 존스홉킨스대 코로나19 통계에 따르면 스웨덴 내 확진자는 3069명, 사망자는 105명이다. 이 때문에 지금까지 500명을 초과하는 모임을 금지했던 스웨덴 정부는 29일부터 50명 이상 모임을 금지하도록 대책을 강화했다. 수위가 높아지기는 했지만, 2인 이상 금지(영국)나 3인 이상 금지(독일, 오스트리아) 등 권위주의 시대에나 볼 법한 이웃국가들의 대응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약한 대응이다. 필수업종을 제외하고 영업을 전면 금지한 이웃 국가와 달리 스웨덴에서는 여전히 학교와 식당, 카페 등의 일상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반면 정부가 더 강한 대책을 강제해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스웨덴 의대 카롤린스카 연구소의 에마 프린스 박사는 “스웨덴 사람들이 정부 권고를 잘 따른다고는 하지만, 현재 같은 위급한 상황에서는 그것만으로 충분하다고 확신할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이는 다른 유럽 주요국들의 코로나19 확산 상황이 삼엄하기 때문이다. 29일 오전 4시 30분 현재 이탈리아의 코로나19 사망자가 1만 23명으로 전 세계 사망자(3만 249명) 가운데 3분의1에 달했고, 스페인이 5812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AFP통신은 자체 집계에 따라 전 세계 사망자 3만 3명 가운데 3분의2가 넘는 2만 1334명의 사망자가 유럽에서 나왔다고 전하기도 했다. 이탈리아의 확진자는 9만 2472명으로 미국(11만 5547명)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고, 스페인(7만 2248명)과 독일(5만 6202명) 등도 확산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프랑스와 벨기에가 현 이동제한령을 다음달 중순 이후까지 연장한다고 발표하는 등 각국 정부는 대응 수위를 높였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 벨기에 반려묘 확진 논란

    벨기에 반려묘 확진 논란

    벨기에의 한 애완용 고양이가 주인에게서 코로나19가 전염됐다는 당국 발표와 관련해 현지에서 신뢰성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브뤼셀 타임스는 28일 “전날 당국은 이탈리아에서 최근 귀국한 주인과 접촉한 고양이의 대변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발표했다”며 “이에 대해 바이러스 전문가인 한스 나우윈크 겐트대 수의학과 교수는 해당 테스트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고 보도했다. 나우윈크 교수는 “확진자로 인해 고양이의 표본 자체가 오염됐을 가능성이 있으니 고양이가 항체를 만들어냈는지를 체크했어야 한다”며 “세계에 초기 결과를 발표하기 전에 이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했다”고 지적했다. 전날 당국은 고양이의 확진 판정에 대해 “확진자와 동물이 밀접 접촉해 전파된 드문 사례”라면서도 “바이러스가 인간에게서 동물로 갈 수는 있지만, 동물이 매개체라고 여길 이유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럼에도 테스트 결과가 정확하지 않다면 애완동물들만 애꿎은 홀대를 받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앞서 홍콩에서 양성 판정을 받았던 확진자의 개 2마리는 무증상이었지만, 벨기에 고양이는 일시적인 호흡기 증상과 소화기 계통의 문제가 발현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 피치, 영국 신용등급 AA-로 하향 조정, 왜?

    피치, 영국 신용등급 AA-로 하향 조정, 왜?

