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교과서 편수관/노주석 논설위원
‘편수관(編修官)’은 조선시대 춘추관(春秋館)의 관직을 이른다. 춘추관이라 함은 역사의 기록과 편찬을 담당하던 관청. 의정부, 홍문관, 사헌부, 사간원, 승문원, 규장각 등의 정3품에서 종4품까지 관원 중 글 잘하는 사람이 겸임하던 명예로운 관직이었다. 춘추관이라는 관청 명은 고려초인 1308년 예문춘추관에서 시작돼 춘추관으로 독립하는 등 이름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조선조 들어 1401년 예문관과 분리돼 춘추관으로 재독립했다. 경국대전에는 영의정이 겸임하는 영사, 좌의정과 우의정이 겸임하는 감사 2명을 비롯해 지사, 동지사, 수찬관, 편수관을 두었다. 편수관 아래로 정5품에서 정9품까지 관리를 배치했다.
편수관은 정부수립과 함께 화려하게 부활했다. 당시 문교부 편수국은 편수과, 번역과, 발행과 3개과를 거느리고 있었는데 편수관은 실·국장자리에 오를 수 있는 이사관급 고위직이었다. 이후 파란만장한 교육 변천사에 따라 희비의 쌍곡선을 그었다. 독립됐다가 흡수통합되고 다시 폐지되기를 6차례나 반복했다.1996년 7월5일 제7차 교육과정 개정시안 개발과정에서 ‘교육 청사진’ 담당부서인 편수국과 700년 동안 명맥을 이어온 편수관 제도는 종말을 고했다.
폐지된 지 12년이 흐른 요즘 편수관의 역할이 재부각되고 있다. 일본 문부과학성이 초·중등학교 학습지도요령에 독도 영유권 표기와 지침을 분명히 한 데 이어 교과서 좌편향 논란 등 교과서와 관련된 논란이 끊이지 않으면서다. 그런데 교육과학기술부내 담당부서는 교육과정기획과, 교과서선진화팀, 동북아역사문제대책팀 등 3개 부서에 불과하며 11명이 업무를 맡고 있다고 한다.
국가 교육과정 수립이라는 중책에다 국정교과서 721종, 검정교과서 1575종 등 모두 2296종에 이르는 교과서 편수업무를 달랑 11명이 맡고 있다는 것이다. 일본은 어떨까. 교육과정과와 교과서과에 100명이 넘는 전문인력이 근무하고 있다. 교과서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정밀대책 마련에 차분한 대응을 외치던 대통령과 외교부 및 교과부 장·차관, 국회의원들을 생각하면 울화통이 터진다. 차제에 편수관을 재부활시킬 용의는 없는가.
노주석 논설위원 jo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