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무제
    2025-08-17
    검색기록 지우기
  • 사나
    2025-08-17
    검색기록 지우기
  • 공공시설
    2025-08-17
    검색기록 지우기
  • 복권
    2025-08-17
    검색기록 지우기
  • 폭행
    2025-08-17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1,083
  •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데이터 요금제 완결판” 어떻게 되나?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데이터 요금제 완결판” 어떻게 되나?

    19일 SK텔레콤은 2만원대 요금제부터 무선은 물론 유선 통화까지 무제한 제공하고, 업계 최고 수준의 데이터와 데이터 자유자재 활용 등으로 차별화한 ‘밴드 데이터 요금제’를 내놨다. 통신 3사 가운데 최초로 매월 데이터 300MB를 주는 2만원대 최저 요금제 ‘29.9요금제(월 2만9천900원)’부터 데이터 35GB를 제공하는 10만원대의 ‘100요금제(월 10만원)’까지 총 8가지 요금 구간 모두에서 유선과 무선 통화, 문자를 무제한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36요금제(월 3만6천원)’에는 1.2GB, ‘42요금제(월 4만2천원)’에는 2.2GB, ‘47요금제(월 4만7천원)’에는 3.5GB, ‘51요금제(월5만1천원)’에는 6.5GB의 데이터를 각각 준다. ’61요금제(월 6만1천원)’ 이상 가입 고객은 데이터 기본량을 소진하더라도 하루 2GB를 추가로 쓸 수 있고, 이마저 다 쓴 후에는 3Mbps의 속도로 추가요금 없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80요금제(월 8만원)’와 ‘100요금제(월 10만원)’ 이용 고객에게는 VIP 멤버십, 단말 분실·파손 보함, 월정액의 최대 15%의 OK캐쉬백 포인트 적립 등의 혜택을 추가로 준다. 뉴스팀 seoulen@seoul.co.kr
  • 2만원대로 유 무선 무제한 SKT 요금제 ‘인기 폭발’

    2만원대로 유 무선 무제한 SKT 요금제 ‘인기 폭발’

    19일 SK텔레콤은 2만원대 요금제부터 무선은 물론 유선 통화까지 무제한 제공하고, 업계 최고 수준의 데이터와 데이터 자유자재 활용 등으로 차별화한 ‘밴드 데이터 요금제’를 내놨다. 통신 3사 가운데 최초로 매월 데이터 300MB를 주는 2만원대 최저 요금제 ‘29.9요금제(월 2만9천900원)’부터 데이터 35GB를 제공하는 10만원대의 ‘100요금제(월 10만원)’까지 총 8가지 요금 구간 모두에서 유선과 무선 통화, 문자를 무제한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36요금제(월 3만6천원)’에는 1.2GB, ‘42요금제(월 4만2천원)’에는 2.2GB, ‘47요금제(월 4만7천원)’에는 3.5GB, ‘51요금제(월5만1천원)’에는 6.5GB의 데이터를 각각 준다. ’61요금제(월 6만1천원)’ 이상 가입 고객은 데이터 기본량을 소진하더라도 하루 2GB를 추가로 쓸 수 있고, 이마저 다 쓴 후에는 3Mbps의 속도로 추가요금 없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80요금제(월 8만원)’와 ‘100요금제(월 10만원)’ 이용 고객에게는 VIP 멤버십, 단말 분실·파손 보함, 월정액의 최대 15%의 OK캐쉬백 포인트 적립 등의 혜택을 추가로 준다. 뉴스팀 seoulen@seoul.co.kr
  • SKT 요금제 2만 원대에서 10만 원대까지 ‘밴드 데이터 요금제’ 출시

    SKT 요금제 2만 원대에서 10만 원대까지 ‘밴드 데이터 요금제’ 출시

    SKT 요금제 2만 원대에서 10만 원대까지 ‘밴드 데이터 요금제’ 출시 19일 SK텔레콤은 2만원대 요금제를 포함한 ‘밴드 데이터 요금제’를 내놨다. 통신 3사 가운데 최초로 매월 데이터 300MB를 주는 2만원대 최저 요금제 ‘29.9요금제(월 2만9천900원)’부터 데이터 35GB를 제공하는 10만원대의 ‘100요금제(월 10만원)’까지 총 8가지 요금 구간 모두에서 유선과 무선 통화, 문자를 무제한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36요금제(월 3만6천원)’에는 1.2GB, ‘42요금제(월 4만2천원)’에는 2.2GB, ‘47요금제(월 4만7천원)’에는 3.5GB, ‘51요금제(월5만1천원)’에는 6.5GB의 데이터를 각각 준다. ’61요금제(월 6만1천원)’ 이상 가입 고객은 데이터 기본량을 소진하더라도 하루 2GB를 추가로 쓸 수 있고, 이마저 다 쓴 후에는 3Mbps의 속도로 추가요금 없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80요금제(월 8만원)’와 ‘100요금제(월 10만원)’ 이용 고객에게는 VIP 멤버십, 단말 분실·파손 보함, 월정액의 최대 15%의 OK캐쉬백 포인트 적립 등의 혜택을 추가로 준다. 뉴스팀 seoulen@seoul.co.kr
  •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데이터 요금제 완결판”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데이터 요금제 완결판”

