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마친 고3생들에게/김태길 전 서울대 교수(기고)
◎건강을 지키고 의지력을 키워라
「인생은 마라톤 경주와 같다」는 비유가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얻고 있다.그러나 인생과 마라톤은 언뜻 보기에 비슷한 것 같으나,사실은 다른 점이 너무나 많다.차라리 「인생은 기나긴 여로와 같다」고 말하는 편이 더 좋은 교훈을 줄 것이다.
마라톤 경주에 참가하는 사람들의 일차적 목적은 승리자가 되고자 함에 있고,극히 제한된 소수만이 승리자의 대열에 낄 수 있다.그러나 인생의 목적은 뜻있는 삶을 실현함에 있으며,뜻있는 삶을 위해서 반드시 남을 앞지를 필요는 없다.인생에서는 각자가 서로 다른 길을 걸을 자유가 있으며,각자가 선택한 길에서 자신의 소질을 발휘하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마라톤 경주에서는 모든 선수들이 동일한 결승점을 향하여 질주한다.거기에는 공존이나 협동은 있을 수 없고,오직 치열한 경쟁이 있을 뿐이다.그러나 여로의 경우는 다르다.여행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목적지는 무수하게 많으며 각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일정표를 따라서 더러는 빨리 갈 수도 있고,더러는 느리게 갈 수도 있다.여행에서는 반드시 남보다 빨리 가야 할 이유가 없으며,꾸준히 가기만 하면 결국은 모두가 목적지에 접근하게 된다.너도 나도 저네들도 모두 뜻을 이룰 수 있으니,모두 승리자가 될 수 있다 하여도 거짓이 아니다.
여로에서도 여러 사람들이 같은 길에서 만난다.그러나 여로에서 만난 사람들은 다정한 친구로서 대화를 나눌 수도 있고 어려운 일에 부딪치면 서로 도울 수도 있다.이것은 마라톤 경주의 노선에서는 생각조차 할 수 없는 일들이다.오로지 승리만을 위하여 각각 그저 앞만 보고 달려야 하니까.
많은 한국의 부모들은 귀여운 자녀들에게 마라톤 선수가 되어 메달을 따라고 종주먹을 댄다.마라톤 경기에 소질이 있는지 없는지는 알아보지도 않고 무조건 메달을 따야 한다고 야단이다.자녀의 처지에서 볼때,이것은 사랑이 아니라 고문이다.
인생에는 마라톤 경주로보다도 더욱 뜻있는 길이 사면팔방으로 뚤려 있다.누군가가 말했듯이 『세상은 넓고 할일은 많은』것이다.왜 굳이 마라톤 선수만을 고집하는가? 답답하고 어리석기 짝이 없다.
여행길이라고모두 수월하다는 뜻이 아니며,바람 따라 그저 훌쩍 떠나기만 하면 저절로 좋은 결과에 도달하게 된다는 뜻은 더욱 아니다.여행길도 적성에 맛는 것을 선택해야 하고 사전에 주도면밀한 준비도 해야 한다.최종의 목적지는 물론이요,거쳐서 가야할 중간 목표도 생각해서 정하고,세밀한 일정표를 포함한 계획을 미리 세워야 한다.다만 여기서 거듭 강조하고 싶은 것은 세상에는 가볼만한 아름다운 곳이 무수하게 많다는 사실이다.
『인생은 기나긴 여로와 같다』고 말했으나,인생의 나그네가 취해야 할 태도와 여로의 나그네가 취해야 할 태도 가운데는 반드시 달라야 할 점이 있다.여로의 나그네는 세상의 아름다운 곳을 되도록 여러 군데 돌아다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인생의 나그네는 너무 여러가지를 얻으려고 욕심을 부리지 말아야 한다.너무 여러가지를 얻으려고 과욕을 부리면,하나도 제대로 얻지 못한다.
마라톤 경주로를 달리는 것과 인생의 여로를 걷는것 사이에는 여러가지 다른 점이 있다고 하였다.그러나 마라톤 선수의 경우와 인생 행로를 가는 사람의경우에 한가지 중대한 공통점이 있다.두가지 경우에 모두 탁월한 건강과 불굴의 의지가 필수 불가결하다는 공통점이다.
인생의 여로는 마라톤의 경기로보다는 더 멀고 험하다.그 과정에서는 누구나 몇번의 좌절과 실패를 경험하게 마련이다.좌절과 실패를 딛고 다시 일어서서 목적지에 이르기 위해서는 남다른 건강과 의지력이 필요하다.삶의 과정에서 가장 두려운 것은 실패가 아니라,건강의 상실이며,청소년기 이후의 건강은 본인이 하기에 달려있다.