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모친
    2025-08-28
    검색기록 지우기
  • 사제
    2025-08-28
    검색기록 지우기
  • 소상공인
    2025-08-28
    검색기록 지우기
  • 요가
    2025-08-28
    검색기록 지우기
  • 테이
    2025-08-28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1,067
  • [부고]

    ●오승종(한국전력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교무처장)씨 모친상 조태영(주인도네시아 대사)씨 장모상 19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2일 오전 6시 20분 (02)3010-2294 ●하태황(경인일보 사진부 기자)씨 장인상 20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2일 오전 8시 (02)3010-2251 ●박지용(사업)구용(현대건설 상무보)씨 부친상 20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2일 오전 9시 (02)3010-2263 ●나민수(전 경기대 총장)씨 별세 상률(기획재정부 사무관)상민(GS건설 차장)희정(헤딩커뮤니케이션 부사장)은정(전 LG애드 국장)씨 부친상 구자경(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수석)박혜선(한영중 교사)씨 시부상 20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2일 오전 7시 20분 (02)3410-6920 ●박기범(법무법인 해마루 변호사)선영(서울고법 판사)주영(서울중앙지법 판사)씨 모친상 김상연(대법원 재판연구관)반정섭(법무법인 퍼스트 변호사)방중권(한국은행 과장)씨 장모상 20일 서울성모병원, 발인 22일 오전 8시 20분 (02)2258-5940 ●차덕철(통일부 교류협력국 서기관)씨 모친상 엄용일(콘티넨탈 팀장)씨 장모상 20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22일 오전 7시 (02)2227-7584 ●백민호(JTBC 광고전략실 부장)원호(사업)씨 부친상 19일 한강성심병원, 발인 22일 오전 9시 30분 (02)2633-4455
  • [부고]

    ●한경섭(포스텍 기계공학과 교수)충섭(강한피부과 원장)씨 모친상 정민호(계림금속 사장)씨 장모상 18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1일 오전 8시 (02)3010-2292 ●오세경(충북도교육청 공보계장)씨 부친상 19일 청주 참사랑병원, 발인 21일 오전 9시 (043)298-9200 ●김청웅(전 연세대 기록보존소장)씨 모친상 18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21일 오전 7시 (02)2227-7547 ●유규은(예비역 육군 준장)씨 부인상 택종(삼성전자 차장·페루주재원)씨 모친상 정훈(하이콘엔지니어링 상무)이주일(미국 시게이트 수석연구원)씨 장모상 19일 분당 서울대병원, 발인 22일 오전 8시 (031)787-1501 ●박찬규(전남신용보증재단 해남지점장)씨 부친상 19일 광주보훈병원, 발인 21일 오전 8시 (062)973-9166
  • 병든 모친 살해 정신 장애 아들 2심 징역 10년

    어머니를 살해한 40대 정신장애 아들에게 항소심에서 더 무거운 형이 선고됐다. 심신 미약을 크게 감안했던 1심 재판부와 달리 2심에서는 계획성과 의도성을 더 중하게 봤다. 서울고법 형사6부(부장 김상환)는 존속살해 혐의로 구속 기소된 송모(42)씨에게 징역 6년을 선고한 원심을 깨고 징역 10년을 선고했다고 19일 밝혔다. 지난해 6월 어머니(66)가 대상포진과 척추 함몰 등으로 고통스러워하자 ‘차라리 죽는 게 낫다’고 생각한 송씨는 밤에 미리 준비한 흉기로 어머니를 찔러 숨지게 했다. 송씨는 범행 뒤 경찰에 자수했다. 그는 정신장애 3급으로 조현병(정신분열증)을 앓고 있었다. 1심은 송씨가 반사회적·반인륜적 범죄를 저질렀지만 정신장애를 앓는 점(심신 미약), 형과 누나가 선처를 호소하는 점 등을 고려해 징역 6년을 선고했다. 하지만 항소심 재판부는 송씨가 미리 흉기를 준비하는 등 계획적이고 패륜적인 범행을 저질렀다며 더 무거운 형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죄질이 극히 불량하고 그 결과도 이 세상 단 한 분뿐인 어머니의 생명을 앗아간 것”이라면서 “원심 양형은 지나치게 가벼워 부당하다”고 밝혔다. 서유미 기자 seoym@seoul.co.kr
  • [부고]

