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모친
    2025-08-13
    검색기록 지우기
  • 제주
    2025-08-13
    검색기록 지우기
  • 이혼
    2025-08-1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1,045
  • [부고]

    ●배상철씨 별세 배인권·배현기(웰스가이드 대표·전 하나은행 전무)·배요한(기아타이거즈 트레이닝 코치)씨 부친상 양경미씨 시부상 김용명(두산건설 부장)씨 장인상 22일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발인 24일 오전 8시 30분 (031)8003-4410 ●박철규(서울대 의과대 명예교수)씨 별세 서정희씨 남편상 박종림(바노바기성형외과 원장)·박종주(하트성형외과 원장)씨 부친상 조혜원씨 시부상 박진우·박준우·박성민·박성준씨 조부상 21일 서울대병원, 발인 24일 오전 4시 30분 (02)2072-2020 ●김선미(창무예술원 예술감독)씨 별세 조정제(㈜DI 사외이사)씨 부인상 조혜인(연세대 시스템생물학과 박사과정)씨 모친상 21일 신촌 세브란스병원, 발인 24일 (02)2227-7556 ●김홍주씨 별세 박옥강씨 남편상 김용군(SK네트웍스서비스 전무)·김용국(NICE정보통신 대표)·김경미씨 부친상 이선미·곽윤경씨 시부상 22일 경남 창원 삼성창원병원, 발인 24일 (055)233-8441 ●송정례씨 별세 이철식(한국지엠 창원관리 담당 이사)씨 모친상 22일 경남 진주시 경상대병원, 발인 24일 오전 8시 (055)750-8448
  • [부고] 김용국씨 부친상, 백정현씨 모친상

    ●박옥강씨 남편상, 김용군(SK네트웍스서비스 전무)·김용국(NICE정보통신 대표)·김경미씨 부친상, 이선미·곽윤경씨 시부상, 22일, 경남 창원 삼성창원병원 장례식장 VIP 1호실, 발인 24일, 장지 상복공원. 055-233-8441 ●백두현(전 진성전자 대표)·백철현(전 현대해상 상무)·백정현(재규어랜드로버코리아 대표이사)씨 모친상, 김종철(전 산업통상자원부 과장)씨 장모상, 김유리(식품의약품안전처 주무관)·김현리(스와치그룹코리아 차장)씨 외조모상, 22일 오전 9시,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 23호실, 발인 24일 오전 4시. 02-3010-2263
  • [부고] 김선미씨 별세, 서기찬씨 모친상, 배현기씨 부친상, 이철식씨 모친상

    ●김선미(창무예술원 예술감독·한국예술종합학교 겸임교수)씨 별세, 조정제(㈜DI 사외이사)씨 부인상, 조혜인(연세대 시스템생물학과 박사과정)씨 모친상, 21일 오후 9시 35분, 신촌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3호실, 발인 24일 오전. 02-2227-7556 ●서유찬(자영업)·서기찬(위키트리 편집국장)·서미라씨 모친상, 문세리·김희진씨 시모상, 조수현씨 장모상, 21일 오후 3시,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장례식장 9호실, 발인 23일 낮 12시30분, 장지 김포 청솔수목원. 031-900-0444 ●배인권·배현기(웰스가이드 대표·전 하나은행 전무)·배요한(기아타이거즈 트레이닝 코치) 씨 부친상, 양경미 씨 시부상, 김용명(두산건설 부장) 씨 장인상, 22일 오전 5시 20분, 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 장례식장, 발인 24일 오전 8시 30분. 031-8003-4410 ●이철식(한국지엠 창원관리 담당 이사)씨 모친상, 22일 오전, 경남 진주시 경상대병원 장례식장 101호실, 발인 24일 오전 8시. 055-750-8448
  • [부고]

