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법제처
    2025-11-11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3,111
  • 도시주변 관리지역 소규모공장 신설 허용

    앞으로 도시 주변의 관리지역에서도 1만㎡(303평) 미만의 소규모 공장을 건립할 수 있다. 건설교통부는 중소기업 지원 차원에서 관리지역(옛 준도시지역 및 준농림지)에 소규모 공장 신설을 제한적으로 허용하는 내용의 국토계획법 시행령·시행규칙을 개정,17일 입법예고했다고 밝혔다. 개정안은 법제처 심사 등을 거쳐 올 상반기에 시행 예정이다. 이에 따라 관리지역에 1만㎡ 미만의 소규모 공장 신설이 허용된다. 지금까지 이들 지역에서는 1만㎡까지 증설은 가능했지만 신설이 금지됐다. 하지만 하루에 폐수 배출량이 2000㎥ 이상되는 업종 등 환경오염의 우려가 있는 업종은 허용하지 않기로 했다. 또 난개발 및 환경훼손 방지를 위해 건축허가때 반드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치도록 했다. 또 자연환경이나 상수원 보존 등을 위해 지정된 특별대책지역 및 자연보전권역에는 소규모 공장이 들어설 수 없도록 했다. 개정안은 건축법과 국토계획법으로 이원화돼 있는 도로확보 기준을 건축법으로 단일화해 건물을 지을 때 의무적으로 건설해야 하는 도로의 폭을 현행 4m에서 주변에 큰 도로가 있을 경우 2m로 완화하기로 했다. 이밖에 골프장 건설을 위한 도시관리계획 수립때 주민의견을 묻는 절차를 거쳤을 경우 시·군의회 의견 청취 절차를 생략할 수 있도록 했다. 김성곤기자 sunggone@seoul.co.kr
  • [부고]

    ●고재필 前의원 보건사회부(현 보건복지부) 장관을 지낸 고재필 전 국회의원이 17일 오전 숙환으로 별세했다.92세. 전남 담양 출생인 고 전 의원은 일본 주오(中央)대를 나와 지난 49년 법제처 법제관으로 공직생활을 시작한 뒤 62년 정계에 입문해 7,8,9,10대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73년 보건사회부 장관과 77년 제2무임소 장관을 역임했고, 저서로는 ‘하남(河南)회고록’이 있다. 유족으로는 미망인 이청환씨와 장남 영석씨 등 3남. 19일 오전 7시 발인, 빈소 삼성서울병원 (02)3410-6915. 장지는 전남 담양 창평 선영. ●이기우(제17대 국회의원)씨 모친상 17일 수원 연화장장례식장, 발인 19일 오전 9시 (031)217-7111 ●안석기(한전 대구지사장)씨 별세 16일 대구 파티마병원, 발인 19일 오전 8시 (053)350-2400 ●장종호(강동가톨릭병원 이사장)성호(강화병원 이사장)광호(아산섬유 대표)씨 부친상 1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9일 오전 7시30분 (02)3010-2295 ●한완용(동신약국 약사)수용(SKT 경영경제연구소 상무)병용(자영업)씨 부친상 17일 서울대병원, 발인 19일 오전 8시 (02)2072-2022 ●손영호(신명닛시건설 소장)영수(진아건축 이사)영자(백두약국 약사)씨 모친상 김판균(외환은행 팀장)씨 빙모상 1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9일 오전 7시30분 (02)3010-2238 ●김인한(전 동국실업 부사장)씨 별세 용동(전 쌍용 감사)미란(숙명여대 교수)호동(가곡사랑 대표)정훈(한섬건축 소장)씨 부친상 이현숙(숭실대 겸임교수)씨 시부상 오택길(장건축 대표)씨 빙부상 16일 서울대병원, 발인 18일 오전 9시 (02)2072-2016 ●김현준(전 세명대·대원과학대 사무처장)씨 별세 선형(전 코오롱건설 과장)지연(도트트레이딩 차장)씨 부친상 박경덕(주식회사 ADIT 대리)씨 빙부상 16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8일 오전 9시 (02)3010-2262 ●민병태(정보보호기술 대표)병구(삼성화재 대리점)씨 부친상 17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9일 오전 6시30분 (02)3410-6920 ●곽선부(애국지사숭모회장·평화통일정책자문위원)씨 별세 김병수(애국지사숭모회 이사)씨 모친상 1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9일 오전 9시30분 (02)3010-2294 ●유동욱·성엽(자영업)씨 모친상 강처목(변호사)김지호(아름다운오늘피부과 원장)홍지일(한국방송광고공사 이사)씨 빙모상 17일 부산대병원, 발인 19일 오전 7시 (051)240-7848 ●조원군(국민연금관리공단 홍보실 차장)씨 모친상 17일 고대안암병원, 발인 19일 오전 6시 (02)921-5699
  • KBS ‘방송법 개정안’ 반발

