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미국장
    2025-09-02
    검색기록 지우기
  • 신도
    2025-09-02
    검색기록 지우기
  • 50억
    2025-09-02
    검색기록 지우기
  • 김희선
    2025-09-02
    검색기록 지우기
  • 말레이시아
    2025-09-02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434
  • [北 核보유 공식선언 파장] NSC ‘북핵’ 기밀문서 유출 파문

    국가안전보장회의(NSC)의 기밀문서가 외부에 유출돼 NSC가 보안감사에 들어갔다. 한국과 중국 정부는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취임사와 국정연설 등에서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자극하는 표현을 자제해 달라고 미국측에 요청했다는 ‘NSC 일일정보’ 보고서를 입수했다고 시사주간지 일요신문이 최근호에서 보도했다. 이 보고서는 2급 기밀서류로 분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의 하야웨이 북미국장은 지난달 10일 한국 외교관을 만나 ‘중국은 부시 대통령 취임사와 국정연설,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 청문회 등에서 김정일 위원장을 자극하는 내용이 포함되지 않도록 외교채널을 통해 요청했다.’고 말한 것으로 보고서는 기록했다. ‘리비아식 북핵해법’이 거론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비아의 카다피 국가원수는 남북한 동시방문을 희망하면서 한국정부의 초청을 요청한 사실도 이 보고서를 통해 밝혀졌다. 압두사렘 아라파 주한 리비아 대사는 지난 1월11일 국가안전보장회의 의장인 정동영 통일부 장관을 예방한 자리에서 이같은 의사를 전달했으며,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은 지난달 말 리비아를 공식방문해 카다피 원수를 초청하는 노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13일 “참여정부 들어서 정보공유 차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관계기관간 보고서 유통과정에서 보고서가 유출되는 사고가 생긴 것으로 보고 경위를 조사 중”이라고 말했다. 박정현기자 jhpark@seoul.co.kr
  • 외교통상부 인사

    외교통상부는 7일자로 송민순(57) 본부 기획관리실장을 신임 차관보로 임명했다고 6일 밝혔다. 기획관리실장에는 김성환(52) 전 우즈베키스탄 대사를, 외교정책실장에는 천영우(53) 주유엔 차석대사를 각각 임명했다. 신임 송 차관보는 서울대 독문과를 졸업한 외시 9회 출신으로, 외교부 북미1과장과 장관 보좌관, 청와대 국제안보비서관을 거쳐 북미국장, 주폴란드 대사를 역임했다. 신임 김 기획관리실장은 외시 10회 출신으로 외교부 동구과장과 외무인사기획담당관, 주미 참사관을 거쳐 북미국장을 맡았다. 천 정책실장은 외시 11회 출신으로, 외교부 정책총괄과장과 주유엔 참사관을 거쳐 주유엔 차석대사를 역임했다.
  • 외교부 북핵전담대사 김성환씨 유력

    정부가 북핵 문제 해결과 6자회담 개최 등 주요 현안에 집중 대응하기 위해 외교통상부에 ‘차관보급’인 북핵 전담대사를 두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신설되는 북핵 전담대사로는 외교부 북미국장을 역임한 김성환(51) 전 우즈베키스탄 대사 등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19일 “그동안 외교부 차관보가 기존 업무에다 북핵 문제와 6자회담 등을 전담해 업무가 가중된다는 평가가 많아 별도로 북핵 전담대사를 두는 방안을 검토해 왔다.”고 말했다. 외교부는 최근 주 유엔대사에 최영진 현 외교부 차관을, 주 독일 대사에 이수혁 차관보, 주 인도네시아 대사에 이선진 외교정책실장을 각각 기용하고, 후임 외교차관에 이태식 주영대사나 송민순 기획관리실장을 발탁하는 인사안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는 이번 주 안으로 청와대와 협의를 거쳐 최종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구혜영기자 koohy@seoul.co.kr
  • [부시 집권 2기] 청와대 ‘조심조심’

    노무현 대통령은 4일 미국 대선에서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의 당선이 확정되자 외교통상부를 통해 부시 대통령 측에 축전을 보냈다. 외교부는 이날 오전 5시쯤(한국시간) 워싱턴에 출장가 있던 김숙 북미국장을 국무부로 보내 노 대통령의 축전을 전달하도록 했다. 김종민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전 8시쯤 부시 대통령의 당선을 진심으로 환영한다는 논평을 발표했다. 김 대변인은 “부시 대통령의 승리는 지난 4년간의 부시 대통령의 지도력에 대한 미국 국민들의 선택이라고 평가한다.”고 밝혔다. 그는 “정부는 제2기 부시 행정부가 앞으로도 한반도는 물론 세계 평화와 번영을 위해 우방들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며 “정부는 북한 핵문제의 평화적 해결과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그리고 동북아의 번영을 위해 미 행정부와 보다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의 논평 발표는 부시 대통령의 당선이 확정되고, 케리 후보가 공식적으로 패배를 시인한 뒤에 나온 것이다. 청와대가 살얼음을 걷듯 신중에 신중을 기한 방증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논평 발표가 늦지 않았느냐는 지적에 “빠르고 늦고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4년전 미 대선에서 당선환영 논평을 냈다가 취소했던 다른 나라의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얘기다. 이날 밤에 이뤄질 것으로 예상됐던 노 대통령과 부시 대통령의 전화통화는 이뤄지지 않았다. 구혜영기자 koohy@seoul.co.kr
  • 내년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진통