    19일 SK텔레콤은 2만원대 요금제를 포함한 ‘밴드 데이터 요금제’를 내놨다. 통신 3사 가운데 최초로 매월 데이터 300MB를 주는 2만원대 최저 요금제 ‘29.9요금제(월 2만9천900원)’부터 데이터 35GB를 제공하는 10만원대의 ‘100요금제(월 10만원)’까지 총 8가지 요금 구간 모두에서 유선과 무선 통화, 문자를 무제한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36요금제(월 3만6천원)’에는 1.2GB, ‘42요금제(월 4만2천원)’에는 2.2GB, ‘47요금제(월 4만7천원)’에는 3.5GB, ‘51요금제(월5만1천원)’에는 6.5GB의 데이터를 각각 준다. ’61요금제(월 6만1천원)’ 이상 가입 고객은 데이터 기본량을 소진하더라도 하루 2GB를 추가로 쓸 수 있고, 이마저 다 쓴 후에는 3Mbps의 속도로 추가요금 없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80요금제(월 8만원)’와 ‘100요금제(월 10만원)’ 이용 고객에게는 VIP 멤버십, 단말 분실·파손 보함, 월정액의 최대 15%의 OK캐쉬백 포인트 적립 등의 혜택을 추가로 준다. 뉴스팀 seoulen@seoul.co.kr
  • [이통 3사 데이터요금 시대] 영업맨 아빠 월 4만원 절약… 영화광 아들은 1000원 더 부담

    [이통 3사 데이터요금 시대] 영업맨 아빠 월 4만원 절약… 영화광 아들은 1000원 더 부담

    19일 SK텔레콤이 KT와 LG유플러스에 이어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내놓으면서 소비자들은 2만원대 무제한 음성 통화 상품(데이터 기준 과금)을 쓸 수 있게 됐다. SK텔레콤은 20일부터 월 2만 9900원짜리 무제한 음성(유·무선) 통화 상품을 출시한다. KT와 LG유플러스는 이미 2만 9900원짜리 무제한 음성(무선) 통화 상품을 팔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 중심 요금제가 무조건 이득은 아니다. 예를 들어 월평균 1000분가량의 음성 통화와 200MB 수준의 미미한 데이터를 사용하는 주모씨의 경우 기존 7만 6000원짜리 요금제에서 2만 9900원짜리 데이터 중심 요금제로 갈아타면 절감액이 월 4만원이 넘는다. 기존에 약정 기간이 남아 있더라도 그 기간만큼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쓰면 추가 요금 없이 요금제를 바꿀 수 있다. 단, 단말기 약정 요금은 별도다. 하지만 이 요금제가 주는 무료 데이터 양은 300MB뿐이다. 스마트폰으로 영화라도 한 편(평균 1.2~1.4GB) 다운로드해 볼 경우 2만원이 넘는 요금이 별도로 부과돼 낭패를 당할 수 있다. 또 기존에 LTE62(월정액 4만 6000원, 데이터 5GB·음성 350분)를 사용하던 SK텔레콤 소비자의 경우 실제 납부금액이 비슷한 수준의 데이터 요금 상품인 밴드데이터47요금제로 변경하면 요금이 오히려 1000원 정도 증가한다. 이 경우 원래 요금제를 쓰는 편이 좋다. 사용 패턴을 제대로 파악한 뒤 변경 여부를 검토해야 한다. 이동통신 업계가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내놓은 것은 휴대전화 사용 패턴이 음성 중심에서 데이터 중심으로 바뀌면서 데이터 중심 요금제가 장기적으로는 이득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2012년 7월 LTE 서비스 도입으로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이통 3사의 가입자당 월평균 통화량은 차이가 없는 반면, 데이터 사용량은 크게 늘고 있다. 1인당 월평균 통화량은 2012년 9월 161분에서 2015년 3월 199분으로 23%가량 증가하는 데 그친 반면, 데이터 사용량은 786MB에서 2302MB로 3배가량 커졌다. 이통사들은 아직까진 음성이 중심이기 때문에 당장은 업계가 손해를 본다는 입장이다. KT가 지난 7일 데이터 요금제를 출시한 이후 18일까지 약 20만명이 넘는 고객이 이 제품을 택했다. 업계 관계자는 “기존에 통화만 주로 쓰던 고객은 이득이어서 소비자의 선택 폭이 넓어진 것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주현진 기자 jhj@seoul.co.kr
  •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유 무선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 완결판” 혜택+특징보니 ‘역대급’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유 무선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 완결판” 혜택+특징보니 ‘역대급’

    2만원대로 유 무선 무제한 SKT 요금제, “데이터 요금제 완결판” 혜택+특징보니 ‘역대급’ ‘2만원대로 유 무선 무제한 SKT 요금제’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소식이 화제다. 19일 SK텔레콤은 “데이터 요금제의 완결판”이라며 최저 2만원대(부가세 제외)의 요금에 유·무선 음성통화와 문자를 무제한 이용하면서 필요한 만큼 데이터 사용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출시한다고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정책을 밝혔다. SK텔레콤은 2만 원대로 요금제부터 무선은 물론 유선 통화까지 무제한 제공하고, 업계 최고 수준의 데이터와 데이터 자유자재 활용 등으로 차별화한 ‘밴드 데이터 요금제’를 내놨다. 통신 3사 가운데 최초로 매월 데이터 300MB를 주는 2만원대 최저 요금제 ‘29.9요금제(월 2만9천900원)’부터 데이터 35GB를 제공하는 10만원대의 ‘100요금제(월 10만원)’까지 총 8가지 요금 구간 모두에서 유선과 무선 통화, 문자를 무제한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SK텔레콤은 업계에서 유일하게 3G 스마트폰 이용자도 데이터 중심 요금제에 가입할 수 있도록 했다. ’36요금제(월 3만6천원)’에는 1.2GB, ‘42요금제(월 4만2천원)’에는 2.2GB, ‘47요금제(월 4만7천원)’에는 3.5GB, ‘51요금제(월5만1천원)’에는 6.5GB의 데이터를 각각 준다. ’61요금제(월 6만1천원)’ 이상 가입 고객은 데이터 기본량을 소진하더라도 하루 2GB를 추가로 쓸 수 있고, 이마저 다 쓴 후에는 3Mbps의 속도로 추가요금 없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업계에서 유일하게 2만원대 최저 요금제부터 실시간 채널 60여개를 시청할 수 있는 ‘Btv 모바일’ 혜택을 주고, 51요금제 이상 고객에게는 이에 더해 최신 영화 20여편, 베스트셀러 도서 30여권, 인기 만화 20여종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T 프리미엄플러스’ 혜택도 제공한다. ’80요금제(월 8만원)’와 ‘100요금제(월 10만원)’ 이용 고객에게는 VIP 멤버십, 단말 분실·파손 보함, 월정액의 최대 15%의 OK캐쉬백 포인트 적립 등의 혜택을 추가로 준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이번에 출시한 ‘밴드 데이터 요금제’는 현존하는 국내 최고의 데이터 중심 요금제로 다른 이동통신사에 비해 혜택이 많다”면서 “데이터 요금제의 완결판이란 점에서 고객들로부터 큰 인기를 끌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뉴스팀 seoulen@seoul.co.kr
  •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유 무선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 완결판” 타사와 비교해보니 ‘대박’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유 무선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 완결판” 타사와 비교해보니 ‘대박’

