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발암물질
    2025-09-08
    검색기록 지우기
  • 과속
    2025-09-08
    검색기록 지우기
  • 여성
    2025-09-08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672
  • 안양시, 경기도에 이어 연현마을 아스콘 공장 부지 공영 개발 추진

    발암물질인 ‘벤조 a 피렌’ 등 대기오염물질 배출로 경기도 안양시 석수동 연현마을 주민과 오랫동안 갈등을 빚어온 아스콘 공장이 공영 개발될 전망이다. 안양시는 아스콘 공장 제일산업개발 부지를 경기도와 협력해 공영개발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20일 밝혔다. 최대호 시장은 “어린 학생들이 피해를 입은 것이 안타깝다며 연현마을 주민의 숙원사업이 근본적을 해결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라고 입장을 밝혔다 아스콘 공장이 위치한 지역은 자연녹지지역으로 개발제한구역이다. 공영개발을 위해서는 관련 법령에 따라 개발제한구역 해제, 도시기본계획 및 도시관리계획 변경 등 행정절차를 거쳐야 한다. 하지만 시는 시민들 건강과 직결돼 있는 문제인만큰 도와 시는 협치를 통해 행정절차에 걸리는 시간을 최대한 단축하기로 했다. 지난 3일 임기 첫 현장방문지로 연현마을을 찾은 이재명 경기지사도 4자 협의체(지역주민과 사업자, 경기도와 안양시) 구성을 통한 공영개발을 약속했다. 이 지사는 “사업자가 흔쾌히 참여할 수 있도록 이익을 나눌 수 있어야 합리적 해결이 가능하다”라며 “협의체를 통해 빠른 시간 내에 해결 방안을 만들면 도지사가 할 수 있는 권한 내에서 최대한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지난 4일 출입기자와 오찬간담회에서도 “아스콘 공장을 수용해 업체와 주민이 참여하는 아파트 건설 등 공영개발하는 방안”을 해법으로 재차 제안했다. 하지만 이 지사의 거듭된 공영개발 약속에도 연현마을 학부모들은 자녀의 등교를 거부하며 공장 재가동 반대 시위를 벌이고 있다. 지난 17일에는 연현초교 재적학생 673명 중 224명이 등교하지 않았다. 이는 지난 9일 제일산업개발이 제출한 가동재기 신고를 경기도가 수리하는 등 아스콘 공장 재가동 조짐이 보이자 학부모들이 강하게 반발한 것이다. 안양시도 지난 11일 해당 업체가 제출한 악취저감시설 변경신고를 반려하지 않고 법에 따라 검토중에 있다. 지난 13일 연현초교 학생들과 학부모 등 500여명이 안양시청에서 해당 업체가 낸 배출시설 변경신고를 반려하라며 집회를 벌이기도 했다. 하지만 주민들이 공장 폐쇄나 이전을 요구하고 있지만, 회사 측은 생계 문제를 거론하며 그럴 수 없다는 입장이다. 경기도 관계자도 “벤조 a 피렌에 대한 법적 허용기준이 없어 이 물질이 나왔다는 이유만으로 강제 폐쇄의 강한 처분을 내릴 수 없다”고 밝혔다. 또 공장 가동 중단 기간을 마냥 연장하기도 어렵다”라고 말했다. 경기도에 이어 안양시가 또 다시 제알산업개발 부지를 공영 개발 추진 의사를 밝혀 아스콘 공장 재가동을 놓고 빚어온 갈등이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지 주목된다. 남상인 기자 sanginn@seoul.co.kr
  • 중국산 발암물질 고혈압약 이어 광견병 백신 생산중단

    중국산 발암물질 고혈압약 이어 광견병 백신 생산중단

    중국산 고혈압약의 발암물질 논란이 가라앉기도 전에 이번에는 광견병 백신이 약품 품질 관리 규정을 어긴 것이 발견돼 생산이 중단됐다. 중국 내에서도 “광견병의 치사율은 100% 아닌가? 우리 생명을 가지고 장난치는 거 아니냐”며 시민들의 분노가 들끓고 있다. 특히 애완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광견병 백신의 수요도 빠르게 증가한 상태라 이미 접종을 마친 시민들의 불안도 커지고 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17일 의약품 감독 당국이 최근 지린성 창춘시의 ‘창춘창성(長生) 바이오테크놀로지’에 대한 불시 검사를 벌였다가 생산 기록 조작 등 약품 품질 관리에 관한 매뉴얼을 위반한 것을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창춘창성은 중국 내 광견병 백신 시장 2위를 차지하는 회사로 시장점유율은 23%며 지난해 355만명 분량의 백신을 생산했다. 이 회사가 생산한 광견병 백신은 인도, 캄보디아, 나이지리아 등에서도 판매허가를 획득했다. 감독 당국은 창춘창성의 광견병 백신 제조와 관련된 의약품 제조 인증을 즉시 취소하고, 추가 조사에 들어갔다. 창춘창성은 성명을 내고 “질병통제센터와 병원에 보낸 광견병 백신을 자발적으로 회수했다”며 “수년간 이 백신의 부작용을 모니터링했지만 백신 품질과 관련해 어떠한 부작용도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창춘창성은 지난해에도 자사 생산 DPT(디프테리아·백일해·파상풍) 백신이 품질 기준에 미달한다는 사실이 밝혀져 곤욕을 치렀다.  지난 5일 유럽의약청(EMA)은 중국 제약사 제지앙화하이가 제조한 의약품 원료 ‘발사르탄’에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물질인 ‘N-니트로소디메틸아민’(NDMA)이 들어있다는 사실을 공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을 비롯한 28개국에서 이 제품에 대해 판매중지와 제품회수 등의 조치에 들어갔다. 발사르탄은 고혈압약에 많이 들어가는 원료다.  애완동물을 키우다 상처를 입어 광견병 백신을 접종한 중국인들은 충격에 빠졌다. 중국에서 지난해 새로 특허 출원된 6건의 백신 가운데 2개가 광견병 백신일 정도로 광견병 백신 수요는 늘고 있다. 2016년에는 전년 대비 12.5% 증가한 6억 5600만위안(약 1102억원) 규모의 광견병 백신이 생산됐다.  제약회사들이 생산 기록을 조작하는 이유는 원가를 절감하고 이윤을 남기려는 목적 때문이라고 신화통신은 분석했다. 이어 문제가 생긴 제약업체에는 막대한 규모의 과징금을 부과하고 엄격한 단속을 벌여야만 중국산 약품에 대한 오명을 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베이징 윤창수 특파원 geo@seoul.co.kr
  • 유전자 변형식품, 희망인가 악몽인가…또 불거진 안전성 논란

    유전자 변형식품, 희망인가 악몽인가…또 불거진 안전성 논란

    우리는 알게 모르게 이미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유전자변형농산물(GMO)을 먹었다. 식품의약안전처에 따르면 지난 2013년부터 지난해 8월까지 우리나라가 수입한 GMO는 961만 623t에 이른다. 이들 작물은 물엿, 전분, 과당 등 식품으로 가공돼 우리 식탁에 올라왔다. GMO란 특정 생물의 유전자 가운데 병충해·살충제·제초제 내성 등 유용한 유전자를 추출해 다른 생물체에 삽입해 만든 새로운 품종이다. GMO의 대명사는 농업생물공학기업 ‘몬산토’다. 몬산토는 지난 6월 독일의 바이엘에 인수됐다. 바이엘사는 몬산토 브랜드명은 유지하기로 했다. 몬산토는 전 세계 GMO 90%의 특허권을 갖고 있다. 옥수수, 콩 등이 주력 상품이다. GMO의 안전성에 대한 논쟁은 현재진행형이다. 과학계에서는 GMO가 안전하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과학계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미국 국립과학아카데미(NAS)는 2016년 7월 “80여 명의 전문가가 900여 건의 학술 결과를 검토한 결과, GMO가 인체 건강에 영향을 준다는 과학적 근거가 없다”고 발표했다. 세계보건기구(WHO), 미국 정부, 미국 의사협회(AMA) 등도 GMO가 안전하다는 입장이다. 20년 동안 수많은 사람이 GMO를 섭취했으나 건강을 해쳤다는 명확한 사례가 드러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인도주의적 입장에서 GMO를 옹호하기도 한다. 뉴스위크는 “GMO가 세상을 기아로부터 구할 수 있다”면서 “지구온난화, 가뭄, 벌레의 증가로 농작물은 줄어들지만, 인간의 수는 급속하게 늘어났다. GMO가 식량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미치 대니얼스 미 퍼듀대 총장은 “식량난을 겪는 아프리카 국가에 가보라. 반(反) GMO 시위자를 한 명도 찾을 수 없을 것”이라면서 “생명을 구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려는 열의를 막는 것은 반과학이 아니라 부도덕”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시민사회단체 푸드앤워터와치는 “GMO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가 편파적”이라면서 “연구 자체가 생물공학 산업에 친화적인 측에 의해 시행되거나, 상당한 자금 지원을 받는다”고 비판했다. 앞서 GMO가 무해하다고 발표했던 NAS의 임원진에도 몬산토 등 GMO 기업 출신들이 포진하고 있었다. 보고서 작성에도 GMO 업계와 관계자들이 대거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푸트앤워터와치는 “보다 독립적인 장기 안정성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책임 있는 기술연구소(IRT)’는 GMO가 암을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IRT에 따르면 몬산토사가 만든 GMO 옥수수에는 푸트레신, 카다베린 등 암,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 성분이 검출됐다. 또 이 옥수수에 뿌리는 농약에서는 세계보건기구(WHO)가 발암물질로 분류한 글리포세이트가 다량 함유된 사실도 드러났다. 이외에도 GMO가 장, 간, 신장 등 기관에 장애를 미치며 생식기 장애 및 면역체계 교란의 원인이 된다는 연구가 존재한다. 현재 프랑스, ??인도,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이탈리아, 러시아 등이 GMO를 금지한다. 그린피스는 반GMO가 합리적인 판단이라고 강조했다. 그린피스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우리는 연구소를 설립해 과학자들과 함께 활동하고 있다. GMO에 대한 우리의 우려는 반과학적인 것이 아니다”라면서 “통제된 환경에서 신약개발, 과학적 실험을 위해 GMO를 사용하는 것까지 반대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생태계에 노출되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한다”고 밝혔다. 그린피스는 GMO 문제에 있어 ‘사전예방적 접근’을 강조했다. GMO가 환경에 노출됐을 때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연구가 아직 부족하며, 일단 한 번 노출되면 곤충의 교배, 작물의 수분 등으로 유전자 변이가 급속도로 확산돼 원상태로 되돌릴 수 없다는 것이다. 그린피스에 따르면 1997년부터 최근까지 GMO가 자연종의 유전자 변형을 초래한 사실이 수백 건 이상 확인됐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
  • ‘교통량 통제’ 대기 오염물질 최대 44% 줄인다