    KBS ‘방송법 개정안’ 반발

    KBS에 대한 규제 강화는 약일까 독일까. 방송위원회가 지난 11일 의결한 방송법 개정안에 대한 KBS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방송위가 마련한 개정안에서 논란이 되는 핵심은 두 가지.KBS 예산지침을 정부투자기관예산 편성처럼 한다는 것과 이익잉여금을 국고에 환수한다는 조항이다.KBS의 운영이 방만하고 구조조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감사원과 재정경제부의 지적사항을 반영한 조항이다. KBS는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노사 할 것 없이 이번 개정안은 KBS의 독립성과 중립성을 해치는 ‘독’이라고 성토했다. 이들의 논리는 ‘정부는 주는 것 없이 받아 먹을 생각만 한다.’는 것이다.BBC와 NHK 등 외국 공영방송은 이익이 난다고 해서 국고에 반납하지 않는다는 점을 들었다. 이에 반해 KBS는 1985년 이래 국고지원을 받은 적이 없지만 BBC와 NHK,PSB의 경우 각종 지원금 명목으로 매년 수천억원대의 돈을 받는다. 여기에다 예산편성에 정부투자기관 관리기본법을 준용하라는 것은 방송의 정치적 중립성과 독립성을 해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방송위는 KBS의 상급기관이 아니다.”는 감정적인 반발에서부터 “공영방송으로서의 위상에 걸맞은 수신료 현실화 등의 문제와 묶어서 논의하지 않고 ‘방만하다.’는 이미지로만 정책을 만들고 있다.”는 반박까지 곁들여져 있다. 그러나 KBS가 개정 방송법을 완전히 거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공영방송의 모델격인 BBC나 NHK에 비해 KBS가 내부개혁의 무풍지대라는 지적은 많기 때문이다. 정연주 사장은 팀제 도입 등으로 내부개혁을 시도하고 있지만 노조 등은 강하게 날을 세우고 있다. 이런 상황을 종합해보면 방송위가 마련한 개정안이 외려 KBS에 약이 될 수 있다는 논리도 나오고 있다. 방송위 관계자는 “내외부적인 여러 문제로 인해 KBS가 자체적인 개혁과 구조조정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은 만큼 장기적으로 보면 이번 개정안이 KBS에 약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방송위 개정안은 이번주에 사업자 의견을 청취한 뒤 법제처 등에 넘겨질 예정이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 신설 지하상가 내장재 불연재로

    앞으로 새로 짓는 지하상가의 점포나 계단 등의 내장용 시설에는 반드시 불연재를 사용해야 한다. 건설교통부는 지하공공보도의 체계적 설치 및 관리에 관한 ‘지하공간이용시설의 입지·구조·설치·관리기준안’을 새로 만들어 10일 입법예고했다고 밝혔다. 이 기준안은 법제처 심의 등을 거쳐 오는 4월부터 시행 예정이다. 기준안은 화재발생시 유독가스로 인한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지하통로와 계단, 점포 등의 내장용시설과 간판, 안내판, 광고물 등도 불연재를 사용하도록 의무화했다. 기존 시설은 가급적 불연재로 교체하도록 권고키로 했다. 지하공간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하늘이 보이는 천창(天窓)을 설치토록 하고 방향표지안내도, 구조배치안내도, 피난안내도 등을 보행자가 쉽게 알아볼 수 있는 곳에 설치토록 했다. 기준안은 지하공공보도의 쾌적성 확보를 위해 보도의 폭을 6m 이상으로 하고 상가 총면적을 지하공공보도 총면적을 넘지 않도록 했다. 이밖에 지하공공보도와 함께 지하상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설치대상은 슈퍼마켓, 상점, 일용품점, 휴게음식점, 이·미용원, 사진관, 공연장, 부동산중개소 등 일상생활 관련 시설로 제한키로 했다. 김성곤기자 sunggone@seoul.co.kr
  • 자치단체 행정규제 정비한다

    자치단체 행정규제 정비한다

    지방자치단체의 각종 규제가 대폭 정비된다. 상위 법령에 저촉되는 지자체의 조례나 규정이 전면 철폐되고, 각종 인허가 절차도 간소화된다. 정부는 10일 이해찬 국무총리 주재로 규제개혁장관회의를 열어 올해 안에 지자체의 각종 규제를 대대적으로 정비해 나가기로 했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지방자치단체 규제개혁 추진방안’을 마련, 각종 규제개혁에도 불구하고 일선 행정기관의 불합리한 관행 때문에 국민들의 개혁 체감도가 떨어진다고 보고 지자체의 각종 규제를 적극 개선해 나가기로 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각 행정기관이 법적 근거 없이 인허가 조건으로 민원인에게 지나친 부담을 주는 일이 없도록 법령에 근거하지 않은 인허가 조건은 일체 요구하지 못하도록 했다. 또 법제처에 ‘법령해석 심의위원회’를 설치, 지자체와 중앙부처의 유권해석이 달라 차질을 빚는 각종 인허가 업무를 정비해 나갈 방침이다. 지자체 공무원이 감사에서 지적받을 것을 우려해 인허가 업무를 소극적으로 처리하는 폐단을 줄이기 위해 지자체가 지도·감독·감사기관에 인허가의 적정성을 먼저 물어보고 회신된 의견에 따라 처리토록 하는 사전의견청구제도 도입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와 함께 현재 410종에 대해서만 가능한 인터넷 민원신청을 올해 안에 1000여종으로 확대하고 8건에 불과한 민원서류 인터넷 발급도 40여종으로 늘리기로 했다. 온라인 신청이 가능해지는 민원은 재학생입영원 발급(병무청), 건강보험증 재발급(보건복지부), 담배판매업 휴·폐업신고(재정경제부) 등이다. 또 온라인으로 발급받을 수 있는 민원서류에는 국가유공자 확인 증명(국가보훈처), 병적증명서 발급(병무청) 등이 추가됐다. 정부는 특히 행정절차법이나 지방자치법을 개정, 지자체가 조례나 규칙, 고시 등을 제·개정할 때 지역의 이해관계자나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토록 할 방침이다. 박기종 규제개혁단장은 “지자체의 각종 조례 등을 정비하는 것과 함께 일선 공무원들이 자의적으로 법을 집행하지 못하도록 기준이 불분명한 법령도 대폭 정비해 나갈 방침”이라며 “지자체 규제의 20% 정도가 폐지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현재 지자체의 규제건수는 광역단체가 평균 349건, 기초단체가 214건으로, 건설·건축과 산업, 문화체육 부문이 절반에 이른다. 진경호기자 jade@seoul.co.kr
  • 교육부총리 이기준·행자 오영교등 6개부처 개각