    국제 신용평가사인 피치가 영국의 국가신용등급을 한 단계 내렸다. 영국이 유럽연합(EU)을 탈퇴한 이후 EU와의 미래관계 협상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데다 코로나19 정책 대응 과정에서 공공부채가 급증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피치는 28일(현지시간) 영국의 국가신용등급을 기존 ‘AA’에서 ‘AA-’로 하향 조정했다. ‘AA-’는 한국과 벨기에, 체코와 같은 등급이다. 특히 피치는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유지해 영국의 신용등급을 추가로 낮출 수도 있음을 내비쳤다. 피치는 “이번 등급 하향 조정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야기된 영국 재정의 약화뿐 아니라 이전부터 명백하게 나타나던 재정완화 기조를 반영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영국 경제의 급격한 단기 손상, 영국이 EU를 탈퇴한 브렉시트 이후 영국과 EU 간 무역관계에 관련해 지속하는 불확실성 등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피치는 코로나19에 따른 경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지만, 이에 따른 영국의 공공부채는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84.5%에서 올해 94%, 내년 98%로 각각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기적으로는 점진적인 재정적자 감소, 1.6% 수준의 경제성장률 등을 고려하면 공공부채 규모는 2025년 이후 GDP 대비 100%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피치는 또 코로나19로 인한 가게 휴업 조치 등으로 영국 경제의 GDP가 올해 4%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하반기에 이 같은 봉쇄 조치가 완화되면서 내년 성장률은 3%로 회복될 것으로 예측했다. 영국은 7년 전만 해도 가장 높은 ‘AAA’ 신용등급을 받았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부채 규모의 증가, 브렉시트 결정 등으로 인해 등급이 두 단계 떨어졌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 세계 사망자 3만·伊 1만 넘어, 美 감염 11만·사망 1900명 넘어

    세계 사망자 3만·伊 1만 넘어, 美 감염 11만·사망 1900명 넘어

    코로나19로 인한 전 세계 사망자가 3만명을 넘어섰다. 29일 오전 4시 45분(한국시간) 현재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 집계에 따르면 코로나19 사망자는 3만 313명으로 늘었다. 이탈리아가 전날보다 889명이 늘어 1만 23명으로 가장 먼저 1만명을 넘어 전 세계 3분의 1를 차지했다. 이어 스페인(5812명), 중국(3299명), 이란(2517명), 프랑스(2314명), 미국(1925명) 순이다. 한국 사망자는 144명으로 집계된 상태다. AFP 통신도 자체 집계를 통해 3만 3명이 사망했다며 이탈리아 1만여명을 포함해 3분의 2가 넘는 2만 1334명의 사망자가 유럽에서 나왔다고 보도했다. 존스홉킨스 대학 집계에 따르면 전 세계 확진자는 177개 국가와 지역에서 65만명을 넘어섰다. 미국이 11만 6505명으로 가장 많고 이탈리아 9만 2472명, 중국 8만 1999명, 스페인 7만 2248명, 독일 5만 6202명 순이다. 프랑스(3만 8105명)과 이란(3만 5408명), 영국(1만 7312명), 스위스(1만 4076명)이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 네덜란드(9819명)와 한국(9478명), 벨기에(9134명)가 1만명을 앞에 두고 있다. 중국 우한에서 지난해 12월 31일 발병한 후 3개월이 가까워진 현재 미국이 가장 확산세가 가파르다. CNN 방송은 “뉴욕주는 코로나19 환자 수가 정점에 이르기까지 몇 주가 더 걸릴지 모르며, 다른 주에서도 환자가 급증할 조짐”이라고 전했다. 일간 뉴욕 타임스(NYT)에 따르면 코로나19 환자가 1000명을 넘은 주는 뉴욕, 캘리포니아, 워싱턴, 루이지애나, 미시간, 일리노이, 인디애나 등 17곳을 기록했다. 뉴욕과 로스앤젤레스(LA) 등 인구가 밀집한 동·서부 연안 도시뿐만 아니라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테네시주 멤피스와 밀워키, 아칸소주 파인블러프 등 내륙 깊숙이에도 코로나19 환자가 광범위하게 번지고 있다. 앤드루 쿠오모 뉴욕주 지사는 코로나19 환자가 5만 2318명, 사망자가 728명이라고 발표했다. 중환자실에 수용된 환자는 1755명이라고 전했다. 그는 뉴욕주의 환자가 최고조에 이르기까지 앞으로 2∼3주가 더 걸릴 것이라며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인공호흡기 부족 문제를 최우선 해결해야 하고, 병상도 14만개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유엔(UN)은 뉴욕시 의료진을 위해 25만개의 보호용 마스크를 기부하기로 했다. 뉴욕주의 상황이 악화일로로 치닫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더욱 강력한 억제 카드를 만지기 시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뉴욕주와 뉴저지주, 코네티컷주를 언급하며 단기간 강제격리 명령을 내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고 로이터·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취재진과 만나 “나는 지금 그것(강제격리)을 고려하고 있다. 우리가 그것을 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지만, 오늘 그것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단기간, 뉴욕에 2주, 아마 뉴저지, 코네티컷의 특정 지역”이라고 말했다. 앞서 플로리다와 텍사스와 메릴랜드, 사우스캐롤라이나, 매사추세츠, 웨스트버지니아, 로드아일랜드주가 이미 뉴욕주에서 들어오는 주민을 14일 동안 의무 격리하는 방침을 발동했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 이탈리아 누적 확진자 내일 중국 넘어설 듯, 세계 52만명 감염