    ‘교통량 통제’ 대기 오염물질 최대 44% 줄인다

    교통량 통제하지 않은 신촌역보다 ‘유플렉스’ 질소산화물 44% 낮아인접한 지역이라도 교통량을 통제하면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 물질이 최대 44.5%가량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소속 국립 환경과학원은 수도권 대기환경청과 지난 4월 24일부터 9일간 서울 서대문구 연세로 일대의 교통혼잡 지역인 신촌역과 인접한 대중교통전용지구 유플렉스 광장을 대상으로 대기질을 비교 측정한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조사 기간은 서울시가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를 발령한 날은 아니었지만 환경과학원은 해당 조치의 효과성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비교 측정을 시행했다. 올 초 서울시 등에서 발령한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의 효과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하려는 시도다. 분석 대상이었던 신촌역 7번 출구 일대는 교통량이 매우 많고 혼잡한 지역이다. 반면 비교 대상으로 정한 유플렉스 광장은 승용차를 포함해 일반 차량의 통행을 제한하는 대중교통전용지구다. 대기오염 이동측정차량 등을 활용해 측정한 결과 미세먼지 농도가 신촌역은 51.2㎍/㎥이었고, 유플렉스는 47.6㎍/㎥로 약 7%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미세먼지 성분을 들여다보면 교통량을 통제하지 않은 신촌역에선 특히 경유차에서 주로 나오는 ‘질산염’과 ‘원소탄소’가 유플렉스보다 각각 29.6%, 30.6% 높았다. 4월 25일과 28일은 유플렉스의 미세먼지 농도가 높게 나오기도 했다. 이에 대해 환경과학원은 “25일은 지역적 바람과 특이 배출원의 영향으로 추정되며, 28일은 유플렉스 광장에서 개최된 행사로 유동 인구가 증가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 미세먼지를 생성하는 원인을 제공하는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 농도도 유플렉스가 신촌역보다 각각 37.2%, 44.5% 낮았다. 벤젠과 톨루엔 등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농도도 유플렉스가 신촌역보다 31~36%가량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벤젠은 특히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1급 발암물질로 지정된 오염물질이다. 측정 기간 벤젠의 평균 농도는 신촌역 주변에서 0.928ppb, 유플렉스 주변에선 0.598ppb로 36%의 차이를 보였다. 환경과학원은 우리나라 벤젠의 대기환경 기준은 연평균 5㎍/㎥로 이를 표준 상태로 환산하면 1.5ppb이기 때문에 이번 측정결과가 환경 기준을 초과하는 수준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 톨루엔은 신촌역(2.494ppb)이 유플렉스(1.621ppb)보다 35% 많았다. 이번 측정 결과는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에 따른 교통량 통제가 실제로 대기오염 물질 배출을 낮추는 데 큰 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유플렉스 일대는 압축천연가스(CNG) 버스와 비상 차량만 운행할 수 있는 보행자 중심의 대중교통전용지구다. 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앞으로도 고농도 미세먼지 사례 때 비상저감조치를 발령해 적극적으로 교통 수요를 관리한다면 대기질 개선 효과가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 죽음의 공장 ‘아스콘’… 1급 발암물질 ‘벤조피린’ 검출

    죽음의 공장 ‘아스콘’… 1급 발암물질 ‘벤조피린’ 검출

    11일 방송된 KBS 2TV ‘추적60분’에서는 지난 십여 년 간 원인모를 질병에 시달리는 아이들이 늘면서 두려움에 떨고 있는 경기도 안양시 연현마을을 찾았다. 연현마을 주민들은 각종 질환의 원인으로 낮은 야산 너머 아스콘 공장을 의심하고 있다. 석유 찌꺼기를 가열해 크고 작은 골재와 고온에서 섞어 만드는 아스콘. ‘아스콘’은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줄임말로 포장도로 등 일상에서도 쉽게 접하는 물질이다. 바람이 불 때면 고무가 타는 것 같은 냄새와 검은 분진이 날아와, 두통과 구역질에 시달린다는 주민들. 이사 온 직후부터 알레르기성 비염과 급성 폐쇄성 후두염 등 호흡기 질환을 달고 살았다는 8살 준영(가명)이. 감기가 낫지 않아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길 수차례, 급기야 한밤중에 혈변을 쏟아내 응급실에 실려가기도 했었다. 답답한 것은 각종 검사를 받아도 도무지 병의 원인을 알 수 없다는 것. 호흡기 질환 외에도 아토피성 피부질환 환자가 유독 많은 것도 이 마을의 특징이다. 수시로 코피를 쏟는 아이, 면역질환인 한포진으로 손발에 물집이 잡혀 진물이 나는 아이까지 즐비했다. 제작진은 연현마을 아스콘 공장 인근 6가구와, 주변에 공장이 없는 서울 강동구의 2가구를 선정, 에어컨 필터, 공기청정기, 창틀 등에 쌓인 ‘먼지’를 수거해 성분 분석을 의뢰했다. 그 결과, 분석 내용은 충격적이었다. 연현마을에 위치한 4가구에서 1급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이 검출된 것. 유해물질에 노출됐을 때, 가장 먼저 피해를 입는 이들은 바로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로 전해졌다. 하루의 대부분을 학교에서 보내는 우리 아이들은 과연 얼마나 안전할까. 취재진은 국내 최초로 전국에 있는 아스콘 공장 5백여 곳과 공교육기관(유치원, 초,중,고등학교 및 특수학교) 2만여 곳의 주소를 입수해 각각의 거리를 측정, 분석했다. 그 결과, 아스콘 공장으로부터 500m 이내에 위치한 학교의 수는 58곳에 달했다. 1.5km 이내에 위치한 학교 수는 무려 904곳. 제작진이 만난 한 아스콘 공장 관계자는, 자신의 공장에서 직접 점검한 자체 시험성적서와 함께 일부 공장의 경우 배출되는 먼지량 등 신고서를 허위로 작성한다고 폭로했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 [사설] 고혈압 환자에게 신속 고지하고 복제약 성분분석 나서라

    인체 발암물질 추정이 의심되는 성분의 중국산 고혈압 치료제 판매중지 사태로 고혈압 환자들의 불안이 확산되고 있다. 해당 고혈압 치료제를 처방받은 환자들에게 병원에서 연락한다고 했으나 연락을 받지 못한 환자가 부지기수다. 다른 혈압약을 처방받기 위해 병원을 찾은 환자들 가운데에는 내지 않아도 되는 본인부담금을 낸 경우도 있다. 고혈압 환자는 600만명이 넘는다. 정부는 고혈압 환자들의 건강관리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해당 치료제를 처방받은 환자들에게 이 사실을 신속히 알리는 한편 이번 사태를 계기로 의약품 안전성 제고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그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고혈압 치료제인 ‘발사르탄’ 원료 의약품에 대한 판매중지 및 회수 조치를 내렸다. 유럽의약품안전청(EMA)이 발사르탄에서 제2군 발암 추정 의심 물질인 N니트로소디메틸아민(NDMA)이 나와 제품을 회수 중이라고 발표한 데 따른 조치다. 이후 보건복지부 대책에 따라 해당 고혈압 치료제를 처방받은 환자는 자신이 이용하던 의료기관에서 본인 부담 없이 다른 약을 처방받을 수 있다. 다니던 병의원을 못 갈 경우 약국에서 무료로 교환받을 수도 있다. 환불 조치는 고혈압약은 장기 복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빠졌다. 정부가 발사르탄이 들어간 제품들에 대한 잠정 판매·제조 중지를 신속히 결정한 것은 적절했다. 최근 3년간 발사르탄 국내 제조·수입량은 총 48만 4682㎏이고 문제의 중국산 발사르탄은 2.8%(1만 3770㎏)다. 대한의사협회에서는 정부의 긴급 판매중지 조치가 이해된다면서도 1군 발암물질이 아니라 간디스토마 수준의 2군 발암물질인 만큼 성급했다는 지적을 하나 발표를 미뤄 생겼을 국민 불안을 감안하면 신속한 발표는 적절했다고 평가한다. 하지만 후속 조치가 더 중요하다. 해당 고혈압 치료제를 복용 중인 환자 가운데에는 이런 소식을 접하지 못했거나 고령의 환자들도 많이 있을 것이다. 보건 당국과 의·약사는 해당 고혈압 치료제를 복용 중인 환자들에게 이 사실을 신속히 안내해 혈압 관리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나아가 정부는 복제약의 성분 분석에도 좀더 신경을 기울이길 당부한다. 세계보건기구 산하기관에서 NDMA 물질을 발암추정 의심 물질로 정한 것은 1987년이다. 성분 분석만 제대로 했더라도 이번에 유럽에서 적발하기 전에 대응 조치를 마련할 수 있었을 것이다.
  • 고혈압약 끊으면 더 위험… 대체약 재처방 받아야