    교육부총리 이기준·행자 오영교등 6개부처 개각

    노무현 대통령은 4일 신임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겸 부총리에 이기준 전 서울대 총장을 임명하는 등 6개 부처에 대한 중폭 규모의 개각을 단행했다. 신임 행정자치부 장관에는 오영교 KOTRA 사장, 여성부 장관에는 여성인 장하진 충남대 사회학과 교수를 각각 발탁했다. 해양수산부 장관에는 오거돈 전 부산시장 권한대행, 농림부 장관에 열린우리당 박홍수 비례대표 의원, 법제처장에 여성인 김선욱 이화여대 법대 교수를 기용했다. ●6개부처 중폭개각 단행 다음달 노 대통령의 취임 2주년과 집권 3년차를 앞두고 새로운 내각이 출범하게 됐다. 여성 장관은 1명에서 2명으로 늘어났다. 일부 시민단체들은 서울대 총장 시절에 판공비 과다지출, 사외이사 겸직 등으로 총장직을 그만둔 이기준 교육부총리의 기용에 부적절한 인사라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파문이 확대될지 주목된다. 정찬용 청와대 인사수석은 그의 발탁 배경에 대해 “교수 성과평가제 도입 등 대학 개혁을 주도했다.”면서 “대학구조 조정과 사교육비 경감,2만달러시대 도약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 등 현안을 잘 해결해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정 수석은 “오영교 신임 행자부 장관은 대통령 정부혁신특보로서 정부 역량 강화를 위한 정부 혁신 및 지방자치 내실화를 잘 해결할 것으로 본다.”면서 “박홍수 농림장관은 쌀협상 타결 후속조치, 자유무역협정(FTA)·도하개발어젠다(DDA) 대책 마련, 농협 개혁 등 주요 농정을 농민 입장에서 슬기롭게 해결해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기준부총리 기용 부적절” 이어 “장하진 여성부 장관은 참여정부의 정책결정 과정 및 정책 기조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면서 “오거돈 해수부장관은 부산시 주요 보직을 거친 지방행정 관료로 행정 경험과 지식이 풍부하고 업무 추진력을 겸비했다.”고 설명했다. 정 수석은 “김선욱 법제처장은 현실과 법을 접목하는 능력을 높이 평가했다.”면서 이해찬 국무총리의 각료 제청권 행사에 대해 “3일 인사추천회의에 참석한 것을 비롯, 총 3차례에 걸쳐 심도 있는 협의를 했고, 이 총리는 새로 임명된 각료 6명 전원에 대해 본인의 의견을 제시하고 토론했다.”고 덧붙였다. 박정현기자 jhpark@seoul.co.kr
  • [6개부처 개각] 장관교체 배경

    청와대는 당초 4일 ‘깜짝 개각’을 계획했다. 하지만 이날자 조간신문에 개각 내용이 보도되자, 노무현 대통령은 4일 국무회의에서 직접 개각을 공론화했다. 노 대통령은 “국무회의와 장·차관 신년인사를 마치고 작별하실 장관님들에게 말씀을 드리려고 했는데 언론이 일찍 보도를 해버렸다.”면서 개각 대상 6개 부처를 공개했다. 개각 계획을 국무회의에서 밝힌 것도 이례적이지만, 노 대통령은 교체를 하게 된 배경도 상세히 설명했다. 노 대통령이 밝힌 장관 교체의 이유는 장수(長壽), 국민 정서, 정책 잘못 등 세 가지다. 참여정부 조각 멤버인 허성관 행정자치, 지은희 여성부 장관과 성광원 법제처장(장관급)은 장수장관 교체 원칙에 해당된다. 노 대통령은 “2년쯤 일하면 아이디어도 써먹을 만큼 써먹고 열정도 조금 식고 매너리즘에 빠질 때가 된다.”고 지적했다. 노 대통령은 장승우 해양수산부 장관에 대해서는 “장관 두 번 했으니 자리를 내놓으십시오.”라고 말해 국무위원들의 웃음을 자아냈다. 장승우 장관은 국민의 정부 마지막 기획예산처 장관을 지내다 2003년 10월 해수부 장관에 발탁됐다. 안병영 교육부총리는 수능부정 등의 문책 인사에 해당된다. 노 대통령은 “열심히 일했음에도 항상 바람이 세고 시끄러운 곳이 있다.”면서 “시끄러운 곳은 부득이 어려운 일을 해결하면서 심정적으로 희생양을 준비해 두기도 하고 국민 정서를 달랠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쌀협상의 파장을 예상해 허성만 농림부 장관을 교체할 작정이었으나 뜻밖에 조용해 백지화하려다 다시 계획대로 교체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박정현기자 jhpark@seoul.co.kr
  • 김선욱 법제처-국내 법여성학계 권위자