    ●양석주(전 신창초 교장)씨 별세 해식(전 부산시 테니스협회 수석부회장)해성(삼성화재 대리점 점장)해영(KBO 사무총장)씨 부친상 박동국(메카커뮤니케이션즈 대표)전세일(전 한화건설 지사장)씨 장인상 18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0일 오전 8시 (02)3010-2262 ●김원중(대덕고 교장)유중(KTV 방송제작부장)씨 부친상 이승원(홍도초 교사)박명희(남정초 교감)씨 시부상 18일 대전 건양대병원, 발인 20일 오전 7시 30분 (042)600-6660 ●신영삼(뉴스웨이 호남취재본부 부장)영전(아이디큐 전무이사)영재(서울 올수훈민정음학원 원장)영선(세인산업 대표)씨 모친상 18일 전남 해남 제일장례식장, 발인 20일 오전 9시 30분 (061)534-4441 ●윤상수(준인터내셔날 대표)보영(우리은행 부부장)영기(호암재단 수석)씨 모친상 이현오(삼성엔지니어링 상무)김영경(신영공영 전무)조웅남(삼성생명 차장)씨 장모상 18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0일 오전 7시 (02)3410-6920 ●조명철(용인시 재정법무과장)씨 모친상 장성자(수원지검 송무계장)씨 시모상 18일 수원시 연화장, 발인 20일 오전 9시 (031)218-6565 ●양승관(NC 다이노스 수석코치)씨 장모상 18일 일산 백병원, 발인 20일 오전 11시 (031)910-7444 ●김희대(전 하나은행 부행장)원대(원기업 대표)형대(삼성생명 판교FA법인대리점 대표)씨 부친상 18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1일 오전 6시 (02)3410-3151
  • [부고]

    ●곽근수(전 서울 광진구의회 부의장)씨 부인상 동원(피알원 이사)동호(유진양산 차장)씨 모친상 15일 건국대병원, 발인 17일 오전 9시 (02)2030-7909 ●강성위(한국외대 철학과 명예교수)씨 별세 일구(미국 거주)웅구(서울의대 교수)씨 부친상 한성림(서울대 학생부처장)정진행(서울의대 교수)씨 시부상 15일 서울대병원, 발인 17일 오전 8시 (02)2072-2091 ●김아연(뉴스웨이 증권팀 기자)씨 부친상 15일 수원 연화장, 발인 17일 오전 7시 (031)218-6594
  • [부고]

    ●유성준(국립전파연구원 기술기준과 주무관)진희(광주 비아중 교사)씨 모친상 김영천(대신증권 목동지점장)씨 장모상 14일 광주 조선대병원, 발인 16일 오전 9시 (062)231-8902 ●김동일(경기일보 북부취재본부장)씨 장인상 14일 전주 우전성당, 발인 16일 오전 10시 (063)223-8291 ●최종민(전 국립창극단장)씨 별세 훈(원픽처스 대표)란경(동편제 이선유 판소리보존회 이사장)인(삼성문화재단 홍보팀 수석)씨 부친상 14일 분당 서울대병원, 발인 16일 오전 7시 30분 (031)787-1509 ●정형규(금융감독원 일반은행검사국 팀장)씨 모친상 14일 여수 성심병원, 발인 16일 오전 8시 (061)650-8444
  • [부고]

    ●심선진(가천대 길병원 혈액종양내과 부교수)선종(삼휘축산 대표)선호(현대로템 선임연구원)씨 모친상 13일 전남 목포 효사랑장례식장, 발인 15일 오전 10시 (061)242-7000 ●조한길(경기매일 구리·남양주 주재기자)씨 부친상 13일 한양대병원, 발인 15일 오전 6시 30분 (02)2290-9457 ●이걸성(성현세무회계사무소 대표)씨 부인상 기일(한전병원 이비인후과 주임과장)기현(한국가스공사 서울지사 대리)씨 모친상 이선민(헤븐리병원 신경과 과장)원종선(김앤장법률사무소 근무)씨 시모상 13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5일 오전 9시 (02)3410-6914 ●김은묵(전 뉴서울상사 회장)씨 별세 주현(신의정 대표이사 사장)재욱(회계사)기환(뉴욕총영사)씨 부친상 13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7일 오전 9시 (02)3410-3151
  • [부고]