    주한미군과 관련해 한국이 부담하는 방위비 분담금 협상 문제가 한·미 양국간 현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주한미군이 감축되는 만큼 방위비 분담금도 줄여야 한다는 게 한국측 입장인 반면, 미국측은 주한미군 지휘통제자동화체계(C4I) 현대화 비용을 방위비 분담금에 포함시키겠다며 분담금을 오히려 늘리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내보이고 있다. 정부는 일단 주한미군이 2008년까지 1만 2500명이나 줄어들고, 용산기지도 한강 이남으로 옮기는 등 여건이 달라진 만큼 방위비 분담금도 새로운 시각으로 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분담금의 동결은 물론 삭감까지도 끌어낸다는 것이다. 용산기지 이전협상이 잘못됐다는 일부 정치권과 시민단체의 주장도 분담금 협상에서 정부가 양보할 수 없도록 만드는 압박 요인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미측은 전혀 다른 생각을 하고 있다. 종전의 인상률 유지는 물론 주한미군의 C4I 현대화 비용과 임대료 등 최근 용산기지 이전협상에서 관철하지 못한 부분을 방위비 분담금 협상에서 ‘만회’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분담금 협상이 쉽지 않은 것도 바로 이처럼 팽팽하게 상반된 양국의 입장차에 기인하다. 반기문 외교통상부장관도 20일 내외신 브리핑에서 “양국은 분담금 규모에 대한 서로의 견해는 전달한 상태”라면서 C4I 비용 부담과 관련해서는 “용산기지 이전협정에서 합의한 방침에 따라 협상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혀 미측 요구를 수용할 뜻이 없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했다. 방위비 분담금 협상은 3년 만에 한 번씩 이뤄진다. 올해 우리 정부가 부담한 방위비 분담금은 총 7470억원으로,2002∼2004년의 경우 전년에 비해 ‘8.8%+ 물가상승률’만큼씩 분담금을 늘리도록 돼 있다. 정부가 목표로 삼고 있는 타결 시한은 연말이지만 협상 진행여부에 따라서는 내년까지 늦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올해부터는 한국측 협상 주무부처가 국방부에서 외교부로 바뀌었다. 미측 파트너가 국무부 소속인 데다 돈 문제를 따지는 데는 협상 전문가인 외교부가 제격이라는 판단에서다. 협상 수석대표가 최근 현역 3성 장군에서 외교부 김숙 북미국장으로 교체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한·미 양국은 22∼23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열리는 제36차 한·미 연례안보협의회(SCM)에서 ‘탐색전’을 가진 뒤 11월부터 본격적인 협상에 나설 것 같다. 조승진기자 redtrain@seoul.co.kr
  • C4I 교체비 900만弗 지원

    용산기지 이전을 위한 협정 문안이 19일 공개됐다. 협정문안에 따르면 용산 등 서울지역 미군기지 118만평 중 연락사무소용 부지 약 2만 5000평을 제외한 115만평을 우리측에 반환하게 된다. 대신 우리 정부는 평택지역에 52만평을 대체 부지로 제공키로 했다. 그러나 전술지휘자동화체계(C4I)기반 시설과 장비 이전 교체를 위해 우리 정부가 900만달러 이내 범위에서 지원키로 하는 내용을 명시했다. 정부는 이날 청와대에서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어 용산기지 이전협정(UA)과 세부 이행합의서(IA) 등을 통과시키고, 전문을 언론에 공개했다. UA와 IA는 노 대통령의 재가를 거친 뒤 다음주 중 서울에서 윤광웅 국방장관과 리언 J 러포트 주한미군사령관, 김숙 외교부 북미국장과 트렉슬러 주한미군 부사령관이 공식 서명절차를 밟게 된다. 정부는 한·미 양국 책임자의 공식 서명이 이뤄지면 국회 비준 절차를 위해 UA와 IA를 즉시 국회에 정식 제출할 예정이다. 하지만 민주노동당과 일부 시민단체 등에서는 이번 협정이 지난 1990년대 협상보다 오히려 개악됐다며 재협상을 요구하는 범국민운동을 전개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어 적잖은 논란이 예상된다. 공개된 UA의 제2조 2항에는 평택지역 대체부지의 수용이 차질을 빚을 경우 용산기지를 다른 지역으로 옮길 수 있다는 규정이 포함돼 사태 추이가 주목된다. 외교통상부는 이와 관련,“평택지역 토지 수용에 차질이 생기거나, 다른 기술적 이유로 위치를 재조정해야 할 불가피한 사정이 생기는 경우 한·미 합의에 의해 다른 지역으로 옮길 수도 있다고 융통성을 둔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승진 구혜영기자 redtrain@seoul.co.kr
  • 미군감축 협상 과정·과제

    미군감축 협상 과정·과제

    지난 6월 미국은 한국측에 사실상 주한미군 감축에 대한 공식적인 첫 통보를 해왔다.1년 이상 여러 설들이 나돌았지만,“막상 공식 통보를 받고나니 뒤통수를 맞은 기분이었다.”고 정부의 한 관계자는 회고했다.이후 4개월간 한·미 양국은 서울과 워싱턴을 오가며 릴레이 회담을 벌였다. 정부는 미국의 제의에 관련부처간 협의를 거쳐 최종 감축시기를 ‘2008년말까지로 늦추자.’고 역(逆)제안했다.첫 제안 2개월 뒤인 지난 8월 제11차 미래한미동맹정책구상(FOTA) 회의에서다. ●아파치 헬기대대 철수 핵심사안 정부는 동시에 대북 억제를 위한 주요 전력 감축을 최소화하고,이미 합의된 ▲주한미군 담당 군사임무의 한국군 전환 일정 ▲110억달러 규모의 주한미군 전력증강계획 추진 ▲미2사단 1,2단계 재배치계획 및 협력적 자주국방계획 등을 감안한다는 협상원칙을 마련했다.이 가운데 군사분계선(MDL) 인근에 배치돼 수도권을 위협하는 북한군 장사정포에 대응한 다연장로켓(MLRS) 2개 대대와 북한 특수전부대 침투와 기갑사단의 남하 저지를 위한 아파치 헬기 철수 불가 등은 핵심 사안이었다. 미측은 지난달 하순쯤에 입장변화를 보인 것으로 알려진다.‘감축시기’에 전향적 자세를 보이면서 협상이 급진전됐다고 한다.협상 초반에는 외교부 북미국장,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정책조정관,국방부 국제협력관 등 3인위원회가 맡았다.이후 ‘협력적 자주국방’ 계획 조율이 주요 사안으로 부각되면서 국방부가 주도해 나갔다.“때론 서로 인상을 써야할 만큼 ‘살벌하게’ 진행되기도 했다.”고 한 협상 관계자는 전했다. 이번 발표로 한·미동맹에 대한 큰 틀에서의 구조조정은 일단락됐다.외교부 김숙 북미국장은 6일 기자회견에서 “이번 협상으로 주한미군 규모에 대한 논의는 끝났다.”고 못박았다.주한미군 철수 연장 등 외형적 ‘성과’를 얻었지만,민감한 분야의 협의는 여전히 남은 과제다. ●대북 억지력 유지 계속 논의 특히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개념에 따른 대책이나 연합지휘체계 조정 문제 등이 대표적이다.전략적 유연성 개념에는 ‘동북아 지역 기동군화’와 ’대북 억지력 약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한반도 이외 지역에서 안보위기가 생겨날 때 주한미군이 한반도에서 차출될 여지에 대한 우려에서다.이런 경우 더 나아가 한·미동맹에 따라 한국군도 동참해야 하는 상황도 상정된다.때문에 만일의 사태에 따른 주한미군의 해외이동시 한·미 양국간 사전협의 제도화가 필수적이다. 한·미 연합군의 군사교범 및 작전개념,군사운용체계의 조정 문제 등도 마찬가지다.현재 한국군이 지상군에 의한 육상방어를,미군이 첨단 정보력과 해·공군력에 의한 입체방어를 각각 담당하는,사실상의 ‘역할분담 체제’를 균형있게 조정하는 문제가 남아 있다.한반도 유사시 전시작전통제권을 미군이 행사하게 돼 있는 현 연합지휘체계를 수정하는 문제 등도 앞으로 시간을 두고 풀어가야 할 사안이다. 이지운기자 jj@seoul.co.kr
  • 美 다연장로켓부대·대포병레이더 등 잔류