    이탈리아 누적 확진자 내일 중국 넘어설 듯, 세계 52만명 감염

    이탈리아의 코로나19 누적 사망자가 8000명을 넘어섰고, 누적 확진자도 8만명을 넘었다. 하루만 지나면 최초 발원지 중국의 누적 확진자 수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이탈리아 보건당국은 26일 오후(현지시간) 전국 누적 사망자가 8215명을 기록했다고 밝혔다고 영국 BBC가 전했다. 한때 전날보다 662명이 늘어났다고 발표했으나 피에드몬트 지역의 희생자 50명을 빠뜨렸다며 시민보호청이 나중에 712명이 늘었다고 정정했다. 전날(683명)보다 사망자 수가 조금 늘었다. 21일 793명, 다음날 650명, 23일 602명, 24일 743명, 25일 683명 등으로 종잡을 수 없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확진자 수는 6153명이 늘어난 8만 539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날 증가 인원(5210명)보다 늘었고, 지난 21일 이후 가장 높은 수치이기도 하다. 최근 며칠 증가세가 조금 꺾이는 모습을 보여줘 희망을 안긴다는 성급한 분석이 나왔지만 의료 여건이 더 나쁜 남부로 감염이 확산돼 우려를 낳고 있다. 현재 증가 추이라면 27일 바이러스 발원지인 중국(8만 1285명)을 넘어설 것이 확실하다. 프랑스도 하루에만 365명의 코로나19 사망자가 추가돼 누적 희생자가 1696명이 됐다. 전날 신규 사망자 231명보다 폭증했다. 영국도 오전 9시(그리니치표준시 GMT) 현재 사망자가 578명으로 급증했다고 보건부가 밝혔다. 24시간 동안 103명이 숨졌는데 하루 사망자가 영국에서 100명을 넘긴 것은 이날이 처음이다. 감염자는 1만 1658명이 됐다. 앞서 스페인 보건 당국은 지난 24시간 동안 655명이 세상을 떠나 누적 사망자가 4089명이 됐다고 26일 오후 밝혔다. 전날 하루 사망자 738명보다 조금 줄어들었지만 전날 따돌린 중국(3281명)과의 격차를 한참 벌렸다. 사망자로는 세계에서 이탈리아 다음이다. 확진 환자는 이날 오전 기준 5만 6188명으로 전날보다 8378명이 증가했다. 전날 밤 늦게 의회는 정부가 제출한 국가비상사태 연장안을 찬성 321표, 기권 28표로 통과시켰다. 제1 야당인 국민당(PP) 역시 찬성표를 던졌다. 이에 따라 국가비상사태는 다음달 12일까지 3주간 연장된다.한편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은 27일 오전 4시 21분(한국시간) 현재 전 세계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175개국(또는 지역)의 52만 1086명으로 집계했다. 지난해 12월 31일 중국 우한(武漢)에서 시작한 코로나19 전염 사태가 세계적 대유행으로 발전하면서 석달이 안돼 50만명 넘게 감염됐다. 이 대학 집계에 따르면 중국(8만 1782명)-이탈리아( 8만 589명)-미국(7만 9785명)-스페인(5만 6197명)-독일(4만 3646명)-프랑스(2만 9546명)-이란(2만 9406명)-영국(1만 1772명)-스위스(1만 1712명)-한국(9241명) 순이다. 사망자도 2만 3568명으로 집계했다. 이탈리아(8215명)-스페인(4145명)-중국(3169명)-이란(2234명)-프랑스(1696명)-영국(578명)-네덜란드(434명)-미국 뉴욕주(281명)-독일(239명)-벨기에(220명)-스위스(191명)-한국(131명) 순이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 [임병선의 메멘토 모리] 아프리카 색소폰 레전드 디방고 코로나19로

