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모친
    2025-09-05
    검색기록 지우기
  • 추성훈
    2025-09-05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1,083
  • [부고]

    ●박재붕(팩테크 전무)재용(동국대 불교학과 박사과정)씨 모친상 최철원(사업)함형집(사업)권종수(사업)이달호(사업)씨 장모상 18일 평촌 한림대부속병원, 발인 20일 오전 6시 (031)386-2345 ●신현수(인천 사람과문화 이사장)씨 장모상 18일 대전성모병원, 발인 20일 오전 9시 (042)220-9971
  • [부고]

    ●김경환(대한한의사회 통증제형학회장)씨 별세 1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9일 오전 9시 (02)3010-2233 ●이용희(팜스디앤시 사장)씨 모친상 김홍진(태완 회장)씨 장모상 1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9일 오전 6시 (02)3010-2231 ●김창환(전 울산대 교수)씨 부인상 세훈(경희대 겸임교수)동훈(사업)지영(사업)씨 모친상 1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9일 오전 7시 (02)3010-2236 ●권순한(한국외대 총동문회장)씨 모친상 17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0일 오전 9시 (02)3410-6902 ●박주성(새누리당 인천선대본부 대변인)씨 장모상 17일 인천 길병원, 발인 19일 오전 8시 30분 (032)472-0873 ●박경수(전 대한전몰군경유족회 회장)씨 별세 영일(자영업)영복(수원삼일상고 교사)영진(자영업)영훈(회사원)영성(한국전력 차장)씨 부친상 성희(전 머니투데이 기자)씨 조부상 17일 충북 청주의료원, 발인 19일 오전 10시 (043)279-0150
  • [부고]

    ●김종선(신용보증기금 이사)광헌(전남대 교수)종오(회사원)씨 모친상 강형록(삼환기업 이사)씨 장모상 15일 광주 그린장례식장, 발인 17일 오전 8시 20분 (062)250-4413 ●이동혁(자영업)동욱(〃)동진(〃)동규(한국자산관리공사)씨 모친상 14일 전주 예수병원, 발인 17일 오전 9시 (063)285-1009 ●배호원(삼성정밀화학 상담역)호경(시큐아이닷컴 대표이사)영선(부산대연초 교사)씨 모친상 이헌률(부산일보 이사)허인구(SBS골프 대표이사)씨 장모상 15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7일 오전 7시 (02)3410-3151 ●곽의일(제이금속 대표이사)의남(한국화인케미칼 대표이사)의영(한일시멘트 부사장)정용(현대모비스 상무)씨 모친상 14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7일 오전 7시 (02)3010-2231 ●이인섭(서울미술협회 이사장)규섭(한서대 교수)씨 모친상 이상희(수원대 교수)씨 시모상 김동선(한실 대표)씨 장모상 15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7일 오전 9시 (02)3010-2236 ●오도광(전 한국일보 논설위원)씨 별세 순영(미국 거주)순원(상암중 교사)순아(전 HSBC 상무)순정(RBS은행 부장)씨 부친상 이종의(현대산업개발 부장)조진우(삼성종합기술원 전문연구원)신현철(삼성전자 수석연구원)씨 장인상 14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7일 오전 7시 (02)3010-2292 ●김병기(대영환경 전무)홍성(미국 거주)한진(안양소방서 소방장)씨 모친상 홍종민(파이낸셜뉴스 교열부장)씨 장모상 15일 서울성모병원, 발인 17일 오전 7시 30분 (02)2258-5940 ●이성열(전 조선호텔 총지배인)씨 별세 재헌(한국전력공사)연미(타이항공 차장)우미(LBBW 상무)씨 부친상 김태완 박성(명지대 교수)씨 장인상 15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17일 오전 10시 30분 (02)2227-7556 ●이재용(강원도민일보 사진부장)씨 모친상 15일 강원대병원, 발인 17일 오전 6시 (033)258-9403
  • [2012 대선후보 심층분석]〈12〉안철수 쟁점행적(하)

    [2012 대선후보 심층분석]〈12〉안철수 쟁점행적(하)

