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특검 이면합의설’ 증폭
노무현 대통령이 대다수 정치권의 예상을 깨고 대북송금 특검법을 공포하면서 ‘이면합의설’ 등이 증폭되고 있다.
여권 핵심부는 이면합의설 등을 “과거 권위주의 시대의 낡은 생각”이라고 일축하면서 “국민을 무섭게 생각하는 신뢰정치,상생정치 차원의 결단”이라고 해명한다.
하지만 정치권에선 특검법 수용 당일 여권 핵심부의 평상시와 다른 움직임이나 여야간 합의 수준 등이 여전히 ‘미스터리’라면서 의혹의 눈길을 거두지 않고 있다.특히 한나라당이 특검법 수정에 명시적 합의를 해주지 않았음에도 여야 협상이 진전된 것처럼 여권 수뇌부가 홍보하고 있는 것도 의아한 대목이다.
●특검해도 나올게 없나
현재까지 청와대나 민주당 수뇌부의 설명은 “노 대통령이 취임 후 국회에서 이송돼온 첫 법률인 특검법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하면 야당과 여론의 저항 등 엄청난 혼란이 올 수 있어,야당을 신뢰하고 공포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자칫 김대중 정부 핵심 인사들이 사법처리되고,노 대통령의 지지기반 상실도 우려되는 특검법을 덜컥 수용한 것을납득시키기에는 어딘지 부족한 설명이라는 반응이다.
이에따라 여권이 내사를 해본 결과 대북송금 문제에서 지금까지 나온 의혹 이외에 특별한 것이 없다는 점을 파악,특검을 전격수용했다는 관측이 나돈다.
실제로 여권 핵심 인사는 특검법 통과 이전부터 “대북송금 자금 용처는 대부분 파악했다.”고 밝혔다.
특검을 해봤자 특정인의 압력 여부 등 정치적 쟁점거리만 등장할 뿐,사법적 처벌대상은 별로 없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고 있다는 추론이다.
●“정계개편 않겠다” 언질 가능성
여권이나 야당이 상호 정치적 필요에서 밀약은 아니지만,암묵적으로 남북관계나 국내 정치적 파장은 최소화할 범위 내에서 특검이 이뤄지도록 타협,특검법이 공포됐을 것이란 분석도 있다.
여권은 한나라당측에 ‘특검 파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해주면 인위적인 정계개편을 하지 않겠다.’고 언질,현저히 약화된 특검법 수정안이 합의될 수 있는 안전장치를 여러 개 마련한 뒤 예상을 깨고 특검법 수용 결단을 내렸을 것이란 해석들이 적지 않다.
한나라당도 역대 특검이결정적인 내용들을 밝히는 데 실패했던 전례를 고려,특검법 양보에 협조하는 모양새를 취해 특검법 단독처리 비난을 피해갈 명분을 마련하고,당내 이탈 움직임을 다독거리는 부수효과를 노렸다는 관측이다.
15대 대선 및 총선 때 국세청 및 안기부 자금을 한나라당이 썼다는 세풍(稅風),안풍(安風)과 함께 ‘정치적 주고받기’가 이뤄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여, 신·구주류 사전정지 있었나
민주당 신·구주류가 공개되지 않은 암묵적인 공조를 통해 특검 공포가 가능했다는 해석도 있다.
즉 지난 14일 청와대 보고 때 여야 협상 창구로, 구주류인 정균환 총무가 빠지고 신주류 김원기 고문이 참석했던 점에서 “구주류의 묵인이 있지 않았겠나.”라는 해석이 제기되고 있다.내정 단계인 이낙연 대표비서실장이 동행한 것도 관심을 끈다.
특히 특검 반대라는 강경한 입장을 주도해온 정균환 총무나 한화갑 전 대표 등이 특검법 공포 뒤 알듯말듯한 행보를 하고 있기 때문에 “신·구주류가 사전에 뭔가 정지작업을 한 게 아니냐.”는 분석도 있다.
이춘규기자 tae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