    고혈압약 끊으면 더 위험… 대체약 재처방 받아야

    발사르탄 성분 자체 문제없지만 中회사 의약품은 발암물질 함유 문제가 된 115개 제품은 ‘복제약’ ‘오리지널’ 약으로 교체하면 안전 1회에 한해 본인 부담금 면제발암물질이 들어간 고혈압약 판매 금지 조치와 관련해 고혈압 환자들의 궁금증이 늘고 있다. 일부 고혈압 환자들은 약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드러내기도 한다. “이번 기회에 약을 끊어야겠다”고 선언하는 환자도 있다. 그러나 이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위험천만한 행동이다. 혼란을 막기 위해 10일 고혈압약 사태와 관련해 환자들이 궁금해하는 부분과 꼭 알아야 할 사실들을 점검해 봤다. →고혈압약을 먹으면 건강이 나빠지나. -아니다. 발사르탄 성분의 고혈압약 자체는 문제가 없다. 그렇지만 최근 중국의 제약사 ‘제지앙 화하이’에서 제조한 발사르탄 원료에서 불순물인 ’N니트로소디메틸아민’(NDMA)이 발견돼 문제가 생겼다. NDMA는 동물실험에서 발암 위험성이 확인된 물질로, 세계보건기구(WHO)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인간에게 암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인 2A군으로 분류한다. 그래서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화하이의 발사르탄 원료로 만든 115개 제품을 긴급히 제조·판매 중지 조치한 것이다. →그래도 불안해서 약을 끊고 싶은데. -위험한 행동이다. 발사르탄은 혈관을 수축하는 호르몬 분비를 억제해 혈압을 낮추는 약물이다. 약을 먹지 않으면 혈압이 급상승한다. 임의로 약 복용을 중단해도 당장 1~2주 정도는 큰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그래서 “별 문제 없다”고 안심하는 분들이 많다. 그러나 일정 기간이 지나면 혈압이 예전 수준으로 높아지고 뇌출혈, 심부전과 같은 심혈관질환 위험이 급상승한다. 3개월이 지나면 최대 70%의 환자가 예전 수준으로 혈압을 회복한다고 학계에 보고돼 있다. 그래서 약을 임의로 끊었다고 해도 가급적 일주일 이내에 다시 복용해야 한다. →약을 바꾸는게 어렵지 않나. -그렇지 않다. 이번에 문제가 된 115개 제품은 대부분 중소형 제약사의 ‘복제약’들이다. 그래서 저가의 복제약 출시 경쟁이 이번 사건의 핵심 원인이라는 지적이 있다. 발암물질 함유 가능성이 있는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면 문제가 없는 ‘오리지널’ 약으로 교체하거나 제지앙 화하이의 원료를 사용하지 않은 다른 복제약으로 처방을 받으면 된다. 발사르탄 성분의 고혈압약은 571개 제품이 출시돼 있어 나머지 456개의 약은 안전하다고 볼 수 있다. 대형병원에서는 의사들 사이에서 신뢰도가 높은 오리지널 약을 처방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아 큰 문제가 없었다고 한다. →NDMA라는 물질이 위험하지 않다는 지적도 있는데. -일부 논쟁이 있는 부분이다. NDMA는 해산물과 육류를 포함한 식품뿐 아니라 물, 공기 중에서도 소량 검출되는 물질이다. NDMA가 속한 발암물질 2A군에는 대장암 위험을 높이는 ‘붉은색 고기’, 커피를 끓이거나 감자를 구울 때 나오는 ‘아크릴아마이드’도 포함돼 있다. 문제의 고혈압약을 먹은 뒤 환자가 보고한 부작용은 발진, 가려움질, 구역질, 어지럼증 등 일반적인 것들이었다. 이런 사실을 기초로 과도한 공포감을 가질 필요는 없다고 설명하는 전문가들도 있다. 그렇지만 완전히 안심할 수는 없다. NDMA는 1954년 동물실험에서 위험성이 처음 확인됐다. 다량 노출되면 급성 간 손상을 일으키고 만성적으로 노출되면 간암, 신장암, 폐암 등 다양한 부위의 암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혈압약은 매일 먹어야 하기 때문에 극소량의 유해 물질이 함유됐다고 해도 위험할 수 있다. 유럽의약청(EMA)은 문제가 된 제품을 모두 회수하도록 조치했다. 따라서 지금 문제가 된 115개 제품 중 하나를 복용하고 있다면 의사와 상의해 다른 제품으로 처방을 변경해야 한다. 의료기관을 방문하면 1회에 한해 본인 부담금을 면제해 주고 환자의 상황에 맞는 고혈압약을 다시 처방해 준다. 현재 식약처에서는 관련 제품을 회수해 불순물 조사를 하고 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 [팩트 체크] 지금 먹는 고혈압약 끊어야 할까

    [팩트 체크] 지금 먹는 고혈압약 끊어야 할까

    발사르탄 성분 자체 문제없지만中회사 의약품은 발암물질 함유문제가 된 115개 제품은 ‘복제약’‘오리지널’ 약으로 교체하면 안전1회에 한해 무료로 재처방 가능 발암물질이 들어간 고혈압약 판매 금지 조치와 관련해 고혈압 환자들의 궁금증이 늘고 있다. 일부 고혈압 환자들은 약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드러내기도 한다. “이번 기회에 약을 끊어야겠다”고 선언하는 환자도 있다. 그러나 이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위험천만한 행동이다. 혼란을 막기 위해 10일 고혈압약 사태와 관련해 환자들이 궁금해하는 부분과 꼭 알아야 할 사실들을 점검해 봤다. →고혈압약을 먹으면 건강이 나빠지나. -아니다. 발사르탄 성분의 고혈압약 자체는 문제가 없다. 그렇지만 최근 중국의 제약사 ‘제지앙 화하이’에서 제조한 발사르탄 원료에서 불순물인 ’N니트로소디메틸아민’(NDMA)이 발견돼 문제가 생겼다. NDMA는 동물실험에서 발암 위험성이 확인된 물질로, 세계보건기구(WHO)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인간에게 암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인 2A군으로 분류한다. 그래서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화하이의 발사르탄 원료로 만든 115개 제품을 긴급히 제조·판매 중지 조치한 것이다. →그래도 불안해서 약을 끊고 싶은데. -위험한 행동이다. 발사르탄은 혈관을 수축하는 호르몬 분비를 억제해 혈압을 낮추는 약물이다. 약을 먹지 않으면 혈압이 급상승한다. 임의로 약 복용을 중단해도 당장 1~2주 정도는 큰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그래서 “별 문제 없다”고 안심하는 분들이 많다. 그러나 일정 기간이 지나면 혈압이 예전 수준으로 높아지고 뇌출혈, 심부전과 같은 심혈관질환 위험이 급상승한다. 3개월이 지나면 최대 70%의 환자가 예전 수준으로 혈압을 회복한다고 학계에 보고돼 있다. 그래서 약을 임의로 끊었다고 해도 가급적 일주일 이내에 다시 복용해야 한다. →약을 바꾸는게 어렵지 않나. -그렇지 않다. 이번에 문제가 된 115개 제품은 대부분 중소형 제약사의 ‘복제약’들이다. 그래서 저가의 복제약 출시 경쟁이 이번 사건의 핵심 원인이라는 지적이 있다. 발암물질 함유 가능성이 있는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면 문제가 없는 ‘오리지널’ 약으로 교체하거나 제지앙 화하이의 원료를 사용하지 않은 다른 복제약으로 처방을 받으면 된다. 발사르탄 성분의 고혈압약은 571개 제품이 출시돼 있어 나머지 456개의 약은 안전하다고 볼 수 있다. 대형병원에서는 의사들 사이에서 신뢰도가 높은 오리지널 약을 처방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아 큰 문제가 없었다고 한다. →NDMA라는 물질이 위험하지 않다는 지적도 있는데. -일부 논쟁이 있는 부분이다. NDMA는 해산물과 육류를 포함한 식품뿐 아니라 물, 공기 중에서도 소량 검출되는 물질이다. NDMA가 속한 발암물질 2A군에는 대장암 위험을 높이는 ‘붉은색 고기’, 커피를 끓이거나 감자를 구울 때 나오는 ‘아크릴아마이드’도 포함돼 있다. 문제의 고혈압약을 먹은 뒤 환자가 보고한 부작용은 발진, 가려움질, 구역질, 어지럼증 등 일반적인 것들이었다. 이런 사실을 기초로 과도한 공포감을 가질 필요는 없다고 설명하는 전문가들도 있다. 그렇지만 완전히 안심할 수는 없다. NDMA는 1954년 동물실험에서 위험성이 처음 확인됐다. 다량 노출되면 급성 간 손상을 일으키고 만성적으로 노출되면 간암, 신장암, 폐암 등 다양한 부위의 암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혈압약은 매일 먹어야 하기 때문에 극소량의 유해 물질이 함유됐다고 해도 위험할 수 있다. 유럽의약청(EMA)은 문제가 된 제품을 모두 회수하도록 조치했다. 따라서 지금 문제가 된 115개 제품 중 하나를 복용하고 있다면 의사와 상의해 다른 제품으로 처방을 변경해야 한다. 의료기관을 방문하면 1회에 한해 본인 부담금을 면제해 주고 환자의 상황에 맞는 고혈압약을 다시 처방해 준다. 현재 식약처에서는 관련 제품을 회수해 불순물 조사를 하고 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 ‘발사르탄’ 성분 약제 복용 중이라면 처방한 병·의원 방문해 약 교체해야

    발암 유발 물질이 함유된 ‘발사르탄’ 성분의 고혈압약과 관련한 환자들의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9일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저처에 문의해 재처방 등 환자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내용에 대해 알아봤다. ●약 환불 안 되고 남은 약은 교환 가능→약품 환불도 가능한가. -환불은 불가능하다. 의심되는 약제를 복용 중인 환자는 해당 의약품을 처방한 의원, 병원을 방문해 처방 변경을 하면 된다. 다만 기존 처방을 받은 병·의원, 약국에서 약을 재처방할 때 1회에 한해 환자 본인이 부담해야 하는 본인부담금을 없앴다. 의료기관을 방문할 수 없어 약국에만 방문할 때도 의약품 교환이 가능하다. 복용하고 남은 약만 교환이 가능하다. 또 반드시 남아 있는 약을 병·의원, 약국에 가져가야 교환할 수 있다. 재처방 과정에서 본인부담금을 냈으면 추후 환불받을 수 있다. →식약처 홈페이지 접속이 너무 어렵다. -식약처 홈페이지(www.mfds.go.kr)뿐만 아니라 이지드럭(ezdrug.mfds.go.kr), 식약처 블로그(blog.naver.com/kfdazzang), 페이스북(www.facebook.com/mfds)에서도 문제 의약품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문제의 원료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된 제품을 처방받았는지는 약을 처방받은 의료기관이나 약을 받은 약국에서 확인하면 더욱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문제 약품’ 약국서도 확인할 수 있어 →잘못된 처방이 다시 나올 수도 있는 것 아닌가. -의약품처방조제지원시스템(DUR)으로 병·의원과 약국의 부적절한 처방·조제를 원천 차단하고 있다. →문제가 있다면 바로 회수해야 하는 것 아닌가. -해당 원료의약품의 수거작업을 진행했고 불순물 포함 여부와 함량, 불순물이 포함된 원인,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현재는 유통, 판매, 제조를 금지하고 유럽과 공조해 위해성을 분석 중이다. 인체 위해성이 확인되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으로 보고된 의약품 유통정보를 해당 제약사에 제공해 의약품 회수에 활용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의약품을 구입한 도매업체, 의료기관, 약국에도 의약품 공급내역 정보를 제공해 회수, 반품이 신속하게 이뤄지도록 협조 요청할 예정이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 고혈압약 104종 판매 재개… 환자 대혼란

    대체약 처방, 1회 진료비 면제 의협 “식약처장 엄중 문책해야” 발암 유발 물질을 함유한 것으로 알려진 고혈압약 대체약을 처방받으면 1회 진료비 본인부담금을 면제해 준다. 그러나 정작 보건당국이 환자에게는 이런 사실을 9일에야 공개한 데다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마저 접속이 지연돼 환자 혼란이 극심해졌다. 대한의사협회는 “식약처장을 포함한 관련자들을 엄중 문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이날 기존에 약을 처방받은 약국과 병·의원에 약을 다시 타기 위해 방문할 경우 본인부담금을 1회 면제해 주는 지침이 일선 의료기관에 전달됐다. 하지만 전날 문제 의약품 공개 이후 하루 만에 뒤늦게 이런 사실을 확인한 환자들은 갈팡질팡하고 있다. 특히 식약처 홈페이지(www.mfds.go.kr)는 이날 접속이 지연되는 등 극심한 혼란을 빚었다. 식약처는 이날 중국 ‘제지앙 화하이’의 원료를 사용한 고혈압약 219개 품목에 대한 제조·유통 현장 점검을 진행했다. 그 결과 해당 물질을 사용하지 않은 104개 품목은 판매중지 및 제조중지를 해제하고, 나머지 115개 품목은 잠정 판매중지 및 제조중지를 유지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 내용을 확인하려는 환자가 다시 식약처 홈페이지와 의료기관으로 몰리면서 혼란이 더욱 커졌다. 일부 제약사들은 “원료를 수입했지만 제품을 생산하지는 않았다”고 주장했다. 전체 발사르탄 수입량에서 화하이 제조 원료가 차지하는 비중도 크지 않은 편이다. 최근 3년간 국내 전체 발사르탄의 총제조·수입량은 48만 4682㎏으로, 해당 중국 제조사의 발사르탄 제조·수입량은 2.8%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대부분 국내 중소제약사에 제공됐다. 식약처가 단순히 ‘고혈압약’이라는 점을 강조하는 것도 문제다. 이광제 중앙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는 “발사르탄은 일부 심부전 환자도 사용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며 “약을 끊으면 혈압이 높아져 뇌출혈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빠른 시일 안에 상담받고 약을 교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 고혈압약 발암물질 함유 제품 목록…식약처, 115개 회수 절차 진행