    美 다연장로켓부대·대포병레이더 등 잔류

    주한미군 1만 2500명이 당초 계획보다 3년 늦춰진 2008년 9월까지 한반도에서 철수한다. 그러나 수도권을 위협하는 북한군 장사정포에 대응하기 위해 다연장로켓(MLRS) 2개 대대와 대포병레이더(ANTPQ) 등 대화력전 전력은 남는다. 북한 특수전부대의 침투와 기갑사단의 남하를 저지할 아파치 헬기 3개 대대 가운데 1개 대대는 철수하되,잔류부대가 운용할 헬기는 최신 롱보(델타형) 아파치로 교체해 화력이 크게 보강된다. 한국과 미국은 6일 서울과 워싱턴에서 동시 기자회견을 갖고 이같은 내용의 주한미군 감축 합의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지난 8월 이라크로 이미 차출된 미 2사단 병력 3600명을 포함,연내에 5000명이 1단계로 철수한다.이어 2단계로 2005년과 2006년 각각 3000명과 2000명이,3단계로 2007∼2008년 9월말 2500명이 추가로 나간다. 철수 완료 이후 2009년부터 주한미군은 2만 5000명선으로 유지키로 했다. 국방부 안광찬 정책실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군사 기밀상 철수하는 미군 부대를 명시할 수 없다.”면서 “미국이 추진하는 해외주둔 미군재배치계획(GPR) 등 가변요소가 있어 앞으로도 계속 논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1단계로는 지난 8월 한국군에 임무를 넘겨준 후방지역의 화생방 방어부대와 일부 전투부대 등이 연내 한국을 떠난다.2단계와 3단계로 떠나는 병력도 일부 전투부대 및 한국군에 임무를 넘겨주는 부대,지원부대 등이 중심이다. 감축 규모가 1000여명인 공군에서는 우리 군이 인수받기로 한 기상관측 및 정비 분야 인력이 철수하며 전투병력은 그대로 잔류할 것으로 전해졌다. 양국은 미 2사단이 보유하고 있던 전차와 야포 등 주요 전투장비들은 한반도에 그대로 두고 유사시 투입되는 병력이 즉각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데도 합의했다. 한편 외교통상부 김숙 북미국장은 이라크에 파병된 자이툰 부대의 주둔 일정 연장 등의 문제가 이번 협상과 연계됐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협상기간 중 일정 재조정에 관한 것 이외의 어떠한 반대급부도 고려대상이 되지 않았다.”고 일축했다. 이지운기자 jj@seoul.co.kr
  • 파월 “한국核 큰문제 안될것”

    |도쿄 이춘규·워싱턴 이도운 특파원·서울 이지운기자|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은 23일(현지시간) “북한이 미사일 실험을 준비한다는 징후를 포착하고 있으나,북한이 실제로 실험을 할지 안할지 여부는 확신할 수 없다.”고 밝혔다. 파월 장관은 이날 뉴욕 맨해튼의 월도프 아스토리아 호텔에서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과 한·미 외무장관 회담을 갖고 반 장관과 함께 북한측의 미사일 실험 중단을 촉구하며 이같이 말했다고 수행중인 김숙 외교부 북미국장이 전했다. 이와 관련,일본 아사히 신문은 미 정부당국자가 북한이 중거리 탄도미사일 ‘노동’(사거리 1300㎞)의 발사준비를 끝냈다는 견해를 밝혔다고 보도했다.신문에 따르면 당국자는 정찰위성과 통신도청 등을 통해 수집한 정보라며 “북한은 지금 당장이라도,언제라도 발사하고 싶을 때 발사가능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NHK “발사준비 미사일은 신형” 반면 일본 NHK는 시험발사 준비중인 미사일이 노동미사일이 아니라 신형미사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NHK는 미군 고위관계자의 말을 인용,“북한은 구 소련이 제조한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 SSN6을 지상발사용으로 개조한 신형 탄도미사일의 엔진 연소실험을 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영국 군사전문지 제인스 디펜스 위클리에 따르면 이 미사일은 사거리가 2500㎞ 이상이다. 앞서 파월 장관은 뉴욕 외신기자 클럽에서 브리핑을 갖고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준비한다는 보도에 “관련 정보는 보았다.”며 “그러나 그같은 움직임의 징후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확신할 수 없다.”고 말했다.그는 그러나 한국의 핵물질 실험과 관련,“국제원자력기구(IAEA)가 11월 정기 이사회에서 어떤 결정을 내릴지가 중요하지만 이번 문제가 더 큰 문제로 번질 것이라고 걱정하지는 않는다.”고 한국 정부의 입장을 지지했다. ●“軍훈련 가능성… 北·日회담 예정대로” 한편 일본 정부 대변인인 호소다 히로유키 관방장관은 24일 북한 미사일 기지 주변의 병력 증강은 미사일 발사 준비라기보다는 군사 훈련의 일환일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호소다 장관은 회견에서 “미사일 발사를 위해서는 많은 준비들이 필요한데 지금까지 그같은 종류의 상황이 포착된 것이 없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아울러 “중국 베이징에서 열기로 한 북·일 회담은 예정대로 진행될 것”이라며 “북한의 미사일 발사 준비설이 사실이라면 이번 회담에서 북한의 자제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taein@seoul.co.kr
  • 駐이탈리아대사 조영재