    김선욱 법제처-국내 법여성학계 권위자

    한국공법학회·한국여성학회 이사를 지내며 국내 법여성학계의 몇 안되는 권위자로서 활발한 목소리를 내왔다. 국무총리 행정심판위원회 위원으로 일할 때 법제처와 맺은 인연이 이번 발탁의 배경이 됐다는 후문.‘여성정책담당관’ 도입 등 한국 여성정책에서도 여러 실적을 갖고 있다. 등산이 취미. 꼼꼼한 성격에 일에 대해서는 철저하다는 평.
  • [6개부처 개각] 실용 개혁 혼합형 ‘뉴코드’ 인사

    [6개부처 개각] 실용 개혁 혼합형 ‘뉴코드’ 인사

    노무현 대통령이 집권 3년차를 맞아 단행한 1·4 개각은 언뜻 봐서는 색깔을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실용주의와 개혁 코드가 혼합된 인사다. 노 대통령은 경제살리기와 관용을 화두로 제시해 국정운영 기조가 급전환하는 듯했으나, 이번 인사에서 개혁드라이브도 여전히 주요한 국정 과제로 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혁적인 코드인사로는 이기준 교육부총리, 박홍수 농림부 장관, 장하진 여성부 장관 등이 꼽힌다. 이기준 부총리의 발탁 이유는 서울대 총장 시절에 학생 정원 감축, 교수성과평과제 도입 등을 통한 대학 개혁을 주도했다는 것이다. 김우식 청와대 비서실장과 같은 화공학과 교수 출신이라는 점이 주목된다. ●공직사회 개혁 급물살 탈듯 이기준 부총리와 함께 실용적이면서 개혁적인 인사로는 오영교 행정자치부 장관을 꼽을 수 있다. 산업자원부 차관 출신으로 노 대통령의 정부혁신특보를 맡고 있는 오영교 KOTRA 사장이 행자부 장관으로 임명됨에 따라 앞으로 공직 사회는 혁신과 개혁의 급물살을 타게 될 전망이다. 정찬용 수석은 참여정부 정책의 양대 축인 지방 분권과 정부 혁신 가운데 지방 분권은 상당히 잘돼 가고 있기 때문에 정부 혁신도 박차를 가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여성부의 경우에는 인물난과 개혁 성향으로 장하진 충남대 교수가 낙점됐다. 여권의 관계자는 “여성부의 경우 교체 방침은 일찌감치 정해졌으나 마땅한 사람이 없어 인선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말했다. 오거돈 전 부산시장 권한대행의 해양수산부 장관 발탁은 아·태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의 부산 유치에 이어 노 대통령의 ‘부산 구애’ 측면이 있는 것으로 정치권에서는 해석한다. ●지역안배 노력 흔적도 지은희 여성부 장관이 나가고 장하진 여성부 장관과 김선욱 법제처장(장관급) 등 두 명이 입각한 데서 여성 우대 의지와 최초의 여성 법제처장이란 상징성도 읽혀진다. 새 각료의 출신지역이 서울·부산·경남·광주 각 1명과 충남 2명으로 지역 안배 노력의 흔적도 엿보인다. 이번 인사는 노 대통령이 밝힌 ‘땜질 인사’의 수준을 벗어난 참여정부 출범 이후 최대의 개각 폭이다. 분위기 쇄신이나 국면 전환용 개각은 없다던 인사원칙에서 벗어난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농림부 장관과 해양수산부 장관의 경우가 여기에 해당된다. 이에 대해 여권의 고위 관계자는 “노 대통령은 인사를 하면서 무능 케이스 등으로 분류되지 않도록 끼워넣기를 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개각에서 이해찬 총리가 제청권을 행사하면서 인선 과정에 깊숙이 개입한 것으로 전해진다. 박정현기자 jhpark@seoul.co.kr
  • 3층이상 건물 4월부터 내진설계 의무화한다

    오는 4월부터 3층 이상이거나 연면적 300평 이상의 건축물은 의무적으로 내진설계를 해야 한다. 건설교통부는 아시아 남부지역의 지진해일(쓰나미) 참사를 계기로 내진설계 대상 건축물 확대, 지진모의실험시설 설치, 주요지역 지반현황 지도 작성 등을 골자로 하는 주요 시설물 안전대책을 마련,4일 열린 국무회의에 보고했다. 건교부는 이 대책에서 건축법 시행령을 개정, 내진설계 대상 건축물을 현재 6층 또는 연면적 1만㎡(3000평) 이상에서 3층 또는 1000㎡(300평) 이상으로 확대키로 했다. 만약 신축건물의 경우 내진설계를 하지 않으면 설계허가를 받을 수 없게 된다. 건축법 시행령 개정안은 규제개혁위원회에서 심사중이며 법제처 심사 및 국무회의 절차를 거쳐 4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내진설계를 적용할 경우 공사비는 평균 1%가량 늘어난다. 건교부는 또 내진설계가 반영되지 않은 기존 교량 2284곳에 대한 내진보강 작업을 당초 2015년에서 2010년으로 5년 앞당기고, 내진설계 미적용 지하철 16개 노선은 올해부터 곧바로 내진평가를 해 문제가 드러나면 보강작업을 벌이기로 했다. 김성곤기자 sunggone@seoul.co.kr
  • 전관예우 2년간 감시