    ●유정룡씨 별세 정학(대유통상 다카지점장)·명옥(감리교신학대학 부장)씨 부친상 고광훈(한전기술 책임연구원)씨 장인상 21일 신촌 세브란스병원, 발인 23일 오전 5시 (02)2227-7547 ●전영희씨 별세 이재순(충북도 자치행정과 민원팀장)씨 모친상 20일 청주 참사랑병원, 발인 22일 오전 10시 (043)298-9200 ●김옥순씨 별세 유기흥(전 상부종합건설 대표)·기만(토즈백마점 대표)·기준(강원랜드 객실팀 부장)씨 모친상 오세호(자영업)·정경엽(대신증권 프라임영업부장)씨 장모상 20일 일산백병원, 발인 22일 오전 10시 30분 (031)910-7444 ●변연숙씨 별세 박영우(와이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영대(대한약품 전무)씨 모친상 20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2일 낮 12시 (02)3010-2236 ●왕재철씨 별세 성현씨 부친상 한명섭(한국대학신문 부국장)씨 장인상 21일 춘천 호반장례식장, 발인 23일 오전 9시 (033)254-9102) ●박동순씨 별세 이승복(전주상공회의소 사무처장)·경복(삼정 대표이사)씨 모친상 문동섭(쌍용부품 익산대리점 대표)·하태권(익산소방서 방호구조과장)씨 장모상 20일 전주 뉴타운장례식장, 발인 22일 오전 9시 (063)285-4447
  • [부고]

    ●유정룡씨 별세 정학(대유통상 다카지점장)·명옥(감리교신학대학 부장)씨 부친상 고광훈(한전기술 책임연구원)씨 장인상 21일 신촌 세브란스병원, 발인 23일 오전 5시 (02)2227-7547 ●전영희씨 별세 이재순(충북도 자치행정과 민원팀장)씨 모친상 20일 청주 참사랑병원, 발인 22일 오전 10시 (043)298-9200 ●김옥순씨 별세 유기흥(전 상부종합건설 대표)·기만(토즈백마점 대표)·기준(강원랜드 객실팀 부장)씨 모친상 오세호(자영업)·정경엽(대신증권 프라임영업부장)씨 장모상 20일 일산백병원, 발인 22일 오전 10시 30분 (031)910-7444 ●변연숙씨 별세 박영우(와이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영대(대한약품 전무)씨 모친상 20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2일 낮 12시 (02)3010-2236 ●왕재철씨 별세 왕성현씨 부친상 한명섭(한국대학신문 부국장)씨 장인상 21일 춘천 호반장례식장, 발인 23일 오전 9시 (033)254-9102) ●박동순씨 별세 이승복(전주상공회의소 사무처장)·경복(삼정 대표이사)씨 모친상 문동섭(쌍용부품 익산대리점 대표)·하태권(익산소방서 방호구조과장)씨 장모상 20일 전주 뉴타운장례식장, 발인 22일 오전 9시 (063)285-4447
  • [부고] 이재순씨 모친상, 유정학씨 부친상, 한명섭씨 장인상

    ●이재순(충북도 자치행정과 민원팀장)씨 모친상, 20일 오후 7시 30분, 청주 참사랑병원 장례식장 국화1호, 발인 22일 오전 10시. 043-298-9200 ●유정학(대유통상 다카지점장)·유명옥(감리교신학대학 부장)씨 부친상, 고광훈(한전기술 책임연구원)씨 장인상, 21일 오전 6시 53분, 신촌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11호실, 발인 23일 오전 5시. 02-2227-7547 ●한명섭(한국대학신문 부국장)씨 장인상, 21일 오전 11시 10분, 춘천 호반장례식장 6호실(22일 오전 9시부터 특1호실), 발인 23일 오전 9시. 033-254-9132(22일 오전 9시부터. 033-254-9102)
  • [부고] 이승복씨 모친상, 정경엽씨 장모상, 송종욱씨 장인상