    ●최영민(KT 그룹인재개발아카데미 원장)씨 장모상 12일 부산대병원, 발인 14일 오전 7시 (051)240-7161 ●정전은(고려대 의과대학 명예교수)씨 별세 인동(영동기업 회장)인권(상방홀딩스 대표)인규(정인규이비인후과의원 원장)인찬(탑랜드마크 대표)씨 부친상 정윤진(아주대 명예교수)씨 장인상 10일 고려대 안암병원, 발인 14일 오전 7시 (02)923-4442 ●김용주(한국은행 재산총괄팀장)씨 장인상 12일 일산 동국대병원, 발인 14일 오전 8시 (031)961-9401 ●김관오(IT타임스 대표)영관(강남연세치과 원장)호정(세종초 교사)씨 부친상 김혜영(아리랑TV 부장)권태희(강남연세치과 원장)씨 시부상 11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4일 오전 7시 30분 (02)3410-6919 ●이동수(김포대 항공전자제어과 교수)봉수(단국대 무역학과 교수)씨 부친상 김홍우(한강요양병원 의사)씨 장인상 11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4일 오전 9시 (02)3410-6903 ●김경훈(울산신문 총무차장)씨 부친상 12일 경남 합천장례식장, 발인 14일 오전 7시 30분 010-8787-6678 ●고정진(유진투자증권 교육기획팀장)씨 장모상 11일 중국 허베이성 스자좡시 260병원, 발인 15일 오전 8시 010-3784-7398 ●안종원(동아원그룹 부회장)황두현(전 홍익대 상경대학장)씨 장모상 12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4일 오전 9시 (02)3010-2295 ●박상덕(대전도시철도공사 사장)씨 부친상 12일 대전 나진요양병원, 발인 14일 오전 9시 30분 (042)520-6690 ●김도명(프로농구 KBL 심판)세명(군인공제회 법무실 과장)씨 부친상 12일 전주 모악장례문화원, 발인 14일 오전 (063)221-4044 ●구대선(한겨레신문 사회2부 부국장대우)상선(사업)씨 모친상 여길순(세무사)씨 시모상 김용호(건설업)현덕균(사업)김명신(중앙컨설턴트 상무)씨 장모상 12일 대구 동산의료원, 발인 15일 오전 8시 (053)250-8141 ●신재형(전 코오롱 사장)수길(세종대 교수)재길(전 농심 상무)봉길(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장)씨 모친상 김기한(전 교촌 사장)씨 장모상 12일 경북 안동시 수상동 안동병원, 발인 15일 오전 9시 (054)840-0030, 010-4773-8377
  • [부고] 심선진(가천대 길병원 부교수)씨 모친상

    ●최정자씨 별세. 심진숙·선진(가천대 길병원 혈액종양내과 부교수)·선종(삼휘축산 대표)·선호(현대로템 선임 연구원)씨 모친상 = 13일, 전남 목포시 상동 효사랑장례식장 101호, 발인 15일 오전 10시. ☎ 061-242-7000
  • “오바마인데요,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어머니의 날 맞아 ‘위로의 깜짝 전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어머니의 날’을 맞아 평범한 어머니 3명에게 ‘깜짝’ 전화를 걸어 노고를 위로했다고 백악관이 밝혔다. 이들 어머니는 오바마 대통령에게 자신의 사연을 담은 편지를 지속적으로 보냈다가 오바마 대통령의 격려 전화를 받는 행운을 안게 됐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들에게 1995년 작고한 자신의 모친을 언급하며 “아이들을 올바르게 키우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안다”며 “나도 어머니가 없었다면 이 자리에 있지 못했을 것이다. 당신들은 가장 중요한 일을 했다”고 말했다. 미네소타주 쿤래피즈에서 웨이트리스로 일하는 스테파니 타르가 오바마 대통령의 전화를 받고 깜짝 놀라자 오바마 대통령은 “내가 대통령이 맞다.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라고 했다. 두 아들을 둔 타르는 오바마 대통령에게 편지를 써 최저임금을 올려 달라고 지속적으로 건의해 백악관의 눈길을 끌었다는 후문이다. 오바마 대통령의 전화를 받은 두 번째 주인공은 애리조나주 투선에서 교화공무원으로 일하는 다운 밀러로, 오바마 대통령에게 보낸 편지에서 방울뱀에 물린 22세 아들이 ‘오바마케어’ 덕분에 보험 치료를 받을 수 있었다고 썼다. 오바마 대통령은 전화에서 “어머니의 날에 편지를 써준 어머니들에게 ‘위대한 어머니’가 돼 줘 고맙다고 인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마지막 어머니는 플로리다주 올먼드비치에 사는 싱글맘 패트리샤 처치로, 세 아들을 키웠고 그중 한 명이 해병대원이 됐다. 그는 편지에서 싱글맘의 어려움을 토로했다고 한다. 오바마 대통령은 전화에서 “세 아이를 키우기 위해 한 모든 일이 자랑스럽다. 아이들은 모두 잘될 것”이라고 격려했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 전쟁 성범죄가 낳은 ‘보이지 않는 아이들’ 세상을 향해 외치다