    전관예우 2년간 감시

    대법원 산하 사법개혁위원회가 1년2개월간의 항해를 마치고 닻을 내렸다. 사개위는 그동안 사법제도 전반을 근본적으로 재검토, 로스쿨(법학전문대학원)과 배심·참심제 도입 등의 개혁방안을 내놓았다. 사개위가 합의한 개혁안은 내년 1월 초 대통령 산하 후속기구로 출범하는 ‘사법제도개혁추진위원회(사개추위)’가 넘겨받아 2년간의 관련 법률 제·개정 절차를 거쳐 구체화한다. ●주요 성과 가장 큰 성과는 무엇보다 사법개혁의 ‘로드맵’을 완성했다는 것이다.2007년부터 배심·참심제를 시범 실시하는 등 국민의 사법참여를 확대,2012년에 정착시키기로 했다. 또 법학교육 정상화와 이른바 ‘고시낭인’의 폐해를 해결하기 위해 2008년부터 로스쿨을 설치, 운영하고 2013년에는 사법시험을 완전히 폐지한다. 그 뒤에는 로스쿨 수료자만이 자격시험인 변호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법조일원화 및 법관임용방식 개선도 주목할 만하다. 사개위는 모든 법관이 임용되기 전에 최소 5년 동안 변호사와 검사 등으로 활동한 경험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2012년까지 신규 판사의 50%를 검사나 변호사 출신으로 임용하기로 했다. 최종 회의에서는 중앙법조윤리협의회 설치 등 법조윤리 제고방안에 대해 합의했다. 앞으로 판·검사, 군법무관 출신 변호사는 이른바 ‘전관’ 기간인 퇴직후 2년간 형사사건과 일부 민사사건은 물론 내사 또는 불기소 사건에 대한 수임자료를 새로 구성되는 중앙법조윤리협의회에 제출해야 한다. 법원과 검찰도 ‘전관’ 변호사의 수임사건 수사 및 재판결과를 제출하도록 했다. ●엇갈린 평가 노동계를 대표해 사개위원으로 참여한 김선수 변호사는 “사법개혁의 큰 그림을 그렸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한 판사는 “지난 10년 동안 사법개혁이 여러차례 시도됐지만 대부분 부분적 점검에 그쳤다.”면서 “하지만 이번에는 후속기구를 통한 ‘실행’까지 준비, 이전과는 다를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 사개위원은 “논의 과제에 비해 시간이 상당히 부족했다.”면서 “결론을 내지 못하고, 후속기구로 검토 요청을 보낸 것도 상당하다.”고 아쉬워했다. 대법원 구성 등 첨예하게 대립되는 사안에 대해 단일안을 도출하지 못하고 다수의견·소수의견으로 개진, 후속기구에서도 여전히 논란의 불씨를 남겼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후속기구 과제 사개위의 개혁안을 넘겨받아 2006년 12월까지 2년간 운영되는 후속기구 ‘사개추위’는 관련 법률의 제정 및 개정에 최대의 주안점을 두게 된다. 개혁안이 법률안 미비로 표류하도록 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대통령이 위촉한 인사와 국무총리가 공동위원장을 맡고 대법관인 법원행정처장, 교육부총리, 법무·국방·행자·노동·기획예산처장관, 법제처장, 국무조정실장,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 등이 당연직 위원으로 참여하는 것에서도 후속기구의 위상을 짐작할 수 있다. 전체 위원회 밑에 차관급 실무위원회 및 추진기획단이 설치된다. 정은주 박경호기자 ejung@seoul.co.kr
  • 법률문구 한자 모두 한글로

    내년 10월9일 한글날부터 현행 법률에 들어 있는 한자 표기가 모두 한글로 바뀐다. 정부는 21일 이해찬 국무총리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어 현행 759개 법률에 혼용된 한자를 전부 한글로 표기토록 하는 내용의 ‘법률 한글화 특별조치법’을 의결했다. 법안은 학교 교육에서 한자를 익히지 못한 세대가 증가, 법률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현실을 반영해 이같은 한글화를 추진, 내년 제559돌 한글날부터 시행토록 했다. 한글로 표기했을 때 뜻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거나 여러 의미로 해석할 수 있는 용어는 괄호 안에 한자를 함께 쓸 수 있도록 했다. 현행 법률안은 모두 1095개로, 이 가운데 328개 법안은 이미 한글화 작업이 완료됐다. 정부는 다만 민법과 형법·형사소송법·상법·어음법·수표법 등 8개 법안은 한글화에 대한 전문적 연구가 필요한 점을 감안, 일단 내년에 대법원과 법무부간 협의체를 구성해 좀더 논의한 뒤 시행하기로 했다. 법제처 관계자는 “전체 대상 법안 가운데 358개 법안의 1835개 단어가 한자와 병용되고, 나머지는 모두 한글로 전환될 것”이라고 밝혔다. 진경호기자 jade@seoul.co.kr
  • 건교부, 農地포함될 경우도 도시개발 허용