    ●이승복(전주상공회의소 사무처장)·경복(삼정 대표이사)씨 모친상, 문동섭(쌍용부품 익산대리점 대표)·하태권(익산소방서 방호구조과장)씨 장모상, 20일 오후 3시, 전주 뉴타운장례식장 2층 VIP실, 발인 22일 오전 9시, 장지 임실 선영. 063-285-4447 ●유기흥(전 상부종합건설 대표)·유기만(토즈백마점 대표)·유기준(강원랜드 객실팀 부장)씨 모친상, 오세호(자영업)·정경엽(대신증권 프라임영업부장)씨 장모상, 20일 오후 2시 25분, 일산백병원 장례식장 1호, 발인 22일 오전 10시 30분. 031-910-7444 ●한덕수(자영업)·은주(자영업)·은정씨 부친상, 송종욱(영남일보 경주담당 차장)·김창수(대구도시철도공사 근무)씨 장인상, 송복숙씨 시부상, 21일 오전 1시, 포항성모병원 장례식장 2호실, 발인 23일 오전 7시. 054-260-8048
  • [부고] 김명옥씨 모친상, 박명수씨 부친상, 여균수씨 모친상, 박영우씨 모친상

    ●김명옥(해외동포책보내기운동협의회 부이사장)씨 모친상, 20일 오전, 신촌 세브란스병원 장례식당 지하 2층 12호실, 발인 22일 오전 10시. 02-2227-7591 ●박광수·박명수(득금티앤씨 대표이사)·박의수·박민자·박민희·박민숙씨 부친상, 김유진(신원 부사장)·김변호(스포츠조선 편집팀 부장)씨 외조부상, 20일 오전 9시,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 15호실, 발인 22일 오전 6시. 02-3410-6915 ●여균수(광남일보 논설실 주필)씨 모친상, 20일 오후 7시, 광주 VIP 장례타운 302호, 발인 22일 오전 10시. 062-521-4444 ●박영우(와이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박영대(대한약품 전무)씨 모친상, 20일 오후 11시,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 6호실, 발인 22일 낮 12시. 02-3010-2236
  • [부고]

    ●김규범씨 별세 김경호(서울신문 인천 제물포 지국장)씨 부친상 19일 인천 청기와장례식장, 발인 21일 오전 7시 (032)583-4444 ●이종금씨 별세 오재환(한국예탁결제원 부산업무부 수석업무역)씨 모친상 20일 충남 아산충무병원, 발인 22일 오전 7시 (041)541-4448
  • [부고] 홍일선씨 별세, 신욱희씨 장모상, 최길순씨 별세, 박진열씨 모친상

    ●홍일선(전 명지전문대 전기과 명예교수)씨 별세, 공정옥씨 남편상, 홍승혜·홍승서씨 부친상, 이수진씨 시부상, 20일 오전 8시 9분, 연세대 신촌장례식장 6호실, 발인 22일 오후. 02-2227-7566 ●차정숙(영락교회 권사)씨 별세, 이영부(화가)·이현정(영국 LSE 교수)씨 모친상, 신욱희(서울대 교수)씨 장모상, 20일 오전 4시 30분, 서울아산병원장례식장 7호실, 발인 22일 오후 1시. 02-3010-2237 ●최길순(전 한국전기공사협회 회장·전 전기신문 사장)씨 별세, 최윤정씨 부친상, 20일 0시 20분,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 특17호실, 발인 22일 오전 5시. 02-3410-6917 ●박진열(창원시청 경제일자리국장)씨 모친상, 20일 오전 10시 54분, 창원시립상복공원 장례식장 8호실, 발인 22일 오전 8시30분. 055-712-0900
  • [부고] 우성목씨 모친상, 오재환씨 모친상, 이강주씨 모친상

    ●우성훈(청구고등학교 교장)·우무영(기아자동차[000270] 영봉대리점 대표)·우성목(금융감독원 금융교육국 교수)·우성규(대명GEC 팀장) 씨 모친상, 김창규(전 안동병원 과장) 장모상, 20일, 대구 모레아장례예식장 103호실, 발인 22일 오전 7시. 053-801-9999 ●오재환(한국예탁결제원 부산업무부 수석업무역)씨 모친상, 20일, 충남 아산충무병원 국화원 특실, 발인 22일 오전 7시, 장지 천안추모공원. 041-541-4448 ●이강주(포천 예원플라자 회장)씨 모친상, 20일 오전, 경기도립의료원 포천병원 장례식장 3호실, 발인 22일 오전 10시 30분. 031-539-9446
  • 靑·與 ‘해리스 때리기’에 콧수염까지 화제…“日총독 연상”