    고혈압약 발암물질 함유 제품 목록…식약처, 115개 회수 절차 진행

    식약의약품안전처가 발암 가능 물질을 함유한 것으로 추정돼 판매 및 제조를 중지한 고혈압 치료제 219개(82개사)를 점검한 결과, 104개 제품(46개사)이 해당 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이들 제품의 판매 및 제조 중지를 해제했다. 그러나 해당 물질이 함유된 나머지 115개는 회수 절차를 진행한다. 회수 절차가 진행되는 고혈압약 목록은 다음과 같다. 뉴젠포지정10/160밀리그램 - (주)뉴젠팜 동구발사르탄정80mg(발사르탄) - (주)동구바이오제약 듀얼엑스정10/160mg - (주)마더스제약 듀얼엑스정5/160mg - (주)마더스제약 듀얼엑스정5/80mg - (주)마더스제약 디로탄플러스정 - 이연제약(주) 디르탄정160밀리그램(발사르탄) - (주)셀트리온제약 디르탄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 (주)셀트리온제약 디스포지정10/160mg - (주)다산제약 디스포지정5/160mg - (주)다산제약 디스포지정5/80mg - (주)다산제약 디오디핀정10/160밀리그램 - 알리코제약(주) 디오디핀정5/160밀리그램 - 알리코제약(주) 디오르반정160mg(발사르탄) - 알리코제약(주) 디오르반정80mg(발사르탄) - 알리코제약(주) 디오탄플러스정 - 진양제약(주) 메가포지정10/160밀리그램 - (주)한독 메가포지정5/160밀리그램 - (주)한독 메가포지정5/80밀리그램 - (주)한독 메디로텐정10/160밀리그램 - (주)메디카코리아 바라탄정160밀리그램(발사르탄) - 하나제약(주) 바라탄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 하나제약(주) 바르사핀정5/160mg - (주)파마킹 바오탄정160밀리그램(발사르탄) - 한국넬슨제약(주) 바오탄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 한국넬슨제약(주) 바오탄플러스정80/12.5밀리그램 - 한국넬슨제약(주) 발사르반정160mg(발사르탄) - 한국휴텍스제약(주) 발사르반정80mg(발사르탄) - 한국휴텍스제약(주) 발사오르정160밀리그램(발사르탄) - 한림제약(주) 발사오르정40밀리그램(발사르탄) - 한림제약(주) 발사오르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 한림제약(주) 발사오르플러스정160/12.5밀리그램 - 한림제약(주) 발사오르플러스정80/12.5밀리그램 - 한림제약(주) 발산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 유니메드제약(주) 발살탄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 한올바이오파마(주) 발탄플러스정80/12.5밀리그램 - 동광제약(주) 베스포지정10/160밀리그램 - 초당약품공업(주) 베스포지정5/160밀리그램 - 초당약품공업(주) 베스포지정5/80밀리그램 - 초당약품공업(주) 사디반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 아주약품(주) 사르포지정5/160밀리그램 - 대우제약(주) 사르포지정5/80밀리그램 - 대우제약(주) 쎌렉탄정160밀리그램(발사르탄) - 신일제약(주) 쎌렉탄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 신일제약(주) 쎌렉탄플러스정 - 신일제약(주) 씨르탄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 (주)씨트리 씨르탄플러스정 - (주)씨트리 아모르탄정5/80mg - (주)씨엠지제약 안지오반플러스정80/12.5mg - (주)태준제약 암디사르정10/160mg - 건일제약(주) 암디사르정5/160mg - 건일제약(주) 암디사르정5/80mg - 건일제약(주) 암바르탄정5/160mg - 부광약품(주) 암바르탄정5/80mg - 부광약품(주) 암발트정5/80밀리그램 - 동성제약(주) 애니포지정10/160밀리그램 - (주)종근당 애니포지정5/160밀리그램 - (주)종근당 애니포지정5/80밀리그램 - (주)종근당 에이포지정5/80밀리그램 - (주)한국피엠지제약 엑스디핀정5/160밀리그램 - 한국프라임제약(주) 엑스로빈정10/160mg - (주)씨티씨바이오 엑스로빈정5/160mg - (주)씨티씨바이오 엑스로빈정5/80mg - (주)씨티씨바이오 엑스로탄정10/160밀리그램 - (주)넥스팜코리아 엑스로탄정5/160밀리그램 - (주)넥스팜코리아 엑스로탄정5/80밀리그램 - (주)넥스팜코리아 엑스패럴정10mg/160mg - 에스케이케미칼(주) 엑스패럴정5mg/160mg - 에스케이케미칼(주) 엑스패럴정5mg/80mg - 에스케이케미칼(주) 엑시비탄정5/80밀리그램 - 케이엠에스제약(주) 엔피포지정5/80밀리그램 - 대한뉴팜(주) 유유포지정10/160밀리그램 - (주)유유제약 유유포지정5/160밀리그램 - (주)유유제약 유유포지정5/80밀리그램 - (주)유유제약 이텍스발사르탄정80mg - (주)테라젠이텍스 제이텐션정5/160mg - 이니스트바이오제약(주) 제이텐션정5/80mg - 이니스트바이오제약(주) 카덴자정10/160mg - 삼익제약(주) 카덴자정5/160mg - 삼익제약(주) 카덴자정5/80mg - 삼익제약(주) 카디포지정10/160mg - 신일제약(주) 카디포지정5/160mg - 신일제약(주) 카디포지정5/80mg - 신일제약(주) 코넥스정10/160mg - (주)바이넥스 코넥스정5/160mg - (주)바이넥스 코넥스정5/80mg - (주)바이넥스 코디르탄정80/12.5밀리그램 - (주)셀트리온제약 코디사르정80/12.5mg - (주)파마킹 코발사르정 - 국제약품(주) 하이포지정10/160밀리그램 - 한국콜마(주) 하이포지정5/160밀리그램 - 한국콜마(주) 하이포지정5/80밀리그램 - 한국콜마(주) 히포텐정 - (주)동구바이오제약 오스코반플러스정160/12.5밀리그램 - (주)오스코리아제약 오스코반플러스정80/12.5밀리그램 - (주)오스코리아제약 오스코반필름코팅정160밀리그램(발사르탄) - (주)오스코리아제약 오스코반필름코팅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 (주)오스코리아제약 엑스핀정5/80밀리그램 - (주)이든파마 발사탄플러스정80/12.5밀리그램 - (주)일화 글로포지정10/160밀리그램 - (주)한국글로벌제약 브이반플러스정80.0/12.5밀리그램 - 광동제약(주) 발데리드정160mg(발사르탄) - 구주제약(주) 발데리드정80mg(발사르탄) - 구주제약(주) 씨알비정10/160mg - 구주제약(주) 씨알비정5/160mg - 구주제약(주) 씨알비정5/80mg - 구주제약(주) 엠알포지정5/80밀리그램 - 미래제약(주) 뉴사탄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 오스틴제약(주) 디텐션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 일성신약(주) 엑스디텐션정10/160mg - 일성신약(주) 엑스디텐션정5/160mg - 일성신약(주) 엑스디텐션정5/80mg - 일성신약(주) 유니포지정5/160밀리그램 - 한국유니온제약(주) 유니포지정5/80밀리그램 - 한국유니온제약(주) 스타포지정5/80밀리그램 - 환인제약(주) 식약처는 지난 7일 중국 제지앙 화하이가 제조한 원료의약품 ‘발사르탄’이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219개 품목의 판매와 제조를 잠정 중지했었다. 이는 유럽의약품안전청(EMA)이 고혈압 치료제에 쓰이는 원료의약품 중 중국산 ‘발사르탄’에서 ‘N-니트로소디메틸아민’(N-Nitrosodimethylamine, NDMA)이 불순물로 확인돼 회수 중이라고 발표한 데 따른 것이다. NDMA는 세계보건기구(WHO) 국제암연구소(IARC)가 ‘2A’(인간에게 발암물질로 작용할 가능성 있는 물질)로 분류한 물질이다. 즉 고혈압 치료제 원료의약품인 ‘발사르탄’을 함유한 제품 중 중국의 제지앙 화하이가 제조한 ‘발사르탄’ 원료물질이 함유된 고혈압약만 판매 중지 및 회수 대상이다. 지난 7일 판매 중지된 219개 품목은 중국 화하이에서 제조하는 발사르탄을 사용할 수 있도록 등록한 제품이다. 통상 제약사는 원활한 원료의약품 수급을 위해 2개 이상의 제조사에서 원료를 공급받겠다고 등록하는 경우도 많아 219개 제품 모두가 해당 원료를 사용했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 이에 따라 식약처는 선제적으로 판매를 중지한 뒤 이들 제품의 제조업체를 현장 조사해 실제 해당 원료 사용 여부를 조사했다. 그리고 이날 오전 중간조사 발표를 거쳐 오후에 최종 결과를 공개했다. 그 결과 해당 원료를 사용하지 않은 104개 품목은 판매 중지 및 제조 중지를 해제했다. 또 해당 원료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된 115개 품목(54개사)은 판매 중지 및 제조 중지를 유지하고, 회수 절차에 돌입할 예정이다. 18개사는 해당 원료를 사용한 품목과 사용하지 않은 품목을 함께 갖고 있어 품목에 따라 각각의 조치가 진행됐다. 식약처는 이번 조치 대상인 115개 제품을 복용 중인 환자들은 해당 의약품을 처방한 병·의원 등 의료기관과의 상담을 거쳐 처방을 변경해달라고 당부했다. 잠정 판매 중지 및 제조 중지 관련 제품 목록 등 자세한 사항은 식약처 홈페이지(www.mfds.go.kr) 또는 이지드럭(ezdrug.mfds.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 식약처 대표 블로그(blog.naver.com/kfdazzang)나 페이스북(www.facebook.com/mfds)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다음은 해당 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져 판매 중지 및 제조 중지가 해제된 의약품 목록. 노바살탄정5/160mg - 일양바이오팜(주) 노바살탄정5/80mg - 일양바이오팜(주) 노발탄정5/160밀리그램 - (주)경보제약 노발탄정5/80밀리그램 - (주)경보제약 뉴발탄정160mg(발사르탄) - 대한뉴팜(주) 뉴발탄정80mg(발사르탄) - 대한뉴팜(주) 뉴발탄플러스정 - 대한뉴팜(주) 뉴젠포지정5/160밀리그램 - (주)뉴젠팜 뉴젠포지정5/80밀리그램 - (주)뉴젠팜 더블포지정10/160mg - 조아제약(주) 더블포지정5/160mg - 조아제약(주) 더블포지정5/80mg - 조아제약(주) 듀얼다운정10/160밀리그램 - 일양약품(주) 디로포지정5/160밀리그램 - 이연제약(주) 디로포지정5/80밀리그램 - 이연제약(주) 디사르정(발사르탄) - (주)파마킹 디자르탄정(발사르탄) - 한국바이오켐제약(주) 렉스파지큐정5/160밀리그램 - 영풍제약(주) 렉스파지큐정5/80밀리그램 - 영풍제약(주) 로지스정10/160밀리그램 - 삼남제약(주) 로지스정5/160밀리그램 - 삼남제약(주) 메디로텐정5/160밀리그램 - (주)메디카코리아 메디로텐정5/80밀리그램 - (주)메디카코리아 바르디핀정10/160밀리그램 - 우리들제약(주) 바르디핀정5/160밀리그램 - 우리들제약(주) 바르디핀정5/80밀리그램 - 우리들제약(주) 바르사핀정10/160mg - (주)파마킹 바르사핀정5/80mg - (주)파마킹 발디핀정10/160밀리그램 - 경동제약(주) 발디핀정5/160밀리그램 - 경동제약(주) 발디핀정5/80밀리그램 - 경동제약(주) 발사오르정320밀리그램(발사르탄) - 한림제약(주) 발사탄아이정80mg(발사르탄) - (주)인트로바이오파마 발사핀정10/160밀리그램 - (주)화이트생명과학 발사핀정5/160밀리그램 - (주)화이트생명과학 발사핀정5/80밀리그램 - (주)화이트생명과학 발살정(발사르탄) - (주)아이월드제약 발타란정160밀리그램(발사르탄) - 코스맥스바이오(주) 발타란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 코스맥스바이오(주) 브이디핀정5/160mg - 위더스제약(주) 브이디핀정5/80mg - 위더스제약(주) 브이살탄정160밀리그램(발사르탄) - 제이에스제약(주) 브이살탄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 제이에스제약(주) 브이살탄플러스정 - 제이에스제약(주) 씨르탄정160밀리그램(발사르탄) - (주)씨트리 씨트포지정10/160밀리그램 - (주)씨트리 씨트포지정5/160밀리그램 - (주)씨트리 씨트포지정5/80밀리그램 - (주)씨트리 아모르탄정10/160mg - (주)씨엠지제약 아모르탄정5/160mg - (주)씨엠지제약 아미포지정10/160밀리그램 - 아이큐어(주) 아미포지정5/160밀리그램 - 아이큐어(주) 아미포지정5/80밀리그램 - 아이큐어(주) 암바르탄정10/160mg - 부광약품(주) 암발탄정10/160밀리그램 - 진양제약(주) 암발트정5/160밀리그램 - 동성제약(주) 에이바스타정10/160밀리그램 - 크리스탈생명과학(주) 에이바스타정5/160밀리그램 - 크리스탈생명과학(주) 에이바스타정5/80밀리그램 - 크리스탈생명과학(주) 에이포지정5/160밀리그램 - (주)한국피엠지제약 엑스로핀정10/160밀리그램 - (주)휴비스트제약 엑스로핀정5/160밀리그램 - (주)휴비스트제약 엑스로핀정5/80밀리그램 - (주)휴비스트제약 엑스포르테정10/160mg - 한국휴텍스제약(주) 엑스포르테정5/160mg - 한국휴텍스제약(주) 엑스포르테정5/80mg - 한국휴텍스제약(주) 엑스포스정5/160밀리그램 - 익수제약(주) 엑스포스정5/80밀리그램 - 익수제약(주) 엑스핀탄정10/160밀리그램 - 영진약품(주) 엑스핀탄정5/160밀리그램 - 영진약품(주) 엑스핀탄정5/80밀리그램 - 영진약품(주) 엑시비탄정5/160밀리그램 - 케이엠에스제약(주) 엔피포지정5/160밀리그램 - 대한뉴팜(주) 유로포지정10/160밀리그램 - 메딕스제약(주) 유로포지정5/160밀리그램 - 메딕스제약(주) 유로포지정5/80밀리그램 - 메딕스제약(주) 제이포지정10/160밀리그램 - 제일약품(주) 제이포지정5/160밀리그램 - 제일약품(주) 제이포지정5/80밀리그램 - 제일약품(주) 카사르탄플러스정80/12.5밀리그램 - 삼아제약(주) 코발탄정160밀리그램(발사르탄) - 한국코러스(주) 코발탄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 한국코러스(주) 콤비포지정10/160밀리그램 - 코오롱제약(주) 콤비포지정5/160밀리그램 - 코오롱제약(주) 콤비포지정5/80밀리그램 - 코오롱제약(주) 투윈포지정10/160밀리그램 - 투윈파마(주) 투윈포지정5/160밀리그램 - 투윈파마(주) 투윈포지정5/80밀리그램 - 투윈파마(주) 투투포지정10/160밀리그램 - 한국코러스(주) 투투포지정5/160밀리그램 - 한국코러스(주) 투투포지정5/80밀리그램 - 한국코러스(주) 엑스핀정5/160밀리그램 - (주)이든파마 엑스브이정10/160밀리그램 - 광동제약(주) 엑스브이정5/160밀리그램 - 광동제약(주) 엑스브이정5/80밀리그램 - 광동제약(주) 엠알포지정10/160밀리그램 - 미래제약(주) 엠알포지정5/160밀리그램 - 미래제약(주) 엑스폴정5/160mg - 성원애드콕제약(주) 엑스폴정5/80mg - 성원애드콕제약(주) 디오노바정10/160밀리그램 - 알보젠코리아(주) 디오노바정5/160밀리그램 - 알보젠코리아(주) 디오노바정5/80밀리그램 - 알보젠코리아(주) 스타포지정10/160밀리그램 - 환인제약(주) 스타포지정5/160밀리그램 - 환인제약(주)
  • 고혈압약 발암물질 발표에 식약처 홈페이지 한때 마비