    [임병선의 메멘토 모리] 아프리카 색소폰 레전드 디방고 코로나19로

    미국의 재즈 피아니스트 허비 핸콕, 나이지리아 출신의 아프로비트 창시자 펠라 쿠티와의 협업으로 유명했던 아프리카의 색소폰 레전드 마누 디방고가 코로나19에 감염돼 86세를 일기로 삶을 접었다. 본명이 에마뉘엘 은조케 디방고인 그가 24일(이하 현지시간) 이른 아침 프랑스 파리의 한 병원에서 숨을 거뒀다고 그의 페이스북 계정이 알렸다고 영국 BBC가 전했다. 성명은 “마누 디방고, 우리 ‘그루브의 아빠’를 잃었음을 알리게 돼 아주 슬프다”고 적혀 있었다. 이어 장례는 “아주 소수만 참여한” 가운데 열리며 팬들이나 음악인들은 이메일로 조사를 보내주거나 “가능한 때” 열리게 되는 추모식에 함께하면 좋겠다고 했다. 아프리카 음악인 안젤리크 키조와 유수 은두르가 추모식을 이끌게 된다. 베냉 출신인 키조는 트위터에 두 달 전 고인의 1972년 히트곡 ‘솔 마코사(Soul Makossa)’ 뒷부분을 리허설하던 동영상을 올리고 “당신은 아프리카 음악의 진정한 거인이며 아름다운 인간”이라고 추모했다. 은두르 역시 색소폰의 “천재”였으며 “카메룬 뿐만아니라 아프리카 모두의 자랑이며 큰 형님”이라고 애도했다. 둘 다 살리파 케이타, 파파 웸바, 킹 수니 아데와 어울려 1994년 디방고의 앨범 ‘와카프리카(Wakafrika)’에 손을 빌려줬다. 1933년 프랑스 식민지였던 카메룬의 두알라에서 태어난 그는 기독교 집안 출신이어서 교회에서 음악을 익혔다. AFP 통신 인터뷰를 통해 “어릴 적부터 ‘할렐루야’를 들으며 자랐다”고 털어놓았다. 카메룬 전통 음악을 퓨전재즈와 펑크 음악에 녹여냈다. 2009년 전 세계 판매고 1위를 차지한 마이클 잭슨의 전설적인 앨범 ‘스릴러’에 수록된 두 곡이 ‘솔 마코사’를 조금씩 베꼈다고 소송을 제기해 법정밖 화해를 한 것으로도 널리 알려졌다. 음악에 정신이 팔려 고교 시험에서 낙방한 뒤 프랑스의 고교로 전학해 그곳에서 색소폰을 배우기 시작했다. 학교 친구들 앞에서 처음 연주한 노래가 ‘웬 더 새인츠 고 마칭 인(When the Saints Go Marching In)’이었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고교 졸업을 못해 아버지를 실망시켰으나 그는 벨기에 나이트클럽에서 공연하며 60년 음악인생의 첫발을 내디뎠다. 197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축구대회에 참가했던 카메룬 국가대표팀의 공식 응원가를 작곡하고 연주했는데 이것이 미국 뉴욕의 나이트클럽 DJ들에게 커다란 사랑을 받기도 했다. 2013년 BBC 기자가 어떤 인물로 기억되고 싶은지 묻자 “갈 때는 끝나버린다. ‘난 이걸 원해’라고 말해봤자다”라고 답했다. 좋아하는 음악 취향이 폭넓어 그는 2017년 BBC 인터뷰를 통해 “온갖 종류의 음악을 연주해본 뒤 내 음악을 비로소 시작했다. 다른 사람의 음악을 연주해보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아프리카인이라면 사람들은 그 음악만 연주한다고 생각한다. 그런 생각 잊어라. 아프리카인이어서 음악인인 것이 아니다. 음악인이어서 음악인인 것이다. 아프리카에서 오기 전에 무엇보다 음악인”이라고 말했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 메르켈 총리도 “둘 이상 모이지 마” 직후 자가격리, 도밍고도 “양성”