    靑·與 ‘해리스 때리기’에 콧수염까지 화제…“日총독 연상”

    통일부·민주 중진까지 비판 여론 가세“‘콧수염’ 일제 총독 연상” 외신 보도도청와대와 여권, 통일부가 17일 일제히 대북 개별관광에 대해 ‘미국과의 협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한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를 비판하고 나선 가운데 그의 콧수염이 한국인들 사이에서 조롱과 분노의 대상이 되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을 만나 해리스 대사의 발언에 대한 입장을 묻자 “대사가 주재국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언론에 공개적으로 언급한 부분은 대단히 부적절하다”며 “남북협력 관련 부분은 우리 정부가 결정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주권국 대통령의 언급을 주재국 대사가 관여한 데 대한 강한 경고의 의미로, 해리스 대사 발언에 청와대가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상민 통일부 대변인도 정례브리핑에서 “대북정책은 대한민국의 주권에 해당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며 “관광은 대북제재에 저촉이 되지 않는 것이고 지금 현재도 다른 외국 여러 나라의 관광객들이 북한 관광을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여권도 일제히 비판 메시지를 쏟아냈다. 민주당 동북아평화협력특별위원장인 송영길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해리스 대사 개인 의견으로 판단해야 할 문제”라며 “의견 표명은 좋지만, 우리가 대사가 한 말대로 따라 한다면 대사가 무슨 조선 총독인가”라고 비꼬았다. 송 의원은 또 해리스 대사의 평소 언행과 관련해 “대사로서의 위치에 걸맞지 않은 좀 과한 발언이 아닌가 생각한다”며 “개인의 의견인지, 본부의 훈령을 받아서 하는 국무부 공식 의견인지 구분이 잘 안 된다”고 지적했다. 설훈 최고위원도 국회에서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해리스 대사가 우리 정부의 남북관계 진전 구상에 대해 제재 잣대를 들이댄 것에 엄중한 유감의 뜻을 표명한다”며 “내정간섭 같은 발언은 동맹 관계에도 도움이 안 된다”고 비판했다. 이해식 대변인은 논평에서 “해리스 대사는 본인의 발언이 주권국이자 동맹국인 대한민국 정부와 국민의 오해를 촉발할 수도 있다는 깊은 성찰을 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대북단체들도 반발 성명에 동참했다.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와 6·15 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를 비롯한 97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개성공단·금강산관광 재개 범국민운동본부’는 “한국은 미국에 종속된 국가가 아니다”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이런 가운데 해리스 대사의 ‘콧수염’이 한국인들 사이에서 조롱과 분노의 대상이 되며 외교 문제로 떠올랐다고 뉴욕타임스(NYT)와 영국 가디언 등 외신이 16일(현지시간) 일제히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해리스 대사는 외신 기자들과 만나 “내 수염이 어떤 이유에선지 여기서 일종의 매혹 요소가 된 것 같다”며 ‘콧수염’ 논란에 대해 직접 운을 뗐다.그는 “내 인종적 배경, 특히 내가 일본계 미국인이라는 점에서 언론, 특히 소셜미디어에서 비판받고 있다”고 말했다. 해리스 대사는 일본계 어머니와 주일 미군이던 아버지 사이에서 일본에서 태어났다. 미 해군 태평양사령관으로 재직하다가 2018년 7월 주미대사로 부임한 해리스 대사는 콧수염을 기르기로 한 결정이 자신이 일본계라는 혈통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고도 강조했다. 해군 퇴임을 기념해 콧수염을 길렀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계 미국인을 주한미국대사로 낙점했다는 사실에 무시당했다고 느낀 한국인들이 그가 한국을 모욕하기 위해 일부러 콧수염을 기르는 것은 아닌지 의심한다는 여론이 나오고 있다고 이 매체들은 전했다. 일제시대 조선 총독 8명이 모두 콧수염이 있었다는 점을 지적하는 여론도 나왔다. 한 블로거가 “해리스의 모친은 일본인이다. 그 자체만으로도 우리가 싫어하기에 충분하다. 한국과 일본 사이에 한 곳을 선택하라면 어느 편을 들겠느냐”라고 쓴 글이 이런 국민 정서를 대변한다고 NYT는 지적했다. 특히 그가 취임한 뒤 트럼프 대통령의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를 계속해서 밀어붙이면서 비판 여론은 더욱 커지고 있다. 최근 일부 반미 단체는 서울 주한 미국대사관 앞에서 시위하면서 해리스 대사의 얼굴 사진에 붙여둔 가짜 콧수염을 잡아뽑는 퍼포먼스를 한 것도 이런 맥락이다. 해리스 대사는 이에 대해 “이런 사람들은 역사에서 ‘체리피킹’(유리한 것만 골라 취하려는 태도)을 하려 한다”며 “20세기 초 서구뿐만 아니라 아시아에서도 콧수염 기르기가 유행했으며 일본으로부터의 독립을 위해 싸우던 한국 지도자들도 콧수염을 길렀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양쪽(한국과 일본) 사이의 역사적인 반감을 이해한다”면서도 “하지만 난 일본계 미국인 대사가 아니라 미국 대사다. 출생의 우연만으로 역사를 가져다가 내게 적용하는 것은 실수“라고 반박했다. 또 콧수염을 자를 계획도 없다고 선을 그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 해리스 대사 콧수염이 아니라 군림하려는 발언이 문제

