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멜라니아
    2025-08-17
    검색기록 지우기
  • 논란
    2025-08-17
    검색기록 지우기
  • 나경원
    2025-08-17
    검색기록 지우기
  • 당첨
    2025-08-17
    검색기록 지우기
  • 정연
    2025-08-17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702
  • 트럼프 “한국 대통령과 매우 좋은 만남”

    트럼프 “한국 대통령과 매우 좋은 만남”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문재인 대통령과의 만찬 후 “매우 좋은 만남이었다”는 소감을 남겼다. 트럼프 대통령이 외국 정상과 만찬 직후 소감을 밝힌 것도 매우 이례적이다.트럼프 대통령은 29일(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에 “한국 대통령과의 매우 좋은 만남을 방금 마쳤다. 새로운 무역거래와 북한 문제를 포함한 많은 주제들이 논의됐다”고 적었다. 트럼프 대통령의 글이 올라온 시간은 오후 9시 44분으로, 문재인 대통령 부부가 백악관에서 환영만찬을 마친 오후 8시 5분에서 1시간 40분이 지난 뒤에 글이 올라왔다. 이날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워싱턴 백악관에서 공식 환영만찬을 통해 환담을 나눴다. 트럼프 대통령과 영부인 멜라니아 여사는 백악관 중앙관저 입구에 나와 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를 맞이했다. 이어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15분 간 중앙관저 외교접견실에서 단독으로 상견례를 했고, 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는 트럼프 대통령이 주재한 환영만찬에 참석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트럼프·멜라니아 트위터에 “문 대통령과 정상 회동 만족”

    트럼프·멜라니아 트위터에 “문 대통령과 정상 회동 만족”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첫 회동이 2시간 5분 만에 끝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이에 대한 만족감을 드러냈다. 29일(현지시간) 한미 정상 간의 회동이 끝난 직후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를 통해 '방금 한국의 대통령과 매우 훌륭한 미팅을 마쳤다. 북한 문제 및 한미 무역 문제 등 많은 부분을 놓고 토론했다'고 적었다.(Just finished a very good meeting with the President of South Korea. Many subjects discussed including North Korea and new trade deal!) 행사 중 드러난 화기애애한 분위기 만큼 좋은 성과가 있었다는 것을 국민들에게 공개한 것. 이에 앞서 모델 출신으로 화려한 외모를 뽐내는 멜라니아 트럼프 여사 역시 자신의 트위터에 "대통령과 영부인, 대표단들과 멋진 저녁을 가졌다"(I had lovely evening hosting President Moon, his wife & delegation for working dinner)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6시 미국 워싱턴D.C.의 백악관에 도착해 트럼프 대통령과 첫 만남을 가졌으며 오후 6시 30분부터 시작한 공식 환영 만찬 행사는 오후 8시 5분께 종료됐다. 당초 예정된 1시간 30분 보다 35분 늘어난 것. 트럼프 대통령은 만찬이 열리기 전 “나는 문 대통령이 북한, 무역, 그리고 다른 것들의 복잡함에 대해 우리 국민과 토론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서 “우리는 그것들에 대해서 논의할 것이고, 시간이 늦어질 수도 있다”고 밝혔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 [서울포토] 대화하는 김정숙 여사와 멜라니아

    [서울포토] 대화하는 김정숙 여사와 멜라니아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29일 오후(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만찬을 마치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부인 멜라니아 여사와 환담하고 있다. 워싱턴=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 [서울포토] 크로스악수하는 한·미 정상 내외

    [서울포토] 크로스악수하는 한·미 정상 내외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29일 오후(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만찬을 마치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부인 멜라니아 여사와 악수하고 있다. 워싱턴=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 김정숙-멜라니아 여사도 첫 만남…시선 끈 ‘패션 외교’

    김정숙-멜라니아 여사도 첫 만남…시선 끈 ‘패션 외교’