    외교통상부는 27일 대사 9명과 1총영사 1명,공보관 등에 대한 인사를 단행했다.대사 교체지역은 ▲이탈리아(조영재 기획관리실장) ▲아일랜드(권종락 케냐 대사) ▲체코(전해진 외교안보연구원 교수부장) ▲몽골(금병목 칭다오 총영사) ▲방글라데시(박성웅 감사관) ▲베네수엘라(신숭철 중남미국장) ▲우즈베키스탄(문하영 외교정책실 정책기획관) ▲파나마(문태영 국제기구담당심의관) ▲파라과이(김병권 말레이시아 공사참사관) 등이다.청두 총영사와 중국 경제공사에는 박동선 국회의장 국제비서관과 신봉길 공보관이 각각 임명됐고,신임 공보관에는 신현석 통상기획홍보팀장이 발탁됐다.
  • 美, 오키나와 해병 1000명 한국배치

    |도쿄 이춘규특파원|일본 정부는 워싱턴주에 있는 육군 제1군단사령부의 자마기지 이전 등 미국이 비공식적으로 타진해온 일련의 미군재배치 계획에 대해 회답유보 입장을 미국에 공식적으로 통보할 방침이라고 아사히신문이 24일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에비하라 신 외무성 북미국장과 이하라 가즈키 방위청 방위국장을 미국에 보내 이전후보지 지방자치단체의 반발과 “일본 국내의 의견조정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사정을 들어 이런 입장을 전달한다는 계획이다.미국은 11월 대통령 선거전에 어느 정도 합의를 보고 싶다는 입장을 밝혔기 때문에 일본의 ‘회신유보’결정에 반발할 가능성도 있다고 아사히는 전했다.한편 미국은 주한미군 감축에 따른 ‘힘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2008년까지 오키나와 주둔 제3해병사단 소속 병력 1000명 정도를 한국 남부에 신설할 훈련장에 파견,정기훈련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교도통신이 이날 미·일관계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taein@seoul.co.kr
  • [부고]

    ■ 前한성대총장 원형갑씨 한성대 총장을 지낸 문학평론가 원형갑씨가 9일 오전 11시10분 남서울 한방병원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75세. 충남 서천 출신인 고인은 평양에서 성장한 뒤 해방 후,원광대 국문학과를 나와 1958년 ‘현대문학’을 통해 평론가로 등단했다.1960∼70년대 해외 문예이론을 국내에 소개하면서 왕성한 비평활동을 했으며,한성대 교수로 재직하다 1992년부터 95년까지 총장을 지냈다. ‘현대미학의 과제’ ‘현상학과 뉴마르크시즘’ 등 많은 저서를 남겼다.1990년대 이후 ’시경(詩經)‘에 관심을 쏟아 ‘시경과 성애 열락’ ‘시경과 성’ ‘시경의 수수께끼’를 비롯한 연구서를 잇따라 발표했다.한국문인협회 평론분과위원장을 지냈으며 현대문학상(1961),한국문학상(1979),대한민국예술상(1986)을 수상했다. 유족으로는 부인 김명자씨와 일청,문청,재산씨 등 3남2녀.발인은 11일 오전 7시30분,강남성모병원.(02)590-2697. ●崔成大(서울신문 광주지국장)씨 모친상 9일 오전 7시 전남 담양군 금성면 봉서1구 675번지 자택,발인 12일 오전 10시 (062)223-5434 ●金塾(외교통상부 북미국장)垠(자영업)墉(기아자동차 산곡판매점 소장)福珍(인하여고 교사)씨 모친상 9일 오전 8시40분 인하대병원,발인 11일 오전 8시 (032)890-3199 ●金道垣(한국은행 총무국 차장)씨 별세 9일 오전 5시30분 강남성모병원,발인 11일 오전 7시 (02)590-2541 ●玄圭鎬(전 목포지방해운항만청장)씨 별세 庚錫(호주 시드니대학 유학)篠連(전 김&장법률사무소 과장)씨 부친상 吳大煥(일본 나고야상과대학 교수)씨 빙부상 9일 오전 8시10분 서울대병원,발인 11일 오전 8시 (02)760-2014 ●李萬浩(산재의료관리원 이사장)씨 모친상 9일 오전 9시50분 서울삼성병원,발인 11일 오전 5시30분 (02)3410-6920 ●李椿淵(씨네2000 대표)良淵(상진공업 부장)씨 모친상 9일 오전 2시 서울아산병원,발인 11일 오전 7시 (02)3010-2294 ●金長中(인천일보 평택주재 기자)씨 모친상 9일 오전 7시25분 오산장례예식장,발인 11일 오전 8시30분 (031)372-2923 ●朴恩子(대우증권 순천지점 과장)씨 모친상 9일 오전 4시 순천 성가롤로병원,발인 11일 오전 10시 (061)720-2316 ●鄭基雄(KBS대전방송총국 취재부 부장대우)씨 부친상 9일 오후 3시40분 대전 을지대학병원,발인 12일 오전 7시 (042)471-1321 ●金榮盛(한국기원 이사)씨 별세 8일 오후 5시10분 부산침례병원,발인 10일 오전 9시 (051)583-8914 ●李潔(샘표식품 상임감사)씨 부친상 9일 춘천장례식장,발인 12일 오전 9시 (033)263-4403 ●李成槿(대우해양조선연구소장)義槿(삼성전자반도체총괄총무부장)愛德(미국 거주)씨 모친상 8일 오후 8시40분 삼성서울병원,발인 11일 오전 8시 (02)3410-6916
  • [부고]