    해리스 대사 콧수염이 아니라 군림하려는 발언이 문제

    콧수염이 문제가 아니다. 한국과 미국 사이 감정의 골이나 시선의 상극을 메우는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이 외교관의 본령인데, 그는 툭하면 어깃장을 놓으려 한다. 최근에는 남북 문제에까지 관여해 미국 행정부의 도장을 받으라는 식으로 마치 일제 시대 조선 총독마냥 군다. 일제 총독 8명이 모두 콧수염을 길렀다는데 그래서 우리 국민들은 분노하고 그의 콧수염을 조롱하는 것이다.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 대사의 ’콧수염‘이 한국민들의 조롱과 분노를 사고 있다고 미국 일간 뉴욕 타임스(NYT)와 영국 일간 가디언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해리스 대사 본인이 외신 기자들과 만나 “내 수염이 어떤 이유에선지 여기서 일종의 매혹 요소가 된 것 같다”며 ’콧수염‘ 논란에 대해 직접 입을 열었다. 그는 “내 인종적 배경, 특히 내가 일본계 미국인이라는 점에서 언론, 특히 소셜미디어에서 비판받고 있다”고 말했다. 해리스 대사는 일본계 어머니와 주일 미군 아버지 사이에서 일본에서 태어났다. 미 해군 태평양사령관으로 재직하다가 2018년 7월 주한 미국 대사로 부임한 해리스 대사는 콧수염을 기르기로 한 결정이 일본계 혈통과 상관 없다고 했다. 해군에 복무하던 시절 대부분 깔끔하게 면도했지만 해군 퇴임을 기념해 콧수염을 기르기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군인으로서의 삶과 외교관으로서 새로운 삶을 구분 짓고자” 시작한 콧수염 기르기는 뜻하지 않은 오해를 가져왔다. 가뜩이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계 미국인을 주한 대사로 낙점했다는 사실에 무시당했다고 느낀 한국인들이 그가 한국을 모욕하기 위해 일부러 콧수염을 기르는 것은 아닌지 의심했기 때문이다. 한 블로거가 “해리스의 모친은 일본인이다. 그 자체만으로도 우리가 싫어하기에 충분하다. 한국과 일본 사이에 한 곳을 선택하라면 어느 편을 들겠느냐”고 쓴 글이 이런 국민 정서를 대변한다고 NYT는 지적했다. 공교롭게도 한일 관계가 악화 일로를 걷는 와중에 해리스 대사가 부임했고, 그의 취임 후 트럼프 대통령이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를 밀어붙이면서 이런 의혹은 더욱 커졌다. 또한 그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과 관련, 한국 정부에 파기 결정을 번복하도록 압력을 행사했다는 이야기가 흘러나오며 해리스 대사에게는 ’고압적인 미국 외교관‘이라는 이미지가 덧씌워졌다고 NYT는 진단했다. 이후 해리스 대사에 대한 개인적인 공격으로 옮겨갔다. 최근 일부 반미 단체가 서울 주한 미국대사관 앞에서 시위하면서 해리스 대사의 얼굴 사진에 붙여둔 가짜 콧수염을 잡아 떼는 퍼포먼스를 했다. 해리스 대사는 “이런 사람들은 역사에서 ‘체리 피킹’(유리한 것만 골라 취하는 태도)을 하려 한다”며 20세기 초 서구뿐만 아니라 아시아에서도 콧수염이 유행했으며 일본으로부터의 독립을 위해 싸우던 한국 지도자들도 콧수염을 길렀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양쪽(한국과 일본) 사이의 역사적인 반감을 이해한다”면서 “하지만 난 일본계 미국인 대사가 아니라 미국 대사”라며 “출생의 우연만으로 역사를 내게 적용하는 것은 실수”라고 반박했다. 