    메르켈 총리도 “둘 이상 모이지 마” 직후 자가격리, 도밍고도 “양성”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22일(현지시간) 자가 격리에 들어갔다. 유럽의 코로나19 확진자는 16만명을 넘어 중국의 73%에 이르렀다. 메르켈 총리는 이날 베를린에서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추가 조치를 발표하는 기자회견을 한 직후 최근 접촉한 의사가 양성 판정을 받은 사실을 통보받고 곧바로 자택에서 자가 격리에 들어갔다고 AFP 통신 등이 전했다. 총리 대변인은 올해 65세인 메르켈 총리가 지난 20일 해당 의사에게 폐렴구균 예방 백신을 맞았다고 전하며 며칠 안에 검사를 받을 것이며 당분간 자택에서 계속 업무를 볼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메르켈 총리는 연방 16개 주 총리들과 화상회의를 한 뒤 공공장소에서 둘 이상 모임을 적어도 2주 동안 금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코로나19에 맞선 싸움에서 시간을 벌기 위한 것”이라면서 코로나19 확산을 늦추는 데 “우리 자신의 행동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말했다. 세계적인 테너 가수 플라시도 도밍고(80)도 페이스북에 양성 판정을 받은 사실을 공개하며 가족과 자가 격리 중이라고 밝혔다고 영국 BBC가 전했다. “몸 상태는 괜찮다”고 적은 그는 “고열과 기침 증상을 경험한 뒤 검사를 받기로 했는데 결국 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했다. 팔로어들에게는 손을 자주 씻고 서로 거리를 유지하라고 당부했다. 최근 성희롱 추문에 연루돼 로스앤젤레스 오페라단 단장 직에서 물러난 그는 “우리는 함께 이 바이러스와 싸울 수 있으며 세계적 수준의 위기를 끝낼 수 있다”고 스스로 의지를 북돋았다. 세계 각국의 코로나19 상황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사이트인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유럽의 코로나 확진자 수는 이날 16만명을 넘어섰다. 중국 감염자의 73%에 이르며 사망자는 7500여명으로 중국(3261명)의 곱절을 훌쩍 넘겼다. 바이러스 발원지인 중국의 2배를 넘었습니다이탈리아 보건당국은 이날 하루 신규 확진자를 5560명이라고 발표했으며 누적 확진자는 5만 9138명으로 잠정 파악됐다. 중국 확진자(8만 1054명)의 73%를 차지한다. 사망자는 651명이 늘어 누적 5476명으로 집계됐다. 신규 확진과 사망 모두 증가세가 한풀 꺾였다. 스페인에서는 3107명이 새로 확진 판정을 받아 누적 2만 8603명이 됐다. 사망자는 375명 늘어 모두 1756명이 코로나19로 목숨을 잃었다. 이어 독일(2만 4806명), 프랑스(1만 6018명), 스위스(7474명), 영국(5683명), 네덜란드(4204명), 벨기에(3401명), 오스트리아(3302명), 노르웨이(2263명), 스웨덴(1931명) 순으로 확진자가 많았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국민들이 사회적 거리 두기에 대한 정부의 권고를 제대로 따르지 않는다면서 더 강력한 조처를 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존슨 총리는 이날 브리핑을 통해 “정부의 권고를 따라야 한다. 사람들 간에 2m의 거리를 유지해야 하고 사회적 거리 두기 룰을 지켜야 한다”면서 “그렇지 않으면 더 진전된 조처를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코로나19에 가장 취약한 노인 계층 등 150만명의 국민에게 앞으로 12주간 집에 머물 것을 강력히 권고했다. 잉글랜드에서는 하루 동안 37명이 숨졌는데 이 가운데 18세 소년이 포함됐다. 숨진 소년에게는 기저질환이 있었다고 BBC는 전했다. 네덜란드 정부 역시 이날 오전 국민들에게 다른 사람과 1.5m 거리를 유지하라고 경고하는 휴대전화 문자를 발송했다. 전날 공원과 해변 등에 인파가 북적인 데 따른 것이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 빗장수비 전설도 코로나19 못막아··伊 말디니 확진