    안철수 무소속 대선 후보는 출마선언 이후 끊임없이 도덕성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대담집 ‘안철수의 생각’ 등에서 밝힌 자신의 말과 실제 행동이 다른 경우가 적지 않다는 게 정치권 비판의 핵심이다. 안 후보가 깨끗한 이미지를 앞세우면서 새로운 정치를 강조하고 있지만, 표리부동한 행적이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다는 것이다. 안 후보가 의도했든 의도하지 않았든 지나치게 깨끗한 이미지를 부각한 게 도덕성 논란의 부메랑이 되고 있다고 정치권은 보고 있다. 안 후보와 부인 김미경 서울대 의대 교수가 아파트 매입 시 이른바 ‘다운계약서’를 작성했다는 것이 대표적인 예다. 안 후보는 2000년 10월 당시 실거래 가격이 2억 4000만원가량인 본인 명의의 서울 동작구 사당동 대림아파트를 팔면서 담당 구청에는 7000만원에 매각했다고 신고했다. 실거래가의 3분의1 수준으로 국세청 기준시가(1억 5000만원)의 절반 정도에 불과하다. 김 교수도 2001년 10월 송파구 문정동 올림픽훼밀리타운 아파트를 2억 5000만원에 매입했다고 송파구에 신고했다. 하지만 당시 이 아파트 시세는 4억 5000만~5억 2000만원 선으로 김 교수가 2억원 이상 거래 가격을 낮춰 신고해 취·등록세를 탈루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깨끗한 이미지 ‘부메랑’ 맞는 安 실거래 가격으로 신고하는 부동산 실거래가 신고의무 제도는 2006년 도입돼 안 후보나 김 교수의 다운계약서는 엄밀히 말하면 실정법 위반은 아니다. 안 후보는 ‘안철수의 생각’에서 “탈루되는 세금이 없도록 세무 행정을 강화하고, 탈세가 드러날 경우 일벌백계로 엄중하게 처벌해서 세금을 떼먹는 것은 엄두도 내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운계약서 논란이 일자 안 후보 측은 “당시에는 위법은 아니었다.”면서도 “안 후보가 탈루된 세액에 대해 납부할 방법을 찾아보라고 해 알아봤지만 당시의 다운계약서는 탈법은 아니기 때문에 세금을 다시 납부할 방법은 없다.”고 설명했다. 안 후보도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지만 어쨌든 잘못된 일이고 국민께 사과드린다. 앞으로 더 엄정한 잣대와 기준으로 살아가도록 노력하겠다.”고 직접 사과했다. 부동산 문제는 전세살이 및 상속·증여 논란으로 이어진다. 그는 스스로 “오랫동안 전세살이를 해 봐서 집 없는 설움을 잘 안다. 부모님께 손 벌리는 일은 절대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지만 본인의 다운계약서 논란을 불러온 사당동 아파트는 모친이 ‘딱지’를 구입해 마련해 줬다는 지적도 있었다. 안 후보는 사당동 아파트에서 4년을 살았고 이후 사당동 아파트를 전세 놓고 모친 소유의 재개발 아파트인 도곡동 아파트로 이사했다. 안 후보의 모친이 1988년 매입한 아파트였다. 안 후보와 모친은 일주일 간격으로 사당동 아파트 딱지와 도곡동 아파트 지분을 사들였고 12년 뒤에는 석 달 간격으로 두 아파트를 팔았다. 2001년에는 부인 명의의 문정동 아파트를 샀고 지난해 12월 팔았다. 현재 용산 주상복합건물에서 전세를 살고 있는 안 후보는 그동안 대전의 빌라와 여의도 주거형 오피스텔을 오가며 생활했다. 종합해 보면 안 후보가 결혼 이후 집 없이 전세살이한 기간은 2년 남짓인 셈이다. 하지만 안 후보 측은 “안 후보 가족이 자기 집이나 부모 소유의 집이 아닌 다른 사람 집에서 전세로 거주한 기간은 8년”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조부 부동산 편법증여 의혹도 또 안 후보는 저서 ‘행복바이러스 안철수’에서 “내가 살면서 할아버지께 물질적으로나 정신적으로 큰 도움을 받지는 않았다.”고 밝혔지만, 그의 조부는 1979년 부산 수영구 남천동 99㎡ 규모의 2층 주택과 224㎡ 규모의 토지를 안 후보를 포함한 가족에게 증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1994년 매각 당시 해당 토지의 공시지가는 2억 3000여만원. 안 후보의 지분 20%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9200만원 정도다. 당시 안 후보는 고교 3학년이어서 매매로 위장한 편법 증여 의혹까지 제기됐다. 두 사안에 대한 안 후보 측의 해명은 비슷하다. 딱지구입 논란에 대해서는 “부모가 직접 구해 줘 안 후보는 잘 알지 못하고 있고, 지금은 부모들이 연로해 당시 상황을 잘 기억하지 못한다. 서류도 사실관계만 나와 파악에 한계가 있다.”고 해명했다. 상속 논란에 대해서는 “돌아가신 조부가 하신 일로 현재 경위는 알 수 없지만, 안 후보는 아무런 금전적 이득을 본 사실이 없다. 부동산실명제 시행 이전의 일이어서 명의신탁이었는지 증여였는지 알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군 생활도 책에서 밝힌 내용과는 차이가 있다. 심재철 새누리당 최고위원은 안 후보가 군생활 중 주말마다 비행기를 타고 외박을 했다고 주장했다. 심 위원은 안 후보가 1995년 출판된 저서 ‘별난 컴퓨터 의사 안철수’에서 ‘군대생활 39개월은 나에게 커다란 공백기였고 의학연구나 컴퓨터 일을 할 수 없어 엄청난 고문’이라고 밝힌 점을 거론하며 “군 복무 기간을 입대 전 사회생활 때 했던 것을 할 수 없게 됐다고 ‘공백기’, ‘고문’이라고 폄훼하는 것은 안보에 대한 오도된 가치관이자 군과 군인에 대한 모독”이라고 주장했다. 새누리당은 안 후보의 의인화(義人化) 또는 위인화(偉人化) 태도도 비판하고 있다. 심 최고위원은 “생존한 인물 중 최초로 모두 11종의 초·중·고 교과서에 실린 안 후보의 미담 중 상당 부분은 안 후보가 스스로를 의인화·위인화한 데서 시작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 사례로 안철수연구소 창업 배경과 관련해 “2001년 발간된 저서와 인터뷰에서는 ‘학교 측의 채용보류 결정에 10개월간 실업자로 지내면서 아내가 벌어 온 돈으로 사는 게 견디기 어려워 창업했다’고 했는데 2003년부터는 자신이 의대 교수직을 자발적으로 포기하고 험난한 길에 뛰어들었다는 식으로 말했다.”고 지적했다. 미담이 각색되며 과대포장됐다는 게 새누리당 측의 비판이다. ●安측 “논문의혹 문제없다” 반박 한국연구재단에 등록된 안 후보 논문은 모두 5편으로, 이 가운데 4편은 재탕 또는 표절 의혹이 제기됐다. 안 후보 측은 논문 의혹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제기된 의혹에 대해 학계에서는 전혀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라며 조목조목 반박하고 있다. 1993년 한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은 제1저자가 5년 전 쓴 학위 논문을 재탕한 것이 아니냐는 게 논쟁의 핵심이다. 안 후보는 군복무 중일 때 이 논문에 제2저자로 참여했다. 1991년 의학박사 논문도 표절이라는 주장이 일었다. 안 후보가 2년 앞서 박사 학위를 받은 서인석 서울대 의대 교수의 논문 일부를 표절했다는 주장이다. 또 안 후보가 연구조원으로 참여해 제출된 1992년 연구보고서가 같은 해에 나온 다른 석사의 논문과 유사하다는 점, 한국과학재단으로부터 1년에 500만원씩 1000만원의 연구비를 받았으며 1993년 안 후보가 제3저자로 학회지에 발표한 논문도 1992년 다른 학회에 실린 논문과 비슷하다는 점이 생물학 연구 정보센터(브릭)의 자유게시판 등에서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 이에 대해 안 후보 측은 학위 논문은 학술지에 게재하는 것이 의무사항(1993년 논문)이고, 일부에서 인용 없이 사용했다고 문제 삼는 볼츠만 공식은 물리학적 원칙으로 인용문을 달지 않는 것이 관례(1991년 논문)라고 반박하고 있다. 1992년 연구보고서에 대해서는 논문에 이름이 등재된 사실을 몰랐고 연구비를 받은 적도 없다고 해명하고 있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 [중국통신] 휠체어 탄 모친과 330km 걸어 여행한 효자

