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지지율 강세’ 숨겨진 힘은
이명박 전 서울시장은 요즘 각종 여론조사에서 1위를 차지하며 호황을 누리고 있다. 그의 급상승세는 특히 추석과 북핵실험 이후 뚜렷해졌다는 평가다. 그 이유가 뭘까.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우선 추석 연휴의 ‘구전 효과’를 꼽았다. 추석 직전에 발표된 각종 여론조사에서 이 전 시장이 박근혜 전 대표를 2%포인트 안팎으로, 혹은 오차범위 내에서 앞선 사실이 연휴에 모인 가족에게 구전되면서 둘의 격차가 더 벌어졌다는 것이다. 정치권에서는 이를 가리켜 ‘우세해 보이는 사람에게 쏠리는 현상’인 “밴드 왜건 효과”라고 설명한다. 여기에다 연휴가 끝난 뒤 북한이 핵실험을 감행함으로써 대권주자의 지지율에도 변화가 생겼다. 한길리서치연구소 홍형식 소장은 “북핵실험 이전의 대북 문제는 원래 박 전 대표에게 유리한 이슈로, 먼 미래의 문제이자 안보·이념의 문제였는데 지금은 현실에서 위기를 해결해야 하는 쪽으로 변했다.”고 말했다. 그러니 당장 위기를 관리하고, 대안을 제시할 후보를 찾게 마련인데 평소 청계천 건설, 정책 투어에다 대운하 구상까지 제시한 이 전 시장에게 끌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선거 기획에 잔뼈가 굵은 한 중진 의원은 조금 다른 해석을 내놓았다. 그는 “북핵 사태로 유권자층이 더 보수화 경향을 보이는데 그 경우에는 여성인 박 전 대표보다는 선이 굵은 남성인 이 전 시장에게 호감이 가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보수층의 결집으로 오히려 여성 한계론이 부각될 수 있다는 것이다. 김형준 국민대 정치대학원 교수는 지지층의 ‘견고성’을 들어 분석했다. 그에 따르면 박 전 대표의 핵심 지지층은 여성·저학력층·저소득층·50대 이상·대구 경북(TK) 거주자로,40대·화이트칼라·지식인층이 지지층인 이 전 시장에 비해 충성도가 떨어진다는 주장이다. 반면 정치 컨설턴트인 박성민 민기획 대표는 “고건 전 총리와 범여권의 약세로 이탈한 40대·화이트칼라 표심이 이 전 시장 쪽으로 이동했다.”면서 “이 전 시장 지지율은 확장력이 있지만, 견고하지 않은 데 비해 박 전 대표는 그 반대”라고 정반대 분석을 내놓았다.박지연기자 anne02@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