    2만원대로 유 무선 무제한 SKT 요금제, “데이터 요금제 완결판” 타사와 비교해보니 ‘대박’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유 무선 무제한’ SKT 요금제에 네티즌들의 반응이 뜨겁다. 19일 SK텔레콤은 2만원대 요금제부터 무선은 물론 유선 통화까지 무제한 제공하고, 업계 최고 수준의 데이터와 데이터 자유자재 활용 등으로 차별화한 ‘밴드 데이터 요금제’를 내놨다. 통신 3사 가운데 최초로 매월 데이터 300MB를 주는 2만원대 최저 요금제 ‘29.9요금제(월 2만9천900원)’부터 데이터 35GB를 제공하는 10만원대의 ‘100요금제(월 10만원)’까지 총 8가지 요금 구간 모두에서 유선과 무선 통화, 문자를 무제한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KT는 월 5만 4900원 이상 요금제를 선택한 경우에만 유·무선 음성 통화를 무료로 제공한다. 그나마 월 5만 4900원 요금제는 오는 7월에 출시할 예정이어서 아직 소비자에게 선택권이 없다. LG유플러스는 유선 음성 통화 무료 혜택이 아예 없다. 가장 비싼 월 9만 9900원짜리 요금제를 선택해도 무선 음성 통화만 무제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SK텔레콤은 업계에서 유일하게 3G 스마트폰 이용자도 데이터 중심 요금제에 가입할 수 있도록 해 눈길을 끈다. KT와 LG유플러스가 LTE(롱텀에볼루션) 서비스 가입자에게만 데이터 요금제를 개방한 반면 SK텔레콤은 데이터를 비교적 적게 이용하는 3세대(3G) 서비스 가입자도 요금제에 가입할 수 있도록 했다. ’36요금제(월 3만6천원)’에는 1.2GB, ‘42요금제(월 4만2천원)’에는 2.2GB, ‘47요금제(월 4만7천원)’에는 3.5GB, ‘51요금제(월5만1천원)’에는 6.5GB의 데이터를 각각 준다. ’61요금제(월 6만1천원)’ 이상 가입 고객은 데이터 기본량을 소진하더라도 하루 2GB를 추가로 쓸 수 있고, 이마저 다 쓴 후에는 3Mbps의 속도로 추가요금 없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업계에서 유일하게 2만원대 최저 요금제부터 실시간 채널 60여개를 시청할 수 있는 ‘Btv 모바일’ 혜택을 주고, 51요금제 이상 고객에게는 이에 더해 최신 영화 20여편, 베스트셀러 도서 30여권, 인기 만화 20여종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T 프리미엄플러스’ 혜택도 제공한다. ’80요금제(월 8만원)’와 ‘100요금제(월 10만원)’ 이용 고객에게는 VIP 멤버십, 단말 분실·파손 보함, 월정액의 최대 15%의 OK캐쉬백 포인트 적립 등의 혜택을 추가로 준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이번에 출시한 ‘밴드 데이터 요금제’는 현존하는 국내 최고의 데이터 중심 요금제로 다른 이동통신사에 비해 혜택이 많다”면서 “데이터 요금제의 완결판이란 점에서 고객들로부터 큰 인기를 끌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뉴스팀 seoulen@seoul.co.kr
  •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실제론 3만원대” 의혹 터져나와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SKT의 새 요금제가 최저 2만 원대로 발표된 가운데 가계 통신비 부담을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 통신사 간 담합 의혹도 제기됐다. 우상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19일 성명에서 “월 2만 9900원 음성 무제한 요금제의 경우 부가가치세를 포함하면 실제 지불해야 할 요금은 월 3만 2890원으로 ‘2만원대’라는 말이 무색하다”고 비판했다. 우 의원은 “일본에는 부가세를 포함해도 한국 돈으로 2만 6000원 수준인 2700엔 요금제가 있다”며 “일본의 국민소득과 소비자 물가를 감안할 때 이동통신 3사의 요금은 여전히 부담스럽다”고 지적했다. 우 의원은 “300MB에 불과한 기본 제공 데이터와 데이터 추가 구매시 과도한 비용은 불합리하다”며 “기본요금 폐지가 함께 이뤄져야 실질적으로 데이터 중심 요금제로 전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우 의원은 “이밖에 타사 가입자도 자사 와이파이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파이 상호접속 허용, 공공 와이파이 확대, 중저가 단말기 보급 확대 등이 이른 시일 내에 시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는 앞서 이달 14일 “데이터 선택 요금제는 저가 상품에서 무선 통화를 무제한 열어놓은 대신에 데이터 제공량을 줄였으므로 실질적인 요금 인하 효과가 없다”고 논평한 바 있다. 참여연대는 KT와 LG유플러스의 요금제에 대해 “두 회사의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비교하면 가격과 데이터 제공량이 비슷해 담합을 의심하게 한다”고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날 SKT는 최저 2만원대(부가세 제외)의 요금에 유·무선 음성통화와 문자를 무제한 이용하면서 필요한 만큼 데이터 사용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실제론 3만원대 요금제” 왜?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실제론 3만원대 요금제” 왜?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SKT의 새 요금제가 최저 2만 원대로 발표된 가운데 가계 통신비 부담을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 통신사 간 담합 의혹도 제기됐다. 우상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19일 성명에서 “월 2만 9900원 음성 무제한 요금제의 경우 부가가치세를 포함하면 실제 지불해야 할 요금은 월 3만 2890원으로 ‘2만원대’라는 말이 무색하다”고 비판했다. 우 의원은 “일본에는 부가세를 포함해도 한국 돈으로 2만 6000원 수준인 2700엔 요금제가 있다”며 “일본의 국민소득과 소비자 물가를 감안할 때 이동통신 3사의 요금은 여전히 부담스럽다”고 지적했다. 우 의원은 “300MB에 불과한 기본 제공 데이터와 데이터 추가 구매시 과도한 비용은 불합리하다”며 “기본요금 폐지가 함께 이뤄져야 실질적으로 데이터 중심 요금제로 전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우 의원은 “이밖에 타사 가입자도 자사 와이파이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파이 상호접속 허용, 공공 와이파이 확대, 중저가 단말기 보급 확대 등이 이른 시일 내에 시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는 앞서 이달 14일 “데이터 선택 요금제는 저가 상품에서 무선 통화를 무제한 열어놓은 대신에 데이터 제공량을 줄였으므로 실질적인 요금 인하 효과가 없다”고 논평한 바 있다. 참여연대는 KT와 LG유플러스의 요금제에 대해 “두 회사의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비교하면 가격과 데이터 제공량이 비슷해 담합을 의심하게 한다”고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날 SKT는 최저 2만원대(부가세 제외)의 요금에 유·무선 음성통화와 문자를 무제한 이용하면서 필요한 만큼 데이터 사용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실제 요금 3만원대” 이견도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SKT의 새 요금제가 최저 2만 원대로 발표된 가운데 가계 통신비 부담을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우상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19일 성명에서 “월 2만 9900원 음성 무제한 요금제의 경우 부가가치세를 포함하면 실제 지불해야 할 요금은 월 3만 2890원으로 ‘2만원대’라는 말이 무색하다”고 비판했다. 우 의원은 “일본에는 부가세를 포함해도 한국 돈으로 2만 6000원 수준인 2700엔 요금제가 있다”며 “일본의 국민소득과 소비자 물가를 감안할 때 이동통신 3사의 요금은 여전히 부담스럽다”고 지적했다. 우 의원은 “300MB에 불과한 기본 제공 데이터와 데이터 추가 구매시 과도한 비용은 불합리하다”며 “기본요금 폐지가 함께 이뤄져야 실질적으로 데이터 중심 요금제로 전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우 의원은 “이밖에 타사 가입자도 자사 와이파이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파이 상호접속 허용, 공공 와이파이 확대, 중저가 단말기 보급 확대 등이 이른 시일 내에 시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는 앞서 이달 14일 “데이터 선택 요금제는 저가 상품에서 무선 통화를 무제한 열어놓은 대신에 데이터 제공량을 줄였으므로 실질적인 요금 인하 효과가 없다”고 논평한 바 있다. 참여연대는 KT와 LG유플러스의 요금제에 대해 “두 회사의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비교하면 가격과 데이터 제공량이 비슷해 담합을 의심하게 한다”고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29.9 요금제 데이터는 얼마나?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29.9 요금제 데이터는 얼마나?