    휠체어에 어머니를 태우고 베이징(北京)에서 윈난(雲南)의 시솽반나(西雙版納)까지 약 330km의 거리를 걸어서 완주한 남성의 사연이 전해지면서 훈훈한 감동을 주고 있다. 옌자오두스바오(燕趙都市報) 14일 보도에 따르면 올해 26살의 판멍은 베이징(北京)의 한 온라인상거래 업체에서 일하던 중 지난 7월 걸어서 전국 일주를 해야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그리고 출발 며칠 전, 가족에게 여행 계획을 알리던 중 판멍은 어머니로부터 뜻밖의 이야기를 듣게 되었다. 죽기 전 아들과 함께 걸어서 윈난의 유명한 관광지인 시솽반나에 가보고싶다는 어머니의 소원. 어릴 적 앓았던 소아마비로 거동이 불편해 휠체어 생활을 하던 어머니를 데리고 걸어서 여행을 한다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이었지만 판멍은 어머니의 소원을 들어주기로 했다. 아버지와 친형의 반대를 무릅쓰고 7월 11일 여행의 첫 발을 내딛은 두 모자. 예상은 했지만 어느 길 하나 쉬운 것이 없었다. 특히 휠체어를 밀고 오르막길을 오를 땐 몇번이나 쉬다 걷다를 반복했는지 기억조차 안날 정도다. ”새벽 5시에 일어나 저녁 8,9시 경 잘 곳을 찾을 때까지 걷기만 했다.”고 판멍은 소개했다. 안부 확인 차 건 전화에서 비행기나 기차를 타고 시솽반나까지 가라고 가족들은 설득했지만 판멍과 어머니의 의지를 꺾을 수 없었다. 베이징을 출발해 허베이(河北), 허난(河南), 후베이(湖北), 후난(湖南), 구이저우(貴州) 등을 거쳐 3개월 여만에 마침내 시솽반나에 도착한 두 모자. 목적지에 도착한 순간 그의 휴대폰 GPS는 총 이동 거리 335km를 가리키고 있었다. 지칠대로 지친 두 사람이었지만 목적지에 도착한 두 사람의 얼굴은 기쁨으로 빛이 났다. 판멍은 “출발 당시보다 몸무게가 30kg 이상 빠질 정도로 힘들었지만 새로운 장소에 닿을 때마다 어머니가 기뻐하는 모습을 보며 힘을 냈다.”고 말했다. 한편 두 사람의 여정은 웨이보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해졌으며 소식을 접한 시솽반나의 누리꾼 등은 환영식을 열고 판멍과 어머니를 환대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중국통신원 홍진형 agathahong@aol.com
  • [부고]

    ●양용모(서울신문 윤전부 과장)씨 장인상 14일 이대목동병원, 발인 16일 오전 5시 (02)2650-5121 ●장정철(대전지방국세청 계장)씨 모친상 백숙기(동부CNI 사장)씨 장모상 14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6일 오전 8시 (02)3410-6906 ●이병권(KIST 부원장)병석(명가케터링 대표)씨 모친상 13일 고려대 안암병원, 발인 16일 오전 5시 (02)927-4404 ●이한성(중부일보 논설위원)씨 부친상 13일 인천 연수장례식장, 발인 16일 오전 8시 30분 (032)819-1444 ●이창배(전 국민연금관리공단 원주지사장)씨 별세 미영(동산정보산업고 교사)지은(인창중 교사)종남(극동대 교수)윤태(동양증권 청담지점 부장)씨 부친상 장경근(아남)김종학(교사)김지상(서경대 교수)허정환(타스해운 대표)씨 장인상 김은주(장위초 교사)씨 시부상 13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16일 오전 6시 20분 (02)2227-7547 ●김기범(삼성에스원 상무)씨 모친상 14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16일 오전 7시 30분 (02)2227-7580 ●민경일(전 성우종합건설 부사장)경삼(전 신풍제지 전무)경오(LG전자 상무)무숙(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씨 부친상 김성훈(동국대 사범대학장)씨 장인상 13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6일 오전 (02)3010-2294 ●최승걸(전 동아일보 업무국장)씨 별세 완수(대림대 교수)정수(서윤무역 대표)병수(자영업)수옥(고려대 사대부중 교사)씨 부친상 하성환(중앙중 교사)씨 장인상 14일 서울대병원, 발인 16일 오전 7시 (02)2072-2091 ●박동일(예비역 육군 소장·전 육군 공병감)씨 모친상 14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6일 오전 7시 (02)3010-2237 ●전동혁(밀리그램프로덕션 대표이사)동표(삼성전자 생활가전 차장)동화(ING자산운용 이사)씨 모친상 13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6일 오전 8시 30분 (02)3010-2293 ●권성철(파이낸셜뉴스 대표이사 사장)씨 모친상 14일 경남 김해복음병원, 발인 16일 (055)330-9923 ●김종용(삼성SDS PD)종임(공공도시개발 대표)씨 모친상 13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6일 오전 7시 (02)3410-6902 ●원광(크린월드 대표)웅(인원 대표)준범(진우월드 대표)씨 부친상 이근홍(미국 미네소타대 교수)임건수(사업)권유열(사업)씨 장인상 14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6일 오전 8시 (02)3010-2000 ●주인(목원대 경찰법학과 교수)암(사업)씨 부친상 12일 대전성심병원, 발인 16일 오전 8시 30분 (042)522-4494
  • [부고]