    빗장수비 전설도 코로나19 못막아··伊 말디니 확진

    이탈리아 축구 레전드, 아들과 함께 코로나19 감염로렌소 산스 레알 마드리드 전 회장은 치료 중 숨져호날두 동료 다발라 확진···伊 유벤투스에서 세번째스페인 진출 중국 축구 스타 우레이까지 양성 반응 중 슈퍼리그서 뛰고 있는 펠라이니도 코로나 확진이탈리아 축구 레전드 파올로 말디니(52)가 아들과 함께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탈리아 프로축구 AC밀란은 22일 “말디니가 확진자와 접촉 후 증상을 보이기 시작해 검사 받은 결과 양성 반응을 보였다”고 발표했다. 말디니는 AC밀란에서 기술이사로 일하고 있다. 1988~2002년 월드컵 4회 출전 포함 A매치 126경기에 나서며 이탈리아 빗장 수비의 상징으로 군림했던 그는 클럽 선수로는 1984년부터 2009년까지 AC밀란에서만 뛰며 세리에A 최다 출전 기록(647경기)을 작성했다. AC밀란은 지난달 세리에A 데뷔전을 치른 말디니의 아들 다니엘(19)도 양성으로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다니엘은 1군 팀과 훈련하는 유스팀 공격수다. AC밀란은 “파올로와 다니엘 모두 상태가 양호하다. 완치 판정을 받을 때까지 보건당국의 치료 계획에 따라 격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탈리아 유벤투스의 파울로 디발라(27)도 이날 소셜 미디어를 통해 자신과 여자친구가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유벤투스 선수 중 세 번째 사례다. 유벤투스 구단은 홈페이지를 통해 “디발라는 11일부터 자가 격리를 해왔다. 그는 증상 없이 좋은 상태”라고 전했다. 이날 로이터 통신 등은 지난 1995~2000년 스페인 프로축구 명문 클럽 레알 마드리드를 이끌었던 로렌소 산스(77) 전 회장이 코로나19 치료를 받다가 사망했다고 보도했다.현재 지연 개막을 앞둔 중국 프로축구 슈퍼리그에서도 확진 선수가 나왔다. 벨기에 대표 출신으로 산둥 루넝에서 뛰고 있는 마루안 펠라이니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중국 시나 스포츠 등이 보도했다. 코로나19 사태로 개막을 무기한 연기했던 슈퍼리그는 중국 내 확산세가 누그러지자 오는 4월 18일 개막을 목표로 정한 상황이다. 잉글랜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뛰다가 지난해 2월 산둥 유니폼을 입은 펠라이니는 1~2월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팀 훈련을 마친 뒤 벨기에에서 휴가를 보내고 다시 팀 훈련에 합류하기 위해 중국에 입국한 참이었다. 한편, 전날 스페인 언론은 스페인 에스파뇰에서 뛰는 중국의 축구 스타 우레이(29)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유럽 리그에서 뛰는 아시아 선수 가운데 확진자는 프랑스 2부리그 트루아의 석현준에 이어 두 번째다. 앞서 에스파뇰은 지난 18일 1군 선수와 기술 스태프 등 6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 이탈리아 하루 627명 사망, 미국도 감염자 1만 5000명 넘겨