    건교부, 農地포함될 경우도 도시개발 허용

    정부가 소규모 도시개발에 주로 활용되는 도시개발법을 통해 행정수도 후속도시 건설을 모색, 성사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건설교통부는 도시개발사업 활성화를 위해 현재 시행절차를 대폭 간소화하는 방향으로 도시개발법 시행령을 개정, 법제처 심사 등을 거쳐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20일 밝혔다. 개정안은 그동안 농지가 포함돼 있으면 도시개발법을 활용하더라도 도시개발이 불가능했으나 앞으로는 농지가 포함된 경우에도 도시개발을 추진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행정수도 특별법 무산시 도시개발법을 통해 행정수도 후속 대안도시 건설을 추진하기 위한 사전포석으로 풀이된다. ●‘도시개발구역 우선 지정제’ 도입 이와 관련, 강동석 건교부 장관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행정수도후속대책위원회가 대안을 확정하면 그것을 뒷받침할 특별법을 만들어야 하는데 2월말까지 여야가 원만히 타협이 안될 경우 도시개발법만 가지고 시작할 수 있도록 이 법의 시행령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이를 위해 농지가 포함된 경우에도 도시개발을 할 수 있도록 고치는 중”이라고 말했다. 개정안은 또 난개발을 막고 계획적인 도시개발을 위해 ‘도시개발구역 우선지정제’를 도입하고, 도시개발구역 지정 절차도 대폭 간소화했다. 이 경우 도시개발구역 지정과 개발계획 수립때까지의 기간은 평균 3년∼3년 2개월에서 1년 6개월로 줄어들 전망이다. 그러나 도시개발법을 통해 추진되고 있는 도시개발은 경기도 화성 남양(78만평)과 병점(12만평), 충남 계룡대실(46만평) 등 중소 규모 도시가 대부분이어서 2000만평을 웃도는 행정수도 후속 대안에 적용할 경우 졸속 논란도 제기될 전망이다. 서강대 김경환 교수(경제학과)는 이에 대해 “충청권의 열망이나 정부 입장을 이해하지 못하는 바는 아니지만 너무 서두르는 것 같다.”면서 “충분한 사전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건교 “판교신도시 개발밀도 하향 가능성” 강 장관은 이와 함께 판교신도시 건설과 관련,“환경영향평가 과정에서 개발밀도를 낮추자는 의견이 제기됐다.”면서 “개발밀도가 하향 조정되면 가구수가 1000∼2000가구 정도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환경영향평가로) 도시개발 면적은 줄어들지 모르지만 전체 개발계획에는 별 차이가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판교신도시는 현재 개발밀도가 인구밀도 ㏊당 96명, 용적률 150%로 책정돼 있지만 환경부가 현재 인구밀도를 ㏊당 80명, 용적률을 135%로 낮출 것을 요구하고 있어 두 부처가 막판 협상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강 장관은 기업도시 개발과 관련해 “오는 28일 ‘기업과 자치단체의 만남’ 행사를 갖고 기업도시 설명회를 열 예정”이라면서 “내년 1월 말까지 기업도시 희망기업과 양해각서(MOU)를 맺은 뒤 5∼6월 1∼2개 시범도시를 확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성곤기자 sunggone@seoul.co.kr
  • 공무원 징계규정안 또 갈등

    공무원 징계규정안 또 갈등

    전국공무원노조의 파업으로 중징계 사태가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공무원노조법 입법에 앞서 처벌 규정을 한층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 정부와 공무원노조간에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정부는 현재 입법을 추진 중인 공무원노조법이 단체행동권을 금지하기 때문에 강화된 처벌규정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공무원노조는 ‘노조를 말살하기 위한 책동’이라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정부 “처벌규정 한단계 높여” 행정자치부는 6일 국회에 계류 중인 공무원노조법 입법에 맞춰 처벌규칙에 대한 개정을 추진중이라고 밝혔다. 입법 내용에 단체행동을 못하도록 돼 있기 때문에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것은 당연하며, 징계 규칙에 없는 정치운동금지에 대한 규정을 마련하는 것도 타당하다는 것이다. 처벌수위는 행자부의 주장처럼 한 단계 높이는 것이지만, 실제 강도는 훨씬 강해 두 가지 조항을 위반하면 사실상 파면·해임·정직 등 중징계가 불가피할 것 같다. 행자부는 현재 국무총리령으로 돼 있는 ‘공무원징계양정 등에 관한 규칙’ 개정안을 마련해 각 부처와 10일까지 협의를 벌이고 있다. 행자부 관계자는 “부처에선 특별한 이견은 없을 것으로 보이며, 협의가 끝나면 최종안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최종안을 마련하면 행자부 장관 결재와 법제처 심사를 거쳐 입법예고한 뒤 총리 결재를 받아 시행할 방침이다. 집단행위금지에 관한 규정의 경우, 비위의 도가 중(重)하고 고의가 있을 때는 현행 ‘파면·해임’에서 ‘파면’으로 강화했다. 또 ‘비위의 도가 중하고 중과실이거나, 비위의 도가 경(輕)하고 고의가 있는 경우’는 현재 ‘정직’에서 ‘해임’으로 격상하는 등 처벌규정을 한 단계씩 높였다. 정치운동금지위반에 관한 징계 규칙은 새로 만들었다. 법에는 금지한다고 규정돼 있는데, 처벌규칙이 없어 지난 4월 공무원노조가 민주노동당 지지를 선언했을 때 ‘성실의무위반’ 규정이나 ‘집단행동금지’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간주해 처벌하던 것을 바로잡는다는 것이다. ●전공노 “노동자 두번 죽이는 처사” 공무원노조는 이날 성명을 내고 “개정안을 마련하면서 홈페이지 등을 통한 광범위한 의견 수렴절차 없이 중앙부처 중심으로 의견을 수렴하는 것에 대해 경악을 금할 수 없다.”면서 “공무원노조법이 아직 국회에 계류 중인 상태에서 하위법령을 개정하는 것은 법치주의 국가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반발했다. 노조는 또 “현행 공무원법은 군사독재정권에 의해 만들어진 법으로 쓰레기통에 버려야 할 것이며, 이에 속한 징계양정규칙은 공무원들을 권력의 시녀로 옭아매는 독소조항으로 가득차 있다.”면서 “처벌 강화가 아니라 처벌 기준을 완화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행자부는 공무원노조 파업과 관련해 이날까지 징계가 이뤄진 인원은 모두 432명이라고 밝혔다. 파면 91명, 해임 126명, 정직 192명, 재심의 23명, 유보 51명 등이다. 조덕현기자 hyoun@seoul.co.kr
  • [인사]