    김정숙 여사와 멜라니아 여사가 29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첫 상견례를 가졌다.첫 만남 자리에서 김정숙 여사는 편안함·신뢰·희망을 상징하는 파란색 한복으로 멜라니아 여사는 연한 분홍빛 민소매 원피스로 서로 다른 ‘패션 내조’를 펼쳤다. 김정숙 여사는 방미 기간 ‘파란색 의상’을 착용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른바 ‘색깔 외교’로 한미 양국 간 신뢰를 바탕으로 첫 정상회담의 성공을 기원한다는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서다. 워싱턴 앤드루 공군기지에 도착했던 첫날 김 여사는 흰색 바탕에 파란색 나무 그림이 새겨진 의상을 입고 모습을 드러냈다. 이 옷에는 팍팍한 일상에 지친 현대인을 위로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어질 상견례 및 한미 정상 부부동반 만찬에는 친정어머니가 물려준 옷감으로 만든 한복을 입을 것을 미리 알렸다. 1981년 김 여사가 문재인 대통령과 결혼할 때 물려받은 옷감이다. 김 여사 부모님은 수십 년간 서울 광장시장에서 포목점을 운영했다. 김 여사는 단아함과 우아함을 살린 한복을 입고 등장했다. 푸른빛 두루마기형 저고리에 남빛 치마를 둘렀으며, 붉은색 고름으로 맵시를 살렸다. 만찬에서는 두루마기를 벗어 흰 저고리를 입은 김 여사의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손가방으로는 한국 전통미를 살린 소재 나전(螺鈿)을 접목한 ‘나전 클러치’를 선택했다.김 여사 한복과 관련해 그의 중·고교 동창인 손혜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그냥 한복이 아니라 1500년 전부터 지금까지 전승된 세계 최고의 여름천, 한산모시로 지은 한복”이라며 “평생 한복을 입어왔기 때문에 누구와도 비교할 수 없이 잘 어울린다”는 소감을 전하기도 했다. 김 여사와 달리 멜라니아 여사는 현대적 감각이 드러나는 원피스를 입었다. 이날 멜라니아 여사의 옷차림은 트럼프 대통령의 성추행 논란 등을 의식, ‘아내’로서의 모습을 강조한 대내적 메시지를 보낸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서울포토] ‘화기애애’ 이야기 나누는 김정숙 여사-멜라니아

    [서울포토] ‘화기애애’ 이야기 나누는 김정숙 여사-멜라니아

    한미 양국 정상 간 상견례 및 만찬이 29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열렸다. 김정숙 여사와 멜라니아 여사가 백악관으로 들어가며 이야기하고 있다. 워싱턴=안주영기자 jya@seoul.co.kr
  • 문재인-트럼프, 5번의 ‘악수 대결’…하얗게 변한 손, 얼마나 세게 잡았길래