    이탈리아 하루 627명 사망, 미국도 감염자 1만 5000명 넘겨

    이탈리아에서 하루에만 627명이 사망했다. 미국도 하루 2600명의 신규 환자가 발생, 1만 5000명을 넘어섰다. 이탈리아 보건당국은 20일 오후 6시(이하 현지시간) 기준 누적 사망자가 전날보다 627명이 급증해 4032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하루 사망자로는 역시 최다 기록이며, 전날 3405명으로 중국을 넘어선 데 이어 하루 만에 다시 4000명을 넘어섰다. 누적 확진자도 4만 7021명으로 잠정 파악돼 전날보다 5986명(14.6%) 늘어 역시 최대 증가 폭이다. 이날 공식 발표된 중국의 누적 사망자는 3248명, 누적 확진자는 8만 967명이다. 누적 확진자 대비 누적 사망자를 나타내는 치명률은 8.57%로 전날보다 0.2%포인트 상승했다. 한국(1.08%)의 여덟 배 수준이다. 누적 사망자와 완치자(5129명)를 뺀 실질 확진자는 3만 7860명으로 파악됐고, 이 가운데 중증 환자는 2655명으로 전날보다 157명 늘었다. 누적 검사 인원은 20만 6886명으로 한국(31만 6664명)의 65.3%까지 올라왔다. 확산의 거점인 북부 롬바르디아주의 확진 환자만 이탈리아 전국의 47.3%다. 스페인(2만 412명)을 웃돌고, 한국(8652명)의 세 배에 이른다. 롬바르디아의 누적 확진자가 2만명을 넘어선 것은 지난달 21일 이 지역에서 처음 지역 감염이 확인된 지 28일 밖에 걸리지 않았다. 누적 사망자도 2549명으로 전체의 63.2%에 이른다.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었던 남부지역도 더는 바이러스 안전지대가 아니게 됐다. 남부 주들의 누적 확진자 증가율은 20% 안팎으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남부는 의료 여건이 경제와 상업의 중심인 북부보다 열악해 지금의 추세대로 늘면 북부와 마찬가지로 감당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지적이다. CNN은 동부시간으로 이날 오전 미국의 누적 환자를 1만 5771명으로 집계했다. 검사 역량을 크게 늘린 데 따라 감염자가 급격히 늘었다. 존스홉킨스 대학은 1만 4631명으로 집계했다. 데비 벅스 백악관 코로나19 태스크포스 조정관은 18일 새로운 검사 플랫폼 도입으로 하루 수만 건의 검사를 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4∼5일 환자가 극적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사망자도 204명으로 17일 100명을 돌파한 지 사흘 만에 곱절이 됐다. 미국은 중국과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이란에 이어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확진자가 많다. 뉴욕주의 환자가 전날보다 2000명 가까이 늘어 7102명이 됐다. 뉴욕주는 캘리포니아주처럼 주민들이 가능한 한 집에 머물도록 하고 비필수 사업장은 100% 재택 근무를 하도록 했다. 뉴욕과 맞붙은 뉴저지주도 전날보다 155명이 늘어 890명이 됐다. 뮤리얼 바우저 워싱턴DC 시장은 기저질환이 있던 59세 남성이 이 도시에서 처음으로 사망했다고 밝혔다. 스페인도 이날 오전 기준 사망자가 235명이 늘어 누적 사망자가 1002명이 돼 중국, 이탈리아, 이란에 이어 네 번째로 1000명을 넘겼다. 전날 오전 누적 확진자는 1만 7147명이었는데 2833명이 늘어 1만 9980명으로 2만명을 눈앞에 뒀다. 스페인의 누적 완치자는 1588명에 그쳤다. 사망자는 일주일 만에 10배 가량 증가했다. 독일 역시 4391명이 새로 확진 판정을 받아 누적 확진자가 1만 9711명으로 2만명을 눈앞에 뒀다. 프랑스의 확진자는 1만 2612명으로 전날(1만 995명)보다 1617명이 증가했다. 1297명은 상태가 심각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망자는 78명이 늘어 450명이 됐다. 이어 스위스(5369명), 영국(3983명), 네덜란드(2994명), 오스트리아(2491명), 벨기에(2257명) 등의 순으로 누적 확진자가 많았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 [전경하의 시시콜콜]비혼(非婚)과 출산율