그는 콧수염을 자를 계획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정작 근본적인 문제는 그가 외교관의 본분을 넘어 오지랖 넓게 이래라 저래라 발언의 수위와 폭이 넓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그는 앞의 외신 기자 간담을 통해 “향후 제재를 촉발할 수 있는 오해를 피하려면 한미 워킹그룹을 통해서 다루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고 로이터 통신 등이 서울 발로 전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추진 의사를 밝힌 개별관광 등의 구상에 미국 정부의 공식 입장을 말할 입장이 아니라고 전제했지만, 한미 간 긴밀한 협의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NK뉴스에 따르면 그는 “제재 하에 관광은 허용된다”면서도 북한을 찾는 한국인 관광객이 반입하는 짐에 포함된 물건 일부가 제재에 어긋날 수 있다는 우려를 전하고, “독립된 관광”이라는 이름 아래 진행될 방북 루트도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관광객들은 어떻게 북한에 도착하느냐. 중국을 거쳐 갈 것인가. DMZ를 지날 것인가. 이는 유엔군 사령부와 관련 있다. 어떻게 돌아올 것이냐”고 우려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나 청와대 고위 당국자도 우리 정부의 설명에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나 스티븐 비건 국무 차관 등도 별다른 이의를 달지 않았다는데 해리스 대사가 ‘도장을 찍겠다’는 식으로 나선 것이다. 콧수염이나 혈통 같은 지엽적인 문제로 해리스 대사와 갈등하는 것보다 이런 본질적인 문제를 갖고 외교부나 통일부나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 [부고]

    ●이광신(전 단국대 부총장)씨 별세 이순건(전 마포고 교사)·경숙·진숙씨 부친상 김성수(전 부여홍산교회 목사)·이태섭(롯데그룹 준법경영담당부사장)씨 장인상 16일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발인 19일 오전 9시 (02)2258-5940 ●유영애씨 별세 방만규(국기원 교육본부장)씨 모친상 16일 건국대병원 장례식장, 발인 18일 오전 8시 10분 1588-1533
  • [부고]

    ●이광신(전 단국대 부총장)씨 별세 이순건(전 마포고 교사)·경숙·진숙씨 부친상 김성수(전 부여홍산교회 목사)·이태섭(롯데그룹 준법경영담당부사장)씨 장인상 16일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발인 19일 오전 9시 (02)2258-5940 ●유영애씨 별세 방만규(국기원 교육본부장)씨 모친상 16일 건국대병원 장례식장, 발인 18일 오전 8시 10분 1588-1533
  • [부고] 이인배씨 장모상, 조영욱씨 부친상, 금종익씨 부친상