    전쟁 성범죄가 낳은 ‘보이지 않는 아이들’ 세상을 향해 외치다

    -보스니아 청년, 친부모 찾기 나선 다큐 화제 앨런 무히치는 1992년부터 95년에 걸쳐 일어난 보스니아 내전 당시 세르비아 군인에게 성폭행당한 이슬람교 여성으로부터 태어난 직후 버려졌다. 내전 종결 20년, 그는 친부모를 찾는 여행에 나섰다. 그의 극적인 여정은 다큐멘터리 영화로 기록됐다. 그처럼 보스니아 내전 당시 성폭행으로 태어난 아이들은 ‘보이지 않는 아이들’이라고 불린다. 무히치의 이야기는 그런 아이들의 처지를 처음으로 공개한 것이다. 영화 ‘보이지 않는 아이의 함정’(An Invisible Child ‘s Trap)의 프리미어 상영회 이후 무히치는 “단지 진실을 알 필요가 있었다. 부모가 누구인지 왜 그녀가 나를 버렸는지 그는 전쟁에서 왜 그런 범죄를 저질렀는지…”라고 말했다. 무히치의 생물학적 어머니는 그를 낳은 뒤 미국으로 도피했다. 아버지는 재판에서 성폭행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이듬해 증거 불충분으로 무죄를 선고받고 석방됐다. 올해 나이 22세인 무히치는 보스니아 동부 마을 고라즈데에서 간호사로 일하고 있다. 이곳은 그가 1993년 태어난 병원이다. 이번 다큐를 제작한 셈스딩 게기치 감독은 보스니아인이다. 그는 “국제인권단체들은 전쟁 당시 성폭행으로 태어난 아이들을 ‘보이지 않는 아이들’이라고 부르고 있다. 하지만, 난 앨런이 ‘보이게’ 하려고 영화를 만들려했다.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분쟁 아래 성폭력으로 태어난 많은 아이 중 한명”이라고 말했다. 무히치의 친모는 보스니아 동부 밀예비나 출신이다. 당시 마을이 세르비아인 세력에 점거당했을 때 그녀는 성폭행당했고 1993년 2월 아들을 낳았다. 그녀는 출산 후 아기의 얼굴을 보는 것조차 거부했다고 한다. 당시 그녀를 비롯한 이슬람교도들은 세르비아인의 ‘인종 청소’에 의해 마을에서 쫓겨나 있었다. 게기치 감독은 당시 30대였던 그녀는 이후 미국으로 망명하고 결혼한 뒤 두 아들을 낳았다고 말한다. 그녀는 전쟁 범죄로 인한 법정 증언자로 보호돼 있으므로 영화에서는 그 이름이 밝혀지지 않았다. -"그녀는 왜 날 버렸는지...그는 왜 범죄를 저질렀는지..." 이슬람교도와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에 의한 서로 다른 민족 국가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전은 약 10만 명의 목숨을 빼앗고, 구유고슬라비아 연방의 분열 과정에서 가장 비참한 분쟁으로 기록됐다. 전시 성폭행당한 여성 대부분은 이슬람교도로 그 수는 2만 명 이상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현지 비정부기구(NGO) ‘전쟁의 피해자여성 협회’(Association of Women Victims of War)가 시행한 조사에 따르면, 전쟁 당시 성폭행으로 태어나 버려진 아이로 기록된 것은 불과 61명으로 실제로는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무히치는 생후 7개월 때 태어난 병원에서 청소부로 일하던 무하람 무히치에게 양자로 거둬졌다. 현재 60대인 무하람과 그의 아내 아도비야에게는 두 딸도 있다. 무히치는 “난 지금 행복하다. 좋은 가족에 거둬졌고, 양부모는 나를 친자식처럼 키우며 애정을 쏟았다”고 말했다. 그가 자신의 아픈 과거에 대해 처음 알게 된 것은 학교에서 다른 아이들로부터 놀림을 당할 때 양부모가 친부모가 아니라고 말했을 때부터였다. 무히치는 “사건이 일어난 뒤 양부모가 진실을 말해줬다. 그때는 화가 났지만, 지금은 알 수 있다”며 “그들은 나를 지키고 싶어 사실을 말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세 민족이 증오로 아직도 분단된 보스니아에서는 그와 같은 입양 자녀를 인정하지 않는 사람이 많았다. 무히치는 “부모는 주위에서 내 몸에 세르비아인의 피가 흐르므로 크면 자신들을 죽일 것이라고 경고했다고 말했다”며 “그들이 잘못됐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 이 영화를 만든 다른 이유”라고 말했다. -"엄마를 용서합니다" 영화에서는 그가 친부모와 만나는 것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 드러났다. 게기치 감독은 “부친은 만남을 피했지만, 모친은 완성된 영화를 본 뒤 앨런을 만나보고 싶다고 말해왔다”고 말했다. 아직 모자 상봉은 실현되지 않았지만, 만남이 성사되면 이 다큐에 추가될 것이다. 무히치는 이전에 자신을 버린 어머니에 대한 분노로 가득 차 있었지만 해를 거듭할수록 다른 감정을 품게 됐다고 말한다. 그는 “성폭행당한 것도, 나를 버린 것도 그녀의 책임이 아니다. 그녀는 고통을 견딜 수 없었던 것”이라면서 “그녀에게 큰 상처이며 충격이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미 그녀를 용서했다고 말했지만, 친아버지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음을 내비쳤다. 무히치의 친부는 2007년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에서 성폭행 혐의로 금고 5년 6개월을 받았지만, 이듬해 항소심에서 목격자의 증언에 모순이 있어 무죄로 판결받았다. 이 재판 중에 제출된 DNA 테스트 결과에서 그가 무히치의 생물학적 아버지임이 증명됐다. 무히치는 “누군가가 그에게 그렇게 하라고 강요한 것은 아니니까 그가 책임을 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사진=ⓒAFPBBNEWS=NEWS1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 [부고]