    ●남대현(서울신문 신월지국장)중현(자영업)씨 부친상 이기윤(자영업)박상열(자영업)씨 장인상 12일 서울 메디힐장례식장, 발인 14일 오전 5시 (02)2601-7500 ●박원기(메트로버스 총무부장)씨 모친상 홍기준(한화케미칼 부회장)씨 장모상 12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5일 오전 6시 (02)3010-2292 ●김영석(참존 부회장)씨 부인상 한성(연세대 교수)한상(SNP코스매틱 이사)건희(수원대 교수)씨 모친상 윤상도(인천지법 부천지원 부장판사)씨 장모상 11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5일 오전 8시 (02)3010-2265 ●이낙귀(송호대 교수)씨 부친상 고원석(롯데카드 마케팅본부장)씨 장인상 12일 강원대병원, 발인 14일 오전 8시 (033)254-5611 ●백종문(MBC 편성제작본부장)씨 장인상 12일 서울성모병원, 발인 14일 오전 7시 (02)2258-5940 ●이응렬(목사)씨 별세 후정(감리교신학대 교수)후경(LPJ 마음건강 대표·정신과 의사)후석(목사)씨 부친상 유성준(협성대 교수)최봉완(한남대 교수)씨 장인상 고미영(서울신학대 교수)장은경(한국소비자원 홍보팀장)씨 시부상 12일 서울 적십자병원, 발인 15일 오전 8시 30분 (02)2002-8444 ●엄정욱(전 신호제지 부회장)씨 부친상 12일 중앙대병원, 발인 15일 오전 7시 (02)860-3591 ●김경덕(전 YNK코리아 부사장)씨 장모상 12일 분당 서울대병원, 발인 14일 오전 9시 (031)787-1505
  • [부고]

    ●김호면(전 국영유리 부회장)씨 별세 한필(미국 거주)한상(경희대 교수)한조(외환은행 부행장)민수(한국수력원자력 차장)씨 부친상 김은경(서울대 교수)씨 시부상 11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3일 오전 7시 (02)3010-2631 ●송장헌(대한한의사협회 명예회장)씨 별세 11일 서울대병원, 발인 13일 오전 4시 30분 (02)2072-2014 ●권성현(아나기획 대표이사)씨 장인상 11일 일산 동국대병원, 발인 13일 오전 8시 30분 (031)961-9402 ●여운혁(원당종합시장 상무이사)씨 별세 인구(미국 거주)상구(스패뉴)선구(미국 조지아유니버시티 교수)은경(굿사마리안호스피탈)씨 부친상 11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13일 오전 8시 (02)2227-7584 ●김선중(용보사 대표)광중(제일모직 역삼아울렛 대표)준호(세민씨앤씨 대표)준현(강원대 환경공학과 교수)씨 부친상 11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13일 오전 6시 (02)2227-7550 ●백우현(김앤장법률사무소 회계사)주현(주카자흐스탄 대사)희순(대구 수성도서관 사서)기순(등명초 교사)동현(멕시코 거주)씨 모친상 11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13일 오전 8시 30분 (02)2227-7556 ●현삼식(양주시장)씨 장모상 11일 양주장례식장, 발인 13일 오전 10시 (031)863-4444 ●강진태(경남신문 국장)씨 모친상 11일 진주중앙병원, 발인 13일 오전 7시 (055)745-8000 ●김기환(세계일보 차장)지만(OBS 기자)씨 모친상 11일 동수원병원, 발인 13일 오전 9시 (031)213-1640 ●정인규(전 현대종합금융 회장)씨 별세 재용(홍익대 건축학과 교수)재연(전 이화여대 전임교수)씨 부친상 이동현(부국증권 이사)씨 장인상 11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3일 오전 9시 (02)3010-2232
  • 엄마 보석 훔쳐 홍등가 찾아간 간 큰 14세 소년

    홍등가를 가기위해 엄마 보석을 훔친 간 큰 소년이 경찰에 체포됐다. 독일 경찰은 지난 10일(현지시간) “한 14세 소년이 친구와 함께 성매매 업소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엄마의 보석을 훔쳤다.”고 밝혔다. 이름이 밝혀지지 않은 이 소년은 최근 3000유로(약 430만원) 상당의 보석을 훔쳐 전당포를 통해 비용을 조달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같은 사실은 엄마의 신고로 알려졌으며 소년 스스로도 죄를 인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랄프 마이넷 경찰 대변인은 “모친이 직접 수사를 의뢰했는데 아들에게 교훈을 주고 싶었거나 통제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것 같다.” 면서 “소년은 전당포에서 300유로(약 43만원)를 빌려 친구와 실제로 홍등가를 찾아갔으나 업주가 미성년자라고 판단해 바로 쫓아버렸다고 진술했다.”고 밝혔다. 이어 “경찰 조사 때에도 소년은 여전히 웃고 있었으며 추가 조사를 진행중”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독일에서는 18세 이상 성인의 경우 성매매가 합법이다. 인터넷뉴스팀
  • [부고]