    고혈압약 발암물질 발표에 식약처 홈페이지 한때 마비

    발암물질 성분을 함유할 가능성이 있는 고혈압 약 219개 제품이 잠정 판매 중지되면서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가 한때 마비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고혈압 치료제로 사용되는 원료의약품 중 중국산 ‘발사르탄’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는 국내 82개사 219개 제품에 대해 잠정적인 판매중지 및 제조·수입 중지 조치했다고 8일 밝혔다. 중국 ‘제지앙화하이’사에서 제조한 발사르탄도 잠정 수입·판매중지 조치가 내려졌다. 이번 조치는 유럽의약품청(EMA)이 중국산 발사르탄에서 불순물이 확인됐다며 제품을 회수한 데 따른 것이다. 발견된 불순물은 세계보건기구(WHO) 국제암연구소(IARC)가 ‘인간에게 발암물질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물질’(2A군)로 분류한 ‘N-니트로소디메틸아민(NDMA)’이다. 잠정 판매 중지된 제품은 국내에 허가된 혈압약 2690종의 8.1%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 발사르탄 수입량은 11만6513kg으로 이 중 제지앙화하이에서 제조한 것은 1만3770kg(11.8%)이다. 식약처의 갑작스러운 발표에 해당 약품 목록을 확인하기 위해 환자들이 식약처 홈페이지로 몰리면서 8일 홈페이지가 일시 마비됐다. 국내 고혈압 환자는 589만 명(2016년 기준)에 달한다. 식약처는 조치대상 의약품을 복용 중인 환자는 임의로 복용을 중단하지 말고 신속하게 의사와 상의해 달라고 당부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발암 우려 중국산 고혈압약 수입·판매 중단

    처방금지 등록… 환자 안전 만전 기존 처방약 의심 땐 병원 상담을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발암물질 우려가 제기된 중국산 고혈압약 원료의 수입을 잠정 중단하고 해당 원료로 만든 고혈압약의 수입, 판매도 중지했다고 8일 밝혔다. 유럽의약품안전청(EMA)이 고혈압약으로 쓰이는 원료의약품 중 중국산 ‘발사르탄’에서 유해물질이 확인돼 회수 중이라고 발표한 데 따른 것이다. 식약처는 전날 중국 ‘제지앙 화하이’사에서 제조한 고혈압약 원료 ‘발사르탄’에 잠정 수입·판매 중지 조치를 취했다. 이 약품에서 ‘N-니트로소디메틸아민’(NDMA)이라는 유해물질이 확인됐기 때문이다. NDMA는 세계보건기구(WHO) 국제암연구소(IARC)가 인간에게 발암물질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2A’로 분류한 물질이다. 최근 3년간 국내 전체 발사르탄의 제조·수입량은 48만 4682㎏이다. 이 가운데 문제의 회사가 제조한 발사르탄은 같은 기간 제조·수입량의 2.8%(1만 3770㎏) 규모다. 식약처는 유해물질의 발생 원인과 발생 시기 등을 조사하고 있으며 조사 결과에 따라 회수·폐기 등의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식약처는 “소비자 보호를 위한 사전 예방 차원에서 잠정 수입·판매 중지 조치를 내렸다”고 말했다. EMA는 중국산 NDMA의 검출량과 복용한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하고 있으며 예방 조치로 지난 5일부터 약품 회수에 착수했다. 이번에 문제가 된 발사르탄이 함유된 모든 의약품은 의사 처방에 따라 약국에서 조제 후 복용할 수 있는 전문의약품으로, ‘의약품 안전사용서비스’(DUR) 시스템에 처방 금지 경고 문구가 등록된다. 따라서 의사 처방이 원천 봉쇄돼 환자가 모르고 사용할 가능성은 없다. 다만 이미 처방받은 고혈압약이 의심된다면 식약처 홈페이지(www.mfds.go.kr)나 의료기관에 판매 중지 여부를 확인하고 의사의 상담을 받으면 된다. 해당 제품과의 관련성이 의심되는 부작용이 발생하면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1644-6223, www.drugsafe.or.kr)에 신고하면 된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 발사르탄 함유 혈압약 주의보…식약처 홈페이지에 공개된 약품 목록