    ■ 前한성대총장 원형갑씨 한성대 총장을 지낸 문학평론가 원형갑씨가 9일 오전 11시10분 남서울 한방병원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75세. 충남 서천 출신인 고인은 평양에서 성장한 뒤 해방 후,원광대 국문학과를 나와 1958년 ‘현대문학’을 통해 평론가로 등단했다.1960∼70년대 해외 문예이론을 국내에 소개하면서 왕성한 비평활동을 했으며,한성대 교수로 재직하다 1992년부터 95년까지 총장을 지냈다. ‘현대미학의 과제’ ‘현상학과 뉴마르크시즘’ 등 많은 저서를 남겼다.1990년대 이후 ’시경(詩經)‘에 관심을 쏟아 ‘시경과 성애 열락’ ‘시경과 성’ ‘시경의 수수께끼’를 비롯한 연구서를 잇따라 발표했다.한국문인협회 평론분과위원장을 지냈으며 현대문학상(1961),한국문학상(1979),대한민국예술상(1986)을 수상했다. 유족으로는 부인 김명자씨와 일청,문청,재산씨 등 3남2녀.발인은 11일 오전 7시30분,강남성모병원.(02)590-2697. ●崔成大(서울신문 광주지국장)씨 모친상 9일 오전 7시 전남 담양군 금성면 봉서1구 675번지 자택,발인 12일 오전 10시 (062)223-5434 ●金塾(외교통상부 북미국장)垠(자영업)墉(기아자동차 산곡판매점 소장)福珍(인하여고 교사)씨 모친상 9일 오전 8시40분 인하대병원,발인 11일 오전 8시 (032)890-3199 ●金道垣(한국은행 총무국 차장)씨 별세 9일 오전 5시30분 강남성모병원,발인 11일 오전 7시 (02)590-2541 ●玄圭鎬(전 목포지방해운항만청장)씨 별세 庚錫(호주 시드니대학 유학)篠連(전 김&장법률사무소 과장)씨 부친상 吳大煥(일본 나고야상과대학 교수)씨 빙부상 9일 오전 8시10분 서울대병원,발인 11일 오전 8시 (02)760-2014 ●李萬浩(산재의료관리원 이사장)씨 모친상 9일 오전 9시50분 서울삼성병원,발인 11일 오전 5시30분 (02)3410-6920 ●李椿淵(씨네2000 대표)良淵(상진공업 부장)씨 모친상 9일 오전 2시 서울아산병원,발인 11일 오전 7시 (02)3010-2294 ●金長中(인천일보 평택주재 기자)씨 모친상 9일 오전 7시25분 오산장례예식장,발인 11일 오전 8시30분 (031)372-2923 ●朴恩子(대우증권 순천지점 과장)씨 모친상 9일 오전 4시 순천 성가롤로병원,발인 11일 오전 10시 (061)720-2316 ●鄭基雄(KBS대전방송총국 취재부 부장대우)씨 부친상 9일 오후 3시40분 대전 을지대학병원,발인 12일 오전 7시 (042)471-1321 ●金榮盛(한국기원 이사)씨 별세 8일 오후 5시10분 부산침례병원,발인 10일 오전 9시 (051)583-8914 ●李潔(샘표식품 상임감사)씨 부친상 9일 춘천장례식장,발인 12일 오전 9시 (033)263-4403 ●李成槿(대우해양조선연구소장)義槿(삼성전자반도체총괄총무부장)愛德(미국 거주)씨 모친상 8일 오후 8시40분 삼성서울병원,발인 11일 오전 8시 (02)3410-6916˝
  • [인사]

    ■ 행정자치부 ◇이사관(2급) 전보△의정관리국장 李在忠△행정혁신〃 金國鉉 ■ 외교통상부◇국장급 △외교안보연구원 교수부장 엄석정 △정책기획관 김원수 △아시아·태평양국장 박준우 △중남미국장 황의승 △재외국민영사국장 이준규 △국제경제국장(내정) 조현 ■ 건설교통부 ◇이사관(2급) 전보△감사관 李在鵬△국책사업기획단장 張宗植 ◇서기관(4급) 전보△총무과장 朴麒豊△공항계획〃 崔榮運△토지정책〃 金炳秀△도시철도〃 沈相正△항공안전본부 공항시설〃 金錫鉉◇부이사관(3급) 전보△도시관리과장 權炳祚△국책사업기획단 신공항기획〃 呂泂九△중앙토지수용위원회 사무국장 鄭悳謨 ■ 중앙인사위 ◇서기관(4급) 전보△기획예산담당관 盧炳燦△균형인사과장 朴宰民△혁신인사담당관실 崔勝鉉△기획예산〃 朴淳鍾△홍보협력〃 崔壯赫△정책총괄과 鄭萬石 李正敏△심사임용과 吳世信 李在千 김찬선△인재기획과 丘萬燮 姜有 珉△능력발전과 이인호△인재채용과 陳永萬△급여후생과 柳任哲△인재조사담당관실 尹炳洙 ■ 한국관광공사 ◇처장급 승진△남북관광협력단장 孫龍泰 △해외홍보처장 洪恩美 △코리아컨벤션뷰로처장 張泰淳 △개발기획실장 金榮湖◇부장급 승진 △검정관리팀장 朴以洛 △지식경영팀장 鄭基禎 △인력개발팀장 楊文秀 △컨벤션지원팀장 安德洙 △기획조정팀장 朴正夏 △시장전략팀장 金培鎬 △국제협력팀장 成敬子 △편찬제작팀장 康順德 △컨벤션유치팀장 曹德鉉 △이벤트팀 朴哲賢 △관광컨설팅팀장 金興洛 △투자지원팀장 申希燮 △기획판촉팀장 李丙贊 △예산팀장 康誠吉◇처장급 전보△관광인력지원센터원장 鄭吉水 △영업단장 金容賢 △마케팅전략실장 趙成旭 △투자유치단장 洪宙旻 △관광정보센터처장 吳龍洙 △기획조정실장 金奉起 ◇부장급 전보△도쿄지사장 康重石 △오사카지사장 金應湘 △후쿠오카지사장 李鍾薰 △런던지사장 羅相勳 △시드니지사장 崔成祐 △모스크바지사장 朴柄稷 △동남아팀장 柳世準 △해외홍보팀장 金東源 △관광환경개선팀장 金花淑 △금강산사업팀장 崔承永 △비서실장 尹熙錫 △총무팀장申庚秀 △인사팀장 金鎭世 △관광정보팀장 金敎晩 △북한관광팀장 李種麟 △E-마케팅팀장 李在成 △국내진흥팀장 閔敏泓 △중문개발팀장 李昶潤 △지자체협력팀장 崔榮秀 △콸라룸푸르지사 咸慶俊 △총무처 孔熙善 ◇부장급 파견△강원도 협력관 宋賢撤 △경기관광공사 협력관 申評燮 △외교통상부 상해영사관 관광담당 趙洪儁 ■ 중소기업청 ◇과장 전보△창업벤처정책과장 李殷範△총무〃 高在琯◇서기관(4급) 전보△소기업창업과 金鍾云 ■ 서울보증보험 △전무 李壽龍△상무 鄭愚同 梁槿錫 ■ 서울대학교 △환경안전원장 李正學 ■ 한국여성개발원 △기획조정실장 白永珠△사회문화연구부장 李秀連△정보협력〃 金惠京△사무국장 韓潤明△연구기획팀장 金怡宣△관리〃 李丙玉
  • [인사]