    문재인-트럼프, 5번의 ‘악수 대결’…하얗게 변한 손, 얼마나 세게 잡았길래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미 동부 현지시각) 만나 총 5번의 악수를 나눴다.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악수를 하면서 마치 기 싸움을 하듯이 서로의 눈을 응시하기도 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만찬장 자리에 앉아 먼저 손을 뻗더니 자신의 손이 하얗게 되도록 문 대통령의 손을 꽉 잡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다른 정상들을 만나 악수할 때 손을 꽉 잡거나 상대의 손을 끌어당기는 등 돌출행동을 보였다. 이날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악수가 주목받은 이유도 이와 같은 트럼프 대통령의 ‘악명’ 높은 ‘악수 정상외교’ 탓이다. 첫 악수는 문 대통령이 이날 오후 6시 백악관 현관 앞에서 차량에서 내릴 때 이뤄졌다. 문 대통령은 차에서 내리자마자 기다리던 트럼프 대통령과 곧장 악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른손을 마주 잡는 동시에 먼저 왼손을 문 대통령의 오른쪽 어깨에 1초 정도 가볍게 올렸다가 내렸고, 이에 문 대통령도 왼손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오른쪽 팔꿈치 부분을 가볍게 쥐는 모양새를 연출했다. 오른손 악수는 4초가량 이어졌다. 악수하는 동안 양 정상의 표정은 매우 밝았고,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부인인 멜라니아 여사와도 가벼운 인사와 함께 악수를 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와 악수를 했고, 김 여사와 멜라니아 여사도 악수하면서 인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여사에게 손을 뻗어 자리를 안내하는 포즈를 취하며 친근하게 예를 표했다. 두 정상과 영부인들은 현관 앞에서 기념 촬영을 마친 뒤에 가벼운 인사말을 나누며 백악관 안으로 들어갔다. 실내로 들어선 뒤에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또 악수를 나눴다. 이때 기념촬영 중 트럼프 대통령은 악수를 하면서 잠시 다른 곳을 보는 등 엇박자를 내기도 했다.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만찬장에서 다시 악수를 했다. 이때 양국 정상은 이전보다 손을 꽉 잡은 듯이 보였고, 서로의 눈을 쳐다보며 마치 기 싸움을 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악수는 만찬장에서 자리에 앉은 뒤에도 이어졌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오른쪽에 앉았고,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을 바라보며 먼저 손을 내밀었다. 이에 두 사람은 다시 한 번 악수를 나눴다. 문 대통령은 시종일관 환하게 웃었고,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을 지그시 바라보기도 했다. 하지만 악수를 할 때 트럼프 대통령의 손이 하얗게 변했다. 문 대통령의 손을 매우 강하게 잡은 것으로 보인다.만찬이 끝나고 트럼프 대통령과 멜라니아 여사는 백악관 현관 앞에서 문 대통령과 김 여사를 배웅하면서 이날 마지막 악수를 나눴다. 이날 한국은 물론 전 세계적으로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악수가 주목받았다. 트럼프 대통령의 ‘악명’ 높은 ‘악수 정상외교’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미일정상회담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악수하면서 다른 한 손으로 아베 총리의 손등을 쓰다듬거나 악수한 손에 힘을 주며 아베 총리를 끌어당기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아베 총리는 악수를 푼 뒤 아픔을 참으려 애쓰는 듯한 표정과 함께 당황스러운 웃음을 짓기도 했다. 앞선 1월 테레사 메이 영국 총리와의 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메이 총리의 손을 꼭 잡으면서 역시 다른 한 손으로 손등을 토닥였다. 이를 두고 외신은 양국의 유대 관계 강화를 의미한다는 해석도 내놨다. 트럼프 대통령은 3월 엥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의 백악관 정상회담에 앞선 언론 공개 부분에서는 메르켈 총리를 쳐다보지도 않았고, 취재진의 악수 요청에 메르켈 총리가 “악수할까요”라고 물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끝내 외면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는 문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백악관 현관에서 만나자마자 악수를 했고, 회담 직후 공동성명 발표장에서도 악수를 나눴다. 성명 발표 뒤에는 양 정상이 포옹하기도 했다. 이를 두고 트럼프 대통령이 인도를 통해 중국을 견제하려는 제스처라는 해석도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 쥐스탱 트뤼도 총리와 정상회담에서 악수를 하다가 다른 손으로 오른팔을 살짝 잡았으나, 튀리도 총리 역시 왼손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오른쪽 팔뚝을 꽉 잡았다. 대등한 인상을 줬다는 평이 많았다. 악명 높은 트럼프 대통령의 악수도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의 악수에서는 힘을 쓰지 못했다. 당시 양 정상이 악수한 손을 강하게 아래위로 흔든 뒤 트럼프 대통령이 손을 놓으려 하자 마크롱 대통령은 손을 다시 꽉 쥐어 트럼프 대통령이 당황해하는 모습이 언론에 공개되기도 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역시 기 싸움...문대통령, 세계가 주목한 트럼프와의 첫 악수 ‘4초’간