    ●장영달(새정치민주연합 고문)씨 장모상 11일 한양대병원, 발인 13일 오전 1시 (02)2290-9457 ●이선복(전 충주대 총장)씨 별세 11일 충주 영광장례식장, 발인 13일 오전 9시 (043)845-7632 ●이탁우(연합뉴스 대구경북취재본부 업무팀장)씨 별세 상대(NC소프트 차장)상미(용인 백현고 교사)은미(서울 아름제일여성병원 간호과장)씨 부친상 김상범(일산실업 기획부 차장)씨 장인상 김희야(대구 달서구청 행복나눔센터 근무)씨 시부상 10일 영남대병원, 발인 13일 오전 8시 (053)620-4243 ●권구성(청주 청원경찰서 지능팀 경위)씨 부친상 11일 청주의료원, 발인 13일 오전 7시 (043)279-0144 ●황세열(새누리당 울산시당 수석부위원장)씨 모친상 11일 울산영락원, 발인 13일 오전 9시 30분 (052)256-6896 ●김경탁(에스원CRM 대표이사)병만(굿맨프리미어파트너스 대표이사)씨 부친상 11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3일 오전 7시 (02)3410-6912 ●황장흥(사업)경희(남양주 덕소초 교사)씨 부친상 최창복(한국은행 경제연구원 연구위원 국장)최승권(국민은행 대치동지점 과장)씨 장인상 11일 분당 서울대병원, 발인 13일 오전 8시 (031)787-1500
  • 전쟁시 성폭행당해 태어난 보스니아 청년, 친부모 찾기 나서

    전쟁시 성폭행당해 태어난 보스니아 청년, 친부모 찾기 나서

    앨런 무히치는 1992년부터 95년에 걸쳐 일어난 보스니아 내전 당시 세르비아 군인에게 성폭행당한 이슬람교 여성으로부터 태어난 직후 버려졌다. 내전 종결 20년, 그는 친부모를 찾는 여행에 나섰다. 그의 극적인 여정은 다큐멘터리 영화로 기록됐다. 그처럼 보스니아 내전 당시 성폭행으로 태어난 아이들은 ‘보이지 않는 아이들’이라고 불린다. 무히치의 이야기는 그런 아이들의 처지를 처음으로 공개한 것이다. 영화 ‘보이지 않는 아이의 함정’(An Invisible Child ‘s Trap)의 프리미어 상영회 이후 무히치는 “단지 진실을 알 필요가 있었다. 부모가 누구인지 왜 그녀가 나를 버렸는지 그는 전쟁에서 왜 그런 범죄를 저질렀는지…”라고 말했다. 무히치의 생물학적 어머니는 그를 낳은 뒤 미국으로 도피했다. 아버지는 재판에서 성폭행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이듬해 증거 불충분으로 무죄를 선고받고 석방됐다. 올해 나이 22세인 무히치는 보스니아 동부 마을 고라즈데에서 간호사로 일하고 있다. 이곳은 그가 1993년 태어난 병원이다. 이번 다큐를 제작한 셈스딩 게기치 감독은 보스니아인이다. 그는 “국제인권단체들은 전쟁 당시 성폭행으로 태어난 아이들을 ‘보이지 않는 아이들’이라고 부르고 있다. 하지만, 난 앨런이 ‘보이게’ 하려고 영화를 만들려했다.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분쟁 아래 성폭력으로 태어난 많은 아이 중 한명”이라고 말했다. 무히치의 친모는 보스니아 동부 밀예비나 출신이다. 당시 마을이 세르비아인 세력에 점거당했을 때 그녀는 성폭행당했고 1993년 2월 아들을 낳았다. 그녀는 출산 후 아기의 얼굴을 보는 것조차 거부했다고 한다. 당시 그녀를 비롯한 이슬람교도들은 세르비아인의 ‘인종 청소’에 의해 마을에서 쫓겨나 있었다. 게기치 감독은 당시 30대였던 그녀는 이후 미국으로 망명하고 결혼한 뒤 두 아들을 낳았다고 말한다. 그녀는 전쟁 범죄로 인한 법정 증언자로 보호돼 있으므로 영화에서는 그 이름이 밝혀지지 않았다. 이슬람교도와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에 의한 서로 다른 민족 국가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전은 약 10만 명의 목숨을 빼앗고, 구유고슬라비아 연방의 분열 과정에서 가장 비참한 분쟁으로 기록됐다. 전시 성폭행당한 여성 대부분은 이슬람교도로 그 수는 2만 명 이상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현지 비정부기구(NGO) ‘전쟁의 피해자여성 협회’(Association of Women Victims of War)가 시행한 조사에 따르면, 전쟁 당시 성폭행으로 태어나 버려진 아이로 기록된 것은 불과 61명으로 실제로는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무히치는 생후 7개월 때 태어난 병원에서 청소부로 일하던 무하람 무히치에게 양자로 거둬졌다. 현재 60대인 무하람과 그의 아내 아도비야에게는 두 딸도 있다. 무히치는 “난 지금 행복하다. 좋은 가족에 거둬졌고, 양부모는 나를 친자식처럼 키우며 애정을 쏟았다”고 말했다. 그가 자신의 아픈 과거에 대해 처음 알게 된 것은 학교에서 다른 아이들로부터 놀림을 당할 때 양부모가 친부모가 아니라고 말했을 때부터였다. 무히치는 “사건이 일어난 뒤 양부모가 진실을 말해줬다. 그때는 화가 났지만, 지금은 알 수 있다”며 “그들은 나를 지키고 싶어 사실을 말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세 민족이 증오로 아직도 분단된 보스니아에서는 그와 같은 입양 자녀를 인정하지 않는 사람이 많았다. 무히치는 “부모는 주위에서 내 몸에 세르비아인의 피가 흐르므로 크면 자신들을 죽일 것이라고 경고했다고 말했다”며 “그들이 잘못됐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 이 영화를 만든 다른 이유”라고 말했다. 영화에서는 그가 친부모와 만나는 것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 드러났다. 게기치 감독은 “부친은 만남을 피했지만, 모친은 완성된 영화를 본 뒤 앨런을 만나보고 싶다고 말해왔다”고 말했다. 아직 모자 상봉은 실현되지 않았지만, 만남이 성사되면 이 다큐에 추가될 것이다. 무히치는 이전에 자신을 버린 어머니에 대한 분노로 가득 차 있었지만 해를 거듭할수록 다른 감정을 품게 됐다고 말한다. 그는 “성폭행당한 것도, 나를 버린 것도 그녀의 책임이 아니다. 그녀는 고통을 견딜 수 없었던 것”이라면서 “그녀에게 큰 상처이며 충격이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미 그녀를 용서했다고 말했지만, 친아버지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음을 내비쳤다. 무히치의 친부는 2007년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에서 성폭행 혐의로 금고 5년 6개월을 받았지만, 이듬해 항소심에서 목격자의 증언에 모순이 있어 무죄로 판결받았다. 이 재판 중에 제출된 DNA 테스트 결과에서 그가 무히치의 생물학적 아버지임이 증명됐다. 무히치는 “누군가가 그에게 그렇게 하라고 강요한 것은 아니니까 그가 책임을 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사진=ⓒAFPBBNEWS=NEWS1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 [부고]