    ■ 재정경제부 ◇부이사관 승진 △감사담당관 박철규 △총무과장 이석준 △혁신담당관 임성균 △기획예산담당관 주용식 △조세정책과장 백운찬 △관세제도과장 우종안 △국제금융과장 윤여권 △금융정보분석원 기획행정실장 이기만 ■ 여성부 △기획관리실 기획예산담당관 尹炫悳 ■ 법제처 ◇서기관 전보 △행정심판관리국 사회복지심판담당관실 梁美香△법제조정실 혁신인사담당관실 姜信九 ■ 한국토지공사 △부사장 權載郁 ■ 현대종합상사 ◇승진 △전무 盧永敦△상무 金種元△이사 鄭仁模 李丁模 孫德煥 ■ 코오롱그룹 ◇승진 △㈜코오롱 부사장 曺喜淨△상무 宋錫政 朴東文 裵成培 成鏞△상무보 崔鍾賢 李水映△코오롱건설 상무 金仁鎬 金武成 李龍哲 元賢洙△상무보 姜震△FnC코오롱㈜ 상무 白培淳 金英洙△코오롱유화㈜ 상무 李載赫 金華中△상무보 金鍾善△코오롱글로텍㈜ 상무보 金敬容 ■ 대신증권 △수지지점장 趙佑振 ■ 신흥증권
  • 6개시 분양권전매 허용 내년에나

    부산 등 6개 지방도시의 분양권 전매가 내년부터 가능할 전망이다. 건설교통부는 부산·대구·광주·울산·창원·양산 등 6개 지방도시의 아파트 분양권 전매 허용과 지방도시의 아파트 후분양제 제외를 골자로 하는 주택공급규칙을 25일 입법예고했다. 이 주택공급규칙 개정안은 15일 동안의 입법예고 기간과 규제개혁위원회, 법제처 심의를 거쳐 시행에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개정안 시행은 당초 예정과 달리 내년으로 넘어갈 것으로 보인다. 각종 심의를 거치는 데 필요한 시일이 최소 한달은 넘게 걸릴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 국민감사청구 대상 확대

    감사원은 국민감사청구제도의 활성화를 위해 청구대상을 지방자치단체 사무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국민감사청구에 필요한 ‘국민 300명 이상’ 조건도 ‘100명 이상’으로 문턱을 대폭 낮출 방침이다. 감사원은 국민감사청구제도 개선을 위해 부패방지법의 개정이 필요하다고 판단, 최근 이같은 개정 의견을 부패방지위원회(위원장 정성진)에 공식 제출했다. 국민감사청구제는 20세 이상의 국민이 공공기관의 사무가 법령위반이나 부패행위로 인해 공익을 저해한다고 판단될 경우,300명 이상의 연서를 받아 감사원에 감사청구를 하는 제도로, 지자체 사무는 제외됐었다. 감사원 관계자는 “자치단체 사무까지 국민감사청구 대상으로 포함시키면 국민이 모든 행정사항 전반에 감사를 청구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감사원의 국민감사청구 확대 추진은 최근 지방공기업, 제3섹터, 지방기금 등에 대한 특별감사를 통해 지자체의 방만한 예산운용에 제동을 걸겠다는 감사원의 감사 방향과도 관련이 있다. 부방위는 감사원의 개정 의견에 대해 ‘관계기관과의 추가 협의가 필요하다.’는 내용의 답신을 감사원에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부방위 관계자는 “지자체는 물론 관계부처와 충분한 의견수렴이 돼야 한다.”면서 “이미 올해 정기국회에 제출할 부패방지법 개정안이 법제처 심사과정에 있기 때문에 의견이 반영된다 해도 다음 부패방지법 개정 때나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혜승기자 1fineday@seoul.co.kr
  • [수도이전 위헌 파장] 강금실 前법무 ‘위헌’ 경고 했었다