    19일 SK텔레콤은 2만원대 요금제를 포함한 ‘밴드 데이터 요금제’를 내놨다. 통신 3사 가운데 최초로 매월 데이터 300MB를 주는 2만원대 최저 요금제 ‘29.9요금제(월 2만9천900원)’부터 데이터 35GB를 제공하는 10만원대의 ‘100요금제(월 10만원)’까지 총 8가지 요금 구간 모두에서 유선과 무선 통화, 문자를 무제한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36요금제(월 3만6천원)’에는 1.2GB, ‘42요금제(월 4만2천원)’에는 2.2GB, ‘47요금제(월 4만7천원)’에는 3.5GB, ‘51요금제(월5만1천원)’에는 6.5GB의 데이터를 각각 준다. ’61요금제(월 6만1천원)’ 이상 가입 고객은 데이터 기본량을 소진하더라도 하루 2GB를 추가로 쓸 수 있고, 이마저 다 쓴 후에는 3Mbps의 속도로 추가요금 없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80요금제(월 8만원)’와 ‘100요금제(월 10만원)’ 이용 고객에게는 VIP 멤버십, 단말 분실·파손 보함, 월정액의 최대 15%의 OK캐쉬백 포인트 적립 등의 혜택을 추가로 준다. 뉴스팀 seoulen@seoul.co.kr
  •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유 무선 무제한, 혜택 보니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유 무선 무제한, 혜택 보니

    19일 SK텔레콤은 2만원대 요금제부터 무선은 물론 유선 통화까지 무제한 제공하고, 업계 최고 수준의 데이터와 데이터 자유자재 활용 등으로 차별화한 ‘밴드 데이터 요금제’를 내놨다. 통신 3사 가운데 최초로 매월 데이터 300MB를 주는 2만원대 최저 요금제 ‘29.9요금제(월 2만9천900원)’부터 데이터 35GB를 제공하는 10만원대의 ‘100요금제(월 10만원)’까지 총 8가지 요금 구간 모두에서 유선과 무선 통화, 문자를 무제한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36요금제(월 3만6천원)’에는 1.2GB, ‘42요금제(월 4만2천원)’에는 2.2GB, ‘47요금제(월 4만7천원)’에는 3.5GB, ‘51요금제(월5만1천원)’에는 6.5GB의 데이터를 각각 준다. ’61요금제(월 6만1천원)’ 이상 가입 고객은 데이터 기본량을 소진하더라도 하루 2GB를 추가로 쓸 수 있고, 이마저 다 쓴 후에는 3Mbps의 속도로 추가요금 없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80요금제(월 8만원)’와 ‘100요금제(월 10만원)’ 이용 고객에게는 VIP 멤버십, 단말 분실·파손 보함, 월정액의 최대 15%의 OK캐쉬백 포인트 적립 등의 혜택을 추가로 준다. 뉴스팀 seoulen@seoul.co.kr
  •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대박 요금제 나왔다’ 화제집중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대박 요금제 나왔다’ 화제집중