    ■ 행정자치부 ◇이사관(2급) 전보△의정관리국장 李在忠△행정혁신〃 金國鉉 ■ 외교통상부◇국장급 △외교안보연구원 교수부장 엄석정 △정책기획관 김원수 △아시아·태평양국장 박준우 △중남미국장 황의승 △재외국민영사국장 이준규 △국제경제국장(내정) 조현 ■ 건설교통부 ◇이사관(2급) 전보△감사관 李在鵬△국책사업기획단장 張宗植 ◇서기관(4급) 전보△총무과장 朴麒豊△공항계획〃 崔榮運△토지정책〃 金炳秀△도시철도〃 沈相正△항공안전본부 공항시설〃 金錫鉉◇부이사관(3급) 전보△도시관리과장 權炳祚△국책사업기획단 신공항기획〃 呂泂九△중앙토지수용위원회 사무국장 鄭悳謨 ■ 중앙인사위 ◇서기관(4급) 전보△기획예산담당관 盧炳燦△균형인사과장 朴宰民△혁신인사담당관실 崔勝鉉△기획예산〃 朴淳鍾△홍보협력〃 崔壯赫△정책총괄과 鄭萬石 李正敏△심사임용과 吳世信 李在千 김찬선△인재기획과 丘萬燮 姜有 珉△능력발전과 이인호△인재채용과 陳永萬△급여후생과 柳任哲△인재조사담당관실 尹炳洙 ■ 한국관광공사 ◇처장급 승진△남북관광협력단장 孫龍泰 △해외홍보처장 洪恩美 △코리아컨벤션뷰로처장 張泰淳 △개발기획실장 金榮湖◇부장급 승진 △검정관리팀장 朴以洛 △지식경영팀장 鄭基禎 △인력개발팀장 楊文秀 △컨벤션지원팀장 安德洙 △기획조정팀장 朴正夏 △시장전략팀장 金培鎬 △국제협력팀장 成敬子 △편찬제작팀장 康順德 △컨벤션유치팀장 曹德鉉 △이벤트팀 朴哲賢 △관광컨설팅팀장 金興洛 △투자지원팀장 申希燮 △기획판촉팀장 李丙贊 △예산팀장 康誠吉◇처장급 전보△관광인력지원센터원장 鄭吉水 △영업단장 金容賢 △마케팅전략실장 趙成旭 △투자유치단장 洪宙旻 △관광정보센터처장 吳龍洙 △기획조정실장 金奉起 ◇부장급 전보△도쿄지사장 康重石 △오사카지사장 金應湘 △후쿠오카지사장 李鍾薰 △런던지사장 羅相勳 △시드니지사장 崔成祐 △모스크바지사장 朴柄稷 △동남아팀장 柳世準 △해외홍보팀장 金東源 △관광환경개선팀장 金花淑 △금강산사업팀장 崔承永 △비서실장 尹熙錫 △총무팀장申庚秀 △인사팀장 金鎭世 △관광정보팀장 金敎晩 △북한관광팀장 李種麟 △E-마케팅팀장 李在成 △국내진흥팀장 閔敏泓 △중문개발팀장 李昶潤 △지자체협력팀장 崔榮秀 △콸라룸푸르지사 咸慶俊 △총무처 孔熙善 ◇부장급 파견△강원도 협력관 宋賢撤 △경기관광공사 협력관 申評燮 △외교통상부 상해영사관 관광담당 趙洪儁 ■ 중소기업청 ◇과장 전보△창업벤처정책과장 李殷範△총무〃 高在琯◇서기관(4급) 전보△소기업창업과 金鍾云 ■ 서울보증보험 △전무 李壽龍△상무 鄭愚同 梁槿錫 ■ 서울대학교 △환경안전원장 李正學 ■ 한국여성개발원 △기획조정실장 白永珠△사회문화연구부장 李秀連△정보협력〃 金惠京△사무국장 韓潤明△연구기획팀장 金怡宣△관리〃 李丙玉
  • 美 “2사단 주력 1여단 한국잔류”

