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운 고기는 꼭 채소랑
삼겹살, 소고기, 소시지 등을 구울 때 생기는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의 독성을 낮추려면 상추, 양파, 마늘 등의 채소를 함께 섭취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 발표한 성정석 동국대 교수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벤조피렌 체내 독성 저감률이 15% 이상인 식품은 셀러리(20.88%), 미나리(18.73%), 양파(18.12%), 상추(15.31%)와 후식으로 먹는 계피(21.79%), 홍차(20.85%), 딸기(18.76%) 등 7종이었다.
또 독성 저감률이 15% 이상인 식품 유래 단일성분은 퀘세틴(36.23%, 양파), 실리마린(29.59%, 엉겅퀴), 쿠르쿠민(28.35%, 강황), 미리세틴(23.97%, 마늘), 타마리세틴(22.98%, 쑥), 유제놀(18.61%, 계피), 캠퍼롤(17.48%, 상추), 아스코르빈산(16.26%, 과일 및 채소) 등 8종이었다. 벤조피렌 독성 저감률이 높은 식품과 단일성분은 발암 가능성도 낮추는 효과를 보였다. 식품에서는 상추(60%), 홍차(45%), 양파(40%), 셀러리(20%) 순으로 발암성 억제 효과를 보였다. 단일성분은 미리세틴(65%), 아스코르빈산(50%), 캠퍼롤(45%) 순이었다.
연구팀은 벤조피렌을 넣은 간암 세포에 식품 추출물 등을 각각 주입하고 48시간 후 세포 생존율 변화를 살피는 방식으로 독성 저감률을 평가했다. 또 발암성 억제 효과는 벤조피렌이 사람 몸속에서 대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발암 성분이 얼마나 줄었는지로 측정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구이류, 식육가공품, 훈제건조어육을 먹을 때는 채소와 함께 섭취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