    역시 기 싸움...문대통령, 세계가 주목한 트럼프와의 첫 악수 ‘4초’간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첫 악수를 나눴다.문 대통령는 29일(미 동부 현지시각) 오후 6시 백악관 현관 앞에서 차량에서 내리자마자 기다리던 트럼프 대통령과 곧장 악수를 했다트럼프 대통령은 악수와 동시에 먼저 왼손을 문 대통령의 오른쪽 어깨에 1초 정도 가볍게 올렸다 내렸고,이에 문 대통령도 왼손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오른팔을 가볍게 쥐는 모양새를 연출했다.오른손 악수는 4초가량 이어졌다. 악수하는 동안 양 정상의 표정은 매우 밝았고,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과 동행한 김정숙 여사에게 손을 뻗어 자리를 안내하는 포즈를 취하며 친근감을 표했다. 현관 앞에서 기념촬영을 마친 뒤 양 정상이 나란히 백악관 내부로 들어갔고,양 정상의 부인인 김 여사와 멜라니아 여사가 나란히 뒤를 이었다. 악수는 상견례가 이뤄진 백악관 외교 리셉션 룸에서도 이어졌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오른쪽에 앉았고,양 정상은 취재진을 향해 환한 웃음을 지으며 악수를 했다.우연히도 양 정상은 푸른색 넥타이를 착용했다.김 여사는 비취색 한복 차림이었고 멜라니아 여사는 흰색 민소매 원피스를 입었다. 백악관 도착에서 리셉션에 이르는 시간 동안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 부부를 매우 환대하는 모습을 보였고,내내 화기애애한 모습이 연출됐다는 후문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美재무, 세 번째 결혼식…아내는 18세 연하 배우

    美재무, 세 번째 결혼식…아내는 18세 연하 배우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이 스코틀랜드 출신 여배우 루이스 린튼과 지난 24일(현지시간) 자신의 세 번째 결혼식을 올렸다고 AP통신 등이 보도했다.이날 결혼식은 워싱턴DC의 유서 깊은 건물인 앤드루 멜론 대강당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마이크 펜스 부통령, 빌 모르노 캐나다 재무장관 등 정·재계 인사 300여명이 하객으로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주례는 펜스 부통령이 섰다. 트럼프 대통령의 맏딸 이방카와 남편 재러드 쿠슈너 백악관 선임고문, 트럼프 정부의 각료들도 대부분 참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검은색 타이의 턱시도를 입고 참석했으며, 부인 멜라니아는 붉은색이 감도는 핑크 드레스를 입고 모습을 드러냈다. 이번 결혼은 므누신 장관의 세 번째, 린튼의 두 번째 결혼이다. 36살인 린튼은 ‘CSI: 뉴욕’, ‘콜드 케이스’ 등 TV 드라마와 몇 편의 영화에 출연했으며 최근에는 영화 제작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18살 연상인 54살의 므누신 장관은 투자은행 골드만삭스 출신으로 헤지펀드를 운영하기도 했다. 므누신 장관은 2013년 로스앤젤레스의 한 결혼 피로연에서 린튼을 만나 2년 후 청혼했다. 두 사람은 므누신 장관이 1200만여 달러를 주고 구매해 리모델링한 워싱턴 매사추세츠 애비뉴 하이츠의 맨션에 신혼집을 마련했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 김정숙 여사 한미정상회담서 첫 ‘내조 외교’ 행보…멜라니아 여사와의 호흡 주목