    발사르탄 함유 혈압약 주의보…식약처 홈페이지에 공개된 약품 목록

    고혈압 치료제 원료의약품 중 중국산 ‘발사르탄’(Valsartan)에서 발암물질 작용 가능성이 있는 불순물이 나와 식품의약안전처가 국내 허가받은 82개사 219개 품목에 대해 잠정 판매중지와 제조·수입 중지 조치를 했다고 7일 밝혔다. 이는 유럽의약품안전청(EMA)이 고혈압 치료제에 쓰이는 원료의약품 중 중국산 ‘발사르탄’에서 불순물로 ‘N-니트로소디메틸아민’(N-Nitrosodimethylamine, NDMA)이 확인돼 회수 중이라고 발표한 데 따른 것이다. NDMA는 세계보건기구(WHO) 제암연구소(IARC)가 ‘2A’(인간에게 발암물질로 작용할 가능성 있는 물질)로 분류한 물질이다. 식약처는 또 중국 ‘제지앙 화하이’(Zhejiang Huahai)사에서 제조한 해당 원료를 잠정 수입중지 및 판매중지 조치했다. 최근 3년간 국내 전체 ‘발사르탄’의 총 제조·수입량은 48만 4682㎏(제조: 36만 8169㎏, 수입 :11만 6513㎏)이다. 이 중에서 수입 및 판매 중지된 해당 중국 제조사의 ‘발사르탄’은 같은 기간 전체 제조·수입량의 2.8%(1만 3770㎏)에 해당한다. 식약처는 문제의 불순물 발생 원인과 발생 시기 등을 조사하고 있으며, 조사 결과에 따라 회수·폐기 등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취할 예정이다. 이번 잠정 조치는 해당 제품의 NDMA 검출량과 위해성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소비자 보호를 위한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뤄졌다. EMA도 중국산 NDMA의 검출량과 복용한 환자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 중이며, 예방조치로 지난 5일 회수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번에 문제가 된 ‘발사르탄’이 함유된 모든 의약품은 의사 처방에 따라 약국에서 조제 후 복용할 수 있는 전문의약품으로 ‘의약품 안전사용서비스(DUR)’ 시스템에 ‘처방 금지’ 경고 문구가 등록된다. 따라서 의사가 처방할 수 없기에 환자가 사용하는 등 유통이 원천 차단된다고 식약처는 밝혔다. 식약처는 다만 조치대상 의약품을 복용 중인 환자는 임의로 복용을 중단하지 말고 신속하게 의사와 상의해 달라고 당부했다. 해당 제품과 관련성이 의심되는 부작용 발생 등 이상 징후가 있으면,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1644-6223, 팩스 02-2172-6701, www.drugsafe.or.kr)에 신고하면 된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다음은 식약처가 공개한 국내 유통 중인 발사르탄 함유 고혈압 치료제. 연번/ 품목명/ 업체명 1/ 디자르탄정(발사르탄)/ 한국바이오켐제약(주) 2/ 쎌렉탄플러스정/ 신일제약(주) 3/ 히포텐정/ (주)동구바이오제약 4/ 코발사르정/ 국제약품(주) 5/ 디로탄플러스정/ 이연제약(주) 6/ 디오탄플러스정/ 진양제약(주) 7/ 브이반플러스정80.0/12.5밀리그램/ 광동제약(주) 8/ 코디사르정80/12.5mg/ (주)파마킹 9/ 카사르탄플러스정80/12.5밀리그램/ 삼아제약(주) 10/ 발탄플러스정80/12.5밀리그램/ 동광제약(주) 11/ 쎌렉탄정160밀리그램(발사르탄)/ 신일제약(주) 12/ 쎌렉탄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신일제약(주) 13/ 안지오반플러스정80/12.5mg/ (주)태준제약 14/ 씨르탄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주)씨트리 15/ 디텐션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일성신약(주) 16/ 디오르반정80mg(발사르탄)/ 알리코제약(주) 17/ 동구발사르탄정80mg(발사르탄)/ (주)동구바이오제약 18/ 발산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유니메드제약(주) 19/ 발사오르정40밀리그램(발사르탄)/ 한림제약(주) 20/ 발사오르정160밀리그램(발사르탄)/ 한림제약(주) 21/ 발사오르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한림제약(주) 22/ 발사오르플러스정160/12.5밀리그램/ 한림제약(주) 23/ 발사오르플러스정80/12.5밀리그램/ 한림제약(주) 24/ 사디반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아주약품(주) 25/ 바오탄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한국넬슨제약(주) 26/ 발살탄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한올바이오파마(주) 27/ 뉴사탄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오스틴제약(주) 28/ 발사오르정320밀리그램(발사르탄)/ 한림제약(주) 29/ 바라탄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하나제약(주) 30/ 바라탄정160밀리그램(발사르탄)/ 하나제약(주) 31/ 발사탄플러스정80/12.5밀리그램/ (주)일화 32/ 이텍스발사르탄정80mg/ (주)테라젠이텍스 33/ 애니포지정5/80밀리그램/ (주)종근당 34/ 발디핀정10/160밀리그램/ 경동제약(주) 35/ 발디핀정5/160밀리그램/ 경동제약(주) 36/ 애니포지정10/160밀리그램/ (주)종근당 37/ 애니포지정5/160밀리그램/ (주)종근당 38/ 디오노바정10/160밀리그램/ 알보젠코리아(주) 39/ 콤비포지정5/80밀리그램/ 코오롱제약(주) 40/ 콤비포지정5/160밀리그램/ 코오롱제약(주) 41/ 콤비포지정10/160밀리그램/ 코오롱제약(주) 42/ 하이포지정5/160밀리그램/ 한국콜마(주) 43/ 하이포지정5/80밀리그램/ 한국콜마(주) 44/ 하이포지정10/160밀리그램/ 한국콜마(주) 45/ 엑스브이정5/80밀리그램/ 광동제약(주) 46/ 엑스브이정5/160밀리그램/ 광동제약(주) 47/ 엑스브이정10/160밀리그램/ 광동제약(주) 48/ 메디로텐정5/80밀리그램/ (주)메디카코리아 49/ 아모르탄정5/80mg/ (주)씨엠지제약 50/ 아모르탄정5/160mg/ (주)씨엠지제약 51/ 메디로텐정5/160밀리그램/ (주)메디카코리아 52/ 메디로텐정10/160밀리그램/ (주)메디카코리아 53/ 스타포지정10/160밀리그램/ 환인제약(주) 54/ 스타포지정5/160밀리그램/ 환인제약(주) 55/ 스타포지정5/80밀리그램/ 환인제약(주) 56/ 아모르탄정10/160mg/ (주)씨엠지제약 57/ 바르디핀정5/80밀리그램/ 우리들제약(주) 58/ 바르디핀정5/160밀리그램/ 우리들제약(주) 59/ 바르디핀정10/160밀리그램/ 우리들제약(주) 60/ 엑스핀탄정10/160밀리그램/ 영진약품(주) 61/ 엑스핀탄정5/160밀리그램/ 영진약품(주) 62/ 엑스핀탄정5/80밀리그램/ 영진약품(주) 63/ 브이디핀정5/160mg/ 위더스제약(주) 64/ 브이디핀정5/80mg/ 위더스제약(주) 65/ 렉스파지큐정5/160밀리그램/ 영풍제약(주) 66/ 유유포지정5/160밀리그램/ (주)유유제약 67/ 유유포지정10/160밀리그램/ (주)유유제약 68/ 유유포지정5/80밀리그램/ (주)유유제약 69/ 씨알비정10/160mg/ 구주제약(주) 70/ 엑스포르테정5/160mg/ 한국휴텍스제약(주) 71/ 엑스포르테정5/80mg/ 한국휴텍스제약(주) 72/ 씨알비정5/160mg/ 구주제약(주) 73/ 제이텐션정5/160mg/ 이니스트바이오제약(주) 74/ 제이텐션정5/80mg/ 이니스트바이오제약(주) 75/ 발디핀정5/80밀리그램/ 경동제약(주) 76/ 노발탄정5/80밀리그램/ (주)경보제약 77/ 노발탄정5/160밀리그램/ (주)경보제약 78/ 디오노바정5/80밀리그램/ 알보젠코리아(주) 79/ 엑스패럴정5mg/160mg/ 에스케이케미칼(주) 80/ 엑스패럴정10mg/160mg/ 에스케이케미칼(주) 81/ 엑스패럴정5mg/80mg/ 에스케이케미칼(주) 82/ 디스포지정5/80mg/ (주)다산제약 83/ 디스포지정5/160mg/ (주)다산제약 84/ 디스포지정10/160mg/ (주)다산제약 85/ 메가포지정10/160밀리그램/ (주)한독 86/ 메가포지정5/160밀리그램/ (주)한독 87/ 메가포지정5/80밀리그램/ (주)한독 88/ 암발트정5/160밀리그램/ 동성제약(주) 89/ 암발트정5/80밀리그램/ 동성제약(주) 90/ 암디사르정10/160mg/ 건일제약(주) 91/ 암디사르정5/160mg/ 건일제약(주) 92/ 암디사르정5/80mg/ 건일제약(주) 93/ 카디포지정10/160mg/ 신일제약(주) 94/ 카디포지정5/160mg/ 신일제약(주) 95/ 카디포지정5/80mg/ 신일제약(주) 96/ 바르사핀정10/160mg/ (주)파마킹 97/ 바르사핀정5/160mg/ (주)파마킹 98/ 바르사핀정5/80mg/ (주)파마킹 99/ 에이포지정5/160밀리그램/ (주)한국피엠지제약 100/ 에이포지정5/80밀리그램/ (주)한국피엠지제약 101/ 엑스디텐션정5/160mg/ 일성신약(주) 102/ 엑스디텐션정5/80mg/ 일성신약(주) 103/ 엑스포르테정10/160mg/ 한국휴텍스제약(주) 104/ 엑스디텐션정10/160mg/ 일성신약(주) 105/ 암바르탄정10/160mg/ 부광약품(주) 106/ 암바르탄정5/160mg/ 부광약품(주) 107/ 암바르탄정5/80mg/ 부광약품(주) 108/ 베스포지정5/160밀리그램/ 초당약품공업(주) 109/ 베스포지정5/80밀리그램/ 초당약품공업(주) 110/ 베스포지정10/160밀리그램/ 초당약품공업(주) 111/ 코넥스정5/80mg/ (주)바이넥스 112/ 코넥스정5/160mg/ (주)바이넥스 113/ 코넥스정10/160mg/ (주)바이넥스 114/ 유니포지정5/160밀리그램/ 한국유니온제약(주) 115/ 유니포지정5/80밀리그램/ 한국유니온제약(주) 116/ 사르포지정5/80밀리그램/ 대우제약(주) 117/ 사르포지정5/160밀리그램/ 대우제약(주) 118/ 씨알비정5/80mg/ 구주제약(주) 119/ 엑스폴정5/80mg/ 성원애드콕제약(주) 120/ 엑스폴정5/160mg/ 성원애드콕제약(주) 121/ 디오노바정5/160밀리그램/ 알보젠코리아(주) 122/ 듀얼다운정10/160밀리그램/ 일양약품(주) 123/ 바오탄정160밀리그램(발사르탄)/ 한국넬슨제약(주) 124/ 발타란정160밀리그램(발사르탄)/ 코스맥스바이오(주) 125/ 발타란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코스맥스바이오(주) 126/ 제이포지정10/160밀리그램/ 제일약품(주) 127/ 제이포지정5/80밀리그램/ 제일약품(주) 128/ 제이포지정5/160밀리그램/ 제일약품(주) 129/ 디로포지정5/80밀리그램/ 이연제약(주) 130/ 디로포지정5/160밀리그램/ 이연제약(주) 131/ 엔피포지정5/80밀리그램/ 대한뉴팜(주) 132/ 엔피포지정5/160밀리그램/ 대한뉴팜(주) 133/ 로지스정10/160밀리그램/ 삼남제약(주) 134/ 로지스정5/160밀리그램/ 삼남제약(주) 135/ 암발탄정10/160밀리그램/ 진양제약(주) 136/ 디사르정(발사르탄)/ (주)파마킹 137/ 발사핀정5/80밀리그램/ (주)화이트생명과학 138/ 발사핀정5/160밀리그램/ (주)화이트생명과학 139/ 발사핀정10/160밀리그램/ (주)화이트생명과학 140/ 엑시비탄정5/80밀리그램/ 케이엠에스제약(주) 141/ 발데리드정160mg(발사르탄)/ 구주제약(주) 142/ 발데리드정80mg(발사르탄)/ 구주제약(주) 143/ 카덴자정5/80mg/ 삼익제약(주) 144/ 카덴자정5/160mg/ 삼익제약(주) 145/ 카덴자정10/160mg/ 삼익제약(주) 146/ 뉴젠포지정5/80밀리그램/ (주)뉴젠팜 147/ 뉴젠포지정5/160밀리그램/ (주)뉴젠팜 148/ 씨르탄플러스정/ (주)씨트리 149/ 엑스핀정5/160밀리그램/ (주)이든파마 150/ 엑스핀정5/80밀리그램/ (주)이든파마 151/ 글로포지정10/160밀리그램/ (주)한국글로벌제약 152/ 엑시비탄정5/160밀리그램/ 케이엠에스제약(주) 153/ 뉴젠포지정10/160밀리그램/ (주)뉴젠팜 154/ 디르탄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주)셀트리온제약 155/ 디르탄정160밀리그램(발사르탄)/ (주)셀트리온제약 156/ 코디르탄정80/12.5밀리그램/ (주)셀트리온제약 157/ 엑스디핀정5/160밀리그램/ 한국프라임제약(주) 158/ 엑스로빈정5/80mg/ (주)씨티씨바이오 159/ 엑스로빈정5/160mg/ (주)씨티씨바이오 160/ 엑스로빈정10/160mg/ (주)씨티씨바이오 161/ 바오탄플러스정80/12.5밀리그램/ 한국넬슨제약(주) 162/ 노바살탄정5/80mg/ 일양바이오팜(주) 163/ 디오디핀정5/160밀리그램/ 알리코제약(주) 164/ 디오디핀정10/160밀리그램/ 알리코제약(주) 165/ 뉴발탄플러스정/ 대한뉴팜(주) 166/ 엑스포스정5/80밀리그램/ 익수제약(주) 167/ 엑스포스정5/160밀리그램/ 익수제약(주) 168/ 발살정(발사르탄)/ (주)아이월드제약 169/ 노바살탄정5/160mg/ 일양바이오팜(주) 170/ 뉴발탄정160mg(발사르탄)/ 대한뉴팜(주) 171/ 뉴발탄정80mg(발사르탄)/ 대한뉴팜(주) 172/ 아미포지정5/160밀리그램/ 아이큐어(주) 173/ 아미포지정10/160밀리그램/ 아이큐어(주) 174/ 아미포지정5/80밀리그램/ 아이큐어(주) 175/ 오스코반필름코팅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주)오스코리아제약 176/ 오스코반필름코팅정160밀리그램(발사르탄)/ (주)오스코리아제약 177/ 엑스로탄정5/80밀리그램/ (주)넥스팜코리아 178/ 엑스로탄정5/160밀리그램/ (주)넥스팜코리아 179/ 엑스로탄정10/160밀리그램/ (주)넥스팜코리아 180/ 투투포지정5/80밀리그램/ 한국코러스(주) 181/ 투투포지정5/160밀리그램/ 한국코러스(주) 182/ 투투포지정10/160밀리그램/ 한국코러스(주) 183/ 발사탄아이정80mg(발사르탄)/ (주)인트로바이오파마 184/ 오스코반플러스정80/12.5밀리그램/ (주)오스코리아제약 185/ 오스코반플러스정160/12.5밀리그램/ (주)오스코리아제약 186/ 브이살탄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제이에스제약(주) 187/ 브이살탄정160밀리그램(발사르탄)/ 제이에스제약(주) 188/ 브이살탄플러스정/ 제이에스제약(주) 189/ 엑스로핀정5/80밀리그램/ (주)휴비스트제약 190/ 엑스로핀정5/160밀리그램/ (주)휴비스트제약 191/ 엑스로핀정10/160밀리그램/ (주)휴비스트제약 192/ 렉스파지큐정5/80밀리그램/ 영풍제약(주) 193/ 더블포지정10/160mg/ 조아제약(주) 194/ 더블포지정5/80mg/ 조아제약(주) 195/ 더블포지정5/160mg/ 조아제약(주) 196/ 발사르반정160mg(발사르탄)/ 한국휴텍스제약(주) 197/ 발사르반정80mg(발사르탄)/ 한국휴텍스제약(주) 198/ 엠알포지정10/160밀리그램/ 미래제약(주) 199/ 엠알포지정5/80밀리그램/ 미래제약(주) 200/ 엠알포지정5/160밀리그램/ 미래제약(주) 201/ 에이바스타정5/160밀리그램/ 크리스탈생명과학(주) 202/ 디오르반정160mg(발사르탄)/ 알리코제약(주) 203/ 에이바스타정5/80밀리그램/ 크리스탈생명과학(주) 204/ 에이바스타정10/160밀리그램/ 크리스탈생명과학(주) 205/ 듀얼엑스정5/80mg/ (주)마더스제약 206/ 듀얼엑스정5/160mg/ (주)마더스제약 207/ 듀얼엑스정10/160mg/ (주)마더스제약 208/ 유로포지정10/160밀리그램/ 메딕스제약(주) 209/ 유로포지정5/160밀리그램/ 메딕스제약(주) 210/ 유로포지정5/80밀리그램/ 메딕스제약(주) 211/ 투윈포지정10/160밀리그램/ 투윈파마(주) 212/ 투윈포지정5/160밀리그램/ 투윈파마(주) 213/ 투윈포지정5/80밀리그램/ 투윈파마(주) 214/ 코발탄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한국코러스(주) 215/ 씨트포지정5/80밀리그램/ (주)씨트리 216/ 씨트포지정5/160밀리그램/ (주)씨트리 217/ 씨트포지정10/160밀리그램/ (주)씨트리 218/ 코발탄정160밀리그램(발사르탄)/ 한국코러스(주) 219/ 씨르탄정160밀리그램(발사르탄)/ (주)씨트리
  • 이재명 경기지사, ‘안양 연현마을 아스콘 공장 문제’ 해법으로 공영개발 제안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인근 주민과 업체 간 오랫동안 갈등을 빚고 있는 안양시 연현마을 아스콘공장 이전 문제를 공연개발 방식으로 해결할 뜻을 내비쳤다. 이 지사는 4일 출입기자와 오찬간담회에서 “아스콘 공장을 수용해 업체와 주민이 참여하는 아파트 건설 등 공영개발하는 방안”을 해법으로 제안했다. 이에 대해 안양시, 주민 등과 어느 정도 합의가 이뤄졌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 지사는 임기 초에 오래된 도내 집단민원을 적극적으로 해결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도 관계자는 “연현마을 아스콘공장 이전 관련 민원을 해결하기 위한 확정된 방안은 아직 없다”라며 “다만 이 지사가 공영개발 방식으로 문제를 적극 해결하려는 의지를 갖고 있는 것 같다”라고 말했다. 지난 3일 취임 후 첫 민생현장 방문지로 연현마을을 방문한 이 지사는 지역주민과의 간담회에서 아스콘 공장 이전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해법으로 4자 협의체 구성을 제한했다. 또 이 지사는 “사업자가 흔쾌히 참여할 수 있도록 이익을 나눌 수 있어야 합리적 해결이 가능하다”라며 “협의체를 통해 빠른 시간 내에 해결 방안을 만들면 도지사가 할 수 있는 권한 내에서 최대한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아스콘 공장을 운영하는 제일산업개발(주)과 연현마을 주민과의 갈등은 공장 근처에 들어선 아파트 입주 시점인 2002년부터 시작됐다. 아스콘을 생산하는 공장에서 발생하는 심한 악취로 연현마을 주민들은 두통과 수면장애를 호소하며 공장 폐쇄를 지속적으로 요구했다. 지난해 3월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 대기정밀검사에서 벤조피렌 등 발암물질 등이 검출되자 공장 이전을 요구하는 주민들의 목소리는 한층 더 커졌다. 최근 아스콘 제조공장이 재가동 움직임을 보이자 마을주민 1000여명은 지난달 29일 공장 이전을 요구하며 촛불시위를 벌였다. 주민들은 아스콘 공장이 재가동되면 인근에 연현초등학교에 다니는 자녀를 학교에 보내지 않겠다며 재가동을 강하게 반대했다. 경기도는 지난해 11월 제일산업개발에 공장 가동 중지 명령을 내렸다. 이후 공장 재가동 문제를 놓고 양측은 현재까지 갈등을 빚고 있다. 남상인 기자 sanginn@seoul.co.kr
  • 이재명 경기지사, 아스콘 공장 문제로 갈등 빚는 안양 연현마을 방문