    ●김은선(광주시 전 보건환경연구원장)·은전·은희(서울 나은치과 원장)씨 모친상, 이인배(YTN 전 호남취재본부장)·윤경식(오산 세마그린요양병원장)·이준형(영주 적십자병원 응급의학과장)씨 장모상, 16일 오전, 광주 서구 VIP 장례타운 302호실, 발인 18일 오전 8시 30분. 062-521-4444 ●조영돈(선교사)·조영욱(기획재정부 서기관)·조은경씨 부친상, 홍기선(성의중학교 교감)씨 장인상, 16일 오전 5시 47분,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12호실, 발인 18일 오전 7시 30분. 02-2227-7591 ●금종익(금융위원회 전자금융과 서기관)씨 부친상, 15일 오후 2시, 옥천성모병원 장례식장 401호실, 발인 17일 오전 7시. 043-730-7444
  • 입영 거부 여호와의 증인 신도 병역법 위반 무죄

    부산지법 형사5단독 서창석 부장판사는 입영을 거부한 혐의로 기소된 ‘여호와의 증인’ 신도 A(24) 씨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다고 16일 밝혔다. 서 부장판사는 판결문에서 “모친도 여호와의 증인 신도이고 피고인도 어렸을 때부터 신도인 가족들의 영향을 받아 성서를 공부하고 2010년 4월 침례를 받아 정식으로 여호와의 증인 신도가 된 것으로 보인다”며 “여러 사정으로 볼 때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자로 봄이 상당해 무죄를 선고한다”고 밝혔다. 현역병 입영 대상자인 A 씨는 2016년 9월부터 같은 해 11월까지 육군훈련소에 입영하라는 부산지방병무청의 수차례 걸친 입영통지서를 받고도 입소하지 않은 혐의(병역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부산김정한 기자 jhkim@seoul.co.kr .
  • [부고] 백승권씨 모친상, 이광효씨 모친상, 방만규씨 모친상, 임계현씨 모친상

    ●백승권(한국광해관리공단 상임이사)씨 모친상, 15일 오전 0시5분, 보령시 대천역전 장례식장, 발인 17일 오전 7시. 041-932-1414 ●이중희씨 부인상, 이영효·이광효(통일경제뉴스 기자)·이민효씨 모친상, 유숙경씨 시모상, 14일, 연세대 신촌장례식장 7호실, 발인 16일 오전. 02-227-7500 ●방만규(국기원 교육본부장)씨 모친상, 16일 오전, 건국대학교병원 장례식장 201호실, 발인 18일 오전 8시 10분. 02-1588-1533 ●임계현(한국기계연구원 경영기획본부장) 씨 모친상, 16일 오전 8시, 충남 보령시 보령아산병원 장례식장 2호실, 발인 18일 오전 9시. 041-930-5631
  • [월드피플+] 식물인간된 어린 아들 살린 엄마의 눈물겨운 모정

