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개봉 ‘즐거운 인생’ 주연 장근석
“이번 영화로 저에 대한 편견을 확실하게 깨고 싶어요.”
짧게 자른 반삭발머리를 한 장근석(20)의 눈빛은 꽤나 당당하고 야무졌다. 이준익 감독의 신작 ‘즐거운 인생’에 주연으로 출연한 그는 정진영, 김윤석 등 대선배들 틈새에서 자신의 몫을 톡톡히 해냈다.
“제가 생각해도 전 ‘다중적’이에요. 제겐 옆집 동생 같은 편안함도 있지만, 남성적인 터프함, 때론 차갑고 냉정한 면도 있어요. 아직도 많은 분들이 미소년 이미지로만 기억하신다면, 제가 앞으로 더 노력해야겠죠.”
그도 그럴 것이 대중이 그에 대해 갖고 있는 단상은 모 이동통신회사 CF와 청춘시트콤에 출연한 10대 연기자에 머물러 있었다. 그런데, 이런 장근석을 다시 보게 해준 작품이 바로 드라마 ‘황진이’였다. 진이의 첫사랑 은호역을 맡은 그는 유약하고 순애보를 지닌 캐릭터를 제대로 소화해 시청자들의 ‘가시권’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미스캐스팅 여론, 뒤집었을 때 짜릿했죠”
“드라마를 찍을 때, 실제 제 인생에 있어서도 첫사랑 실연의 때문에 힘든 시기였어요. 개인적인 상황이 오히려 연기엔 도움이 된 셈이죠. 초반에 제가 은호역에 미스캐스팅이라는 얘기가 많았었는데, 방송 후 그런 선입견이 뒤집어졌을 때의 짜릿함이란 말로 다 못해요. 이번 영화를 통해 ‘주로 MC보는 친구’란 편견에서 벗어나 확실한 연기자로 자리매김하고 싶어요.”
이런 그의 바람은 그리 머지않은 것 같다. 영화에서 죽은 아버지를 대신해 활화산 밴드의 리드보컬로 들어간 현준 역을 맡아 반항적이면서도 열정을 지닌 청춘을 표현해 강한 인상을 남겼다.
영화 ‘즐거운 인생’은 백수 가장, 기러기 아빠 등 이 시대를 살아가는 40대 가장들이 대학시절 했던 밴드를 통해 잃어버린 꿈을 되찾는다는 줄거리. 죽은 아버지에 대해 애증을 갖고 있는 극중 현준은 음악이란 매개를 통해 아버지의 친구들과 어느 순간 하나가 되어간다.“그 점 때문에 이준익 감독께 ‘애늙은이’라고 놀림을 받기도 하지만, 꿈을 추구하는 데에도 세대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잖아요. 사실 저의 아버지도 1년 정도 가족과 떨어져 기러기 아빠로 지내신 적이 있는데, 그때 한번도 힘들다는 내색을 하지 않으셨어요. 영화를 찍으면서 그때 얼마나 힘드셨을지 이해하게 되더라고요.”
●“제2의 이준기? 글쎄요”
사실 장근석은 이 영화에 캐스팅된 뒤 자주 이준기와 비교대상에 오르곤 한다.‘왕의 남자’에서 이준기를 발굴해 스타덤에 올려 놓은 이준익 감독에게 발탁됐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여장이 잘 어울릴 정도로 ‘예쁜 외모’라는 점도 닮았다.
“‘제2의 이준기’, 글쎄요. 처음 시나리오를 받았을 때 단 한번도 제가 그렇게 될 것이라는 생각은 해본 적이 없어요. 무조건 배우고 싶다는 생각으로 시작했죠. 그런 얘기들도 그냥 좋은 칭찬이라고 생각합니다. 종종 ‘내가 여자로 태어났어도 예뻤을까.’라는 자문을 해보기는 해요.”
아직 영화가 개봉되는 13일은 멀었지만, 벌써부터 그는 가수 제의를 심심찮게 받고 있다. 극중에서 ‘터질거야’,‘한동안 뜸했었지’ 등의 노래를 부르면서 가수 뺨치는 가창력을 선보였기 때문이다. 요즘 본인이 직접 부른 노래가 맞냐는 질문을 가장 많이 받는단다.
“영화속 노래들은 모두 제가 불렀어요. 좀 ‘긁는 창법’은 음악 감독님과 상의한 거고요. 가수지망생은 아니었는데, 같은 소속사인 가수 (손)호영 형이 노래를 배울 때 발성이나 창법을 어깨넘어 배워둔 것이 요긴하게 쓰였네요. 가수요? 생각없어요. 아직 배우라는 위치도 제대로 찾지 못했는 걸요.”
중학교 2학년 때 집 매매를 위해 우연히 그의 집에 들렀다는 영화배우 장용의 격려로 시작된 배우의 길. 곱상한 미소년 같은 외모가 본인의 연기에 한계가 될 것 같지 않느냐는 질문에 “억지로 내 모습을 꾸미고 싶지는 않다. 벌써 그런 한계를 논하는 건 교만”이라는 성숙된 답이 돌아온다. 아직 ‘꽃피는’ 스무살 배우의 마흔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
“그 나이쯤에는 배우로서 매니지먼트 사업을 해보고 싶어요. 시나리오상의 텍스트에서 살아 있는 연기로 만드는 건 뿌듯하고 아름다운 일이니까요. 아, 물론 그때도 주연이든 조연이든 연기를 하고 있을 거예요. 나이가 먹어 삶이 힘들어도 절대 순수함과 꿈을 포기하고 싶지 않아요. 마치 ‘즐거운 인생’ 주인공들처럼요.”
글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사진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