    ●안병준(전 서울신문 정치부장)씨 모친상 9일 분당 서울대병원, 발인 11일 오전 7시 30분 (031)787-1500 ●김정행(대한체육회장)씨 모친상 10일 경북 포항 시민장례예식장, 발인 12일 오전 (054)253-4444 ●황귀암(전 경북부지사)씨 별세 재우(사업)씨 부친상 안건희(이노션월드와이드 대표이사)씨 장인상 9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1일 낮 12시 (02)3010-2000 ●최병석(삼성전자 상생협력센터 부사장)병원(스틱인베스트먼트 부회장)씨 모친상 이희영(진양화성 관리부장)전종철(포스코 PR실 과장)씨 장모상 9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2일 오전 10시 30분 (02)3410-6917 ●이승구(이루온 대표이사)씨 부친상 이혜경(니케북스 대표)씨 시부상 김용진(한별병원 약사)문보규(스페이스대건종합건설 대표이사)씨 장인상 10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2일 오전 7시 30분 (02)3010-2230 ●백동훈(전 현대건설 부장)씨 모친상 이상원(창주실업 대표)박찬훈(삼성전자 SCS법인장 전무)씨 장모상 10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2일 오전 (02)3410-3151 ●양인태(유아이비스타 대표이사)씨 부친상 9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2일 오전 5시 (02)3010-2293 ●성기돈(21세기선진포럼 상임이사)씨 부친상 9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2일 오전 5시 30분 (02)3410-6920 ●박영민(전 MBC 논설위원)씨 부친상 송영각(에이앤에스 대표이사)씨 장인상 홍은희(명지대 디지털미디어학과 교수)씨 시부상 10일 고양 일산병원, 발인 12일 오전 8시 30분 (031)900-0444 ●노연호(규형디엔씨 대표이사)차영(삼성생명 상무)씨 부친상 조영현(사업)유홍림(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씨 장인상 10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2일 오전 7시 (02)3010-2231
  • [부고]