    [수도이전 위헌 파장] 강금실 前법무 ‘위헌’ 경고 했었다

    강금실 전 법무부장관이 헌법재판소의 신행정수도건설특별법 위헌 결정을 석달전 예견한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다. 22일 여권의 핵심 관계자에 따르면 강 전 장관은 지난 7월 퇴임 직전 각료 중 유일하게 헌재의 위헌 결정 가능성에 우려를 표시했다는 것이다.‘정보력’에 의한 것인지,‘법적 판단 능력’에 따른 것인지 주목된다. 이 관계자는 “강 전 장관이 ‘간단히 볼 문제가 아니다. 위헌 결정이 날 것 같다.’고 지적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다른 장관들 대부분은 “그렇지 않다. 괜찮다.”고 말했다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다. 이 자리는 7월 15일 신행정수도건설특별법에 대한 헌법소원과 관련,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열린 당정회의였다는 것이다. 강 전 장관은 “보수적인 헌재 구성원들의 성향상 쉽게 합헌 결정이 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고 또 다른 참석자도 전했다. 강 전 장관은 특히 법제처가 노무현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을 맡았던 법무법인을 헌법소원 정부대리인으로 정하겠다고 보고하자 “이번 사안은 탄핵과 성격이 다르다. 좀더 면밀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주문했다고 한다. 헌법소원이 제기된 지 사흘 만에 열린 이날 회의에서는 강 장관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행정수도 이전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그래서 건설교통부 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범정부 대책반과 당·정·청이 참여하는 특별협의체도 구성키로 결정했다. 당시 이해찬 총리와 신기남 의장, 천정배 원내대표, 정동영 통일부 장관 등 관련부처 장관과 청와대 정책 브레인들이 참석했다. 열린우리당의 원내 관계자는 “뒤돌아보면 강 전 장관이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만시지탄의 감도 없지 않다.”고 말했다. 김준석기자 hermes@seoul.co.kr
  • 재임용탈락 교수 재심사기회

    교육인적자원부는 기간제나 계약제로 임용된 대학교수가 재임용 과정에서 제대로 심사를 받을 수 있도록 관련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교육부는 또 1975년 이후 재임용 탈락자들이 재심사를 받을 수 있도록 소급입법을 의원입법 형태로 추진하기로 했다. 이는 ‘재임용을 거부당한 교원이 구제받을 수 있는 길이 완전히 차단된 것은 헌법에 명시된 교원지위 법정주의에 위반된다.’는 지난해 2월 헌법재판소의 헌법 불합치 결정에 따른 것이다. 교육부는 “법제처가 재임용 관련 사전·사후 구제 절차를 마련하기 위한 교육공무원법과 사립학교법, 교원 지위 향상을 위한 특별법 개정안을 심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대학인사위원회는 학생교육과 학문연구, 학생지도 등 객관적 사유에 근거해 재임용 여부를 심의하고 해당 교원에게 의견을 제출할 기회를 줘야 한다. 또 임용권자는 재임용하지 않기로 결정했을 때는 거부 사유를 기재한 통지서를 발송해야 하며, 재임용이 거부된 교원은 통지서를 받은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재심 청구를 할수 있다. 교육부는 1975년 이후 재임용 탈락 교수 439명(대학 327명, 전문대 112명)의 탈락 결정이 정당한 기준에 의해 이뤄졌는지 재심사하기 위해 ‘대학교원 기간제 임용 탈락자에 대한 특별법’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법안은 교원징계재심위원회에 특별위원회를 설치, 재심사 신청을 받은 뒤 재임용 탈락 결정의 적법성과 타당성을 따지도록 했다. 탈락자는 법이 시행되면 6개월 이내에 재심사 신청을 해야 하고, 특별위원회는 신청을 받은 날로부터 90일(서류가 없거나 법인이 해체되는 등 객관적 자료가 없는 때는 120일)이내에 결론을 내려야 한다. 안동환기자 sunstory@seoul.co.kr
  • 인터넷주소분쟁조정위원 23명 위촉

    정보통신부는 도메인 이름과 같은 인터넷주소의 등록 및 사용과 관련해 발생하는 분쟁을 사법절차 이전에 조정하는 인터넷주소분쟁조정위원회 제1기 위원 23명을 위촉했다.상담과 조정신청은 (02)2186-4564나 www.idrc.or.kr를 이용하면 된다.다음은 위원 명단. ◇위원장△장문철 경찰대학교 교수◇위원 △김원오 숙명여대 교수△이대희 인하대 교수△윤선희 한양대 교수△김영·도두형·한상욱·황보영·김갑유 변호사△최재혁 법원행정처 정보화담당관△최성준 서울지법 부장판사△백승민 대검찰청 컴퓨터수사과장△남호현 특허법률사무소장△허정훈 리인터내셔널특허법률△김종윤 신세기특허법률△조철현 우리특허법률사무소△이덕재 김·신·유 특허법률사무소△안상배 제일국제법률특허사무소△정찬모 정보통신정책연구원△서정일 대한상사중재원△제정부 법제처 법제심의관△최덕철 특허청 심사기준과장△백기훈 정통부 인터넷정책과장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