    김정숙 여사 한미정상회담서 첫 ‘내조 외교’ 행보…멜라니아 여사와의 호흡 주목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두 정상의 부인이 펼칠 ‘내조 외교’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역대 대통령의 취임 후 첫 미국 방문 때면 양국 동맹의 무게감에 맞게 퍼스트 레이디의 내조 외교도 주목받았다.문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부인 멜라니아 여사는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만 판단하면 상당히 다른 캐릭터를 갖고 있다. 대학에서 성악을 전공한 김 여사는 졸업 후 서울시립합창단에서 활동했지만 변호사 일을 시작한 문 대통령이 부산으로 갔을 때 함께 내려가 내조를 맡았다. 멜라니아 여사는 슬로베니아(구 유고슬라비아)에서 태어나 디자인과 건축을 공부한 뒤 밀라노와 파리, 뉴욕에서 모델 활동을 하다가 2005년 트럼프 대통령과 결혼했다. 김 여사는 ‘유쾌한 정숙씨’라고 불릴 정도로 성격이 활발하지만 멜라니아 여사는 ‘은둔의 퍼스트레이디’라고 불리며 한 때 좀처럼 공식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이 때문에 두 사람의 두 사람의 ‘내조 외교’가 잘 이뤄질지는 미지수라는 시각도 있지만 청와대는 긍정적인 관측을 내놓았다. 청와대 관계자는 25일 “김 여사의 친화력으로 첫 만남에도 어색함없이 멜라니아 여사와의 ‘내조 외교’를 성공적으로 잘 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연합뉴스를 통해 밝혔다. 대선 때 특유의 친화력과 외향적인 성격으로 다소 무뚝뚝한 문 대통령을 보완했던 김 여사가 이번에도 공식 만판과 별도의 대화 자리에서 ‘퍼스트 레이디’의 역할을 다할 것이라는 기대가 담겼다. 게다가 ‘은둔형’에 가까웠던 멜라니아 여사가 최근 공개적인 자리에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 것도 낙관적이다. 멜라니아 여사는 두 달 전 미·중 정상회담 때 공식 만찬에 도착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시 주석의 부인 펑리위안(彭麗媛) 여사를 직접 마중했다. 멜라니아 여사와 함께하는 일정과 별도로 김 여사는 현지에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는 ’스킨십 행보‘를 할 것으로 보인다. 전례에 비춰봤을 때 교포들을 격려하는 행사에 참석하는 것은 물론 교육·복지 시설 등을 둘러볼 것으로 예상된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부인인 김윤옥 여사는 2008년 4월 첫 방미 당시 워싱턴 DC의 저소득층 아동 보육시설과 국립 여성예술박물관을 찾았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부인인 권양숙 여사는 2003년 5월 미국을 방문해 뉴욕의 한글학교 교사들과 간담회를 했고, 김대중 전 대통령 부인 이희호 여사는 1998년 6월 뉴욕의 시각장애인 교육기관에 들러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므누신 美재무장관, ‘CSI’ 출연 18세 연하 배우와 화촉

    므누신 美재무장관, ‘CSI’ 출연 18세 연하 배우와 화촉

    스티븐 므누신(54) 미국 재무장관이 드라마 ‘CSI’ 시리즈에 출연한 여배우 루이스 린튼(36)과 24일(현지시간) 결혼식을 올렸다. 므누신 장관의 결혼식은 워싱턴DC의 유서 깊은 건물인 앤드루 멜론 대강당에서 열렸다고 AP, AFP 등이 전했다.하객으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마이크 펜스 부통령, 빌 모르노 캐나다 재무장관 등 정·재계 인사 300여 명이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검은색 타이의 턱시도를 입고 참석했으며, 부인 멜라니아 여사는 붉은색이 감도는 핑크 드레스를 입고 모습을 드러냈다. 36살인 린튼은 스코틀랜드 출신으로,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배우는 아니다.‘CSI: 뉴욕’, ‘콜드 케이스’ 등의 TV 드라마와 몇 편의 영화에 출연했으며, 최근에는 영화 제작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18살 연상인 54살의 므누신 장관은 투자은행 골드만삭스 출신으로 헤지펀드를 운영하기도 했다. 재산은 4600만 달러(약 520억원)에 달하며, 할리우드 영화에도 투자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므누신 장관은 2013년 로스앤젤레스의 한 결혼 피로연에서 린튼을 만나 2년 후 청혼했다. 이번 결혼은 비밀에 부치려고 했으나, 윌버 로스 상무장관이 수일 전 발설하는 바람에 세상에 알려졌다. 이번 결혼은 므누신 장관은 세 번째, 린튼은 두 번째 결혼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민폐 하객’ 멜라니아

    ‘민폐 하객’ 멜라니아

    미국 대통령 부인 멜라니아 트럼프가 24일(현지시간) 비서의 결혼식에 참석하기 위해서 백악관을 떠나고 있다. EPA 연합뉴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트럼프, 라마단 종료 기념행사 폐지…축하 성명만 발표