    ●윤동배(프로야구 롯데 자이언츠 스카우트담당 매니저)형배(프로야구 케이티 위즈 코치)씨 모친상 8일 부산 좋은강안병원, 발인 10일 오전 7시 30분 (051)610-9677 ●공봉식(전 경남신문 편집국장)씨 별세 철병(현대산업개발 대리)강아(머저마켓그룹 기자)인아(보그걸 에디터)씨 부친상 양석철(현대중공업 과장)씨 장인상 8일 경남 창원시립상복공원, 발인 11일 오전 7시 30분 (055)712-0900 ●최병기(충북도 공보관실 미디어홍보팀장)씨 모친상 8일 청주 참사랑병원, 발인 10일 오전 9시 (043)298-9200 ●박용래(사업)경래(동화티엔에스 대표)성래(동화티엔에스 부장)씨 모친상 김용웅(문화일보 광고국 부장)씨 장모상 8일 인천 신세계장례식장, 발인 10일 오전 (032)568-4000 ●김남철(미래창조과학부 공보팀장)씨 부친상 7일 전북 부안 호남장례식장, 발인 10일 오전 (063)581-1004 ●주창호(LG CNS 부장)씨 별세 창룡(대한항공 기장)창환(육군 소장)씨 동생상 8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0일 오전 7시 (02)3010-2237 ●박영진(여자프로농구 구리 KDB생명 코치)씨 모친상 8일 대구 파티마병원, 발인 10일 오전 (053)957-4407 ●문지영(대한골프협회 상비군 코치)씨 부친상 이준영(한국프로골프협회 전무이사)씨 장인상 8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0일 오전 (02)3010-2293 ●박종복(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장)씨 모친상 8일 청주 충북대병원, 발인 10일 오전 9시 (043)269-6969
  • [부고] 태광그룹 창업주 부인 이선애 여사

    [부고] 태광그룹 창업주 부인 이선애 여사

    태광그룹 창업주 고(故) 이임용 선대회장의 부인이자 학교법인 일주학원의 설립자인 이선애 전 태광그룹 상무가 7일 오전 88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이호진(53) 전 태광그룹 회장의 모친이기도 한 이씨는 횡령 혐의 등으로 4년 형을 선고받았지만 지난해 형집행정지를 신청해 병원치료를 받아 왔다. 이씨는 1927년 경북 영일군에서 태어나 1943년 이임용 선대회장과 결혼했다. 1950년에는 이 선대회장과 함께 태광산업을 공동 설립했다. 선대회장과 함께 태광을 키우는 안주인 노릇을 하며 교육과 사회공헌활동에 남다른 관심을 기울였다. 이씨는 1977년 6월 일주학원을 설립해 이듬해에는 서울 서초구에 세화여자중·고교를 개교했다. 국내 최초로 중앙난방 방식을 도입하고 교실마다 에어컨을 설치한 학교로 세간의 눈길을 끌었다. 1990년에는 남편과 함께 일주학술문화재단을 설립해 국내 및 해외 장학사업을 진행했다. 또 2010년부터는 선화예술문화재단을 설립해 신진작가 지원에도 힘을 쏟았다. 하지만 이 전 상무는 회사 돈 400억원을 횡령하고 회사에 975억원의 손해를 끼친 혐의로 2011년 이 전 회장과 함께 기소돼 징역 4년형과 벌금 10억원을 확정받았다. 서울구치소에 수감 중이던 그는 지난해 7월 뇌경색과 관상동맥 협착증 등을 이유로 형집행정지 결정을 받아 최근 병원 생활을 이어왔다. 유족은 이호진 전 회장 등 1남 3녀다. 현재 병보석 상태인 아들 이 전 태광그룹 회장은 장례식에 참석하지 못할 것으로 알려졌다. 태광 관계자는 “몸 상태가 몹시 좋지 않은 상황이다. 상주와 손님맞이는 3명의 사위가 담당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빈소는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다. 장례는 고인의 뜻을 기려 일주학원·일주학술문화재단·선화예술문화재단장으로 치러진다. 발인은 10일이며, 장지는 경북 포항 청하면 서정리 선영이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 [부고]

    ●박상훈(전 서울신문 제작국 부국장)씨 장인상 7일 울산영락원, 발인 9일 오전 (052)272-1111 ●오세민(전 공정거래위원장)세평(새한비지네스폼 부사장)씨 모친상 손동렬(한국특수지 부사장)씨 장모상 7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9일 오전 5시 30분 (02)3410-6902 ●김종우(전 문교부 편수국장)씨 별세 준형(전 코오롱 본부장)씨 부친상 6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9일 오전 (02)2227-7569 ●박대순(전 국립강원대 행정학과 교수)씨 모친상 재병(포스코 팀장)씨 조모상 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9일 오전 6시 (02)3010-2261 ●우기호(대한노인회 강서지회 부회장)씨 별세 천희(명지전문대 전기과 교수)태희(서일대 산업시스템경영과 교수)광희(누가이비인후과 원장)씨 부친상 6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9일 오전 7시 30분 (02)3410-3151 ●이한수(전 대구서부경찰서장)씨 별세 석제(대구은행 서울본부 부장)석현(한국마이크로소프트 상무)씨 부친상 7일 대구 영남대의료원, 발인 9일 오전 7시 (053)620-4246 ●심영학(중원학원 원장)진오(투엔테크 대표)광영(SBS 기획본부 제작리소스팀장)정희(서정대 교수)재우(HMC투자증권 강남PB센터 부센터장)씨 부친상 7일 충남 부여 규암농협장례식장, 발인 9일 오전 (041)837-0182 ●심태식(전 경희대 총장)씨 별세 우영(경희의대 교수)우일(중소기업연구원 상임연구위원)씨 부친상 김부용(숙명여대 통계학과 교수)이명섭(미국 거주)씨 장인상 7일 강동경희대병원, 발인 9일 오전 9시 (02)440-8923 ●박충래(성인건설 대표)씨 장모상 7일 부산 시민장례식장, 발인 9일 오전 8시 (051)636-4444
  • [부고]