    경기도는 이재명 경기도시사가 지난 3일 임기 첫 현장 방문지로 아스콘 공장 재가동 문제로 주민과 갈등을 빚고 있는 안양 연현마을을 방문했다고 4일 밝혔다. 아스콘 공장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발암물질 검출로 고통을 받고 있는 지역주민들의 아스콘 공장 문제를 해결해 달라는 민원이 빗발쳤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지사의 연현마을 방문은 이날 환경국 현안사항 보고 후 전격적으로 이뤄졌다. 이 지사는 지역주민 100여명이 모인 간담회에서 지역주민과 사업자, 경기도와 안양시가 참여하는 4자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이와 함께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공영 개발도 약속했다. 이 지사는 “사업자가 흔쾌히 참여할 수 있도록 이익을 나눌 수 있어야 합리적 해결이 가능하다”라며 “협의체를 통해 빠른 시간 내에 해결 방안을 만들면 도지사가 할 수 있는 권한 내에서 최대한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이날 이 지사와 같이 간담회에 참석한 최대호 안양시장도 “연현마을 주민들의 숙원이 조기에 이뤄질 수 있도록 경기도에 개발제한구역 해제 및 제일산업개발 재가동 중단을 건의했다”라며 “무엇보다 주민들의 건강과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근본적 해결을 위해 온 힘을 기울이겠다”라고 밝혔다. 아스콘 공장을 운영하는 제일산업개발(주)과 연현마을 주민과의 갈등은 공장 근처에 들어선 아파트 입주 시점인 2002년부터 시작됐다. 연현마을 인근 아스콘을 생산하는 공장에서 발생하는 심한 악취로 주민들은 두통과 수면장애를 호소하며 공장 폐쇄를 지속적으로 요구했다. 지난해 3월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 대기정밀검사에서 벤조피렌 등 발암물질 등이 검출되자 공장 폐쇄를 요구하는 주민들의 목소리가 한층 더 커졌다. 최근 아스콘 제조공장이 재가동 움직임을 보이자 마을주민 1000여명은 지난달 29일 공장 폐쇄와 이전을 요구하며 촛불시위를 벌였다. 주민들은 아스콘 공장이 재가동되면 인근에 연현초등학교에 다니는 자녀들을 학교에 보내지 않겠다며 재가동을 강하게 반대했다. 경기도는 지난해 11월 제일산업개발에 공장 가동 중지 명령을 내렸다. 이후 공장 재가동 문제를 놓고 양측은 현재까지 갈등을 빚고있다. 남상인 기자 sanginn@seoul.co.kr
  • 광명시, 다중이용시설·일반가정에 1급 발암물질‘ 라돈 ’측정 서비스