    19일 SK텔레콤은 2만원대 요금제를 포함한 ‘밴드 데이터 요금제’를 내놨다. 통신 3사 가운데 최초로 매월 데이터 300MB를 주는 2만원대 최저 요금제 ‘29.9요금제(월 2만9천900원)’부터 데이터 35GB를 제공하는 10만원대의 ‘100요금제(월 10만원)’까지 총 8가지 요금 구간 모두에서 유선과 무선 통화, 문자를 무제한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36요금제(월 3만6천원)’에는 1.2GB, ‘42요금제(월 4만2천원)’에는 2.2GB, ‘47요금제(월 4만7천원)’에는 3.5GB, ‘51요금제(월5만1천원)’에는 6.5GB의 데이터를 각각 준다. ’61요금제(월 6만1천원)’ 이상 가입 고객은 데이터 기본량을 소진하더라도 하루 2GB를 추가로 쓸 수 있고, 이마저 다 쓴 후에는 3Mbps의 속도로 추가요금 없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80요금제(월 8만원)’와 ‘100요금제(월 10만원)’ 이용 고객에게는 VIP 멤버십, 단말 분실·파손 보함, 월정액의 최대 15%의 OK캐쉬백 포인트 적립 등의 혜택을 추가로 준다. 뉴스팀 seoulen@seoul.co.kr
  •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유 무선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 완결판”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유 무선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 완결판”

    19일 SK텔레콤은 2만원대 요금제를 포함한 ‘밴드 데이터 요금제’를 내놨다. 통신 3사 가운데 최초로 매월 데이터 300MB를 주는 2만원대 최저 요금제 ‘29.9요금제(월 2만9천900원)’부터 데이터 35GB를 제공하는 10만원대의 ‘100요금제(월 10만원)’까지 총 8가지 요금 구간 모두에서 유선과 무선 통화, 문자를 무제한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36요금제(월 3만6천원)’에는 1.2GB, ‘42요금제(월 4만2천원)’에는 2.2GB, ‘47요금제(월 4만7천원)’에는 3.5GB, ‘51요금제(월5만1천원)’에는 6.5GB의 데이터를 각각 준다. ’61요금제(월 6만1천원)’ 이상 가입 고객은 데이터 기본량을 소진하더라도 하루 2GB를 추가로 쓸 수 있고, 이마저 다 쓴 후에는 3Mbps의 속도로 추가요금 없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80요금제(월 8만원)’와 ‘100요금제(월 10만원)’ 이용 고객에게는 VIP 멤버십, 단말 분실·파손 보함, 월정액의 최대 15%의 OK캐쉬백 포인트 적립 등의 혜택을 추가로 준다. 뉴스팀 seoulen@seoul.co.kr
  •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유무선 무제한+IPTV+3G 가입 가능 “또 다른 혜택은?”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유무선 무제한+IPTV+3G 가입 가능 “또 다른 혜택은?” SK텔레콤은 19일 음성 통화와 문자 메시지를 무제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출시하면서 “데이터 요금제의 완결판”이라고 자평하는 등 KT, LG유플러스 등 경쟁사 요금제와 차별화를 강조했다. SK텔레콤의 ‘밴드 데이터 요금제’는 2만원대 요금제부터 무선 음성 통화는 물론 유선으로 음성통화를 무제한 사용할 수 있고 모바일 IPTV가 기본 제공되는 점에서 타사에 비해 가입자 혜택이 우수한 편이다. KT와 LG유플러스가 LTE(롱텀에볼루션) 서비스 가입자에게만 데이터 요금제를 개방한 반면 SK텔레콤은 데이터를 비교적 적게 이용하는 3세대(3G) 서비스 가입자도 요금제에 가입할 수 있도록 했다. SK텔레콤은 월 2만 9900원 요금제를 선택한 가입자들에게도 유·무선 음성 통화를 무료로 제공한다. 휴대전화로 다른 휴대전화와 통화할 때는 물론 집이나 사무실 등 유선전화와 통화할 때도 전화비를 내지 않는다는 뜻이다. KT는 월 5만 4900원 이상 요금제를 선택한 경우에만 유·무선 음성 통화를 무료로 제공한다. 그나마 월 5만 4900원 요금제는 오는 7월에 출시할 예정이어서 아직 소비자에게 선택권이 없다. LG유플러스는 유선 음성 통화 무료 혜택이 아예 없다. 가장 비싼 월 9만 9900원짜리 요금제를 선택해도 무선 음성 통화만 무제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SK텔레콤은 업계에서 유일하게 3G 스마트폰 이용자도 데이터 중심 요금제에 가입할 수 있도록 했다. SK텔레콤은 경쟁사보다 요금을 조금씩 높이고 데이터 제공량도 늘렸다. 이동통신 3사는 월 2만 9900원 요금제에서 동일하게 300MB를 제공한다. 그러나 좀 더 높은 요금제로 가면 KT는 월 3만 4900원으로 1GB를, LG유플러스는 월 3만 3900원으로 1GB를, SK텔레콤은 월 3만 6000원으로 1.2GB를 각각 제공한다. LG유플러스가 KT에 비해 1000원 싸게 요금제를 책정한 반면 SK텔레콤은 오히려 요금을 다소 높이고 데이터 제공량을 늘려 차별화를 꾀했다. 데이터 단위당 요금은 SK텔레콤이 저렴하다. SK텔레콤은 월 4만 2000원으로 2.2GB를, 월 4만 7000원으로 3.5GB를, 월 5만 1000원으로 6.5GB를 각각 제공한다. KT가 월 3만 9900원으로 2GB를, 월 4만 9900원으로 6GB를, 월 5만 9900원으로 10GB를 제공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 SK텔레콤은 2만원대 요금제부터 모바일 IPTV ‘Btv 모바일’을 기본 제공한다. KT가 5만 4900원 이상 요금제부터, LG유플러스가 4만 9900원 이상 요금제부터 각각 ‘올레tv 모바일’과 ‘U+HDTV’를 제공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 SK텔레콤은 월 5만 1000원 요금제부터는 모바일 IPTV뿐 아니라 최신 영화 20여편, 베스트셀러 도서 30여권, 인기 만화 20여질 등 무료 이용할 수 있는 ‘T 프리미엄플러스’ 혜택도 준다. 또 월 8만원 요금제부터는 월정액의 최대 15%를 OK캐쉬백 포인트로 적립하게 해준다. 연 5만 5000원 상당의 단말기 분실·파손 보험 가입, VIP 멤버십 승급 등의 혜택도 있다. SK텔레콤은 기본 제공 데이터와 동일한 양의 데이터를 무료로 받을 수 있는 ‘리필’ 서비스를 도입했다. 예를 들어 월 5만 1000원 요금제에 가입하면 데이터 6.5GB를 사용하고 ‘리필’ 쿠폰 1장을 써서 6.5GB를 더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를 이월하거나 미리 당겨쓸 수 있도록 한 KT의 ‘밀당’ 서비스와 대응된다. SK텔레콤은 올해 11월 19일까지 데이터 중심 요금제에 가입하는 사람들에게 ‘리필’ 쿠폰을 제공한다. 첫 가입자에게는 쿠폰 1장, 가입한지 1∼2년된 가입자에게는 2장을 각각 제공한다. 가입연수에 따라 최다 6장을 주기로 했다. SK텔레콤은 자신의 데이터를 가족이나 지인에게 나눠줄 수 있는 ‘선물하기’ 서비스와 데이터를 동일인 명의의 스마트폰, 태블릿에서 동시에 쓸 수 있는 ‘함께쓰기’ 서비스도 도입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이번에 출시한 ‘밴드 데이터 요금제’는 현존하는 국내 최고의 데이터 중심 요금제로 다른 이동통신사에 비해 혜택이 많다”면서 “데이터 요금제의 완결판이란 점에서 고객들로부터 큰 인기를 끌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유 무선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 완결판”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유 무선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 완결판”