    ●노부자(한양대 응용미술교육과 명예교수)씨 별세 김보환(동국대 경찰행정학과 명예교수)씨 부인상 3일 미국 별세, 빈소 한양대병원, 발인 13일 오전 8시 (02)2290-9442 ●최승진(순복음도봉교회 장로)승렬(성은 상무)승철(삼성전자 수석)씨 모친상 김용완(안성 서울중 교감)씨 장모상 10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2일 오전 7시 30분 (02)3010-2263 ●이태섭(동부제철 국내판매사업부장·상무)씨 모친상 10일 경북 안동의료원, 발인 12일 오전 8시 (054)850-6448 ●이소희(데일리안 대전주재 기자)씨 부친상 10일 충남대병원, 발인 12일 오전 8시 30분 (042)257-6943 ●김윤종(농림수산식품부 국장)윤상(대주회계법인 상무)씨 부친상 10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2일 오전 7시 30분 (02)3010-2000 ●안동호(르노삼성자동차 과장)씨 부친상 김필준(한국무역보험공사 국내보상팀장)서상우(경찰공무원)씨 장인상 임소현(국민은행 대리)씨 시부상 10일 부산 한중프라임장례식장, 발인 12일 오전 7시 (051)305-4000 ●박문희(전 국립서울병원 원장)씨 별세 재선(남송M정신과 원장)재석(미술사학자)정숙(동서울대 교수)씨 부친상 10일 서울성모병원, 발인 12일 오전 5시 (02)2258-5940 ●홍민수(대구신문 편집부 차장)씨 모친상 김연실(해법영어범어경동교실 원장)씨 시모상 김주영(디잔피아 대표)씨 장모상 10일 대구 한패밀리병원, 발인 12일 오전 8시 (053)760-8800
  • [부고]

    ●송주현(전 현대종합상사 상무이사)강현(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실장)국현(한국LED 부사장)창현(강남성심병원 원무팀장)씨 부친상 차흥봉(한국사회복지협의회장·전 보건복지부 장관)김제영(그린바이로 본부장)씨 장인상 8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11일 오전 6시 30분 (02)2227-7556 ●이상보(국민대 명예교수)씨 부인상 훈승(대우인터내셔널 상무)사라(서울과학기술대 교수)숙영(중앙대 교수)화익(이화익갤러리 대표)씨 모친상 정진홍(울산대 석좌교수)김을수(꿈의교회 목사)정두언(국회의원)씨 장모상 이이정(가영시아 강사)씨 시모상 8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11일 오전 (02)2227-7580 ●박준봉(경희대 치의학전문대학원장)씨 장모상 9일 경북 청도 대남병원, 발인 11일 오전 (054)371-5796 ●김태완(지클릭스페이스 대표이사)씨 부친상 9일 서울성모병원, 발인 11일 오전 7시 (02)2258-5940 ●김진국(전 베트남 달랏대 교수)씨 별세 나마(씨드스토리 대표이사)씨 부친상 9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1일 오전 10시 (02)3010-2291 ●이용철(노틸러스효성 부장)씨 모친상 박종일(석화하이테크 대표이사)김천국(가나안농군마을 대표이사)씨 장모상 김은정(가평초 지방교육행정서기)씨 시모상 9일 분당 서울대병원, 발인 11일 오전 5시 30분 (031)787-1508 ●김형욱(서울시청 정보화기획단 기획팀장)형철(고대구로병원 전산팀 대리)형진(사업)씨 부친상 9일 고려대 구로병원, 발인 11일 오전 9시 (02)857-0444 ●구재영(KBS 보도영상국 부장)병영(창원동일중기건설 대표)재성(부산 강서구청 건축지도계장)성일(사천 사남농협 공단지점장)씨 모친상 김시연(전 KBS 충주방송국장)신용권(삼성디스플레이)남훈우(한성컴퓨터 관리이사)씨 장모상 9일 경남 사천전문장례식장, 발인 12일 오전 7시 (055)852-0004 ●이준무(SPC그룹 홍보실 부장)씨 조부상 9일 의정부 신천병원, 발인 11일 오전 9시 (031)877-0044
  • [부고]