    트럼프, 라마단 종료 기념행사 폐지…축하 성명만 발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매년 백악관에서 주최해온 라마단(이슬람 금식기간) 종료 기념 행사를 열지 않고, 대신 축하 성명만 발표했다.CNN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미국 국민과 부인 멜라니아를 대신해 ‘이드 알피트르’(라마단 종료를 축하하는 명절)를 즐기는 무슬림들에게 따뜻한 인사말을 보낸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우리는 이번 명절 기간 자비와 연민, 선의의 중요성을 되새기게 된다”면서 “전 세계 무슬림들과 함께 미국은 이런 가치를 존중하겠다는 약속을 다시 다짐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은 빌 클린턴 전 대통령 시절부터 백악관에서 매년 무슬림 교단 저명인사와 상하원 의원, 이슬람국 외교관들이 참석한 가운데 ‘이드 알피트르’나 ‘이프타르’(금식을 마치고 시작하는 첫 식사)를 기념하는 라마단 행사를 개최해왔다. 그러나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이 ‘이드 알피트르’를 맞아 축하연을 개최해 달라는 국무부 종교·국제업무국의 요청을 거절하며 지난 1999년 이후 이어져 온 관례를 깨버렸다고 국무부 당국자들이 전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영부인 멜라니아 닮고파”…美 40대 주부, 8차례 성형수술

    “영부인 멜라니아 닮고파”…美 40대 주부, 8차례 성형수술

    미국의 '퍼스트레이디' 멜라니아 트럼프(47)를 닮고 싶어 성형수술까지 한 여성이 등장해 화제에 올랐다. 지난 21일(현지시간) 뉴스위크 등 현지언론은 텍사스주 휴스턴 출신의 주부 클라우디아 시에라(42)가 '변신'을 위해 수술대 위에 올랐다고 보도했다. 그녀는 얼마 전 부터 영부인 멜라니아를 닮고 싶다는 소망에 총 7~8차례에 달하는 성형수술을 받고 있다. 눈, 코, 가슴, 엉덩이, 복부성형, 지방 흡입 등 '대공사'다. 시에라가 애써 멜라니아를 닮고 싶은 이유는 자신도 퍼스트레이디라는 자리를 느껴보고 싶기 때문이다. 시에라는 "멜라니아는 우리의 퍼스트레이디로 나에게는 힘과 권위의 상징"이라면서 "그녀를 더 닮게 된다면 보다 나은 내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흥미로운 점은 미 현지에서는 퍼스트레이디보다 '퍼스트도터'를 닮고 싶어 성형수술대에 오르는 사례가 더 많다는 사실이다. 지난해 텍사스 출신의 두 30대 여성은 트럼프 대통령의 장녀 이반카(35)를 닮고 싶다는 소망에 수천 만원을 들여 성형수술을 받았다. 이들 여성들을 모두 성형수술한 프랭클린 로즈 박사는 "지난해부터 많은 여성들이 이반카 닮은 꼴이 되기 위한 수술 상담을 위해 병원을 찾고 있다"면서 "이반카의 경우 아름다운 외모는 물론 지적이고 우아한 것이 매력"이라고 밝혔다. 이어 "멜라니아는 퍼스트레이디라는 배경에 모델 출신으로 멋져보인다는 것이 닮은 꼴 성형수술을 하는 이유"라고 덧붙였다.   이처럼 단순한 가십성 이야기지만 현지언론은 성형시장에서 이반카의 인기 역시 외부 활동과 맞물려 풀이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주관하는 공식 행사에 자주 배석하는 이반카와 달리 멜라니아는 아직도 존재감이 미미하다는 평가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 [포토] 오늘도 손 잡기 거부한 멜라니아 트럼프

    [포토] 오늘도 손 잡기 거부한 멜라니아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오른쪽에서 두 번째) 미국 대통령과 그의 부인 멜라니아 트럼프(세 번째)가 19일(현지시간) 미국을 방문한 카를로스 바렐라 파나마 대통령을 맞이하러 백악관에서 나란히 걸어나오고 있다. 멜라니아는 지난달부터 공식석상에서 트럼프의 손을 뿌리치는 모습을 보이는 등 게속 손 잡기를 거부하고 있어 트럼프 부부의 ‘불화설’을 키우고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트럼프 부부 주말 휴가 뒤 백악관으로