    19일 SK텔레콤은 2만원대 요금제부터 무선은 물론 유선 통화까지 무제한 제공하고, 업계 최고 수준의 데이터와 데이터 자유자재 활용 등으로 차별화한 ‘밴드 데이터 요금제’를 내놨다. 통신 3사 가운데 최초로 매월 데이터 300MB를 주는 2만원대 최저 요금제 ‘29.9요금제(월 2만9천900원)’부터 데이터 35GB를 제공하는 10만원대의 ‘100요금제(월 10만원)’까지 총 8가지 요금 구간 모두에서 유선과 무선 통화, 문자를 무제한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36요금제(월 3만6천원)’에는 1.2GB, ‘42요금제(월 4만2천원)’에는 2.2GB, ‘47요금제(월 4만7천원)’에는 3.5GB, ‘51요금제(월5만1천원)’에는 6.5GB의 데이터를 각각 준다. ’61요금제(월 6만1천원)’ 이상 가입 고객은 데이터 기본량을 소진하더라도 하루 2GB를 추가로 쓸 수 있고, 이마저 다 쓴 후에는 3Mbps의 속도로 추가요금 없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80요금제(월 8만원)’와 ‘100요금제(월 10만원)’ 이용 고객에게는 VIP 멤버십, 단말 분실·파손 보함, 월정액의 최대 15%의 OK캐쉬백 포인트 적립 등의 혜택을 추가로 준다. 뉴스팀 seoulen@seoul.co.kr
  •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데이터 요금제 완결판” 혜택 보니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데이터 요금제 완결판” 혜택 보니

    19일 SK텔레콤은 2만원대 요금제를 포함한 ‘밴드 데이터 요금제’를 내놨다. 통신 3사 가운데 최초로 매월 데이터 300MB를 주는 2만원대 최저 요금제 ‘29.9요금제(월 2만9천900원)’부터 데이터 35GB를 제공하는 10만원대의 ‘100요금제(월 10만원)’까지 총 8가지 요금 구간 모두에서 유선과 무선 통화, 문자를 무제한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36요금제(월 3만6천원)’에는 1.2GB, ‘42요금제(월 4만2천원)’에는 2.2GB, ‘47요금제(월 4만7천원)’에는 3.5GB, ‘51요금제(월5만1천원)’에는 6.5GB의 데이터를 각각 준다. ’61요금제(월 6만1천원)’ 이상 가입 고객은 데이터 기본량을 소진하더라도 하루 2GB를 추가로 쓸 수 있고, 이마저 다 쓴 후에는 3Mbps의 속도로 추가요금 없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80요금제(월 8만원)’와 ‘100요금제(월 10만원)’ 이용 고객에게는 VIP 멤버십, 단말 분실·파손 보함, 월정액의 최대 15%의 OK캐쉬백 포인트 적립 등의 혜택을 추가로 준다. 뉴스팀 seoulen@seoul.co.kr
  • SKT 요금제 2만원대로, 3G 가입자도 서비스 가입 가능 “대박 혜택 어떤 것?”