    ●오홍석(금융감독원 실장)중석(학원 강사)정석(캐나다 거주)씨 부친상 7일 고려대 안암병원, 발인 10일 오전 5시 (02)923-4442 ●제갈창무(전 국민권익위원회 국방보훈민원과장)씨 모친상 8일 서울 적십자병원, 발인 10일 오전 6시 (02)2002-8436 ●서용술(전 세계일보 판매국장)씨 장인상 8일 이천 효자원장례식장, 발인 10일 오전 8시 (031)631-4445 ●이기동(사업)기현(태림해운 대표이사)기호(한더블유 상무)씨 모친상 이홍우(상명대 예술디자인대학원 교수)씨 장모상 8일 부산 좋은강안병원, 발인 10일 오전 7시 (051)610-9675 ●김정화(지식경제부 방사성폐기물과장)태환(미국 PDM.LLP사 매니저)도훈(창성정밀 대표)씨 부친상 7일 부산 BHS 동래한서요양병원, 발인 10일 오전 8시 (051)582-1048 ●원영상(한광 미주법인장)씨 부친상 김성식(초대교회 담임목사)박윤수(한라그룹 마이스터 대표)씨 장인상 8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0일 오전 8시 (02)3010-2294 ●홍병기(성남프뢰벨)병상(성남프뢰벨 대표)씨 모친상 김광진(성남프뢰벨)곽근정(자영업)신승주(대한항공 미얀마지사장)씨 장인상 8일 분당 서울대병원, 발인 10일 오전 7시 (031)787-1510 ●정하열(한경대 교수)미경(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씨 부친상 배재학(SBS 기자·앵커)씨 장인상 7일 서울성모병원, 발인 10일 오전 8시 (02)2258-5940 ●최해섭(인천항만공사 운영본부장)씨 모친상 8일 인천적십자병원, 발인 10일 오전 7시 30분 (032)817-1023 ●이희수(전 연세대 세라믹공학과 교수)씨 별세 8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10일 (02)2227-7591 ●박상후(11번가 홍보그룹장)씨 장인상 8일 중앙대병원, 발인 10일 오전 8시 (02)860-3500 ●유석근(전 KBS 인천사업소장)씨 모친상 7일 충북 보은 장례식장, 발인 10일 (043)544-8705
  • 모친 폭행 동영상 올린 10대 아들 경찰 출동하자 3층서 투신…사망

    어머니를 폭행하며 살해 위협을 했다가 출동한 경찰을 피해 3층에서 뛰어내린 10대 아들이 결국 숨졌다. 제주서부경찰서는 추락 충격으로 척추가 골절되는 등 크게 다쳐 병원치료를 받아오던 노모(18)군이 지난 6일 오후 숨졌다고 7일 밝혔다. 노군은 6일 오전 2시 30분쯤 제주시 노형동 모 오피스텔 3층에서 어머니 김모(45)씨를 화장실에 가두고 폭행하다가 신고를 받은 경찰과 119구급대가 출동해 문을 부수고 들어가려 하자 창문에서 뛰어내려 크게 다쳤다. 경찰 조사결과 노군은 평소 정신질환을 앓아 왔으며, 5일 오후 10시 30분쯤부터 어머니를 폭행, 살해 위협하는 장면을 영상으로 찍어 한 인터넷 사이트에 올리기도 했다. 경찰은 이 장면을 본 한 누리꾼의 신고로 위치추적 등으로 범행현장을 찾아 화장실에 갇힌 어머니 김씨를 구조했다. 김씨는 아들에게 폭행당해 온몸이 멍이 들고 상처가 났으나 입원치료 중인 아들의 병간호를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
  • [부고]

    ●유진상(서울신문 정책뉴스부 부국장)씨 장인상 6일 충남 새금산장례식장, 발인 9일 오전 7시 (041)751-4701 ●송원일(KD컨설팅 대표)원양(사업)씨 모친상 최창식(서울중구청장)정경훈(보해양조 상무)씨 장모상 6일 서울성모병원, 발인 8일 오전 9시 (02)2258-5940 ●신방현(전 단국대 부총장)씨 별세 상호(대한양궁협회 기획실장)상윤(삼성물산 부장)씨 부친상 최인규(총각네야채가게 본부장)씨 장인상 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9일 오전 8시 (02)3010-2631 ●정의모(전 성남제2초 교장)씨 별세 진호(전 주 페루 대사)진흥(벽산파워 상무)진협(사업)유진(성남성일중 교사)씨 부친상 6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9일 오전 8시 (02)3010-2232 ●이수윤(한겨레신문 부국장)씨 별세 이정혜(부산 연천중 교사)씨 남편상 이수영(설악신문사 기자)수빈(전 민예총 사무총장)수남(더타워픽처스 대표)씨 형님상 수정(남해 도마초 교사)씨 오빠상 6일 부산의료원, 발인 9일 오전 7시 (051)607-2651 ●남흥우(고려대 명예교수)씨 별세 기윤(광운대 법대 교수)씨 부친상 전봉수(전우구조건축설계 회장)씨 장인상 6일 고려대 안암병원, 발인 9일 오전 9시 (02)927-4404 ●김진봉(충북대 사학과 명예교수)진영(김이비인후과 원장)씨 부친상 홍계영(홍금농원 대표)권택조(아세아연합신학대 교수)장인길(극동방송 상임이사)씨 장인상 6일 충북대병원, 발인 8일 오전 7시 (043)269-7212 ●정근용(예비역 육군 대령)씨 별세 인(정인안과의원 원장)씨 부친상 김정수(디에스디엘 대표이사)최윤호(화남산업 대표이사)씨 장인상 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9일 오전 6시 (02)3010-2237 ●주순기(음성삼성병원 과장)완기(프라임에셋 지사장)씨 모친상 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9일 오전 7시 (02)3010-2000 ●김세구(경향신문 편집국 모바일팀장)공구(자영업)의구(신기 과장)씨 부친상 김원동(순천향대 중어중문학과 교수)씨 장인상 6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9일 오전 8시 (02)2227-7547 ●심소웅(전 주택공사 본부장)달현(연산식품 사장)길중(서울예술대 교수)달훈(국세청 국장)은숙(명성학원장)씨 모친상, 이덕희(명성학원 이사장)김경진(아이티엠코퍼레이션 상무)씨 장모상, 심규선(한화투자증권 부장)씨 조모상 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9일 오전 5시 (02)3010-2295
  • [부고]