    트럼프 부부 주말 휴가 뒤 백악관으로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부인 멜라니아, 막내 아들 배런이 18일(현지시간) 캠프 데이비드 별장에서 주말 휴가를 보낸 뒤 백악관으로 돌아오고 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일 사드 배치 논란에 대해 전해듣고 화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 AFP 연합뉴스
  • 트럼프vs오바마…전·현 美대통령, 상반되는 ‘아버지날’ 트윗

    트럼프vs오바마…전·현 美대통령, 상반되는 ‘아버지날’ 트윗

    영미권 등 서구의 많은 국가에서 매년 6월 셋째 주 일요일은 특별한 날이다. 바로 '아버지의 날'(Father‘s Day)로, 매년 5월 둘째주 일요일은 ‘어머니의 날’(Mother’s Day)로 각각 기념한다. 지난 18일(현지시간) 아버지의 날을 맞아 트럼프 일가족을 비롯한 유력 정치인들이 잇달아 '트위터 정치'에 나섰다. 먼저 '퍼스트 도터'로 큰 인기를 모으고 있는 장녀 이반카는 아버지 트럼프와, 남편이자 대통령 수석고문인 자레드 쿠시너를 위한 트윗을 남겼다. 각각의 트윗에는 해변에서 촬영된 이반카의 가족 사진과 트럼프 대통령 그리고 남편과 함께 촬영한 사진이 게시됐으며 모두 감사의 글귀가 적혀있다. 또한 장남 트럼프 주니어 역시 아기 시절 자신을 안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의 사진을 올리며 부모의 사랑에 응답했다. 이에 반해 '퍼스트 레이디' 멜라니아의 트윗에 올라온 것은 '행복한 아버지의날'(#HappyFathersDay)이라는 짤막한 글귀 뿐. 특히 트위터 정치의 진수(?)를 보여주는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아버지의 날에 대한 언급없이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운동이 마녀사냥에도 불구하고 매우 잘 진행되고 있다"며 역시나(?) 자화자찬으로 포문을 열었다. 한편 퇴임 후에도 존재감을 과시하는 오바마 전 대통령 부부의 트윗은 흥미롭다. 부인 미셸은 이날 딸 말리아와 사샤를 안고 있는 젊은 오바마의 사진을 올리며 사랑한다는 글을 남겼다. 오바마 전 대통령 역시 "말리아와 사샤의 아빠인 것이 자랑스럽다. 아빠로서 너무나 행운"이라고 화답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 [포토] 휴가서 돌아온 멜라니아 트럼프와 아들 배런

    [포토] 휴가서 돌아온 멜라니아 트럼프와 아들 배런

    미국 퍼스트레이디 멜라니아 트럼프와 아들 배런 트럼프가 캠프 데이비드 대통령 별장에서 주말 휴가를 보낸 뒤 1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으로 돌아오고 있다. 사진=AFP 연합뉴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포토] 휴가 뒤 백악관으로 돌아가는 트럼프 부부와 아들 배런

    [포토] 휴가 뒤 백악관으로 돌아가는 트럼프 부부와 아들 배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부인 멜라니아와 아들 배런과 함께 캠프 데이비드 대통령 별장에서 주말 휴가를 보낸 뒤 1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으로 돌아오고 있다. 사진=AFP 연합뉴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포토] 편안한 차림으로 나들이 가는 트럼프 가족

    [포토] 편안한 차림으로 나들이 가는 트럼프 가족

    17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가운데)과 영부인 멜라니아, 아들 배런이 대통령 별장으로 떠나기 위해 대통령 전용 헬기를 타러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버지의 날을 맞아 가족과 함께 대통령 공식 별장인 캠프 데이비드를 찾았다. 사진=EPA 연합뉴스/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