    SKT 요금제 2만원대로 SKT 요금제 2만원대로, 3G 가입자도 서비스 가입 가능 “대박 혜택 어떤 것?” SK텔레콤은 19일 음성 통화와 문자 메시지를 무제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출시하면서 “데이터 요금제의 완결판”이라고 자평하는 등 KT, LG유플러스 등 경쟁사 요금제와 차별화를 강조했다. SK텔레콤의 ‘밴드 데이터 요금제’는 2만원대 요금제부터 무선 음성 통화는 물론 유선으로 음성통화를 무제한 사용할 수 있고 모바일 IPTV가 기본 제공되는 점에서 타사에 비해 가입자 혜택이 우수한 편이다. KT와 LG유플러스가 LTE(롱텀에볼루션) 서비스 가입자에게만 데이터 요금제를 개방한 반면 SK텔레콤은 데이터를 비교적 적게 이용하는 3세대(3G) 서비스 가입자도 요금제에 가입할 수 있도록 했다. SK텔레콤은 월 2만 9900원 요금제를 선택한 가입자들에게도 유·무선 음성 통화를 무료로 제공한다. 휴대전화로 다른 휴대전화와 통화할 때는 물론 집이나 사무실 등 유선전화와 통화할 때도 전화비를 내지 않는다는 뜻이다. KT는 월 5만 4900원 이상 요금제를 선택한 경우에만 유·무선 음성 통화를 무료로 제공한다. 그나마 월 5만 4900원 요금제는 오는 7월에 출시할 예정이어서 아직 소비자에게 선택권이 없다. LG유플러스는 유선 음성 통화 무료 혜택이 아예 없다. 가장 비싼 월 9만 9900원짜리 요금제를 선택해도 무선 음성 통화만 무제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SK텔레콤은 업계에서 유일하게 3G 스마트폰 이용자도 데이터 중심 요금제에 가입할 수 있도록 했다. SK텔레콤은 경쟁사보다 요금을 조금씩 높이고 데이터 제공량도 늘렸다. 이동통신 3사는 월 2만 9900원 요금제에서 동일하게 300MB를 제공한다. 그러나 좀 더 높은 요금제로 가면 KT는 월 3만 4900원으로 1GB를, LG유플러스는 월 3만 3900원으로 1GB를, SK텔레콤은 월 3만 6000원으로 1.2GB를 각각 제공한다. LG유플러스가 KT에 비해 1000원 싸게 요금제를 책정한 반면 SK텔레콤은 오히려 요금을 다소 높이고 데이터 제공량을 늘려 차별화를 꾀했다. 데이터 단위당 요금은 SK텔레콤이 저렴하다. SK텔레콤은 월 4만 2000원으로 2.2GB를, 월 4만 7000원으로 3.5GB를, 월 5만 1000원으로 6.5GB를 각각 제공한다. KT가 월 3만 9900원으로 2GB를, 월 4만 9900원으로 6GB를, 월 5만 9900원으로 10GB를 제공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 SK텔레콤은 2만원대 요금제부터 모바일 IPTV ‘Btv 모바일’을 기본 제공한다. KT가 5만 4900원 이상 요금제부터, LG유플러스가 4만 9900원 이상 요금제부터 각각 ‘올레tv 모바일’과 ‘U+HDTV’를 제공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 SK텔레콤은 월 5만 1000원 요금제부터는 모바일 IPTV뿐 아니라 최신 영화 20여편, 베스트셀러 도서 30여권, 인기 만화 20여질 등 무료 이용할 수 있는 ‘T 프리미엄플러스’ 혜택도 준다. 또 월 8만원 요금제부터는 월정액의 최대 15%를 OK캐쉬백 포인트로 적립하게 해준다. 연 5만 5000원 상당의 단말기 분실·파손 보험 가입, VIP 멤버십 승급 등의 혜택도 있다. SK텔레콤은 기본 제공 데이터와 동일한 양의 데이터를 무료로 받을 수 있는 ‘리필’ 서비스를 도입했다. 예를 들어 월 5만 1000원 요금제에 가입하면 데이터 6.5GB를 사용하고 ‘리필’ 쿠폰 1장을 써서 6.5GB를 더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를 이월하거나 미리 당겨쓸 수 있도록 한 KT의 ‘밀당’ 서비스와 대응된다. SK텔레콤은 올해 11월 19일까지 데이터 중심 요금제에 가입하는 사람들에게 ‘리필’ 쿠폰을 제공한다. 첫 가입자에게는 쿠폰 1장, 가입한지 1∼2년된 가입자에게는 2장을 각각 제공한다. 가입연수에 따라 최다 6장을 주기로 했다. SK텔레콤은 자신의 데이터를 가족이나 지인에게 나눠줄 수 있는 ‘선물하기’ 서비스와 데이터를 동일인 명의의 스마트폰, 태블릿에서 동시에 쓸 수 있는 ‘함께쓰기’ 서비스도 도입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이번에 출시한 ‘밴드 데이터 요금제’는 현존하는 국내 최고의 데이터 중심 요금제로 다른 이동통신사에 비해 혜택이 많다”면서 “데이터 요금제의 완결판이란 점에서 고객들로부터 큰 인기를 끌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요금제 혜택 실제로 봤더니 ‘대박’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요금제 혜택 실제로 봤더니 ‘대박’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요금제 혜택 얼마나 좋은 지 실제로 봤더니 ‘대박’ SK텔레콤은 19일 음성 통화와 문자 메시지를 무제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출시하면서 “데이터 요금제의 완결판”이라고 자평하는 등 KT, LG유플러스 등 경쟁사 요금제와 차별화를 강조했다. SK텔레콤의 ‘밴드 데이터 요금제’는 2만원대 요금제부터 무선 음성 통화는 물론 유선으로 음성통화를 무제한 사용할 수 있고 모바일 IPTV가 기본 제공되는 점에서 타사에 비해 가입자 혜택이 우수한 편이다. KT와 LG유플러스가 LTE(롱텀에볼루션) 서비스 가입자에게만 데이터 요금제를 개방한 반면 SK텔레콤은 데이터를 비교적 적게 이용하는 3세대(3G) 서비스 가입자도 요금제에 가입할 수 있도록 했다. SK텔레콤은 월 2만 9900원 요금제를 선택한 가입자들에게도 유·무선 음성 통화를 무료로 제공한다. 휴대전화로 다른 휴대전화와 통화할 때는 물론 집이나 사무실 등 유선전화와 통화할 때도 전화비를 내지 않는다는 뜻이다. KT는 월 5만 4900원 이상 요금제를 선택한 경우에만 유·무선 음성 통화를 무료로 제공한다. 그나마 월 5만 4900원 요금제는 오는 7월에 출시할 예정이어서 아직 소비자에게 선택권이 없다. LG유플러스는 유선 음성 통화 무료 혜택이 아예 없다. 가장 비싼 월 9만 9900원짜리 요금제를 선택해도 무선 음성 통화만 무제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SK텔레콤은 업계에서 유일하게 3G 스마트폰 이용자도 데이터 중심 요금제에 가입할 수 있도록 했다. SK텔레콤은 경쟁사보다 요금을 조금씩 높이고 데이터 제공량도 늘렸다. 이동통신 3사는 월 2만 9900원 요금제에서 동일하게 300MB를 제공한다. 그러나 좀 더 높은 요금제로 가면 KT는 월 3만 4900원으로 1GB를, LG유플러스는 월 3만 3900원으로 1GB를, SK텔레콤은 월 3만 6000원으로 1.2GB를 각각 제공한다. LG유플러스가 KT에 비해 1000원 싸게 요금제를 책정한 반면 SK텔레콤은 오히려 요금을 다소 높이고 데이터 제공량을 늘려 차별화를 꾀했다. 데이터 단위당 요금은 SK텔레콤이 저렴하다. SK텔레콤은 월 4만 2000원으로 2.2GB를, 월 4만 7000원으로 3.5GB를, 월 5만 1000원으로 6.5GB를 각각 제공한다. KT가 월 3만 9900원으로 2GB를, 월 4만 9900원으로 6GB를, 월 5만 9900원으로 10GB를 제공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 SK텔레콤은 2만원대 요금제부터 모바일 IPTV ‘Btv 모바일’을 기본 제공한다. KT가 5만 4900원 이상 요금제부터, LG유플러스가 4만 9900원 이상 요금제부터 각각 ‘올레tv 모바일’과 ‘U+HDTV’를 제공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 SK텔레콤은 월 5만 1000원 요금제부터는 모바일 IPTV뿐 아니라 최신 영화 20여편, 베스트셀러 도서 30여권, 인기 만화 20여질 등 무료 이용할 수 있는 ‘T 프리미엄플러스’ 혜택도 준다. 또 월 8만원 요금제부터는 월정액의 최대 15%를 OK캐쉬백 포인트로 적립하게 해준다. 연 5만 5000원 상당의 단말기 분실·파손 보험 가입, VIP 멤버십 승급 등의 혜택도 있다. SK텔레콤은 기본 제공 데이터와 동일한 양의 데이터를 무료로 받을 수 있는 ‘리필’ 서비스를 도입했다. 예를 들어 월 5만 1000원 요금제에 가입하면 데이터 6.5GB를 사용하고 ‘리필’ 쿠폰 1장을 써서 6.5GB를 더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를 이월하거나 미리 당겨쓸 수 있도록 한 KT의 ‘밀당’ 서비스와 대응된다. SK텔레콤은 올해 11월 19일까지 데이터 중심 요금제에 가입하는 사람들에게 ‘리필’ 쿠폰을 제공한다. 첫 가입자에게는 쿠폰 1장, 가입한지 1∼2년된 가입자에게는 2장을 각각 제공한다. 가입연수에 따라 최다 6장을 주기로 했다. SK텔레콤은 자신의 데이터를 가족이나 지인에게 나눠줄 수 있는 ‘선물하기’ 서비스와 데이터를 동일인 명의의 스마트폰, 태블릿에서 동시에 쓸 수 있는 ‘함께쓰기’ 서비스도 도입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이번에 출시한 ‘밴드 데이터 요금제’는 현존하는 국내 최고의 데이터 중심 요금제로 다른 이동통신사에 비해 혜택이 많다”면서 “데이터 요금제의 완결판이란 점에서 고객들로부터 큰 인기를 끌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실제론 3만원대 요금제” 의혹 제기 터져나와