    ●이장락(서울대 명예교수)씨 별세 수훈(아주대 교수)금란(도곡중 교사)금려(강현중 교사)씨 부친상 윤혜령(가천대 교수)씨 시부상 박웅(자영업)이종남(자영업)정승영(자영업)정기목(자영업)씨 장인상 5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7일 오전 7시 30분 (02)3010-2292 ●이기동(엑설런스코리아 편집국장)김배영(MBC 신사옥건설부 부장)씨 장모상 5일 분당 서울대병원, 발인 7일 오전 8시 (031)787-1508 ●김순구(전 천일관광 사장)씨 별세 기업(한진해운 커뮤니케이션팀 차장)씨 부친상 박종오(태성정밀 부장)씨 장인상 5일 부산 좋은강안병원, 발인 7일 오전 7시 30분 (051)610-9675 ●김경훈(프로배구 현대캐피탈 코치)씨 모친상 5일 인천 청기와장례식장, 발인 7일 오전 7시 30분 (032)577-1443 ●김철정(우주특수산업 회장)씨 별세 강영섭(Timken 리서치센터 스페셜리스트)씨 장인상 5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7일 오전 6시 (02)3410-6903 ●조성환(부산 사하경찰서장)씨 장인상 5일 마산 연세병원, 발인 7일 오전 9시 (055)223-1044 ●안국영(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봉영(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씨 부친상 박원근(강남차병원 진료부원장)김태우(디자인그룹 아리 대표이사)씨 장인상 홍경수(늘사랑약국 약국장)신용현(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씨 시부상 4일 분당 서울대병원, 발인 7일 오전 8시 (031)787-1510 ●임호(한국예탁결제원 국제서비스부 팀장)씨 부친상 5일 송탄장례문화원, 발인 7일 오전 7시 (031)611-4488 ●이은봉(서울대병원 교수)은희(녹십자의료재단 원장)씨 부친상 김병천(강남성심병원 외과 과장)씨 장인상 구호정(정현어린이집 원장)씨 시부상 5일 서울대병원, 발인 8일 오전 8시 30분 (02)2072-2011
  • [부고]

    ●류석형(인천교육청 학력증진담당 장학관)씨 모친상 4일 가천대 길병원, 발인 6일 오전 7시 20분 (032)472-3171 ●윤혜영(학원 강사)형식(현대·기아차 홍보실 홍보기획팀 과장)씨 모친상 3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6일 오전 5시 20분 (02)2227-7597 ●강준석(한국애보트 이사)씨 모친상 김창범(스탠다드차타드 지점장)씨 장모상 4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6일 오전 6시 30분 (02)3010-2263 ●임홍순(한국상장회사협의회 부장)씨 부인상 3일 여의도성모병원, 발인 5일 낮 12시 (02)3779-1918 ●안빈(한국인삼공사 부장)씨 부친상 이주성(한국가스안전공사 비서실장)홍재철(루덴스미디어 대표)씨 장인상 4일 서울성모병원, 발인 6일 오전 7시 (02)2258-5940 ●김용주(중앙경제평론사·중앙생활사 대표)씨 모친상 4일 조선대병원, 발인 6일 오전 7시 (062)231-8905 ●이철현(전 화성산업 감사)씨 별세 진우(이랜드 리테일 대리)씨 부친상 3일 영남대병원, 발인 6일 오전 8시 (053)620-4241
  • [부고]

    ●이대기(KNI 부사장)씨 별세 창현(제일기획 프로)씨 부친상 한민수(장애인체육회 생활체육팀장)씨 장인상 3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5일 오전 8시 20분 (02)3010-2235 ●김완수(현대엔지니어링 상무)중수(LH 부장)삼수(도요타 미국공장장)희수(변호사)씨 부친상 2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5일 오전 6시 (02)3010-2292 ●김성(한국은행 인사경영국 차장)씨 별세 2일 서울성모병원, 발인 5일 오전 7시 (02)2258-5940 ●한무근(씨엔플러스 대표이사)씨 부친상 2일 서울성모병원, 발인 5일 오전 10시 30분 (02)2258-5940 ●이상일(동국대 교수)상협(러닝메이트컨설팅 대표)상준(넥스파시스템 대표)씨 모친상 3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5일 오전 7시 30분 (02)3410-6903 ●김민철(TV조선 대전주재 카메라기자)씨 조모상 2일 충남 태안 보건의료원, 발인 5일 오전 9시 30분 (041)671-5303 ●이영우(전 금산새마을금고 전무)씨 별세 정우(YTN 충청취재본부장 겸 대전지국장)씨 형님상 3일 충남 금산 동백장례식장, 발인 5일 오전 7시 (041)751-4444 ●정용일(정연합의원 원장)씨 부친상 박형일(LG유플러스 상무)이경범(ITW대림 연구소 이사)강상용(운수업)임한근(TNS 직원)씨 장인상 3일 경북대병원, 발인 5일 오전 8시 (053)200-6141
  • 親中 다나카 발탁… 中과 협상카드 활용