    [월드피플+] 식물인간된 어린 아들 살린 엄마의 눈물겨운 모정

    ‘식물인간’ 상태에 빠진 아들을 살린 기적의 사연이 알려져 감동을 주고있다. 최근 식물인간 상태에 빠져 연명 치료를 받던 초등학생이 깨어나는 기적이 일어나 이목이 집중됐다. 중국 언론 ‘환구시보’는 식물인간 상태가 된 아들을 기적의 힘으로 되살린 모친의 사연을 15일 보도했다. 화제의 주인공은 간쑤성(甘肃省) 출신의 10대 초등학생 챵챵 군. 챵 군은 지난해 8월 갑작스럽게 찾아온 40도에 가까운 고열을 앓은 직후 뇌염 판정을 받았다. 심각한 것은 뇌염 판정 이후 악화된 건강상태로 챵 군은 의식을 잃은 채 식물인간 상태에 빠졌다. 이 같은 챵 군의 심각한 상태 탓에 최초 치료를 담당했던 병원 의료진은 그를 시안시(西安市)에 소재한 아동 전문종합병원에 이송해 치료받을 것을 추천할 정도였다. 이에 챵 군의 모친 정 씨는 아들을 시안시 아동전문병원에 입원시키고 중환자실에서 2개월 간의 치료를 시작했다. 하지만 이후에도 의식을 되찾지 못한 챵 군은 해당 병원 의료진으로부터 ‘가망이 없다’는 통보를 받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챵 군을 담당했던 아동전문병원 진샤오충 박사는 “국제적인 기준에 따라 일반적으로 식물인간 상태에 빠진 아동의 경우 약 3개월 간의 연명 치료를 받아야 한다”면서 “챵 군의 경우 이 시기 이후에도 줄곧 건강이 악화되는 등 의식을 되찾을 희망이 없었다"고 밝혔다. 이같은 이유로 의료진은 챵 군의 친모에게 아들을 퇴원시킨 후 집에서 치료를 이어갈 것을 조언했다. 회복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은 물론 챵 군의 가족이 지불해야 하는 의료비에 대한 부담이 매우 컸기 때문. 하지만 챵 군의 모친은 의료진의 조언에도 불구, 아들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이후 모친은 아들을 소아병원 중환자실에서 재활의학과로 옮겨 치료를 이어가는 방법을 선택했다. 정 씨는 “우리 아들이 오래 살지 여부를 모른다는 의료진의 조언이 있었다”면서 “하지만, 내 아들이 단 며칠만 더 살 수 있다고 해도, 나는 그 며칠을 위해서 무엇이든 할 준비가 되어있다. 의사들은 우리에게 아들을 포기할 마음의 준비를 하라고 조언했지만, 나는 아이를 포기할 수 없었다”고 털어놨다. 정씨는 의식이 없는 아들을 줄곧 재활사의 도움으로 훈련을 받게했다. 그런데 약 2주 간의 재활 훈련을 이어가던 중 챵 군이 의식을 되찾는 ‘기적’이 일어났다. 정 씨는 “하루는 평소 습관처럼 대답없는 아들을 향해서 ‘안경을 좀 쓰라’고 말을 걸었는데, 기적처럼 아이가 그 말을 알아들었다”면서 “실제로 당시 바닥에 놓여져 있던 안경을 아이가 직접 손을 드는 기적이 발생했다. 믿을 수 없을 만큼 기쁜 기적의 순간이었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이후 챵 군은 재활사와 함께 약 2개월 간의 재활 훈련을 지속해 최근 퇴원 수속을 완료, 올해 춘제(春节, 중국의 설날)는 고향 집에서 가족들과 함께 보낼 수 있게됐다. 챵 군은 “집 안에서 남들과 같은 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건강이 좋아졌다”면서 “식물인간 기간이 길어질수록 가족을 포기하려는 이들이 많은데, 엄마는 나를 포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재활에 대한 믿음을 주셨다. 나와 같은 상황에 있는 또 다른 환자 가족들이 서로를 포기하지 않고 작은 희망의 가능성을 믿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임지연 베이징(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
  • [부고]

    ●곽현주씨 별세 박승호(전 농협은행 지점장)씨 부인상 박윤슬(서울신문 사진부 기자)익서(전문건설공제조합 과장)씨 모친상 14일 경기 안양평촌한림대병원, 발인 16일 오전 9시 10분 (031)384-4634 ●양회정씨 별세 양아다·기두(경희길 한의원 원장)·아선(뉴푸드 대표) 부친상 김효성(kbc광주방송 취재기획부장, 한국기자협회 부회장)씨 장인상 15일 광주 천지장례식장, 발인 17일 (062)527-1000 ●임정수씨 별세 홍준식(전 서울시향 경영본부장)씨 모친상 이봉규(현대자동차 좌동 서부점 대표)씨 장모상 15일 부산의료원, 발인 17일 (051)607-2990 ●김동주씨 별세 남승창(프로야구 LG트윈스 전 홍보·운영팀장)씨 모친상 15일 경기 성남시 분당 서울대병원, 발인 17일 오전 7시 (031)787-150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