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전율 좋아 웨이팅 짧다” 검색만해도 AI가 ‘요약’…앞으로 주차 여건·아기 의자 여부까지
“평양냉면과 수육, 제육 등 한식 요리가 특색인 식당입니다. 수육은 부드럽고 담백한 맛, 제육은 쫄깃한 식감이 일품입니다. 회전율이 좋아 웨이팅이 짧고,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방문하기 좋습니다”
네이버 검색으로 서울에 있는 한 평양냉면 집을 찾자 ‘플레이스 인공지능(AI) 브리핑’은 이렇게 설명했다.
플레이스 AI 브리핑이란 네이버가 지난 6월부터 시범 도입한 기능으로 AI가 식당, 카페 등 장소와 관련해 정보·후기를 요약해서 제공하는 서비스다. PC로 접속한 네이버를 비롯해 모바일 앱 네이버, 네이버 지도를 통해서도 이용 가능하다.
21일 네이버는 플레이스 AI 브리핑이 적용된 업체들을 대상으로 사용자 평균 체류 시간과 클릭률 등 관련 주요 지표들을 분석한 결과 예약·주문 활동이 소폭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 기능이 적용된 업체의 사용자 평균 체류 시간은 도입 이전에 비해 10.4% 늘었다. 사용자 체류 시간은 업체 정보에 대한 사용자 관심도를 나타내는 주요 지표다.
클릭률은 사용자의 관심을 반영한 추가탐색 활동을 의미하는데, 이 역시 27.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체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더보기’ 탭 클릭률은 137% 증가했고, ‘메뉴 더보기’는 30% 늘었다.
네이버는 사용자가 AI 브리핑을 통해 요약된 정보를 확인한 뒤 세부 정보를 추가 탐색하기 위해 상세 메뉴 탭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AI 브리핑 도입 전후를 비교한 결과 예약·주문 건수도 약 8%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네이버는 대표 메뉴, 공간 분위기, 예약 방법, 유의사항 등 실제 주문이나 방문에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해당 업체에 대한 이용 의사를 높여준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플레이스 AI 브리핑은 “조용한 분위기로 비즈니스 미팅에 적합”, “루프탑석과 야외석은 반려견 동반 가능” 등과 같은 정보를 제공해 사용자가 장소 방문 여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
네이버는 향후 주차 여건, 아기 의자 제공 여부 등 찾고자 하는 장소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묻는 검색어에 대해서도 AI 브리핑으로 답변할 예정이다. 현재는 상호명 검색어에만 AI 브리핑 결과를 제공하고 있다.
나아가 숙박, 미용, 명소 등 다양한 업종으로 AI 브리핑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최지훈 네이버 플레이스 검색·콘텐츠 총괄 리더는 “네이버 플레이스에 누적된 양질의 리뷰 데이터가 AI 브리핑의 품질과 정확도를 높이면서 사용자들의 정보 탐색과 선택에 실질적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플레이스 AI 브리핑이 사용자에게는 장소 탐색 효율성과 만족도를 높여주고 사업주의 영업 활동에도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서비스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