    미국은 주한미군 1만 2500명을 감축하더라도 제2사단 주력부대인 1여단은 잔류시킬 것이라고 지난 6일 우리측과의 협의에서 밝힌 것으로 확인됐다. 김숙 외교통상부 북미국장은 10일 “리처드 롤리스 미 국방부 부차관보가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면서 “차출될 여단이라도 주요 장비나 무기는 고스란히 남기고 이를 유사시에 증강돼오는 여단이 쓸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2사단 1여단은 2개의 신형 M1A1 전차대대와 장갑차 대대로 구성됐으며 병력 규모는 3500여명의 중급 규모 여단이다. 앞서 북미 국장은 평화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이 ‘1만 2500명’외에 주한미군 추가 감축 가능성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생각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김 국장은 전시 작전권 환수 및 한미 상호방위조약 개정 여부에 대해 “전시 작전권 환수문제는 단기나 중기적으로 해결될 것은 아니고 장기적으로 한·미간 연구과제로 돼있으며,정부는 한·미동맹의 근간이 되는 한미상호방위조약을 건드릴 계획이 전혀 없다.”고 못박았다. 김수정기자 crystal@seoul.co.kr˝
  • 정부, 용산기지 이전협상 새달까지 매듭

    정부는 다음달 열릴 제10차 미래 한·미동맹정책구상회의(FOTA)에서 용산기지 이전 및 개정 LPP(연합토지관리계획)관련 협상을 매듭지을 방침이다. 김숙 외교통상부 북미국장은 9일 “정책 차원에서 한·미동맹의 큰 틀에서 감안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부는 이르면 이달 말이나 7월 초 미측과 특별회의를 열어 주한미군 감축협의를 하는 한편 용산기지 이전과 오산·평택 부지규모 조정 문제를 집중 논의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주한미군 감축 협상도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될 전망이다.이라크로 차출돼 자연 감축될 주한미군 3600명도 7월 말이나 8월 초 한국을 떠날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관계자는 “용산기지 이전 합의에 실패하면 4000만∼5000만평의 기지 반환 전망도 어둡다.”면서 “양국 정상이 합의한 용산기지 이전문제가 어정쩡하게 되면 한·미동맹 실패사례로 남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김 국장은 “미측은 지난해 6월 주한미군 감축 개념을 설명한 뒤 2사단과 용산기지 이전 대체토지로 540만평을 요구했으나 현재 360만평까지 내려왔다.”면서 “그러나 FOTA회의 하루 전 미측이 주한미군 감축안을 내놓는 바람에 성급하게 받아들일 수는 없다고 생각했고 검산하지 않고는 받아들일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김 국장은 또 “이라크로 차출되는 2사단 2여단은 오는 8월 중순 이라크 현지에서 (전입)신고를 해야 하기 때문에 7월말 또는 8월초 한국을 떠나야 한다.”면서 “정식으로 전출 명령이 내려졌으며 아울러 해당부대에 배속됐던 한국군 사병인 카투사와 행정직원에 대한 행정절차가 진행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김수정기자 crystal@seoul.co.kr
  • [미군 12500명 조기 감축] 美의 예상 뛰어넘은 조기철군案 ‘당혹’

    주한미군 2만 5000명 시대가 오는가.미국이 지난 6일 저녁 열린 한·미간 주한미군 감축 협상에서 1만 2500명을 내년 말까지 한반도에서 빼내겠다고 공식 통보함으로써 한반도 안보 환경에 커다란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미국측이 이날 통보한 내용은 지난해 6월 우리측에 제시한 규모보다 늘었고,특히 시기의 경우 예상을 훨씬 앞지르는 것이어서 정부의 당혹감은 상당하다. 또 미국의 전세계 해외주둔미군 재배치계획(GPR) 개념에 따른 주한미군의 동북아 기동군화에 대해 우리 정부가 이해를 재확인함으로써 2만 5000명의 주한미군도 수시로 한반도를 빠져나가는 상황이 현실화되게 됐다. 미측이 주한미군의 이라크 추가 차출과 관련,“계획이 없다.”고 밝혔지만 미측안대로 내년 말 감축이 완료될 경우,이라크 추가 차출은 자연스러운 형태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예상 밖 통보,당혹한 정부 6일 저녁 서울 플라자 호텔에서 만난 한·미 감축협상팀은 2시간30분간 주한미군 감축 문제를 협의했다. 7일 예정된 일정보다 하루 앞당겨 전격적으로 열린 첫 협상에서 김숙 외교부 북미국장,위성락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정책조정관,한민구 국방부 대외협력관 등 우리측 3인위원회측은 허를 찔린 듯 당혹스러워했고,전체 회담 분위기는 썰렁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측은 자정을 넘겨서까지 대책에 골몰했고,김숙 국장은 외교부 청사에서 밤을 거의 지새운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주말까지도 정부 고위관계자는 이번 협상의 최대 관건은 ‘시기’라며,“경기북부 주둔 주한미군의 경우 의정부·동두천 지역으로 통합이 완료돼 평택·오산으로 이전하는 2007∼2008년 정도가 돼야 감축을 시작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었다. 주한미군의 110억달러 전력투자 완료 시점과,한국군이 미군으로부터 공동경비구역(JSA) 내 특정임무를 완전히 이양받는 시점이 2006년 말이란 점을 감안한 것이다. ●통보냐,협상용이냐 미측이 지난해 6월 설명한 개념적 숫자인 1만 2000명보다 500명을 늘려잡고 시기도 2005년 말로 시기를 앞당겨 제시한 것과 관련,향후 우리 정부와의 협상을 위한 카드일 수도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우리 정부가 ‘시기’ 문제를 언론에 공개적으로 얘기한 상황에서 미측도 일방 통보가 아닌,한국 정부와의 협상을 염두에 뒀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7일 오전 예정했던 브리핑을 연기하면서까지 NSC·국방부·외교부 합동 대책회의를 가지는 등 대 국민 설명의 수위를 놓고 부심했다.김숙 국장은 미측의 통보 내용이 최초 회의에서 나온 기본계획이라며 향후 정부안을 바탕으로 더 논의가 이뤄져야 함을 강조했다. 최종 결과는 아니란 뜻이다.정부 당국자는 8일까지 열리는 미래 한·미 동맹정책구상회의(FOTA) 기간 중 추가 감축 협상은 없을 것 같다고 밝혔다. 이르면 다음달 열릴 것으로 예상되는 제 10차 FOTA 회의부터 한·미간 주한미군 감축 시기와 규모를 둘러싼 본격 신경전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김수정기자 crystal@seoul.co.kr˝
  • [미군 12500명 조기 감축] 美의 예상 뛰어넘은 조기철군案 ‘당혹’