    ●최훈(자영업)씨 부친상 임송학(서울신문 사회2부 전북주재 기자)신길주(대전 둔산경찰서 주임)씨 장인상 6일 익산 원광대병원, 발인 8일 오전 9시 (063)855-1734 ●손승욱(SBS 기획취재부 기자)종욱(바핀파트너스 대표)씨 모친상 송혜정(창원지법 마산지원 부장판사)최정윤(하나은행 차장)씨 시모상 하준영(SBI 저축은행 부장)씨 장모상 5일 서울성모병원, 발인 8일 오전 8시 30분 (02)2258-5940 ●한동진(불스원 부장)은진(강사)씨 부친상 김태재(공군 대령)신호철(IBK투자증권 준법감시인)씨 장인상 이경미(학원 원장)씨 시부상 5일 한양대병원, 발인 8일 오전 7시 (02)2290-9462 ●현진해(전 고려대 의무부총장)씨 부친상 6일 고려대 안암병원, 발인 8일 오전 6시 070-7816-0229 ●김현균(경기 고양경찰서 경위)명균(경기 성남수정경찰서 경위)은영(건강보험관리공단 근무)씨 부친상 박성구(SBSCNBC 보도국장)김원석(경산농협 옥산지점장)씨 장인상 6일 대구 모레아장례식장, 발인 9일 오전 (053)801-9999 ●상원종(법무법인 세종 고문·전 국회 입법차장)인종(용화당약국 대표)씨 모친상 권영진(전 신한은행 감사)씨 장모상 6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8일 오전 9시 (02)3410-3151 ●황진(자영업)철(자영업)성(한국은행 금융시장국 부국장)씨 부친상 6일 서울대병원, 발인 8일 낮 12시 (02)2072-2011
  • 英 샬럿 공주 출생신고서 공개 “우리 아빠·엄마 직업은요~”

    英 샬럿 공주 출생신고서 공개 “우리 아빠·엄마 직업은요~”

    영국의 윌리엄과 케이트 왕세손 부부 사이에서 지난 2일 태어난 둘째 아이 샬럿 공주의 출생 신고서가 5일 공개돼 눈길을 끌고 있다. 영국 왕가 역시 출생신고서를 작성해야 하고 이름이 길어 이를 작성하는 것이 일반인보다 번거롭다는 것이 흥미롭다. 공개된 샬럿 공주의 정식 이름은 ‘케임브리지의 샬럿 엘리자베스 다이애나 공주 저하’(Her Royal Highness Princess Charlotte Elizabeth Diana of Cambridge). 작위는 없다. 출생신고서에는 아이의 부친인 윌리엄 왕세손과 모친인 케이트 왕세손비의 정식 이름도 적혀 있다. 윌리엄의 정식 이름은 ‘케임브리지의 공작 윌리엄 아서 필립 루이스 왕자 저하’(His Royal Highness Prince William Arthur Philip Louis Duke of Cambridge), 케이트의 이름은 ‘케임브리지의 공작부인 캐서린 엘리자베스 저하’(Catherine Elizabeth Her Royal Highness The Duchess of Cambridge)이다. 또 샬럿 공주의 부모 직업을 적는 빈칸에는 각각 ‘영국의 왕자’와 ‘영국의 공주’라고 쓰여 있다. 한편 영국 왕실은 엄청난 관심이 몰린 공주의 이름을 ‘샬럿 엘리자베스 다이애나’로 결정했으며, 이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에 대한 왕세손의 존경심, 윌리엄 왕세손의 어머니이자 요절한 비운의 다이애나비를 기리는 뜻이 모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된다. 영국 왕실에서 25년 만에 태어난 샬럿 공주는 오빠인 조지 왕자(3)의 뒤를 이어 왕위 계승 순위 4위에 올랐다. 사진=ⓒAFPBBNEWS=NEWS1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 [부고]

    ●박화진(경찰청 사이버안전국장)씨 부인상 4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7일 오전 6시 (02)3010-2263 ●김익창(자영업)익남(호텔롯데 매니저)씨 모친상 김승문(강남세브란스병원 기획팀장)씨 장모상 5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7일 오전 6시 30분 (02)2227-7556 ●오인곤(서대문경찰서 경위)석곤(연합인포맥스 부장)씨 모친상 정재헌(현대상선 방콕지사장)씨 장모상 5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7일 오전 6시 30분 (02)2227-754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