    통계청이 2016년 발표한 사회지표에 따르면 ‘결혼을 해야한다’는 비중은 51.9%로 절반이 조금 넘었다. 2년 뒤인 2018년 조사에서는 이 비중이 48.1%로 떨어졌다. 성별로 보면 남자가 52.8%, 여자가 43.5%로 차이가 크다. 미혼인 경우 미혼남자(36.3)와 미혼여자(22.4%)의 성별 차이는 더 벌어진다. 결혼이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많은 부담을 지운다는 사회적 인식이 드러난 결과다. 이 조사는 전국 2만 5000여 가구를 대상으로 한 조사였다. 결혼을 해야한다는 생각이 줄어들만큼 실제 결혼도 줄었다. 지난해 혼인 건수는 23만 9200건으로 2018년에 비해 1만 8500건(7.2%) 줄었다. 인구 1000명당 혼인 건수를 따지는 조혼인율은 4.7건으로 1970년 통계작성 이후 가장 낮다. 혼인 건수가 줄었으니 올해 태어날 아이들도 줄어들까.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호주는 조혼인율이 1995년 6.1건에서 2012년 5.4건으로 줄었는데 출산율은 같은 기간 동안 1.82명에서 1.93명으로 높아졌다. 벨기에도 조혼인율은 5.1건에서 3.6건으로 줄었지만 출산율은 1.55명에서 1.79명이 됐다. 이른바 혼외출산, 결혼하지 않은 동거 커플이나 미혼모가 아이를 낳는 비혼(非婚) 출산이 사회적으로 큰 차별을 받지 않았기 때문이다. 전체 출산 건수에서 비혼출산이 차지하는 비혼출산율이 한국은 2014년 기준 1.9%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은 수치이고 회원국 평균 41.2%와 큰 차이가 난다. 한국인들이 혼인서약을 잘 지키는 도덕성이 높은 국민이라는 주장도 가능하지만 입양과 출산 포기가 오히려 답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2018년 한 해동안 681명의 아동이 입양됐고 이중 303명(44.5%)이 해외입양됐다. ‘신혼’부부에 맞춰져 있는 각종 지원책은 안 그래도 사회적 차별과 생계부담 등을 겪어야 할 미혼모의 출산 의지를 꺽는다. 아이의 양육을 지원해야 할 정부가 결혼 여부에 대해 도덕적 판단을 해 아이의 부모를 차별하는 것은 맞을까? 쉽지 않은 길을 선택한 그들에게 더 나은 배려와 지원을 하는 것이 정부가 해야할 일일 것이다.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2018년 비혼(非婚) 출산에 대한 인식 전환을 5대 정책 과제 중 하나로 삼았다.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혼인과 출산을 장려하는 것이 아니라 태어난 모든 아동의 권리를 존중하고 차별과 편견으로부터 자유로운 사회 분위기를 조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인식전환의 첫 발은 뗐지만 관련 정책과 그 실행은 한참 굼뜨다. 이 위원회의 홈페이지 주소는 ‘더 나은 미� �(betterfuture)다. 다양성을 품을 줄 알고, 어려울 줄 알면서도 힘든 결정을 한 사람들을 돕는 사회가 더 나은 미래다. 그러기 위해 아주 열심히 일하는 위원회여야 한다. 논설위원 lark3@seoul.co.kr
  • [핵잼 사이언스] 가장 오래된 새 조상…닭+오리 닮은 ‘원더치킨’ 화석 발견

    [핵잼 사이언스] 가장 오래된 새 조상…닭+오리 닮은 ‘원더치킨’ 화석 발견

    현대 새의 조상으로 추정되는 공룡시대에 살았던 역대 가장 오래된 새 화석이 발견됐다. 최근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등 공동연구팀은 6680~6670만 년 전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갈매기 만한 크기의 고대 새 화석의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18일 자에 발표했다. '원더치킨'(Wonderchicken)이라는 흥미로운 별명이 붙은 이 새는 얼굴은 닭, 뒷모습은 오리를 닮았으며 무게는 396g 정도다. 또한 해안가를 무대로 서식했으며 두개골 분석결과 닭과 오리의 특징을 모두 가져 연구팀은 이들의 마지막 공통 조상이었을 것으로 보고있다.연구팀에 따르면 이 새는 네덜란드와 벨기에 국경 근처 채석장인 마스트리흐트 지층에서 발견돼 ‘아스테리오니스 마스트리흐텐시스’(Asteriornis maastrichtensis)라는 학명을 얻었다. 아스테리오니스라는 학명이 붙은 이유도 흥미롭다. 아스테리오니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아스테리아(Asteria)에서 따왔다. '별이 빛나는 하늘’이라는 의미를 갖는 아스테리아는 제우스(Zeus)가 구혼을 하자 거절하고 유성처럼 바다에 떨어져 죽는다. 이는 6600만년 전 소행성이 지구에 떨어져 공룡을 비롯한 동식물의 80% 이상이 사라진 대멸종을 원더치킨이 겪었음을 의미하며 이 과정에서도 살아남았을 것으로 보인다.  논문의 선임저자인 케임브리지대학 대니얼 필드 교수는 "이 화석은 역대 가장 오래되고 잘 보존된 조류 두개골"이라면서 "오늘날 새들의 초기 조상들이 언제 어떻게 진화했는지 설명해줄 수 있는 휼륭한 단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