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제품 대기업상표 달고 세계로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대기업제품의 인지도를 활용,중소기업 제품에 대기업 상표를 붙여 수출하는 사업을추진한다.
KOTRA는 6일 대기업 브랜드 및 마케팅력과 중소기업의 생산력을 결합하는 협력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브랜드 구축지원대책반’을 다음달 1일 구성한다고 밝혔다.
대책반은 각국별로 인지도가 높은 대기업 제품과 이와 연관된 중소기업 제품을 발굴,협력관계를 유도하고 무역관을통해 마케팅을 지원할 방침이다.즉,인지도가 높은 가전회사의 이름으로 전자식 저울,마사지기 등 중소업체 제품을 함께 수출하는 것이다.대기업은 수수료를 얻고 중소업체는 고가로 수출하게 되는 ‘윈-윈 전략’인 것이다.
KOTRA는 조사결과 중소기업 제품의 수출확대에 도움이 될정도의 인지도를 갖춘 대기업 제품은 전 세계적으로 297개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기업별로는 삼성(152개) LG(110개) 현대(37개) 대우(31개) 등 순이며 농심,삼양,한국인삼공사,포스코,롯데제과,동양제과,금호타이어,한국타이어,대림,메디슨,코맥스,한국전지,한화,휴맥스,SKC도 일부 국가에서 인지도가 높았다.품목별로는 TV,에어컨 등 가전제품이 123개(42%)로 가장 많았고휴대폰,반도체 등 정보통신 제품이 92개(31%),자동차 관련제품이 48개(16%)로 뒤를 이었다.
주요 국별로는 중국의 경우 LG 에어컨·전자레인지·생활용품-롯데제과 껌-농심 라면-동양제과 초코파이-하이파이브 골프웨어-현대와 대우의 승용차-삼성의 모니터·휴대폰 등이 포함됐다.미국은 삼성과 LG의 TFT-LCD(박막액정표시장치),일본은 삼성과 LG의 모니터 및 포항제철의 냉간 및 열간압연,홍콩은 한국인삼공사의 인삼제품 및 삼성과 LG의 휴대폰,독일은 삼성 전자레인지,영국은 삼성 캠코더 등이다.이밖에 오스트리아는 메디슨의 의료용기기,베트남은 LG의 화장품,이집트는 현대의 건설서비스 등이 포함됐다.
함혜리기자 lo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