    노다 요시히코 일본 총리가 1일 개각을 단행했다. 지난해 9월 출범한 노다 정권의 개각은 지난 1월과 6월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장관이 이처럼 자주 바뀐 것은 노다 정권의 기반이 그만큼 약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새롭게 출범한 노다 4기 내각은 첫 각의에서 “우리나라의 주권과 영토, 영해를 수호하는 책무를 국제법에 의거해 다하며 국제사회의 ‘법의 지배’ 강화에 공헌하기로 했다.”며 영토 수호를 국정 운영 기본 방침의 하나로 설정했다. 독도 문제와 관련해 한국에 국제사법재판소(ICJ) 제소에 응하도록 압박하는 한편 중국에 대해서도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와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등에서 국제법을 준수하도록 촉구하겠다는 의도를 깔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18명의 각료 중 10명이 바뀐 이번 개각에서는 문부과학상에 임명된 다나카 마키코(68) 전 외무상이 가장 눈에 띈다. 1972년 중국과의 국교정상화를 주도한 다나카 가쿠에이 전 총리의 장녀다. 중의원 6선 의원인 다나카는 부친이 총리였을 당시 병약한 모친 대신 ‘퍼스트레이디’ 역할을 맡아 유명세가 따랐다.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 시절 외무상에 오른 다나카는 개혁을 추진하다 외무 관료들과 대립하는 한편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정면 비판하는 등 거침없는 행보를 보이다 8개월 만에 경질됐다. 2003년 중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당선된 뒤 오자와 이치로 전 민주당 대표의 손에 이끌려 민주당에 발을 들였다. 남편인 다나카 나오키 중의원 의원은 지난해 1월부터 6월까지 5개월간 방위상을 지냈다. 일본 언론들은 노다 총리가 중국 지도부와의 친분이 깊은 다나카 의원을 문부과학상에 기용, 앞으로 중국과의 협상 카드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관측했다. 오카다 가쓰야(59) 부총리와 겐바 고이치로(48) 외무상, 후지무라 오사무(62) 관방장관, 모리모토 사토시(71) 방위상 등 내각의 핵심은 유임됐다. 한국, 중국과의 영토 갈등으로 어수선한 정부 분위기를 추스르기 위해 외교·안보 분야는 현행 틀을 유지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중의원 선거 대비 차원으로도 읽힌다. 당내에서는 불만이 분출했다. ‘논공행상’과 탈당 유력자들을 배려한 개각이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현재 민주당 소속 중의원은 244명으로 과반(239석)을 겨우 넘고 있다. 6명만 탈당하면 중의원 과반이 무너져 정권이 붕괴할 수 있는 아슬아슬한 상황이다. 도쿄 이종락특파원 jrlee@seoul.co.kr
  • [부고]

    ●이종성(삼양건설산업 회장·전 신용보증기금 이사장)종신(삼양건설산업)종훈(삼양건설 부회장·전 한국전기안전공사 부사장)씨 부친상 이정달(새빛회계법인 감사)노주철(대우병원 의사)씨 장인상 1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5일 오전 6시 (02)3010-2631 ●허남성(국방대 명예교수)씨 장모상 김선호(조선일보 편집부 차장·한국편집기자협회 수석부회장)선웅(태륭투자 이사)선형(강원저축은행 과장)씨 조모상 2일 춘천 호반요양병원, 발인 4일 오전 5시 (033)254-9102 ●신정완(한국지방재정공제회 감사)씨 부친상 30일 전남 순천한국병원, 발인 4일 오전 9시 (061)723-4444 ●오희세(정관장 성안길점 대표)희채(동부화재 대리)씨 부친상 박조수(전국사무금융노동조합연맹 위원장)김동복(동보건설 대표)어성연(주식회사 셀 부장)김세웅(청주 상당경찰서 경사)김기왕(청주 흥덕경찰서 경사)송병권(공군사관학교 상사)씨 장인상 2일 청주 참사랑병원, 발인 4일 오전 8시 (043)298-9200 ●이철원(사업)선원(세무사)순원(소설가)화원(현대·기아차 홍보실 신문홍보팀장)씨 부친상 유을규(전쟁기념관 부장)씨 장인상 2일 강릉아산병원, 발인 4일 오전 7시 (033)610-5981 ●강석훈(법무법인 율촌 변호사)씨 모친상 30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4일 오전 8시 30분 (02)3010-2230 ●이우열(대륙하이랜더 사장)신현우(KT 천안지사 차장)오희근(쌍용자동차 과장)씨 장모상 1일 장곡농협 홍주장례식장, 발인 3일 오전 9시 (041)634-1825 ●김한경(성공회대 명예교수)씨 별세 장선우(GfK코리아 부장)씨 모친상 김성수(전 대한성공회 대주교)씨 여동생상 김병수(전 Sit/Kim인터내셔널 회장)씨 누나상 2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5일 오전 8시 (02)2227-7580 ●임해빈(전 한국은행 부장)철부(중앙대 약대 명예교수)씨 모친상 2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4일 오전 7시 30분 (02)3010-2295
  • 10월 호국인물 어유소 장군

    10월 호국인물 어유소 장군

    전쟁기념관은 28일 조선 초기 여진족 등 북방의 야인 정벌에 큰 공을 세운 어유소(영정·1434~1489) 장군을 ‘10월의 호국인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장군은 1456년 무과에 장원으로 급제해 사헌부 감찰을 역임했다. 1460년 여진족을 토벌했고, 1467년 이시애가 세조의 중앙집권정책에 반발해 반란을 일으키자 좌대장을 맡아 난을 평정했다. 난이 평정되자 1등 공신으로 예성군(蘂城君)에 봉해지고 평안도병마수군절도사에 임명됐다. 그해 겨울에는 중국 명나라가 조선에 건주위 여진족을 정벌할 병사를 요청하자 좌대장으로 출전해 여진족 추장 이만주 부자를 죽이는 등 큰 공을 세웠다. 그는 1471년 모친상을 당해 관직에서 물러났으나 함경도에서 여진족의 세력이 강해지자 다시 영안도(함경도) 순찰사와 영안북도 절도사를 맡았다. 1479년에는 명나라의 요청으로 다시 건주위 여진족을 정벌하기 위해 1만 군사를 이끌고 출정했으나 압록강의 물이 얼지 않아 도강할 수 없었으며, 회군했다는 이유로 탄핵을 받아 강원도로 유배됐다. 전쟁기념관은 내달 4일 오후 2시 호국추모실에서 유관단체 주요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장군을 추모하는 현양행사를 거행한다. 하종훈기자 artg@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