    [미군 12500명 조기 감축] 美의 예상 뛰어넘은 조기철군案 ‘당혹’

    주한미군 2만 5000명 시대가 오는가.미국이 지난 6일 저녁 열린 한·미간 주한미군 감축 협상에서 1만 2500명을 내년 말까지 한반도에서 빼내겠다고 공식 통보함으로써 한반도 안보 환경에 커다란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미국측이 이날 통보한 내용은 지난해 6월 우리측에 제시한 규모보다 늘었고,특히 시기의 경우 예상을 훨씬 앞지르는 것이어서 정부의 당혹감은 상당하다. 또 미국의 전세계 해외주둔미군 재배치계획(GPR) 개념에 따른 주한미군의 동북아 기동군화에 대해 우리 정부가 이해를 재확인함으로써 2만 5000명의 주한미군도 수시로 한반도를 빠져나가는 상황이 현실화되게 됐다. 미측이 주한미군의 이라크 추가 차출과 관련,“계획이 없다.”고 밝혔지만 미측안대로 내년 말 감축이 완료될 경우,이라크 추가 차출은 자연스러운 형태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예상 밖 통보,당혹한 정부 6일 저녁 서울 플라자 호텔에서 만난 한·미 감축협상팀은 2시간30분간 주한미군 감축 문제를 협의했다. 7일 예정된 일정보다 하루 앞당겨 전격적으로 열린 첫 협상에서 김숙 외교부 북미국장,위성락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정책조정관,한민구 국방부 대외협력관 등 우리측 3인위원회측은 허를 찔린 듯 당혹스러워했고,전체 회담 분위기는 썰렁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측은 자정을 넘겨서까지 대책에 골몰했고,김숙 국장은 외교부 청사에서 밤을 거의 지새운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주말까지도 정부 고위관계자는 이번 협상의 최대 관건은 ‘시기’라며,“경기북부 주둔 주한미군의 경우 의정부·동두천 지역으로 통합이 완료돼 평택·오산으로 이전하는 2007∼2008년 정도가 돼야 감축을 시작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었다. 주한미군의 110억달러 전력투자 완료 시점과,한국군이 미군으로부터 공동경비구역(JSA) 내 특정임무를 완전히 이양받는 시점이 2006년 말이란 점을 감안한 것이다. ●통보냐,협상용이냐 미측이 지난해 6월 설명한 개념적 숫자인 1만 2000명보다 500명을 늘려잡고 시기도 2005년 말로 시기를 앞당겨 제시한 것과 관련,향후 우리 정부와의 협상을 위한 카드일 수도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우리 정부가 ‘시기’ 문제를 언론에 공개적으로 얘기한 상황에서 미측도 일방 통보가 아닌,한국 정부와의 협상을 염두에 뒀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7일 오전 예정했던 브리핑을 연기하면서까지 NSC·국방부·외교부 합동 대책회의를 가지는 등 대 국민 설명의 수위를 놓고 부심했다.김숙 국장은 미측의 통보 내용이 최초 회의에서 나온 기본계획이라며 향후 정부안을 바탕으로 더 논의가 이뤄져야 함을 강조했다. 최종 결과는 아니란 뜻이다.정부 당국자는 8일까지 열리는 미래 한·미 동맹정책구상회의(FOTA) 기간 중 추가 감축 협상은 없을 것 같다고 밝혔다. 이르면 다음달 열릴 것으로 예상되는 제 10차 FOTA 회의부터 한·미간 주한미군 감축 시기와 규모를 둘러싼 본격 신경전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김수정기자 crystal@seoul.co.kr
  • 미군 ‘동북아 기동군화’ 논란

    우리 정부는 지난 6일 열린 미국과의 주한미군 재조정 협상에서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에 대한 중요성을 재확인한다는 입장을 밝혔다.‘전략적 유연성’은 ‘동북아 평화·안정을 위한 기동군’으로 주한 미군의 변화를 인정한다는 말이다.주한미군이 유사시 한반도를 떠나 동북아의 기동군으로 역할을 한다는 뜻으로,이에 대해 일부 시민 단체는 물론 정부 내에서조차 미묘한 시각차가 있어 향후 논란이 예상된다. ‘전략적 ‘은 이미 지난해 12월 열린 한·미연례안보협의회(SCM)에서 우리 정부가 이미 확인했던 내용이다.김숙 외교통상부 북미국장은 “미국의 전세계 해외주둔 미군재배치계획(GPR) 차원에서 이 문제의 중요성을 감안,양국간 충분히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원칙적인 동의는 하되,주한미군 이동에 따른 사전협의 문제 등과 연계해 향후 어느 단계에서 논의를 할 사안이란 뜻이다.주한미군의 동북아 기동군화를 인정해야 한다는 입장은,이미 지난 53년 체결된 한·미상호방위조약 내용에 ‘태평양지역’까지 방위 범위가 설정돼 있다.또 전략적 유연성을 부정할 경우 미국의 GPR계획 자체를 우리가 수용하지 않는 논리로 이어진다는 주장이다. 오히려 9·11 이후 테러 등 변화하는 전세계적 도전에 대한 미국의 새로운 구상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것이다.이같은 입장에 찬성하는 정부 관계자도 “우리 한국군에 해당되는 사항은 아니다.”며 주한미군에 국한하고 있는 점을 강조한다. 반대하는 측에선 중국 등 주변국을 자극할 수 있어 동북아지역에서 우리의 외교입지가 위축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중국과 타이완간 분쟁이 발생할 경우,주한미군이 한국의 오산·평택을 발진 기지로 삼아 해군력과 공군력을 출동하는 것은 우리로선 부담이 된다는 것이다.중국과 북한을 자극해 향후 한반도 평화 구축에 장애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김수정기자 crystal@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