    ‘SKT 요금제 2만 원대로’ SKT의 새 요금제가 최저 2만 원대로 발표된 가운데 가계 통신비 부담을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 통신사 간 담합 의혹도 제기됐다. 우상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19일 성명에서 “월 2만 9900원 음성 무제한 요금제의 경우 부가가치세를 포함하면 실제 지불해야 할 요금은 월 3만 2890원으로 ‘2만원대’라는 말이 무색하다”고 비판했다. 우 의원은 “일본에는 부가세를 포함해도 한국 돈으로 2만 6000원 수준인 2700엔 요금제가 있다”며 “일본의 국민소득과 소비자 물가를 감안할 때 이동통신 3사의 요금은 여전히 부담스럽다”고 지적했다. 우 의원은 “300MB에 불과한 기본 제공 데이터와 데이터 추가 구매시 과도한 비용은 불합리하다”며 “기본요금 폐지가 함께 이뤄져야 실질적으로 데이터 중심 요금제로 전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우 의원은 “이밖에 타사 가입자도 자사 와이파이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파이 상호접속 허용, 공공 와이파이 확대, 중저가 단말기 보급 확대 등이 이른 시일 내에 시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는 앞서 이달 14일 “데이터 선택 요금제는 저가 상품에서 무선 통화를 무제한 열어놓은 대신에 데이터 제공량을 줄였으므로 실질적인 요금 인하 효과가 없다”고 논평한 바 있다. 참여연대는 KT와 LG유플러스의 요금제에 대해 “두 회사의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비교하면 가격과 데이터 제공량이 비슷해 담합을 의심하게 한다”고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날 SKT는 최저 2만원대(부가세 제외)의 요금에 유·무선 음성통화와 문자를 무제한 이용하면서 필요한 만큼 데이터 사용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