    광명시, 다중이용시설·일반가정에 1급 발암물질‘ 라돈 ’측정 서비스

    경기 광명시는 다중이용시설과 일반가정을 대상으로 오는 7월 2일부터 라돈 측정 서비스를 실시한다고 28일 밝혔다. 라돈은 폐암의 원인 중 하나로 우리가 사는 집 주변에 노출될 수 있는 방사선을 내는 물질이다. 최근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일부 제품에서 폐암 등을 유발하는 1급 발암물질인 라돈이 검출돼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이에 광명시는 생활방사선 불안감을 해소하고자 측정서비스를 마련했다. 우선 신청한 가정 20여가구를 대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측정서비스를 실시하고 싶은 시민은 연중 상시로 이메일로 접수하거나 방문해 신청하면 된다. 서비스를 신청 후 담당공무원이 직접 신청가구를 방문해 간이측정기를 설치한다. 24시간 동안 라돈수치를 측정해 다음날 결과 확인 후 측정기를 회수하는 절차로 진행된다. 이석현 환경관리과장은 “라돈이 토양이나 건축자재·지하수에서도 발생되므로 집안을 수시로 환기시켜 농도를 저감시키고, 고농도로 발생할 때는 반드시 전문기관에 도움을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명선 기자 mslee@seoul.co.kr
  • 어린이집 미세먼지 기준 깐깐해진다

    어린이집 미세먼지 기준 깐깐해진다

    지하역사 등 PM2.5 기준치 신설 아파트 라돈 다중시설 수준 강화 시료 채취기간 24시간 이상으로 위반 땐 과태료 부과와 개선명령 미세먼지와 라돈 등 대기오염 물질에 대한 불안감이 커진 가운데 어린이집과 지하 역사를 비롯한 생활 주변 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관리가 깐깐해진다.환경부는 26일 실내 공기질의 기준 향상과 부적합 건축자재 사용에 따른 제재 절차 등을 담은 실내공기질 관리법 시행령과 시행규칙 개정안을 27일부터 40일간 입법 예고한다고 밝혔다. 실내 공기질 기준이 국민 눈높이에 맞춰 상향 조정된다. 어린이집과 산후조리원 등 민감계층 이용시설(4개)의 미세먼지 PM10 기준이 100㎍/㎥에서 75㎍으로 강화되고, 미세먼지 PM2.5는 ‘권고 기준’(70㎍)에서 ‘유지 기준’(35㎍)으로 깐깐해진다. 높아진 PM2.5 기준을 적용하면 어린이집의 22%, 의료기관 33%, 일반시설 중에서는 지하 역사의 40%가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지 기준은 다중이용시설 소유자 등이 반드시 지켜야 하는 관리 기준으로 위반(초과)하면 과태료 부과와 개선 명령이 내려진다. 반면 권고 기준은 다중이용시설 특성에 따라 자율적 준수를 유도하는 것으로 위반 때 개선 권고 조치를 받는다. 지하 역사와 대규모 점포 등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16개)의 PM10 기준은 150㎍에서 100㎍으로 강화되고, PM2.5에서는 유지 기준(50㎍)이 신설된다. 환경부는 미세먼지 기준의 강화와 PM2.5 항목의 ‘유지 기준’이 도입됨에 따라 측정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시료 채취 시간을 현행 ‘6시간 이상’에서 ‘24시간 이상’으로 늘린다. 그동안 지나치게 낮다는 지적을 받아 온 공동주택의 라돈 기준과 1급 발암물질인 폼알데하이드 기준도 강화한다. 다중이용시설 기준(148㏃/㎥)보다 완화된 기준을 적용받았던 공동주택의 라돈 기준을 동일하게 조정하고, 어린이집의 폼알데하이드 유지 기준도 현행 100㎎/㎥에서 80㎎으로 강화한다. 보육시설은 이용 시간과 노출 빈도가 높아 평생 초과 위해도가 높다는 전문가 의견 등을 반영한 조치다. 이산화질소는 대기환경 기준(0.1)과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 기준(0.1)을 감안해 일반시설의 권고 기준을 현행 0.05에서 0.1으로 완화했다. 개정 기준은 진단과 규제 이행 준비 기간 등을 고려해 내년 7월부터 적용한다. 차은철 환경부 생활환경과장은 “기준 강화와 병행해 대상 시설의 진단 컨설팅 등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 미세먼지·라돈 불안감, 실내공기질 관리 강화

    미세먼지와 라돈 등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진 가운데 어린이집·지하역사 등 생활 주변 시설에 대한 실내공기질 관리가 강화된다. 환경부는 26일 실내 미세먼지 기준 강화와 부적합 건축자재 제재 절차 등을 담은 실내공기질 관리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안을 27일부터 40일간 입법예고한다고 밝혔다. 실내 공기질 관리기준이 국민 눈높이에 맞춰 조정된다. 어린이집·산후조리원 등 민감계층 이용시설(4개)의 미세먼지(PM10) 기준이 100㎍/㎥에서 75㎍으로 강화되고, PM2.5는 ‘권고기준’(70㎍)에서 ‘유지기준’(35㎍)으로 확대, 강화한다. 높아진 PM2.5 기준 적용시 민감시설인 어린이집 22%, 의료기관 33%, 일반시설 중에서는 지하역사의 40%가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지기준은 다중이용시설 소유자 등이 반드시 지켜야 하는 관리기준으로 위반(초과)시 과태료부과와 개선명령 등이 내려진다. 반면 권고기준은 다중이용시설의 쾌적한 공기질 유지를 위해 시설 특성에 따라 자율적 준수를 유도하는 관리기준으로 위반 시 개선권고 조치를 받는다. 지하역사·대규모 점포 등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16개)의 PM10 기준이150㎍에서 100㎍으로 조정되고 PM2.5는 유지기준(50㎍)으로 신설된다. 환경부는 미세먼지 기준 강화 및 PM2.5 항목이 유지기준으로 도입됨에 따라 측정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시료채취 시간을 현행 ‘6시간 이상’에서 ‘24시간 이상’으로 조정키로 했다. 그동안 지나치게 낮다는 지적을 받아온 공동주택 라돈과 1급 발암물질인 폼알데하이드 등의 기준도 강화했다. 다중이용시설 기준(148㏃/㎥)보다 완화된 기준을 적용했던 공동주택의 라돈 기준(200㏃)을 동일하게 조정했다. 어린이집 등 민감계층 이용시설의 폼알데하이드 유지기준도 현행 100㎎/㎥에서 80㎎으로 강화한다. 보육시설은 이용시간과 노출빈도가 높아 평생 초과 위해도가 높다는 전문가 의견 등을 반영한 조치다. 다만 이산화질소는 대기환경기준(0.1?)과 세계보건기구(WHO) 권고기준(0.1?)을 감안해 일반시설의 권고기준을 현행 0.05?에서 0.1?으로 완화했다. 개정 기준은 진단 및 개선·보강 등 규제 이행 준비 기간 등을 고려해 2019년 7월 1일부터 적용한다. 차은철 생활환경과장은 “시설이 개방된 지하역사 등은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시 외기 영향으로 시설개선 투자가 필요하다”면서 “기준 강화와 병행해 진단 컨설팅 등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 비행기에서 일하는 승무원, ‘대부분의 암’ 위험 더 높다 (연구)

    비행기에서 일하는 승무원, ‘대부분의 암’ 위험 더 높다 (연구)

    상당 시간을 고공에서 보내야 하는 승무원이 일반 대중에 비해 여러 암에 걸릴 위험이 높다는 사실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미국 하버드대학교 공공건강센터 연구진이 미국에서 일하는 남녀 승무원 533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의 15% 이상이 암을 앓았던 경험이 있거나 현재 암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봤을 때 유방암의 경우 일반대중에게서 나타나는 비율은 2.3%인 반면 승무원에게서는 3.4%였고, 자궁암은 일반대중이 0.13%, 승무원이 0.15%, 자궁경부암은 일반대중이 0.7%, 승무원이 1.0%, 위장암은 일반대중이 0.27%, 승무원이 0.47%, 갑상선암은 일반대중이 0.56%, 승무원이 0.67%로 나타났다. 과거 연구를 통해 승무원들은 일반 대중에 비해 유방암에 노출될 위험이 높다는 사실은 밝혀진 적이 있지만, 다른 암에서도 위험이 더 높다는 사실이 새롭게 입증됐다. 연구진은 “여성 승무원의 경우 체내 생체리듬에 혼란이 생기고 수면 장애 등을 앓을 위험이 커지면서 유방암에 걸릴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설명했다. 남성 승무원도 여성과 마찬가지로 암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흑색종과 같은 피부암에 걸릴 위험이 높았는데, 피부암의 경우 승무원이 걸릴 비율은 1.2~3.2%로 비교적 높은 반면 일반 대중에게서 나타나는 비율은 2.9%로 나타났다. 또 연구진은 이번 연구를 통해 승무원으로 재직한 뒤 매 5년 마다 피부암의 위험도 높아진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주장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는 유력한 발암물질에 노출돼 있는 노동자 등, 직업군에 따른 더욱 자세한 건강 정보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일깨워준다”면서 “승무원들이 특정 암에 최대한 적게 노출될 방법이 무엇인지를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자세한 연구결과는 세계적인 국제학술지 출반사인 ‘스프링거 네이처’가 발간하는 환경위생저널(journal environmental health) 26일자에 게재됐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